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13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13세기는 중국 상나라의 은허 천도, 이집트 제19왕조의 건설, 히타이트와 이집트 간의 카데시 전투,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체결 등 주요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아시아, 중동, 유럽 등 다양한 지역에서 정치적, 문화적 변화가 있었으며, 아시리아, 이집트, 히타이트 등 강대국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세의 이집트 탈출, 트로이 전쟁 등 전설과 신화가 이 시기에 관련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3세기 - 룩소르 오벨리스크
룩소르 신전에서 유래한 룩소르 오벨리스크는 무함마드 알리 파샤가 샤를 10세에게 선물한 것으로 현재 파리 콩코르드 광장에 있으며, 높이 23m, 무게 222톤에 달하고 꼭대기에는 금박 피라미디온이 얹혀 있는 상징적인 기념물이다. - 기원전 13세기 - 카데시 전투
카데시 전투는 기원전 1274년 이집트의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의 무와탈리 2세 간에 벌어진 전투로, 전략적으로는 무승부로 끝났으며, 이후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으로 분쟁이 종식되었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한국의 청동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세기경부터 기원전 3세기경까지 한반도에서 지속된 시대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존재했으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민무늬 토기 등의 유물과 고인돌 등의 무덤이 발견되었고, 농경 발달과 사회적 잉여 발생으로 초기 신분제 사회가 형성되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 기원전 제2천년기 - 기원전 20세기
기원전 20세기는 청동기 시대 시작, 미노아 문명 발전, 이집트 왕조 교체, 메소포타미아 혼란, 인더스 문명 쇠퇴, 스톤헨지 건설 완료, 말의 가축화 등 문명의 흥망성쇠와 정치적 변동, 중요한 변화가 나타난 시기이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13세기 | |
---|---|
지도 | |
세기 | |
기간 | 기원전 1300년 ~ 기원전 1201년 |
천년기 | 기원전 2천년기 |
사건 | |
기원전 1300년경 | 트로이 전쟁 (추정). 미케네 문명의 전성기 (추정). |
기원전 1274년 | 카데시 전투 |
기원전 1260년경 | 이집트 제19왕조가 가나안의 Deir el-Balah 지역에 군대를 보내다. |
기원전 1250년경 | 모세가 유대인들을 이끌고 이집트에서 탈출 (추정). 트로이아 전쟁의 시작 (추정). |
기원전 1225년경 | 이집트 제19왕조가 메르넵타 파라오 시대에 리비아의 침략을 격퇴하다. |
기원전 1200년경 | 트로이아 전쟁의 종결 (추정). 히타이트 제국의 멸망. 청동기 시대 붕괴 |
기타 | 아시리아는 중기 아시리아 제국의 확장을 시작하다. 고대 이스라엘은 가나안에 정착하다. 올멕 문명이 멕시코에서 번성하다. |
문화 | |
기타 | 기원전 13세기에는 애굽(고대 이집트)의 제19왕조의 지배가 이루어짐. |
2. 주요 사건
- 기원전 1300년경 - 중국 상나라의 반경이 은허로 도읍을 옮겼다.[1]
- 기원전 1293년경 - 이집트 제18왕조가 멸망하고, 이집트 제19왕조가 시작되었다. 람세스 1세가 즉위하였다.
- 기원전 1274년 - 이집트와 히타이트 제국 사이에 카데시 전투가 벌어졌다.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으나, 어느 쪽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 기원전 1269년 -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이집트 왕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 왕 헷투실리 3세 사이에 맺어진 것으로, 역사상 가장 오래된 평화 조약으로 알려져 있다.
- 기원전 1260년경 - 모세가 파라오(람세스 2세로 추정)의 박해에 시달리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하였다. (출애굽기에 근거한 유력한 설 중 하나).
- 기원전 1250년경 - 그리스·에게해 주변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여 티린스 궁전을 포함한 여러 곳의 궁전이 파괴되었다.
