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도 180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도 180도는 북극점에서 남극점까지 이어지는 지점으로, 지리 좌표의 한 종류이다. 이 경선은 러시아, 피지, 남극 대륙 등을 통과하며, 북태평양에서는 열대 저기압의 명칭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또한, 많은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경도 180도를 기준으로 지리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평양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은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태즈메이니아, 뉴기니 섬으로 구성되고 사훌 대륙붕으로 연결되었던 육지이며, 낮고 평평하며 오래된 대륙으로 독특한 생물상과 문화를 지니고 원주민 거주 후 유럽의 탐험과 식민화를 거쳐 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 연방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와 경제 활동이 공존한다.
  • 태평양 - 무 대륙
    무 대륙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제기된 가설로, 태평양에 존재했다가 침몰했다는 전설 속의 대륙이며, 고대 문명의 기원을 설명하는 데 활용되었으나 과학적으로 부정되었다.
  • 경선 - 파리 자오선
    파리 자오선은 파리 천문대를 기준으로 하는 자오선으로, 프랑스에서 지도의 기준으로 사용되었고 지구 크기 측정과 미터법 정의에 기여했으나, 그리니치 자오선이 국제 표준으로 채택된 후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지도나 예술 작품에 활용된다.
  • 경선 - 엘이에로섬
    엘이에로섬은 카나리아 제도 최서단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독특한 지형과 다양한 생태계를 지니며, 과거 본초 자오선으로 사용되었고 현재는 재생 가능 에너지 자급자족 섬이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경도 180도
지리 정보
위치본초 자오선에서 동쪽과 서쪽으로 180도 떨어진 자오선
통과 지역북극해
러시아
축치해
베링해
암치카 해협
세미소포치노이섬 (미국)
태평양
투발루
피지
남극해
남극
뉴질랜드
상세 정보
날짜 변경선과의 관계대부분의 구간에서 날짜 변경선과 거의 일치
경도 체계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경 180도 또는 서경 180도로 표기
반대 경선본초 자오선
활용시간대 설정 및 세계 시각 계산에 활용

2. 지리

180도 경선은 북극점에서 남극점으로 이어지는 가상의 선으로, 날짜 변경선의 기준이 된다. 이 경선은 육지와 바다를 모두 지나는데, 주로 태평양의 섬들을 통과한다.

경도 180도 선은 북극해에서 시작하여 러시아의 블랑겔 섬과 추코트카 자치구를 지나 추크치해로 이어진다. 그 후, 베링 해와 암치트카 해협을 거쳐 태평양으로 들어선다. 태평양에서는 투발루의 누쿠페타우 동쪽, 피지바누아레부섬, 라비섬, 타베우니섬을 지난다. 다시 태평양을 지나 남극해를 거쳐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극 대륙 로스 해속령에 이른다.

이 경선은 또한 (특별히 가까이 지나가는 것은 아니지만) 키리바시길버트 제도피닉스 제도, 뉴질랜드의 북섬과 커매덕 제도, 바운티 제도와 채텀 제도 사이를 통과한다.

2. 1. 통과 지역

경도 180도 선은 북극점에서 남극점으로 이어지면서 여러 지역을 통과한다. 북극해, 추크치해, 베링 해, 암치트카 해협(미국 알래스카주 세미소포크노이 섬 부근)을 지난다. 육지로는 러시아의 블랑겔 섬과 추코트카 자치구를 통과한다.

태평양에서는 투발루 누쿠페타우 동쪽, 피지바누아레부섬, 라비섬, 타베우니섬을 지난다. 이후 다시 태평양을 지나 남극해를 거쳐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극 대륙 로스 해속령에 이른다.

이 외에도 키리바시길버트 제도피닉스 제도, 뉴질랜드의 북섬과 커매덕 제도, 바운티 제도와 채텀 제도 사이를 통과한다.

2. 1. 1. 러시아

180도 경선은 러시아 영토인 블랑겔 섬과 추코트카 자치구를 통과한다. 이 지역은 북극해와 베링 해 사이에 위치하며, 혹독한 기후와 독특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다.

