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매일경제신문은 1966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경제 신문이다. 1967년 소비자 보호 운동의 일환으로 봉황대상을 제정하고, 1970년대에는 이코노미스트상, 한국광고대상 등을 제정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1980년대에는 매경 오픈 골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고, 1990년대에는 매경 전자신문 서비스를 시작하며 정보통신 분야로 진출했다. 1995년에는 매일경제TV(MBN)를 개국하며 방송 분야에도 진출했으며, 2013년에는 국내 언론 최초로 유료 구독 서비스인 매경e신문을 출시했다. 현재는 경제지 중 가장 많은 독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지식포럼,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등을 개최하며 글로벌 활동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매경미디어그룹 - 장대환
장대환은 매일경제신문 사장, 한국신문협회 회장 등을 역임하고 세계지식포럼을 창설하여 한국에 포럼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국무총리 서리로 임명되었으나 국회 인준을 받지 못했다. - 경제신문 - 한국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은 1963년 창간되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창달을 사시로 하며, 한국경제TV, 한경닷컴 등 다양한 계열사를 통해 미디어 사업을 펼치고 주 6일제 신문을 발행한다. - 경제신문 - 아시아경제신문
- 1966년 창간 - 주간 플레이보이
슈에이샤에서 1966년에 창간된 일본의 남성 주간지 《주간 플레이보이》는 "주프레"라는 약칭으로 불리며, 그라비아 화보, 사회 이슈, 스포츠, 연예 기사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미스 주프레" 오디션을 통해 신인 그라비아 아이돌을 발굴하며, 유튜브 채널 구독자 100만 명을 돌파하기도 했으나, 한국 관련 기사에 극우적인 시각을 반영하여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966년 창간 - Calvin Theological Journal
Calvin Theological Journal은 칼빈 신학교에서 발행하는 신학 저널로서, 개혁주의 신학 관점에서 다양한 신학 분야의 학술 논문을 게재하며, 사회적 이슈에 대해 진보적인 시각을 보인다.
매일경제신문 | |
---|---|
매일경제신문 | |
![]() | |
기본 정보 | |
유형 | 일간 신문 |
형식 | 종이 및 디지털 |
소유주 | 매경미디어그룹 |
창간일 | 1966년 3월 24일 |
언어 | 한국어, 영어 |
정치 성향 | 온건 |
웹사이트 | 매일경제신문 웹사이트 |
한국어 이름 | |
한글 | 매일경제신문 |
한자 | 每日經濟新聞 |
로마자 표기 | Maeil Gyeongje Sinmu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Maeil Kyŏngje Sinmun |
회사 정보 | |
회사명 | (주)매일경제신문사 |
영문 회사명 | Maeil Business Newspaper Co., Ltd. |
구분 | 주식회사 |
주요 인물 | 장대환 (대표이사, 회장) 장승준 (대표이사, 부회장, 발행인) 손현덕 (대표이사, 부사장)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 (필동1가) |
주주 | 정진기언론문화재단 46.50% 이서례 26.90% 장대환 4.20% 그 외 주주 22.4% |
자회사 | 매일방송 (MBN) |
기타 | |
발행 주기 | 일간 |
발행 형태 | 일반 일간 신문 |
판형 | 타블로이드 배판 |
가격 | 매월 25,000원 |
발행지 | 서울특별시 중구 퇴계로 190 (필동1가) |
관련 링크 | 세계지식포럼 |
2. 역사
매일경제신문은 1966년 창간 이후 한국 경제와 함께 성장하며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왔다.
1960년대에는 언론 최초로 소비자 보호 운동을 전개하고, 산학협동 운동을 추진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언론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970년대에는 이코노미스트상, 한국광고대상을 제정하여 전문 분야의 발전을 지원하고, 『주간 매경』(현재의 매경이코노미)을 창간하여 독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1980년대에는 과학기술상, 매경 경제도서문화상, 정진기 언론문화상을 제정하여 과학, 경제, 언론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매경 지수를 개발하고 매경 전자신문(MEET)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 정보통신기술(IT)을 활용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언론의 혁신을 이끌었다.
