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퍼트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퍼트해는 북극해의 일부로, 알래스카 북쪽 해안에서 캐나다 북서부까지 이어진다. 국제수로기구에 의해 정의된 경계를 가지며, 매켄지 강을 포함한 여러 강이 유입된다. 해안은 영구 동토로 덮여 있으며, 여름철에 해빙이 일어나 열린 수역이 형성된다. 보퍼트해는 보퍼트 해류를 형성하며, 북극곰과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다. 이 지역은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이 풍부하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캐나다와 미국 간의 해양 경계 분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수역 - 베링해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큰 주변해로 북극해,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캄차카 반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 면적과 다양한 해저 지형, 풍부한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빙하기에는 육지 다리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중요한 어장이지만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알래스카주의 수역 - 알래스카만
    알래스카만은 알래스카 해안에 위치하며 국제수로기구 등에서 다른 경계를 정의하고, 다양한 섬들이 분포하며, 폭풍 발생지로 기상에 영향을 미치고, 풍부한 어종과 국제적인 이해관계가 얽힌 지역이다.
  • 보퍼트해 - 노스웨스트 준주
    노스웨스트 준주는 1870년 캐나다 자치령에 편입된 후 유콘 준주, 사스캐처원주, 앨버타주, 누나부트 준주의 분리를 거쳐 현재의 영역을 갖게 되었으며, 다이아몬드, 금, 천연가스 등 풍부한 천연자원과 다양한 원주민 문화, 극적인 자연환경을 특징으로 하는 캐나다 북부의 준주이다.
  • 보퍼트해 - 유콘 준주
    유콘 준주는 캐나다 북서부에 위치하며, 유콘 강에서 이름을 딴 광활한 자연 경관과 풍부한 자원을 가진 지역으로, 클론다이크 골드러시 역사와 다양한 원주민 공동체, 광업 및 관광 산업, 그리고 4만 명이 조금 넘는 인구가 특징이다.
  • 미국의 해역 - 베링해
    베링해는 북태평양의 큰 주변해로 북극해, 알래스카, 알류샨 열도, 캄차카 반도 등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넓은 면적과 다양한 해저 지형, 풍부한 해양 생물을 보유하고, 빙하기에는 육지 다리 역할을 했으며 현재는 중요한 어장이지만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미국의 해역 - 조지아 해협
    조지아 해협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미국 워싱턴주 사이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후안 데 푸카 해협과 연결되고, 프레이저 강에서 유입되는 담수가 많으며, 밴쿠버, 나나이모, 벨링햄 등의 주요 도시 연안에 위치하고, BC 페리 등의 교통 수단과 스쿠버 다이빙 및 고래 관찰 명소로 알려져 2009년에는 살리시 해로 통합되었다.
보퍼트해
위치 정보
위치북극해의 연해
접경 국가캐나다
미국
일반 정보
이름 (프랑스어)Mer de Beaufort
종류바다
면적476,000 km²
평균 깊이124 m
최대 깊이4,683 m
수량22,000 km³
결빙거의 일년 내내
지리
유입해당 사항 없음
유출해당 사항 없음
유역캐나다
미국

2. 지리

국제수로기구는 보퍼트해의 경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14]


  • ''동쪽.'' 랜드엔드에서 프린스패트릭섬의 남서 해안을 거쳐 그리피스곶까지, 그 다음 뱅크스섬 북서쪽 끝에 있는 케이프프린스앨프레드까지 선을 긋고, 서쪽 해안을 거쳐 남서쪽 지점인 케이프켈렛까지, 그리고 본토의 케이프배서스트까지 선을 긋는다.



