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다드-니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다드-니라리 1세는 아리크 덴 일리의 아들로, 기원전 1307년부터 기원전 1275년까지 아시리아를 통치한 왕이다. 그는 남쪽의 카시트, 동쪽의 구티, 룰루비족, 수바르족을 정복했으며, 서쪽의 하니갈바트를 공격하여 샤투아라 1세를 격파하고 속국으로 만들었다. 샤투아라 1세 사후에는 와사샤타를 격파하고 수도 타이테를 점령하여 유프라테스강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3세에게 외교 서한을 보냈으며, 하투실리 3세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철 생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도 했다. 정복한 영토에 아시리아 귀족 출신의 총독을 임명하여 통치했으며, 수도 아슈르의 건축 사업을 진행했다. 아다드-니라리 1세와 바빌로니아 왕 나지 마루타쉬의 갈등을 다룬 서사시가 존재하며, 에르빌의 카스르 셰마목에서 그의 궁전 유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3세기 사망 - 와사샤타
와사샤타는 기원전 1370년경 미탄니 왕국의 왕으로, 아시리아의 독립 시도와 내부 반란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아시리아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히타이트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미탄니의 독립성을 잃고 쇠퇴하게 된 인물이다. - 기원전 13세기 사망 - 샬마네세르 1세
샬마네세르 1세는 기원전 13세기 아시리아 제국의 군주로, 영토 확장, 미탄니 세력 약화, 북 메소포타미아 원정, 킬리키아와 카파도키아 병합, 바빌로니아 공격 등의 군사 활동을 펼쳤으며 아슈르, 니네베, 님루드에 건축 사업을 시행했다. - 기원전 13세기 통치자 - 람세스 1세
람세스 1세는 군인 가문 출신으로 호렘헤브의 후계자가 되어 이집트 제19왕조를 창시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카르나크 신전 완공 감독, 아비도스 예배당 및 신전 건설 지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3세기 통치자 - 세티 1세
세티 1세는 이집트 제19왕조의 파라오로, 혼란해진 왕국 질서를 재확립하고 이집트의 주권을 회복하는 데 힘썼으며, 활발한 군사 활동과 건축 사업을 통해 국력을 과시하고, 아비도스 장제전에 왕명표를 남겨 이집트 역사 연구에 기여했다. - 아시리아 - 아슈르나시르팔 2세
아슈르나시르팔 2세는 기원전 9세기에 아시리아를 통치하며 정복 사업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잔혹한 통치로 악명을 떨쳤으며, 칼후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하고 예술 발전을 이끌었다. - 아시리아 - 샬마네세르 3세
샬마네세르 3세는 신아시리아 제국의 왕으로서 영토 확장과 지배력 안정에 기여했으며, 잦은 원정과 카르카르 전투, 예후로부터의 조공, 중앙집권적 통치, 도시 재건 및 예술 장려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아다드-니라리 | |
|---|---|
| 기본 정보 | |
| 칭호 | 아시리아의 왕 |
| 재위 기간 | 31년간 재위 |
| 재위 기간 (중간 연대기) | 기원전 1305년 - 기원전 1274년 |
| 재위 기간 (단기 연대기) | 기원전 1295년 - 기원전 1263년 |
| 이전 통치자 | 아리크-덴-일리 |
| 다음 통치자 | 샬마네세르 1세 |
| 아버지 | 아리크-덴-일리 |
| 계승 | 중기 아시리아 제국의 왕 |
| 자녀 | 샬마네세르 1세 이바시-일리 |
2. 생애
2. 1. 초기 생애
아다드 니라리 1세는 아리크 덴 일리의 아들로, 아슈르(Assur)에서 발견된 비문에 스스로를 아리크 덴 일리의 아들이라고 칭하고 있으며, 나수히 왕명록에도 동일한 부계 관계가 기록되어 있다.[4] 그의 이름은 "아다드(는) 나의 조력자이다"를 의미한다.[2] 코르사바드(Khorsabad) 왕명록[5]과 SDAS 왕명록[6]에서는 엔릴 니라리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는 오류로 추정된다.2. 2. 통치
아다드-니라리 1세는 즉위 직후 남쪽의 카시트(바빌로니아)를 공격하여 나지 마루타쉬 왕을 격파하고 영토 일부를 획득했다.[9][10][11] 동쪽의 구티, 룰루비족, 북쪽의 수바르족을 정복했다.[8][3]서쪽의 하니갈바트(미탄니)를 대규모 원정하여 샤투아라 1세를 격파하고 속국으로 만들었다.[13] 샤투아라 1세 사후, 와사샤타가 하니갈바트 왕위를 계승하고 히타이트의 지원을 받아 아시리아에 대항하자, 다시 원정을 감행하여 와사샤타를 격파하고 수도 타이테를 점령했다. 이로써 아시리아의 영토는 유프라테스강까지 이르렀다.[18] 와사샤타와 그 가족 등 왕족들을 아슈르로 압송했다.[19]
2. 2. 1. 히타이트와의 관계
아다드-니라리 1세는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3세(무와탈리 2세)에게 "나의 형제"라고 부르는 외교 서한을 보냈다. 당시 대국(大國)의 왕에게만 허용되는 호칭이었기 때문에, 신흥 아시리아 왕으로부터 이와 같은 호칭을 받은 무와탈리는 매우 불쾌해했다.[15][16] 히타이트는 사티와자 치하에서 하니갈바트(미탄니 제국의 남부 잔재)를 보호국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13] 아시리아와 히타이트의 관계는 장기간 긴장 상태가 지속되었다.히타이트 왕 하투실리 3세는 아다드-니라리 1세에게 하니갈바트 국경 마을 투리라 사람들이 카르케미시 사람들을 침범하는 것을 막아달라고 요청했다.