추코트카 자치구는 러시아 극동 지역에 위치하며, 알래스카와 가깝다. 이 지역은 전통적으로 추크치인을 비롯한 원주민들이 순록 유목, 수렵, 어업 등을 하며 살아왔다. 현재는 광물 자원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는 이 지역의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블랑겔 섬은 북극해에 위치한 섬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될 만큼 뛰어난 자연경관과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북극곰, 바다코끼리, 철새 등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러시아와의 관계에서 극동 지역 개발 협력과 함께, 이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2. 1. 2. 피지

180도 경선은 피지바누아레부섬, 라비섬, 타베우니섬을 통과한다.

2. 1. 3. 기타 지역

180도 경선은 북극점에서 남극점으로 이어지는 동안 다음 지점들을 통과한다.

지리 좌표국가·영토·영해비고
 북극해 
 추크치해 
 베링 해 
 암치트카 해협미국 알래스카주 세미소포크노이 섬 바로 동쪽을 지난다.
 태평양 
 남극해 
 남극대륙로스 해속령 -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80도 경선은 다음 섬들 사이를 통과한다. (특별히 가까이 지나가는 것은 아니다.)

2. 2. 인접 지역

180도 경선은 다음 지역들을 통과한다.

지리 좌표국가·영토·영해비고
style="background:#b0e0e6;" |북극해style="background:#b0e0e6;" |
러시아블랑겔 섬
style="background:#b0e0e6;" |추크치해style="background:#b0e0e6;" |
러시아추코트카 자치구
style="background:#b0e0e6;" |베링 해style="background:#b0e0e6;" |
style="background:#b0e0e6;" |암치트카 해협 미국 알래스카주 세미소포크노이 섬 바로 동쪽을 지난다.
style="background:#b0e0e6;" |태평양 투발루 누쿠페타우 바로 동쪽을 지난다.
치코비아 섬 바로 서쪽을 지난다.
피지바누아레부섬, 라비섬 및 타베우니섬
style="background:#b0e0e6;" |태평양모알라 섬 바로 동쪽을 지난다.
토토야 섬 바로 서쪽을 지난다.
마투쿠 섬 바로 동쪽을 지난다.
style="background:#b0e0e6;" |남극해style="background:#b0e0e6;" |
남극대륙로스 속령 -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특별히 가까이 지나가는 것은 아니지만) 180도선은 다음 섬들 사이도 통과한다.

3. 소프트웨어 표현 문제

많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또는 데이터 형식은 지구를 직사각형으로 투영하는데, 이 직사각형은 대개 경도 180도에서 정확하게 나뉜다. 이로 인해 경도 180도를 넘는 간단한 작업(예: 영역 또는 선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 종종 어려워진다.[2]

3. 1. GeoJSON

GeoJSON 사양은 기하 형태를 분할하여 어떤 부분도 경도 180도를 넘지 않도록 강력하게 권장한다.[2]

3. 2. 오픈스트리트맵

오픈스트리트맵에서는 러시아의 경계와 같은 영역이 경도 180도에서 분할된다.[2]

3. 3. QGIS

QGIS는 선과 다각형이 경도 180도를 넘는 경우 래핑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2]

4. 열대저기압

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저기압은 경도 180도를 기준으로 서쪽(동반구)에 있으면 태풍, 동쪽(서반구)에 있으면 허리케인으로 불린다.[3]

4. 1. 태풍과 허리케인의 경계

일정한 세력을 가진 열대저기압 중 북태평양에서 180도 경선보다 서쪽(동반구)에 있으면 태풍, 동쪽(서반구)에 있으면 허리케인이라고 부른다.[3] 세력 변화가 특별히 없더라도, 이 경선을 넘어 서쪽으로 오면 태풍이 되고(이동경로상 태풍변화), 반대로 동쪽으로 나가면 태풍이 되지 않는다.

참조

[1] 문서 The word ''antimeridian'' can also mean the meridian opposite to any given meridian. E.g. 20° west is the antimeridian of 160° east.
[2] ietf RFC 7946 – The GeoJSON Format
[3] 웹사이트 台風について https://www.jma.go.j[...] 2015-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