보퍼트해 지역의 지형


이중 사선 부분이 EEZ 분쟁 해역


매켄지 강이 보퍼트해로 흘러드는 모습


보퍼트해에는 알래스카의 콩가컷 강과 유콘의 피르스 강 등 여러 강이 흘러든다. 이 해역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은 캐나다에서 가장 긴 매켄지 강으로, 투크토약툭 서쪽의 캐나다 해역으로 흘러든다. 대륙붕 지역은 좁은 편이며, 특히 알래스카 해역의 배로 곶 부근과 그 동쪽에서 더욱 그러하고, 수많은 해저 협곡을 포함하고 있다. 매켄지 강 삼각주 부근에서 넓어지지만, 그 폭은 145km를 넘지 않는다. 해안 근처의 수심은 60m보다 얕지만,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까지 급격히 깊어져 지질학적으로 대양과 유사한 거대한 플랫폼으로 변한다.

해역과 매켄지 강 삼각주에는 많은 작은 섬들이 있다. 몇몇 더 큰 섬들은 매켄지 강 서쪽에 위치해 있는데, 해안에서 4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이 18km2인 허셜 섬과 해안에서 0.3km 떨어져 있으며 면적이 13km2인 바터 섬 등이 대표적이다. 해안은 낮으며, 최대 고도는 250m에서 750m 사이이다.[3] 토양은 일년 내내 약 1m 이하의 깊이에서 얼어붙어 영구 동토를 형성하며, 여름에는 표면에서 불과 수십 센티미터만 녹는다. 따라서 건물은 영구 동토에 박힌 나무 말뚝 위에 지상에서 띄워야 한다.[32]

보퍼트해의 북서쪽 경계는 알래스카의 배로우 곶과 프린스 패트릭 섬의 끝을 잇는 선으로 정의된다. 면적은 약 476,000km2이다. 수심은 다른 북극해의 주변해와 달리 깊으며, 최대 4,683m에 달한다.

북서 항로는 대서양-태평양 간 최단 항로이지만, 1년의 대부분을 해빙으로 덮여 상업 항로로 사용되지 않는다. 보퍼트해에는 매켄지 강과 Anderson River|앤더슨 강영어이 흘러들며, 고래와 바닷새의 중요한 서식지이다. 한편, 알래스카 노스슬로프 연안에는 풍부한 석유 자원이 해저에 매장되어 있어 1960년대에 석유 탐사가 시작되었고, 1977년에는 프루도 만 유전에서 석유 채굴이 시작되었다. 미개발 지역은 알래스카 국가 석유 보존 구역이 되었다. 또한, 매켄지 강이 흘러드는 캐나다 해역에서 아모리갈 유전이 발견되었지만, 생산 개시에는 이르지 못했다.

미국과 캐나다 사이에 경제수역의 경계 문제가 있어 채굴의 장애가 되고 있다. 미국은 해안으로부터의 등거리 방식을 주장하고, 캐나다 측은 미국(알래스카주)·캐나다 육상 국경의 서경 141도선을 연장한 선을 주장하고 있다.[53][54][55] 분쟁 해역의 면적은 21,000제곱킬로미터 이상이 된다.[56]

2. 1. 수문 및 기후

보퍼트 해는 1년 내내 얼어 있지만, 8월과 9월에는 해안 근처의 얼음이 깨져 50km에서 100km 폭의 열린 수역이 생긴다.[2] 2000년대 이후, 북극 기후 변화로 인해 늦여름의 무빙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2012년 9월, 북극해 해빙의 기록적인 최소 범위 동안, 해빙 경계는 해안에서 평소보다 훨씬 더 북쪽으로 후퇴했다.[28][29][30][31]

매켄지 강 수로는 5월 말~6월 초에 더 일찍 해빙된다. 이 해빙은 평균 방류량을 약 150000m3/s에서 250000m3/s로 증가시킨다.[32]

2009년에 보퍼트 해의 얼음 덮개에 숨겨진 변화가 발견되었다. 관측 위성에 의해 감지된 것처럼 얼음 면적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관련된 수온과 염도도 마찬가지였지만, 얼음 구조는 최근에 변했다. 썩은 얼음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얼음은 더 얇고 구조적으로 훨씬 약하다.[33]