:"투리라가 당신의 것이라면, 파괴하십시오!... 투리라가 당신의 것이 아니라면, 내가 파괴할 수 있도록 저에게 편지를 보내십시오. 도시에 거주하는 당신의 군대의 재산은 주장할 수 없습니다."
하투실리 3세는 아다드-니라리 1세에게 철제 단검 칼날을 선물하며, 철 생산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도 했다.[17]
2. 3. 통치 체제
아다드 니라리 1세는 정복한 영토에 아시리아 귀족 출신의 총독을 임명하여 통치했다.[3] 그는 "만국의 왕(샤르 키쉬샤티)"을 자처하며, 아시리아의 위상을 과시했다. 그의 통치는 31년 동안 지속되었으며, 아시리아 연대기에서 약 12명의 림무 관리가 확인되었다.[3] 이들은 슐마누-카라두, 안다라시나, 아슈르-에레시, 아나-아슈르-칼라 등을 포함한다. 바부-아하-이디나는 고위 관리였으며, "재상"이라고도 불렸다.[24] 그는 아다드-니라리 1세와 그의 두 후임자 밑에서 근무했다.그는 수도 아슈르의 도시 성벽, 신 아슈르 신전의 계단 문, 티그리스 강을 따라 있는 제방, 이슈타르 신전, 안과 아다드 문 창고를 재건하고, 새로운 궁전을 건설하는 등 건축 사업에도 힘썼다.[3] 아시리아 통치의 중심지는 바사샤타의 옛 수도인 타이다가 유력하다.[20]

아다드-니라리 1세의 청동 칼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볼 수 있다.[25]
3. 아다드 니라리 서사시
아다드-니라리 1세와 그의 바빌로니아 동시대 왕인 나지 마루타쉬 사이의 갈등을 다룬 역사 서사시가 4개의 단편으로 남아있다.[26] 이 서사시는 아다드-니라리 1세가 전투에서 나지 마루타쉬와 충돌하여 결국 그를 물리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현존하는 조각들만으로는 자세한 서사를 재구성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 조각들은 아다드-니라리가 그의 아버지의 좌절을 회상하며 "사람들의 씨앗은 영원히 사라졌다"고 언급하고, 신 샤마쉬에게 "오 샤마쉬여, 당신은 진정한 심판관이십니다"라고 탄원하며, "부정한 카시트 왕"과의 종결을 준비하는 등 일련의 사건들을 암시한다.
4. 고고학적 발견

2018년, 카스르 셰마목에서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1세(기원전 1308-1275년)가 킬리주에 궁전을 건설한 것을 기념하는 내용의 비문이 4개의 벽돌 틀에 새겨진 채로 발견되었다.[27][28][29][30]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는 아다드 니라리 1세의 청동 칼이 전시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Study on the Synchronistic King List from Ashur
https://books.google[...]
Brill
[2]
서적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Und Vorderasiatischen Archäologie: A - Bepaste
Walter De Gruyter Inc
[3]
서적
Assyrian Royal Inscriptions, Volume 1
Otto Harrassowitz
[4]
문서
Nassouhi kinglist
[5]
문서
Khorsabad kinglist
[6]
문서
SDAS kinglist
[7]
문서
Axe blade
[8]
서적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the Age of Ramesses II
Wiley-Blackwell
[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II, Part 2, History of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Region, 1380–1000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문서
Tukulti-Ninurta Epic
[11]
문서
Synchronistic Chronicle
[12]
문서
Tablet VAT 15420
[13]
문서
BM 115687 dark grey stone in the British Museum, inscribed on all six sides
[14]
서적
Letters of the Great Kings of the Ancient Near East: The Royal Correspondence of the Late Bronze Age
https://archive.org/[...]
Routledge
[15]
문서
Tablet 7499, text KUB 23:102, Urhi Teššup letter to Adad-nārārī, see Bryce (2003), p. 87 note 21 for summary of provenance
[16]
서적
Letters from the Hittite Kingdom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7]
문서
Tablet KBo I:14 Hattušili letter to Adad-Nirari
[18]
문서
The kudimmu plant, which exuded a kind of salt or lye, was planted on ruins to symbolically pronounce them barren and uninhabitable.(See [[Salting the earth]].)
[19]
문서
Imposing the "hoe, spade and basket."
[20]
문서
Assur 5764 and 9309
[21]
문서
Tablet KAJ 262, Urad-serua #23 corn loan
[22]
문서
Tablet KAJ 77, Urad-serua #53 corn loan
[23]
문서
Tablet KAJ 76, Urad-serua #11 corn loan
[24]
서적
Archives and Libraries in the Ancient Near East 1500 – 300 BC
CDL Press
[25]
웹사이트
https://www.metmuseum.org/art/collection/search/322443
https://www.metmuseu[...]
[26]
문서
Tablets Rm 293, in the Rassum siglum in the British Museum and VAT 10084, VAT 9820 and VAT 10889 in the Vorderasiatisches Museum Berlin
[27]
웹사이트
Archaeological Projects in the Kurdistan Region in Iraq
http://nrs.harvard.e[...]
2023-04-08
[28]
간행물
"Late Bronze and Iron Age Levels from Qasr Shemamok.: A First Evaluation of the Impact of the Assyrian Presence in the Region East of Calah"
Harrassowitz Verlag
[29]
간행물
"Late Bronze and Iron I - II Levels in Qasr Shemamok"
[30]
간행물
"Changing gods at Qasr Shemamok: Local cults and the Assyrian Empire at the beginning of the Iron Age"
New York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