- 기원전 1200년경 - 은나라(殷)의 23대 왕 무정 시대(무정 중흥)였다.
2. 1. 아시아
- 기원전 1300년 - 중국 상나라의 반경(盤庚)이 은허로 천도하였다.[1]
- 기원전 1300년경~기원전 1046년경: 중국에서는 상나라가 번영하여 은 부근의 안양에 수도를 정착시켰다.[1] 중국인 정착민들은 남쪽의 양자강(揚子江) 유역, 북서쪽의 산서(山西) 계단지대, 그리고 위수(渭水) 계곡으로 새로운 개간지를 만들기 위해 밀집된 집단으로 몰려들었다. 그 후 상나라는 회하(淮河) 유역에 거주하는 여전히 중국화되지 않은 주민들과 빈번하게 전쟁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 안양에서는 십자가 모양의 구덩이 형태의 무덤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전차와 멍에, 수많은 청동기 병(瓶)과 인신 공양의 흔적, 그리고 최초의 중국 비문이 새겨진 갑골(甲骨)(Jiaguwen)이나 청동기 병이 들어 있었다.[2] 중국의 상나라 군대는 100명으로 구성된 부대의 보병과 궁수, 그리고 5대의 전차 부대가 지원하는 형태로 조직되었다.[3]
- 기원전 1300년경: 아리아인들이 사라스와티 강까지 북서 인도를 지배한다.[4] 베다에는 적이었던 ''다사''(노예)들이 언급되어 있다. 다사는 북부 이란 부족인 다하이(Dahae)로 해석된다. 아리아인들은 라자(왕)가 이끄는 부족 군주제로 조직되었으며, 라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별화되는 두 개의 의회 또는 집회, 즉 사바(사법 재판소)와 사미티(전쟁 의회)와 권력을 공유하였다.[5] 리그베다에는 단 한 명의 라자만이 이름이 언급되는데, 사라스와티 상류에 정착한 부족인 바라타 부족의 수다스이다. 그는 10명의 왕들의 연합군 중 가장 강력한 푸루(Pûru)를 이기는 승리자로 묘사된다. 그 후 쿠루(Kurus)족이 바라타족을 장악한다.[6]
- 기원전 1300년경
- *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1세가 미타니 왕(하니갈바드의 군주) 와사샤타를 무찔러 수도 타이데를 점령하였다.
- * 흑해 남동쪽에 조지아인에 의한 콜키스 왕국이 성립하였다.
- ** 콜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프릭소스의 황금 양털 전설이나, 이아손의 아르고나우타이 전설의 무대였다.
- * 히타이트 왕 무르실리 2세가 아나톨리아 서부의 국가를 정복하였다.
- ** 알자와는 하팔라(미시아)・미라(카리아와 루카)・세하(리디아)의 세 개의 행정구로 분할된다.
- * 은의 반경이 황하 남안의 亳(은)으로 천도하였다(하상주년표 프로젝트에 따름).
- * 장강 유역에서도 은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청동기 문화가 전개된다( - 기원전 1100년경).
- ** 후난성 닝샹현 웨산푸 출토의 사양방존(중국 국가박물관 소장)은 이 시대의 것이다.
- 기원전 1200년경 - 은(殷)의 23대 왕 무정(武丁) 시대(무정 중흥)에 해당한다.
- * 은허(殷墟)에서 발굴된 무정의 왕비 부호(婦好)의 무덤은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무덤으로, 많은 부장품이 발견되었다.
- * 마찬가지로 발굴된 무정의 왕비 무(戊)의 무덤에서는 은대 최대의 청동기인 후모무대방정(后母戊大方鼎)(베이징 중국국가박물관(中国国家博物館) 소장)이 출토되었다.