해수는 안정된 온도를 가지며 다음과 같이 네 개의 뚜렷한 층으로 구분된다. 상부 100m은 여름에 -1.4°C, 겨울에 -1.8°C의 온도를 가진 표층수이다. 다음 층은 베링 해협을 통과하는 태평양과 베링 해로부터의 유입으로 형성되며 북극점까지 확장된다. 가장 따뜻하고 깊은 대서양 층은 0°C에서 1°C 사이의 온도를 가지며, 바닥의 물은 -0.4°C에서 -0.8°C로 약간 더 차갑다.[3] 평균 염도는 남쪽에서 북쪽으로 28‰에서 32‰ 사이에서 변한다.[2] 툭토야툭에서 측정한 전형적인 기온은 1월에 -27°C, 7월에 11°C이다.[34]

해류는 시계 방향으로 향하는 보퍼트 해류를 형성하며, 이는 해안 근처에 남서 및 서류를 발생시킨다.[35] 매켄지 강은 부분적으로 이 순환에 영향을 미쳐 입구 근처에 작은 동쪽으로 흐르는 물줄기를 유도한다.

3. 생태

보퍼트해의 해안선은 툰드라로 덮여 있으며, 북아메리카 북극곰 육상 서식지의 북쪽 경계를 나타낸다. 매켄지 강은 고래와 바닷새의 중요한 서식지이며 상업적 통행의 영향을 비교적 덜 받았다.[36] 매켄지 강 삼각주는 사향쥐가 서식하는 수많은 호수와 연못을 포함한다.[32]

수염고래


벨루가


보퍼트해 해안의 북극곰
보퍼트해 해안의 북극곰


이 해역에는 약 80종의 동물성 플랑크톤, 70종 이상의 식물성 플랑크톤, 그리고 거의 700종의 다모류, 태형동물, 갑각류연체동물이 서식하지만, 추운 기후로 인해 전체 개체수는 비교적 적다.[3][37] 주요 어종으로는 북극 대구(''Boreogadus saida''), 북극 대구(''Arctogadus glacialis''), 사프란 대구(''Eleginus gracilis''), 북극 연어(''Salvelinus alpinus''), 연어(''Oncorhynchus keta''), 북극 시스코(''Coregonus autumnalis''), 작은 시스코(''Coregonus sardinella''), 레이크 화이트피쉬(''Coregonus clupeaformis''), 브로드 화이트피쉬(''Coregonus nasus''), 태평양 청어(''Clupea pallasii''), 네뿔 곰치(''Myoxocephalus quadricornis''), 인코뉴 (''Stenodus leucichthys'') 및 가자미류가 있다.[38]

해역의 동쪽 부분은 약 39,000마리로 추정되는 벨루가의 주요 서식지이다. 벨루가는 여름을 해안 지역과 매켄지 강 삼각주에서 보내는데, 이곳은 얼음이 없고 겨울에는 깊은 바다의 폴리니아까지 장거리를 이동한다. 유전자 분석 결과 보퍼트 해의 벨루가는 종종 겨울 서식지를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캐나다 및 알래스카 해역의 벨루가와 뚜렷이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39]

보퍼트 해의 먹이 사슬은 비교적 단순하다. 식물성 플랑크톤과 해빙의 하부 경계면과 관련된 단세포 조류인 조류에서 시작하여, 동물성 플랑크톤, 그리고 해빙 및 연안의 단각류에게 에너지를 제공한다.[40] 후자는 바닷새와 물고기, 주로 북극 대구와 북극 연어의 먹이가 된다. 북극 대구는 북극 연어, 벨루가, 일각고래, 바닷새 및 물개, 주로 수염고래(''Erignatus barbatus'')와 점박이물범(''Pusa hispida'')의 주요 먹이다. 수염고래와 바다코끼리는 또한 저서 무척추동물을 먹고 산다. 먹이 피라미드의 꼭대기에는 북극곰이 있는데, 주로 물개를 먹지만 기회가 있을 때 사체 및 얼음 속에 갇힌 고래와 같은 모든 대형 해양 포유류도 먹는다.[41]

