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 141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경 141도는 지리적 북극점에서 시작하여 남극점으로 향하는 경선으로, 북극해, 보퍼트 해, 미국과 캐나다 국경, 알래스카주, 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남극해, 그리고 남극을 통과한다. 태평양에서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여러 섬과 환초를 지나며, 남극에서는 영유권 주장이 없는 지역을 통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캐나다 국경 - 펀디만
펀디 만은 캐나다 뉴브런즈윅주와 노바스코샤주 사이에 위치하며 세계에서 조수 간만의 차가 가장 큰 곳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 지질공원 네트워크 및 람사르 협약 등록지로 지정되어 지질학적 가치와 생태적 중요성을 인정받는다. - 미국-캐나다 국경 - 앰배서더 다리
미국 디트로이트와 캐나다 윈저를 잇는 앰배서더 다리는 1929년 완공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으며, 현재 양국 간 무역의 중요한 통로이지만 잦은 사고와 노후화, 새 교량 건설 논란이 있다.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경도 180도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며,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고, 열대 저기압 명칭 구분 기준이 되며, 지리 데이터 처리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서경 141도 | |
---|---|
설명 | |
종류 | 본초 자오선에서 서쪽으로 141도 떨어진 경선. |
통과 지역 | 북극해, 북아메리카, 태평양, 남극해, 남극. |
주요 통과 지점 | |
북극해 | 90 |
보퍼트해 | 73 |
미국/캐나다 국경 | 69 |
미국 | 60 |
태평양 | 59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 18 |
태평양 | 18 |
남극해 | 60 |
남극 | 75 |
통과 지역 상세 | |
북극에서 남극까지 통과하는 지역 | 북극해 캐나다 유콘 준주와 알래스카주 사이의 국경 태평양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남극해 남극 |
2. 통과 지역
나푸카 환초(Napuka,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동쪽을 통과
파가타우 환초(Fangatau,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서쪽을 통과
아마누 환초(Amanu,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서쪽을 통과
마누항기 환초(Manuhangi,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동쪽을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