2. 2. 중동
기원전 13세기의 중동 지역은 여러 중요한 변화와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였다.- 기원전 1307년에서 기원전 1275년 사이, 아다드니라리 1세 통치 시기, 아시리아인들은 유프라테스강 북부 지역에서 아흘라무인과 초기 아람어 민족을 처음으로 언급한다. 아마르나 서신과 우가릿 기록에서 기원전 14세기부터 언급되는 셈족인 아람인들은 북메소포타미아에 정착한 후 아람(현재의 시리아)과 레바논으로 이동하여 기원전 11세기에 왕국을 건설했다.[11] 성경에서는 야곱의 아들들이 유프라테스강 곡류 지대의 하란과 나훌 주변의 아람 나하라임("두 강의 아람")에 기원을 두고 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기원전 13세기경 초기 아람어 목축민들이 이 지역에 거주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12]
- 기원전 1269년,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는 이집트 왕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 왕 헷투실리 3세 사이에 맺어진 것으로, 역사상 가장 오래된 평화 조약으로 알려져 있다. 조약의 일환으로 헷투실리 3세의 딸 사우슈카누가 람세스 2세의 왕비가 되어 이집트로 보내졌다.
- 기원전 1235년경, 아시리아 왕 투쿨티-니누르타 1세는 카시트 왕 카슈틸리아슈 4세를 사로잡고 바빌로니아를 정복했다. 이 전투를 바탕으로 『투쿨티-니누르타 영웅 서사시』가 편찬되었다.
2. 3. 이집트
- 기원전 1293년 - 이집트 제18왕조가 멸망하고, 이집트 제19왕조가 건설되었다.
- 기원전 1293년경 - 이집트 왕 호렘헤브가 사망하고, 재상이 즉위하여 람세스 1세가 되었다. 이집트 제18왕조가 끝나고, 이집트 제19왕조가 시작되었다.
- 기원전 1290년경 - 이집트 왕 람세스 2세가 즉위하고, 테베에서 나일 강 델타 지대의 피람세스로 수도를 옮겼다.
- 기원전 1269년 - 이집트-히타이트 평화 조약 체결. 이집트 왕 람세스 2세와 히타이트 왕 헷투실리 3세에 의한 것으로, 역사상 알려진 가장 오래된 평화 조약이다. 헷투실리 3세의 딸 사우슈카누가 람세스 2세의 왕비로 이집트에 보내졌다.
- 기원전 1260년경 - 모세가 파라오(람세스 2세 추정)의 박해에 시달리는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하였다. (출애굽기에 근거한 유력한 설 중 하나).
- 기원전 1212년경 - 이집트 왕 람세스 2세가 90세 전후로 사망하고, 아들 메르넵타가 즉위하였다.
- 기원전 1208년경 - 이집트의 메르넵타가 페리레 전투(Battle of Perire)에서 리비아인과 해양 민족 연합군을 물리쳤다. 이 전투를 기념하는 메르넵타 승전비의 기록은 해양 민족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해양 민족으로 아카이와샤(Aqaiwasha)인, 투르샤(Tursha)인, 루카(Lukka)인, 쉘덴(Sherden)인, 셰케레슈(Shekelesh)인 다섯 부족의 이름이 언급되었다. 메르넵타 승전비 비문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이스라엘(Israel)에 대한 언급이 보인다.