4. 인간 활동

보퍼트해 연안의 주요 정착지는 캐나다의 툭토약툭(2009년 인구 930명[44])과 미국의 프루도만이다. 프루도만에는 소수의 사람들만 영구적으로 거주하지만, 노스 슬로프 해안 저지에 있는 프루도만 유전에서 석유 생산에 종사하는 수천 명의 계약직 근로자가 있다. 인공 섬인 엔디코트 섬과 노스스타 섬은 각각 1987년과 2001년에 해안 근처에 건설되었다. 원유는 알래스카 송유관을 통해 발데즈 남부 항구로 운송된다.[3]

노스스타 섬. 프루도만 북서쪽에 있는 인공 섬으로, 석유 및 가스 시추 현장이다.


1888년부터 1914년까지 보퍼트해에서 북극고래 사냥이 이루어졌다. 이 관행은 처음에는 고래 개체 수 감소로 인해, 그 다음에는 정부 규제로 인해 중단되었지만 1990년대에 재개되었다.[43]

어업과 해상 사냥은 지역 주민들이 실천하며, 특히 2009년에 채택된 보퍼트해의 상업적 어업에 대한 미국의 모라토리엄 이후에는 상업적 가치가 없다.[3] 1920~1960년 동안 매켄지강 삼각주에서 사향쥐 덫 사냥은 캐나다 퍼스트 네이션스이누이트의 주요 수입원이었지만, 그 이후로 감소했다.[32]

초기 시대부터 어업을 실천했는데, 4,000년 된 정착지에서 북극 찰의 뼈가 발견되었다. 원래는 유목 생활을 했지만, 나중에는 영구적인 정착지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인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실업률은 비교적 높다.[41]

보퍼트해 동부 베링기아에는 지지자가 있는 유일한 조기 진입 후보지가 있는데, 캐나다 유콘 준주의 포큐파인강 유역에 있는 블루피시 동굴이다. 이 지역의 오래된 고대(예: 3만 년 전) 주장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올드 크로우 분지에서 가장 특징적인 인간 도구인 순록 경골 육도기는 약 2만 8천 년 전으로 연대가 추정되었다. 잔류 콜라겐 소량을 가속기 질량 분석법(AMS)으로 재측정한 결과, 이 뼈는 1,800년 전의 연대를 보였다.[42]

2009년 8월 20일, 미국 상무부 장관 게리 로크는 알래스카 북쪽의 '''보퍼트해 어업 모라토리엄'''을 발표했다.[23][24] 당시 그는 "기후 변화로 인해 북극 해빙이 줄어들면서 북극해에서의 상업적 어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는 이 취약한 생태계의 전반적인 건강을 손상시키지 않는 지속 가능한 어업을 계획할 수 있는 입장에 있다. 이 계획은 과거에 어업이 전혀 없었던 지역에서 상업적 어업 개발에 대한 예방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라고 말했다.

현재 해당 해역에는 광범위한 상업 어업이 존재하지 않는다.[26]

이 모라토리엄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당 해역이 상업 어업에 접근 가능해질 것을 예상하여 부과되었다. 캐나다는 미국이 모라토리엄을 발표한 지역에 분쟁 수역의 큰 쐐기 모양 지역이 포함되었기 때문에 모라토리엄에 대해 항의했다.[24] ''Canada.com''의 랜디 보스웰은 분쟁 지역이 보퍼트 해의 21436km2 면적을 차지한다고 썼다. 그는 캐나다가 미국이 모라토리엄 계획을 처음 발표했을 때인 4월에 미국에 "외교 공문"을 제출했다고 썼다. 캐나다 신민당의 대표 잭 레이턴은 보퍼트 해의 분쟁 수역에 대한 미국의 모라토리엄을 "우리 역사상 캐나다 영토에 대한 가장 큰 침해"라고 불렀다.[27]

