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상철은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홍성군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 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클라크 대학교 교수와 세계은행에서 근무하며 국제 경제 경험을 쌓았고, 1972년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건설부 차관을 거쳐 1982년 동력자원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전두환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중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으로 순직했다. 주요 논문으로 '경제 성장에 관한 한국 모형'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A Study of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등이 있다. 1975년 매일경제신문 이코노미스트상을 수상했고, 사후 근정훈장 파랑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동력자원부 장관 - 진념
진념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경제기획원 등에서 주요 보직과 다섯 차례의 장관직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고 경제부총리, 장관 등을 지냈으며 경기도지사 선거에 낙선 후 학계와 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건설부 차관 - 김원기 (1924년)
김원기는 1924년 충남 당진 출생으로 고려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건설부 차관 - 이규효
이규효는 행정고시와 사법고시에 합격하여 내무부 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행정관료로서, 용산구청장, 농림부 농정국장 등을 거쳐 건설부 장관을 역임하며 건설 분야에서 활약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등 일부 경력은 비판적 평가가 필요하다. - 대한민국의 암살된 정치인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대한민국의 암살된 정치인 - 김형욱
김형욱은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여 박정희 정권 시절 중앙정보부장을 지내며 권력 핵심으로 활동했으나, 미국 망명 후 정권 비판 활동을 하다 프랑스 파리에서 실종되었고, 국가정보원 과거사 진실규명위원회는 그의 죽음을 중앙정보부의 살해로 결론지었다.
서상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상철 |
한자 표기 | 徐相喆 |
로마자 표기 | Seo Sangcheol |
출생일 | 1935년 9월 19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충청남도 홍성군 |
사망일 | 1983년 10월 9일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대구 |
성별 | 남성 |
훈장 | 청조근정훈장 |
경력 | |
직책 | 건설부 차관 |
대수 | 10 |
임기 시작 | 1982년 5월 24일 |
임기 종료 | 1982년 6월 24일 |
대통령 | 전두환 |
이전 | 이규호 |
이후 | 이관영 |
직책2 | 동력자원부 장관 |
대수2 | 6 |
임기 시작2 | 1982년 6월 24일 |
임기 종료2 | 1983년 10월 9일 |
대통령2 | 전두환 |
이전2 | 최동규 |
이후2 | 이선기 |
2. 생애
서상철은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했다. 1955년 미국으로 유학, 클라크 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1958년) 및 석사 학위(1959년)를 받았다. 1964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
세계은행에서 근무하다 1972년 귀국,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되었다. 1973년부터 경제외교위원회 위원, 조세제도심의위원회 위원, 세계은행 한국대표 이사, 건설부 차관 등을 역임하며 정치에 참여했다.[1]
1982년 동력자원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1983년 미얀마(당시 버마)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발생한 북한의 폭탄 테러로 48세의 나이로 순직했다.[1]
1975년 매일경제신문사 이코노미스트상을 받았고, 1983년 청조근정훈장이 추서되었다. 1984년 모교인 클라크 대학교에서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서상철은 1935년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서창순은 양조장 사업을 운영했고, 어머니는 곽복순이었다. 1954년 서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하였다. 1955년 미국으로 유학 가서 1958년에 클라크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59년 이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64년에 하버드 대학교에서 사이먼 쿠즈네츠의 지도 하에 경제 개발 연구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2. 2. 학계 및 관료 경력
클라크 대학교 교수와 세계은행에서 근무하며 국제 경제 경험을 쌓았다. 1972년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되었다.[1] 1973년부터 경제외교위원회 위원, 조세제도심의위원회 위원, 세계은행 한국대표 이사를 역임하며 경제 정책 개발에 참여했다.[1] 건설부 차관을 거쳐 1982년 동력자원부 장관에 임명되었다.[1]2. 3. 아웅 산 묘역 테러 사건과 순직
1983년 전두환 대통령의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순방에 동행하여 미얀마(당시 버마)를 방문했다. 그러나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북한 테러단이 설치해 놓은 폭탄이 터지면서, 48세의 나이로 순직했다.[1] 이 사건으로 대한민국의 주요 인사들이 희생되었다.3. 학술 업적 및 저서
서상철은 경제 성장에 관한 연구와 지역 개발, 한국 경제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1] 논문으로는 경제 성장에 관한 한국 모형 (1975), 남북한의 공업화 유형 비교 (1976) 등이 있으며,[1] 저서로는 A Study of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영어 (1978), Growth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Korean Economy, 1910-1940영어 (1976) 등이 있다.[1]
3. 1. 논문
3. 2. 저서
4.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