2. 4. 유럽
- 기원전 1300년경~기원전 1200년경: 그리스의 에게 문명 청동기 시대 IIIB기이다.[1] 사자문과 아트레우스의 보물창고가 미케네에 건설되었고, 에게해는 평화와 번영의 시대가 이어졌다. 레반트로의 미케네 유물 수입이 최고조에 달했다. 아나톨리아 남부 해안에서 발견된 울루부룬 난파선에는 구리와 주석의 괴, 상아, 시리아, 키프로스, 미케네의 토기, 코끼리와 하마의 상아 조각들이 실려 있었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가 개발되고, 13세기 말에는 "펠라스기쿠스 벽"(Pelargikon)으로 알려진 두께 4m~6m의 거대한 석축과 성채에 물을 공급하는 우물이 건설되었다.[2] 피로스에서 선형 B 문자판이 만들어졌다.[3]
- 기원전 1300년경~기원전 1200년경: 독일 북부 톨렌제 계곡에서 약 4,000명의 남성이 톨렌제 계곡 둑길에서 전투를 벌였는데, 이는 알프스 북쪽에서 알려진 가장 큰 선사 시대 전투이다.[4]
- 기원전 1300년경~기원전 500년경: 폴란드, 체코 공화국 일부, 슬로바키아, 독일 동부, 우크라이나 북부에서 루사티안 문화가 번성한다.[5]
- 기원전 1250년경~기원전 850년경: 고인의 재와 제물을 담은 항아리가 있는 광대한 묘지가 특징인 우른필드 문화는 서유럽 후기 청동기를 대표한다.[6]
- 기원전 1250년경~기원전 1000년경: 시칠리아 내륙에서 판탈리카의 묘지 문화가 발전한다.[7]
- 기원전 1225년~기원전 1190년: 그리스 본토의 후기 헬라딕 IIIB2기.[8] 미케네, 티린스, 미데아 등 미케네 궁전의 방어 시스템 둘레가 대대적으로 확장된 것은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시대 말기에는 미케네, 티린스, 미데아, 테베, 오르코메누스, 디미니, 피로스 등 대부분의 유적지에서 광범위한 파괴가 발생했으며, 이 중 요새화되지 않은 궁전들은 재건되지 않았다.[9]
- 기원전 1300년경
- * 흑해 남동쪽에 조지아인에 의한 콜키스 왕국이 성립되었다.
- ** 콜키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프릭소스의 황금 양털 전설이나, 이아손의 아르고나우타이 전설의 무대였다.
- * 중앙유럽은 후기 청동기 시대(우르넨펠트 문화(골항아리 무덤 문화), 기원전 700년경)였다.
- * 후기 미케네 문명(후기 헬라딕기 III).
- ** 미케네 유적의 사자문이 건설되었다. 알카디코 다리(카잘마 다리)가 건설되었다.
- ** 미케네의 「전사의 크라테르」의 저택에서 출토된 전사의 크라테르가 만들어졌다.
- * 시칠리아 동부에 이탈리아계 시켈리족(바다의 민족 세켈슈족)이 정착하였다.
- ** 판탈리카의 암벽묘지 유적의 최고층은 이 시대에 해당한다고 생각된다.
- ** 시켈리족에 앞서 시칠리아 섬 중부에는 시카니족, 북서부에는 엘림족이 정착해 있었다.
- 기원전 1250년경
- * 그리스·에게해 주변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여 티린스 궁전을 포함한 여러 곳의 궁전이 파괴되었다.
- * 그리스의 미케네에 아트레우스의 보물창고가 건설되었다. 이것은 이 시대의 벌집식 무덤(원형 석관묘(토로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 * 트로이 멸망으로 트로이 전쟁이 끝났다(전승에 근거한 헤로도토스의 기록).
- * 전승에 따르면 건국자 테세우스가 아테네 왕에 즉위하였다.
- 기원전 1200년 이전 - 트로이 전쟁에 앞서 테바이 전쟁이 일어났다(전승에 근거한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의 설).
- * 이 테바이(Thebes)와 아르고스(Argos)의 전쟁이 『테바이 칠현(Seven against Thebes)』·『에피고노이(Epigonoi)』의 기반이 되었다.
- * 전승에 따르면 아르고스 왕 디오메데스(Diomedes) 등 에피고노이들은 테바이 전쟁에서 승리한 후 트로이 전쟁에 참가하였다.