5. 석유 및 가스 개발

보퍼트해 해저에는 대규모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이 존재한다. 이는 인근 매켄지강과 노스 슬로프에서 확인된 매장량의 연장선상에 있다.[22] 1950년대부터 해저 탄화수소 탐사가 이루어졌으며, 해안 선반 아래에 약 250km3의 석유와 300000km3의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1972년에 해상 시추가 시작되어 1980년대까지 약 70개의 유정이 설치되었고,[46] 2000년까지 200개의 유정이 설치되었다.[45] 1986년에는 약 50400m3의 석유가 생산되었다.[46]

1971년 매켄지강 삼각주에서 대규모 가스전인 '''타글루 가스전'''이 발견되었고,[47] 그 뒤를 이어 파슨 호수 유전과 니글린탁 유전이 발견되었다. 매켄지강 삼각주에서 더 멀리 떨어진 해상에는 아마울리가크 유전이 있다. 이 유전은 보퍼트해에서 발견된 가장 큰 석유 매장량으로, 1984년에 발견되었으며 37.3km3의 석유와 38500km3의 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전 개발은 원격지라는 위치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프루도 베이의 경우 알래스카 송유관 건설로 문제가 완화되었지만, 매켄지강 매장지에서는 정기적인 상업 생산을 제한하고 있다.[45] '''아마울리가크 프로젝트'''는 유전 발견 직후 시작되었으나, 1985년 9월 유조선 ''걸프 보퍼트''가 극지방 매장지에서 일본으로 첫 석유를 선적한 이후[48] 프로젝트는 중단되었다.

2017년 7월, 미국 해양에너지관리국은 이탈리아 다국적 석유 및 가스 회사인 에니사가 보퍼트해의 인공 섬 중 하나인 스파이 섬에서 4개의 석유 탐사 유정을 시추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승인했다.[49]

석유 및 가스 개발 활동은 준설, 시추 진흙 방출 등으로 인해 환경 오염을 야기하며, 여기에는 중정석, 점토, 수산화 나트륨과 중금속(아연, 구리, 납, 크롬, 코발트, 니켈, 카드뮴, 수은) 등이 포함된다. 또한, 미국과 캐나다 사이의 경제수역 경계 문제도 채굴에 장애가 되고 있다.

5. 1. 캐나다-미국 국경 분쟁



보퍼트 해에는 캐나다 유콘 준주미국 알래스카 주 사이의 쐐기 모양 지역을 둘러싼 미해결 국제 경계 분쟁이 있다. 캐나다는 해양 경계가 알래스카-유콘 육지 경계를 따라 서경 141도선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15][16] 이는 국가의 해양 경계가 육지가 해안에 닿는 '자연적 연장'을 반영해야 한다는 자연 연장 원칙을 따른다. 반면, 미국은 경계선이 해안에서 등거리에 있는 선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16][17] 등거리 원칙은 국가의 해양 경계가 인접 국가의 해안에서 등거리에 있는 중선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 차이로 인해 약 21000km2 면적의 쐐기 모양 지역에 대해 양국이 모두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21]

캐나다는 대영 제국러시아 제국 간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1825년)에 따라 대영 제국의 승계 국가로서, 조약의 내용에 따라 경계선이 서경 141도선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16]

blockquote|text=경계선은 해안과 평행하게 위치한 산의 정상선을 따라 서경 141도선이 교차하는 지점까지 이어지고, 마지막으로 해당 교차 지점부터 동결된 대양까지 141도선 자오선 연장선을 따라간다.|sign=제3조, ''북아메리카 북서 해안의 각 소유권과 태평양 항해에 관한 대영 제국과 러시아 간의 협약'', 1825년 2월 16일, 75 CTS 95[16]영어

