람세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세스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왕족 출신이 아닌 군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호렘헤브의 재상과 세트의 대사제를 거쳐 호렘헤브의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며, '멘페흐티레'라는 프레노멘과 '라메수' 또는 '람세스'라는 노멘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아들 세티 1세를 왕세자로 임명하고, 카르나크 사원의 파일론을 완공했다. 람세스 1세의 미라는 캐나다 박물관에 전시되었다가 이집트로 반환되어 룩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며, 영화와 미니시리즈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람세스 1세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람세스 1세 - KV16
KV16은 이집트 왕가의 계곡에 있는 람세스 1세의 무덤이며, 람세스 1세의 생애, 가족 관계, 통치, 무덤 벽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 - 메르넵타
람세스 2세의 아들인 메르넵타는 기원전 1223년경부터 약 10년간 이집트를 통치한 파라오로, 리비아와 바다 민족의 침입을 격퇴하고 가나안 원정을 수행했으며, 메르넵타 석비에는 이스라엘 멸망 기록이 남아있다. - 기원전 13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8왕조
이집트 제18왕조는 아흐모세 1세가 기원전 1550년경 건국하여 기원전 1298년경까지 존속한 이집트 신왕국의 첫 번째 왕조로, 힉소스 축출과 투트모세 3세의 제국 확장, 아멘호테프 4세의 종교 개혁, 투탕카멘의 복고를 거쳐 호렘헤브 때 막을 내렸다. - 기원전 13세기 이집트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람세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다른 이름 | 메노프레스 |
| 통치 | |
| 재위 기간 | 기원전 1292년–1290년 또는 기원전 1295년–1294년 (2년) |
| 선임 파라오 | 호렘헤브 |
| 후임 파라오 | 세티 1세 |
| 이름 | |
| 즉위명 | 멘페흐티레 (Menpehtyre, 영원한 것은 레의 힘이다) |
| 즉위명 (상형문자) | |
| 탄생명 | 라-메세스 (Ra-messes, 레가 그를 빚었다) |
| 탄생명 (상형문자) | |
| 호루스 이름 | 카나크트 와드 네스우트 (Kanakht Wadj neswt, 강대한 황소, 왕족을 회복시키는 자) |
|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 | |
| 네브티 이름 | 카 엠 네스우트 미 이트엠 (Kha m neswt mj jtm, 아툼처럼 왕으로 나타나는 자) |
| 네브티 이름 (상형문자) | |
| 황금 호루스 이름 | 세멘 마아트 케타위 (Smn m3't khetawy, 두 강둑의 땅 전체에 마아트의 질서를 세우는 자) |
| 황금 호루스 이름 (상형문자) | |
| 가계 | |
| 배우자 | 시트레 |
| 자녀 | 세티 1세 |
| 아버지 | 세티 |
| 기타 정보 | |
| 왕조 | 제19왕조 |
| 사망일 | 기원전 1290년 또는 1294년 |
| 매장지 | KV16 |
2. 즉위 전
하(下) 이집트 출신인 람세스 1세는 호렘헤브의 충실한 심복이자 친구였으며, 호렘헤브 재위 기간 동안 군 사령관과 재상 지위에 있었다. 아들이 없었던 호렘헤브는 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2. 1. 가문
람세스 1세는 왕족 출신이 아니었으며, 나일 삼각주 지역, 아마도 과거 힉소스의 수도였던 아바리스 근처의 명문 군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대 지휘관이었던 세티의 아들이었다. 그의 삼촌 카엠와세트는 군 장교였으며, 투탕카멘[4] 아문의 후궁 여주인이었던 타므와드제시와 결혼했는데, 그녀는 쿠시의 총독이자 중요한 국가 요직이었던 후이의 친척이었다.[5] 이는 람세스 가문의 높은 지위를 보여준다.2. 2. 호렘헤브와의 관계
나일 삼각주 지역 출신인 람세스 1세는 왕족이 아니었지만, 이집트 제18왕조의 마지막 파라오 호렘헤브의 총애를 받아 재상으로 임명되었다.[6] 호렘헤브는 람세스 1세를 세트의 대사제로도 임명했는데,[6] 이는 아크나톤 치하의 아텐주의 이후 고대 종교 부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했다.호렘헤브는 귀족 출신으로 이집트 군대에서 투탕카멘과 아이의 왕실 고문을 거쳐 파라오가 되었다. 그는 람세스 1세가 유능한 행정가이고 아들(세티 1세)과 손자(미래의 람세스 2세)가 있어 왕위 계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자신의 후계자로 선택했다.