2. 5. 기타 지역
- 기원전 1250년경
- * 중앙아메리카 올멕 문명의 산 로렌소 유적이 번영하기 시작했다(치찰라스 상 - 기원전 1150년경).[1]
- * 엘람 왕 운타슈-나피리샤에 의해 초가잠빌 유적의 지구라트가 건설되었다.[1]
- * 그리스·에게해 주변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여, 티린스 궁전을 포함한 여러 곳의 궁전이 파괴되었다.[1]
- * 그리스 미케네에 아트레우스의 보물창고가 건설되었다. 이는 이 시대 벌집식 무덤(원형 석관묘(토로스))의 대표적인 예이다.[1]
- * 트로이 멸망으로 트로이 전쟁이 끝났다(전승에 근거한 헤로도토스의 기록).[1]
- * 전승에 따르면 건국자 테세우스가 아테네 왕에 즉위했다.[1]
- * 이집트 「사자의 서」의 대표작 Papyrus of Ani|아니 파피루스영어가 만들어졌다.[1]
- 기원전 1208년경
- * 이집트 메르넵타(Merneptah)가 페리레 전투(Battle of Perire)에서 리비아인과 해양 민족(Sea Peoples) 연합군을 물리쳤다.[2]
- ** 이 전투를 기념하는 메르넵타 승전비(Merneptah Stele)의 기록은 해양 민족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2]
- ** 해양 민족으로 아카이와샤(Aqaiwasha)인, 투르샤(Tursha)인, 루카(Lukka)인, 쉘덴(Sherden)인, 셰케레슈(Shekelesh)인 다섯 부족의 이름이 언급되었다.[2]
- ** 메르넵타 승전비 비문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이스라엘(Israel)에 대한 언급이 있다.[2]
- * 아시리아의 투쿨티-니누르타 1세(Tukulti-Ninurta I)가 암살되었다.[2]
- ** 건설 중이던 새로운 수도 카르-투쿨티-니누르타(Kar-Tukulti-Ninurta)는 버려지고 아시리아는 침체기에 들어섰다.[2]
- 기원전 1200년 이전 - 트로이 전쟁에 앞서 테바이 전쟁이 일어났다(전승에 근거한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의 설).[3]
- * 테바이(Thebes)와 아르고스(Argos)의 전쟁은 『테바이 칠현(Seven against Thebes)』·『에피고노이(Epigonoi)』의 기반이 되었다.[3]
- * 전승에 따르면 아르고스 왕 디오메데스 등 에피고노이들은 테바이 전쟁에서 승리한 후 트로이 전쟁에 참가했다.[3]
- 기원전 1200년경 - 은(殷)의 23대 왕 무정(武丁) 시대(무정 중흥)였다.[4]
- * 은허(殷墟)에서 발굴된 무정의 왕비 부호(婦好)의 무덤은 유일하게 도굴되지 않은 무덤으로, 많은 부장품이 발견되었다.[4]
- * 무정의 왕비 무(戊)의 무덤에서는 은대 최대의 청동기인 후모무대방정(后母戊大方鼎)(베이징(北京) 중국국가박물관(中国国家博物館) 소장)이 출토되었다.[4]
3. 주요 인물
- 아다드니라리 1세 - 아시리아 왕 (재위: 기원전 1307년 ~ 기원전 1275년)
- 살마네세르 1세 - 아시리아 왕 (재위: 기원전 1274년 ~ 기원전 1245년) · 미탄니를 멸망시킴
- 툭쿨티니누르타 1세 - 아시리아 왕 (재위: 기원전 1244년 ~ 기원전 1208년)
- 람세스 2세 - 이집트 제19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290년 ~ 기원전 1224년)
- 메르넵타 - 이집트 제19왕조 파라오 (재위: 기원전 1212년 ~ 기원전 1202년)
- 카엠와세트 - 이집트 제19왕조 람세스 2세의 왕자 (기원전 1281년경 ~ 기원전 1225년경) · “고고학자의 조상”이라고 불림
- 무와탈리 2세 - 히타이트 왕 (재위: 기원전 1290년경 ~ 기원전 1272년경)
- 하투실리 3세 - 히타이트 왕 (재위: 기원전 1266년경 ~ 기원전 1236년경)
- 모세 - 이스라엘의 예언자 · 출애굽을 이 시기로 보는 견해가 있다.