미국은 이러한 확장을 거부하고 등거리에 기반한 경계선을 주장하지만, 1867년 알래스카 매입을 통해 유사한 조약 문구를 수용함으로써 이러한 입장이 약화되었다.[16] 양국은 1958년 대륙붕에 관한 협약에 따라 경계가 "공정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만, 무엇이 "공정한"지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18] 미국은 등거리가 공정한 원칙에 따라 경계를 설정하는 적절한 원칙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캐나다는 등거리 원칙이 왜곡을 초래하여 유콘 해안은 오목하고 알래스카 해안은 볼록하기 때문에 등거리 원칙은 미국의 소유를 상당히 확장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18]

이 분쟁은 쐐기 모양 지역 내에 천연 자원이 존재할 가능성 때문에 중요성이 커졌다.[16][19][20] 캐나다 국립 에너지 위원회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20년간의 국내 소비량을 충당할 수 있는 상당량의 가스와 석유가 매장되어 있을 수 있다.[21]

이 분쟁은 미국과 캐나다 간의 메인 만 분쟁과 유사하며, 당시 미국은 "특별한 상황"을, 캐나다는 등거리 원칙을 주장했다.[18] (메인 만 분쟁에서는 두 주장 모두 거부되었고, 지리적 요소를 고려한 기하학적 원칙에 따라 국경이 결정되었다.[18]) 양국은 이 문제에 대한 신속한 해결이나 국제 사법 재판소 중재를 추진하지 않았지만,[16] 그동안 해양 환경 보존을 위한 여러 조치에서 협력해 왔다.[16][18]

2004년 말, 미국은 유전 탐사 및 개발을 위해 수중 부지 8개를 임대했으며, 이는 캐나다의 외교적 항의를 불러일으켰다.[22] 2009년 8월, 미국 상무부 장관 게리 로크는 분쟁 지역을 포함한 보퍼트 해 상업 어업 모라토리엄을 발표했다.[23][24] 2010년부터 양국 간 협상이 진행 중이지만,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25]

6. 대중문화

스탠 로저스는 그의 인기 있는 캐나다 민요 노스웨스트 패시지에서 보퍼트 해를 언급한다.

