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경주역은 1919년 금장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나원역을 거쳐 2021년 동해선 태화강~부조 구간 이설과 함께 현재의 서경주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동해선 무궁화호와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포항, 부전 및 동대구 방면으로 운행하며, 과거 금장삼각선이 존재했으나 2021년 동해선 이설로 철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철도공사의 폐선 - 태화강역
태화강역은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1921년 울산역으로 시작하여 2010년 태화강역으로 변경되었으며, 동해선, 동해선 광역전철, ITX-마음, KTX-이음 열차가 운행하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폐선 - 장생포역
장생포역은 1952년 개업하여 2024년 폐역된 장생포선의 종착역으로, 전용선 화물 취급역이었으나 2018년 영업이 종료되고 역사와 선로가 철거되었다. - 경주시의 건축물 - 안강역
1918년 영업을 개시한 안강역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동해선 복선 전철화로 역사 이전 후 2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여객 운송을 담당하며 무궁화호, 누리로, ITX-마음 열차가 운행된다. - 경주시의 건축물 - 경주시민운동장
경주시민운동장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스포츠 시설로, 주 경기장과 다양한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1987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1919년 개업한 철도역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 1919년 개업한 철도역 - 야치호역
야치호역은 나가노현 사쿠호정에 위치한 JR 동일본 고우미 선의 역으로, 1919년 사쿠호즈미역으로 개업하여 1959년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단선 승강장 1면 1선으로 고우미 선 열차가 운행된다.
서경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명 | 서경주역 |
모국어 표기 | 서경주역 |
로마자 표기 | Seogyeongju |
소속 노선 | 동해선 |
이전 역 | 모량 |
다음 역 | 안강 |
역간 거리 | 이전 역: 4.4 다음 역: 10.8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다경길 10 (하구리 992-1)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122.9 |
기점 역 | 부산진역 |
개업일 | 1919년 6월 25일 |
한국어 정보 | |
한글 | 서경주역 |
한자 | 西慶州驛 |
가타카나 | ソギョンジュヨク |
영어 | Seogyeongju Station |
이미지 | |
![]() | |
![]() | |
철도역 정보 | |
역명 | 서경주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다경길 10 (하구리 992-1) |
개업일 | 1919년 6월 25일 |
종별 | 배치간이역 |
영업 거리 | 부산진 기점 122.9 km |
노선 | 동해선 |
이전 역 | 모량 |
이전 역 거리 | 4.4 |
다음 역 | 안강 |
다음 역 거리 | 10.8 |
2. 역사
서경주역은 1919년 6월 25일 '''금장역'''(金丈驛)이라는 이름의 정차장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11][1] 이후 1945년 7월 10일에는 표준궤로 개량 공사를 진행하며 역 이름을 '''나원역'''(羅原驛)으로 변경했다.[12][2] 역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역 등급이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화물 및 여객 취급 여부에도 변화가 있었다.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태화강~부조 구간이 새로 이설되면서 나원역은 현재의 위치인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하구리로 이전하고 역명도 '''서경주역'''으로 변경하며 여객 취급을 다시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중앙선에 있던 서경주역은 폐지되었다.[10] 2024년 5월 1일부터는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2. 1. 금장역, 나원역 시절
날짜 | 내용 |
---|---|
1919년 6월 25일 | 정차장 등급의 금장역(金丈驛)으로 영업 개시[11][1] |
1935년 12월 16일 | 역원배치간이역으로 변경 |
1945년 7월 10일 | 표준궤로 개량하며 나원역(羅原驛)으로 역명 변경[12][2] |
1969년 8월 1일 |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13][3] |
1979년 10월 17일 | 현재의 역사 착공 |
1980년 4월 1일 | 보통역으로 승격[14][4] |
1981년 6월 15일 | 화물 취급 개시[15][5] |
1992년 11월 1일 | 금장삼각선 신설 및 금장신호장 개통 |
2008년 1월 1일 | 여객 취급 중지 |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0년 11월 1일 | 여객 취급 재개 |
2010년 11월 16일 | 여객 취급 재중지 |
2013년 11월 7일 | 부산진 기점 114.8km로 변경[16][6] |
2015년 5월 29일 | 화물 취급 중지[17] |
2016년 4월 29일 | 부산진 기점 114.1km로 변경[18][7] |
2016년 12월 30일 |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에 편입됨 |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중지[19][8] |
2021년 8월 26일 | 부산진 기점 113.2km로 변경[20][9] |
2021년 12월 28일 | 동해선 태화강~부조 구간 이설 및 중앙선 신선 전환으로 서경주역으로 역명 변경 및 여객 취급 재개. 라원리에서 하구리로 이전.[10] |
2. 2. 서경주역으로 변경 이후
2021년 12월 28일, 동해선 태화강~부조 구간 이설 및 동해선·중앙선 신선 전환에 따라 기존 나원역이 '''서경주역'''으로 역명을 변경하고 여객 취급을 재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사는 기존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라원리에서 현곡면 하구리로 이전하였으며, 동시에 기존 중앙선에 있던 서경주역은 폐지되었다.[10]2024년 5월 1일부터는 ITX-마음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3. 역 구조
2면 4면 구조의 쌍섬식 승강장이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wikitext
4. 금장삼각선
금장삼각선은 과거 포항역, 제철역에서 서울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가 경주역에서 정차하여 방향을 바꾸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이 노선은 동해남부선 포항 방면에서 중앙선으로 바로 합류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그러나 2021년 12월 28일 중앙선 도담 - 경주 구간이 이설됨에 따라 금장삼각선은 철거되었다.
5. 경주삼각선
6. 인접한 역
6. 1. ITX-마음 (동해선)
(동대구 방면)(포항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