람세스 1세는 하(下) 이집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충실한 심복이자 친구였으며, 호렘헤브 재위 기간 동안 군 사령관과 재상을 지냈다. 호렘헤브는 아들이 없어 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호렘헤브 시대에는 왕조 부흥을 위한 개혁을 도왔으며, 치세 후반의 대외 전쟁 다수를 지휘했다고도 한다.
3. 치세
람세스 1세는 즉위하면서 프레노멘(왕의 이름)을 사용했는데, '라의 힘으로 세워짐'을 의미하는 '멘페흐티레'로 해석된다. 그는 '라가 그를 낳았다'는 의미를 가진 '라메수' 또는 '람세스'라는 노멘(개인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7] 람세스 1세는 즉위 당시 이미 노인이었기에 아들인 세티 1세를 왕세자이자 후계자로 임명했다. 세티 1세는 이 기간 동안 시리아에서 잃은 영토 일부를 되찾으려는 시도 등 여러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7] 람세스 1세는 국내 문제를 담당했으며, 카르나크 사원의 두 번째 파일론을 완공했다.[7]
람세스 1세의 재위 기간은 짧았는데, 이는 그를 언급하는 동시대 기념물이 부족하다는 점으로 알 수 있다.[7] 그는 재위 기간 동안 주요 건물을 지을 시간이 거의 없었고, 작고 급하게 완성된 무덤에 매장되었다.[7] 요세푸스는 마네토의 《아이깁티아카》를 번역하여 람세스 1세에게 16개월의 재위 기간을 부여했지만, 2년 차 II 페레트 20일(루브르 C57) 석비에 근거하여 최소 17개월 동안 이집트를 통치했다는 기록이 있다.[8] 이 석비는 부헨의 이집트 요새 내 프타 이집트 사원에 새로운 음식과 사제 봉헌을 명령했다.[8] 람세스 1세의 아들 세티 1세는 이 석비가 세워진 지 5개월 후인 III 셰무 24일에 왕위에 올랐다.[2] 2023년 로버트 J. 드마레가 발표한 파피루스 문서에 따르면, 람세스 1세의 전임자 호렘헤브가 III 셰무 22일에 사망했다는 증거가 제시되었다.[9]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람세스 1세는 호렘헤브 사망 직후인 III 셰무 23일경에 왕위에 올라 약 2년 후 같은 날 사망했을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약 2년간 재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10]
람세스 1세가 한 유일하게 알려진 행동은 누비아 부헨 사원에 봉헌을 명령하고 아비도스에 예배당과 사원을 건설한 것이다(아들이 완성).[11] 호렘헤브 시대에는 왕조의 부흥을 목표로 한 호렘헤브를 도와 개혁을 실시했고, 호렘헤브의 측근으로서 치세 후반의 대외 전쟁 다수를 지휘했다고도 한다.