참조

[1] 서적 Arctic Ocean Sediments: Processes, Proxies, and Paleoenvironment
[2] 백과사전 Beaufort Sea http://bse.sci-lib.c[...]
[3] 웹사이트 Beaufort Sea https://www.britanni[...]
[4] 서적 The New York Times Almanac 2002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1-11-30
[5] 간행물 Is there a ''new normal'' climate in the Beaufort Sea? https://polarresearc[...] 2013-10-17
[6] 웹사이트 Disappearing Arctic sea ice https://svs.gsfc.nas[...] 2020-09-08
[7] 웹사이트 2019 Arctic Report Card: Old, thick ice barely survives in today's Arctic {{!}} NOAA Climate.gov https://www.climate.[...] 2020-09-08
[8] 웹사이트 Arctic Fishery Management Plan http://alaskafisheri[...]
[9] 뉴스 Beaufort Sea Commercial Fishing Banned https://www.cbc.ca/n[...] CBC News 2011-04-15
[10] 웹사이트 No new fisheries in the Arctic following federal ban http://www.ctvnews.c[...]
[11] 뉴스 Canada Designates Its Second and Largest Arctic Marine Protected Area http://www.huffingto[...]
[12] 웹사이트 Tarium Niryutait Marine Protected Area (TN MPA) https://www.dfo-mpo.[...] Government of Canada 2019-09-18
[13] 웹사이트 Anguniaqvia niqiqyuam Marine Protected Area (MPA) https://www.dfo-mpo.[...] Government of Canada 2019-09-18
[14] 웹사이트 Limits of Oceans and Seas, 3rd edition https://iho.int/upl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2020-12-28
[15] 웹사이트 The Law of the Sea Convention (BP-322E) http://dsp-psd.commu[...]
[16] 서적 The Polar Region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웹사이트 Summary of claims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Defense
[18] 서적 Ocean Boundary Making: Regional Issues and Developments Taylor & Francis
[19] 웹사이트 Northern interests and Canadian foreign policy http://www.cdfai.org[...] Associate Director Centre for Military and Strategic Studies, University of Calgary
[20] 웹사이트 Beaufort Sea Areawide 2006, Tract Map No.8 https://web.archive.[...] State of Alask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Division of oil and gas
[21] 뉴스 US-Canada Arctic border dispute key to maritime rich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0-08-02
[22] 웹사이트 Sea Changes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the North
[23] 뉴스 Secretary of Commerce approves fisheries plan for ArcticSecretary of Commerce approves fisheries plan for Arctic http://www.worldfish[...] World of fishing 2009-08-20
[24] 뉴스 Canada protests U.S. Arctic fishing ban http://www.canada.co[...] Canada.com 2009-09-04
[25] 웹사이트 Disputes – international: CIA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6] 뉴스 U.S. strategic interests in the age of an accessible Arctic ... what we need to know and do now http://www.arctic.go[...] United States Senate 2009-08-20
[27] 웹사이트 Canada, U.S. flip-flop positions in Beaufort Sea boundary dispute http://www.canada.co[...] 2010-03-08
[28] 웹사이트 Poles apart: A record-breaking summer and winter http://nsidc.org/ar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2012-10-02
[29] 웹사이트 Rotting whale meat lures record 80 polar bears to Kaktovik http://www.alaskadis[...] Alaska Dispatch 2012-09-23
[30] 웹사이트 Pacific Walrus Response to Arctic Sea Ice Losses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01-09
[31] 웹사이트 Arctic Sea Ice Hits Smallest Extent in Satellite Era http://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2-09-19
[32] 웹사이트 Mackenzie River https://www.britanni[...]
[33] 웹사이트 Ice Is 'Rotten' in the Beaufort Sea https://www.scienced[...] ScienceDaily 2010-01-23
[34] 웹사이트 Canadian Climate Normals 1971–2000 http://www.climate.w[...]
[35] 문서
[36] 웹사이트 'Polar Bear: Ursus maritimus' http://globaltwitche[...] Globaltwitcher.com 2008
[37] 문서 Parsons, pp. 214–215
[38] 문서 Parsons, pp. 218, 221
[39] 간행물 COSEWIC Assessment and Update Status Report on the Beluga Whale http://dsp-psd.pwgsc[...] Dsp-psd.pwgsc.gc.ca 2012-07-31
[40] 논문 Photoadaptation of high Arctic ice algae
[41] 문서 Parsons, pp. 215–217
[42] 웹사이트 The Paleoamericans: Issues and Evidence Relating to the Peopling of the New World http://www.jqjacobs.[...]
[43] 문서 Parsons, p. 222
[44] 웹사이트 Tuktoyaktuk – Statistical Profile https://web.archive.[...] stats.gov.nt.ca
[45] 서적 Petroleum provinc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AAPG 2001
[46] 문서 Parsons, p. 233
[47] 서적 Taglu Gas Field, Beaufort Basin, Northwest Territories, in North American Oil and Gas Fields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1976
[48] 서적 The Challenge of arctic shipping: science,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human values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 MQUP 1990
[49] 뉴스 US approves oil drilling in Alaska waters, prompting fears for marine lif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7-13
[50] 문서 'イギリス英語発音:ˈbəʊfət siː '''ボ'''ウファットゥ・スィー'
[51] 문서 'アメリカ英語発音:ˈboʊfərt siː '''ボ'''ウファートゥ・スィー'
[52]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03
[53] 웹사이트 The Law of the Sea Convention (BP-322E) http://dsp-psd.commu[...] Dsp-psd.communication.gc.ca
[54] 서적 The Polar Region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간행물 Summary of claims http://www.dtic.mil/[...] Department of Defense
[56] 뉴스 US-Canada Arctic border dispute key to maritime riches http://www.bbc.co.uk[...] BBC News 2010-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