- 테세우스 - 아테네 왕 (재위: 기원전 1234년 ~ 기원전 1204년) · 아티카 지방을 통일함
- 무정 - 은나라 제23대 왕 (재위: 기원전 1250년 ~ 기원전 1192년) · 부설을 등용하여 은나라의 중흥을 이룸
- 부호 - 은나라 무정의 왕비 · 조경과 조갑의 어머니 · 여성 정치가이자 군사에도 참여함
- 무 - 은나라 무정의 왕비 · 청동기 “후모무대방정(司母戊大方鼎)”이 부장됨
- 부설 - 은나라 무정의 재상 · 토목공사를 하다가 무정에게 발탁되어 재상이 되어 은나라의 중흥에 기여함
4. 전설 및 신화
- 기원전 1250년경
- * 중앙아메리카의 올멕 문명 산 로렌소 유적이 번영하기 시작했다.
- * 엘람 왕 운타슈-나피리샤에 의해 초가잠빌 유적의 지구라트가 건설되었다.
- * 그리스·에게해 주변에서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여, 티린스 궁전을 포함한 여러 곳의 궁전이 파괴되었다.
- * 그리스의 미케네에 아트레우스의 보물창고가 건설되었으며, 이것은 이 시대의 벌집식 무덤(원형 석관묘(토로스))의 대표적인 예이다.
- * 트로이 멸망으로 트로이 전쟁이 끝났다(전승에 근거한 헤로도토스의 기록).
- * 전승에 따르면 건국자 테세우스가 아테네 왕에 즉위하였다.
- * 이집트의 「사자의 서」의 대표작 Papyrus of Ani|아니 파피루스영어가 만들어졌다.
참조
[1]
서적
Dynastic China
The Other Press
[2]
서적
L'Asie, source de sciences et de techniques
EDP Sciences
[3]
서적
The Great Armies of Antiquity
Greenwood Publishing Group
[4]
서적
Histoire de l'Inde
Fayard
[5]
서적
L'Inde antique et la civilisation indienne
Éditions Albin Michel
[6]
서적
Histoire de l'Ind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7]
서적
Waipi'O Valley
Xlibris Corporation
[8]
서적
Reliefs rupestres de l'Irān ancien : Bruxelles, Musées royaux d'art et d'histoire, 26 octobre 1983-29 janvier 1984
Musées royaux d'art et d'histoire
[9]
서적
Le Proche-Orient et l'Égypte antiques
Hachette Éducation Technique
[10]
서적
Histoire de l'art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1]
서적
The Walking Larder : Patterns of Domestication, Pastoralism, and Predation
Routledge
[12]
웹사이트
Les Araméens, un peuple, une langue, une écriture, au-delà des empires
https://www.clio.fr/[...]
[13]
Youtube
1177 BC: The Year Civilization Collapsed
https://www.youtube.[...]
2016
[14]
서적
Les Grecs et la Méditerranée orientale : des siècles "obscurs" à la fin de l'époque archaïqu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5]
서적
Athènes, espaces urbains et histoire
Hachette
[16]
서적
L'Europe au temps d'Ulysse.
RMN - Grand Palais
[17]
웹사이트
Slaughter at the bridge: Uncovering a colossal Bronze Age battle
https://www.science.[...]
2016-03-24
[18]
서적
Ancient Scandinavia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Bronze Age cultur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De Gruyter
[20]
서적
Sicily Before History: An Archaeological Survey from the Palaeolithic to the Iron Age
Cornell University Press
[21]
서적
Les marqueurs archéologiques du pouvoir
Publications de la Sorbonne
[22]
서적
Une histoire des civilisations
La Découver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