4. 죽음
람세스 1세는 왕들의 계곡에 묻혔다. 그의 무덤은 1817년 조반니 벨초니에 의해 발견되었고 KV16으로 지정되었는데, 규모가 작고 서둘러 완성된 듯한 인상을 준다. 조이스 틸데슬리는 람세스 1세의 무덤이 단일 복도와 미완성된 방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며, 벽에는 서둘러 석고를 바른 후 왕과 그의 신들을 그린 그림이 그려져 있고, 오시리스가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되었다고 말한다. 붉은 화강암 석관 역시 조각하기보다는 그림으로 표현되었으며, 서둘러 준비했기 때문에 많은 오류가 포함된 비문이 새겨져 있었다.[7]
그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세티 1세는 아비도스에 죽은 아버지 람세스 1세를 기리기 위해 정교한 부조가 있는 작은 예배당을 지었다. 1911년, 존 피어폰트 모건은 이 예배당에서 가져온 몇 점의 훌륭한 부조를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기증했다.[12]
4. 1. 미라의 발견과 귀환
현재 람세스 1세의 것으로 여겨지는 미라는 반환되기 전 수년 동안 캐나다의 한 사립 박물관에 전시되었다. 미라의 신원은 결정적으로 확인될 수 없지만, 에모리 대학교 연구원들의 CT 스캔, X-레이, 두개골 측정 및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테스트와 가족 간의 미학적 유사성을 근거로 람세스 1세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더욱이, 미라의 팔은 기원전 600년까지 이집트 왕족에게만 허용되었던 자세인 가슴 위로 높이 교차된 채 발견되었다.[13]이 미라는 도굴꾼인 압드 엘-라술 가문에 의해 데르 엘-바흐리의 왕실 은닉처에서 훔쳐졌고, 터키 부영사 아가 아야트에 의해 룩소르에서 제임스 더글러스 박사에게 판매되었으며, 더글러스 박사는 1860년경 북미로 가져갔다. 더글러스는 친구 시드니 바넷을 위해 이집트 골동품을 구입하곤 했고, 바넷은 이를 나이아가라 폭포 박물관에 전시했다. 당시 이 미라의 신원은 알려지지 않았다.[15] 이 미라는 130년 이상 동안 뉴욕주 나이아가라 폭포와 온타리오주 나이아가라 폭포로 옮겨지면서 다른 진기한 물건들과 함께 박물관에 보관되었다.[15] 이 미라는 "이집트의 왕자"로 전시되었지만, 때때로 방문객들이 그가 정확히 그 인물일지도 모른다는 추측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아무런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15]
박물관 소유주가 재산을 처분하기로 결정했을 때, 캐나다 사업가 윌리엄 재미슨이 박물관의 소장품을 구매했고, 캐나다 이집트학자 게일 깁슨의 도움을 받아 그 가치를 확인했다.[14] 1999년 재미슨은 컬렉션에 있던 다양한 미라를 포함한 이집트 유물을 미국 200만달러에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있는 마이클 C. 카를로스 박물관에 판매했다.[15] 이 미라는 2003년 10월 24일 공식적인 예우를 갖춰 이집트로 반환되었으며, 현재 룩소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6]
5.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Chronicle of the Pharaohs the reign-by-reign record of the rulers and dynasti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12
[2]
서적
Chronologie des pharaonischen Ägypten : die Zeitbestimmung der ägyptischen Geschichte von der Vorzeit bis 332 v. Chr.
Mainz am Rhein
1997
[3]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99
[4]
간행물
The Administrators and Notables in Nubia under Tutankhamun
R. Jasnow and K.M. Cooney (Ed.) with the assistance of K.E. Davis, Joyful in Thebes Egyptological Studies in Honor of Betsy M. Bryan (Material and Visual Culture of Ancient Egypt 1), Atlanta
2015
[5]
논문
The Father of Ramses I: OI 11456
1978
[6]
서적
Everyday Life in Egypt in the Days of Ramesses The Great
https://books.google[...]
1974
[7]
서적
Ramesses: Egypt's greatest pharaoh
Penguin Books
[8]
서적
The monuments of Seti I: epigraphic, historical and art historical analysis
Brill
2000
[9]
논문
Two Papyrus Fragments with Historically Relevant Data
https://rivista.muse[...]
2023-11-25
[10]
간행물
The Monuments of Seti I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Epigraphic, Art and Historical Analysis (PDF) 1998 pp.339-341
https://web.archive.[...]
[11]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1992
[12]
논문
Review of The Temple of Ramesses I at Abydos
1939
[13]
웹사이트
U.S. Museum to Return Ramses I Mummy to Egypt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08-04-13
[14]
웹사이트
Canada's favourite mummy hunter returns
2017-05-17
[15]
뉴스
The Pharaoh of Niagara Falls
2022-23
[16]
뉴스
Egypt's 'Ramses' mummy returned
http://news.bbc.co.u[...]
BBC
2008-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파라메수 (람세스 1세)의 석상 머리 조각, 원래는 서기관으로 묘사된 그의 동상의 일부; [[보스턴 미술관]]에 전시됨](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