1990년대에는 매일경제TV(MBN)를 개국하고, 종합 취업 정보 시스템 “매경 SCOUT”를 가동하는 등 사업 영역을 확장했다. 또한, 전면 가로쓰기를 단행하고 제호를 변경하는 등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혁신을 지속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세계지식포럼과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를 개최하여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 힘쓰고 있다. 또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며 디지털 시대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연도 | 내용 |
---|---|
1966년 3월 24일 | 창간 (1일 4면)[1] |
1967년 3월 24일 | 봉황대상 제정 (언론 최초 소비자 보호 운동)[1] |
1967년 11월 4일 | 산학협동 운동 전개 |
1971년 3월 24일 | 이코노미스트상 제정[1] |
1974년 5월 3일 | 한국광고대상 제정[1] |
1978년 8월 15일 | 『회사연감』 발행[1] |
1979년 7월 5일 | 『주간 매경』(현재의 매경이코노미) 창간[1] |
1983년 1월 5일 | 과학기술상 제정 |
1984년 2월 15일 | 매경 경제도서문화상 제정 |
1984년 7월 24일 | 정진기 언론문화상 제정 |
1988년 11월 1일 | 매경 지수 개발 (100종목, 3년마다 개편) |
1988년 11월 2일 | 매경 전자신문(MEET) 서비스 시작 |
1993년 9월 13일 | 매일경제TV 설립 |
1995년 3월 1일 | 매일경제TV(MBN) 본방송 시작 |
1996년 9월 16일 | 전면 가로쓰기 단행, 제호 변경 |
2000년 10월 | 세계지식포럼 창설[5] |
2002년 |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창설[6] |
2. 1. 창간 및 초기 (1960년대 ~ 1970년대)
매일경제신문한국어은 1966년 3월 24일, 하루 4면 발행으로 창간되었다.[1] 1967년 3월 24일에는 언론사 최초로 소비자 보호 운동인 봉황대상을 제정하였다.[1] 1971년 3월 24일에는 이코노미스트상을,[1] 1974년 5월 3일에는 한국광고대상을 제정하였다.[1] 1978년 8월 15일에는 『회사연감』을 발행하였고,[1] 1979년 7월 5일에는 『주간 매경』(현재의 매경이코노미)을 창간하였다.[1]2. 2. 디지털 전환 및 글로벌화 (2000년대 이후)
2000년 10월부터 세계지식포럼을 개최하기 시작했다.[5] 세계지식포럼에는 조지 W. 부시(미국 제43대 대통령), 힐러리 클린턴(미국 전 국무장관), 테레사 메이(영국 제76대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프랑스 제23대 대통령), 게르하르트 슈뢰더(독일 제7대 총리), 짐 옹 김(세계은행 총재), 빌 게이츠(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래리 엘리슨(오라클 회장), 존 헤네시(알파벳 회장), 조지 소로스(소로스 펀드 매니지먼트 회장), 마윈(알리바바 회장), 리옌홍(바이두 회장) 등 저명한 사업가들과 래리 서머스, 폴 크루그먼, 마이클 포터, 그레고리 맹키우 등 학계 인사들이 참석했다.[5]2002년부터는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6] 2023년 10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처음으로 제2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6]
매일경제신문은 월가월부(월가월부)(구독자 24만 3천 명), 자이언트TV(자이언트TV)(구독자 20만 7천 명), 매부리TV(매부리TV)(구독자 23만 6천 명), 월드 지식 포럼(구독자 9만 4,800명) 등 여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3월 기준, 이러한 플랫폼에서 약 8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3. 평가
매일경제신문은 경제지 중 발행부수, 열독률, 디지털 구독 등에서 많은 독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으며, 시장경제를 중시하는 가치를 가지고 있다.
2005년부터 20년 연속으로 국내 최고경영자(CEO)들이 뽑은 '올해의 명품 경제신문'에 선정되었으며,[16][17] 한국대학신문 조사에서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경제일간지 1위를 차지했다.[18]
2010년부터 재테크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매년 봄, 서울머니쇼[19]를 주최해오고 있으며, 2023년부터 연 2회로 확대되었다. 재테크 관련 유튜브 채널로는 '''월가월부(미국주식)'''[20]''', 자이앤트TV(국내주식)'''[21]''', 매부리TV(부동산)'''[22] 등을 운영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비전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정책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일련의 기획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민보고대회'''[23][24]와 '''세계지식포럼'''[25]을 개최하고 있다.
마켓링크 조사에서 2023년 한국인이 가장 오랜 시간 읽은 모바일 뉴스 매체 1위로 선정되었으며,[26]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3”에서는 한국 언론 중 디지털 뉴스 분야 2위, 종이신문 3위로 선정되었다.[27] 한국언론진흥재단 조사에서는 2021년 열독률 경제지 1위, 신문 중 4위를 차지했다.[28] 한국 ABC협회 2022년(2021년분) 일간신문 인증부수 기준 경제지 중 1위를 차지했다.
3. 1. 신문으로서의 위상
경제지 중에서 가장 많은 독자의 선택(발행부수, 열독률, 디지털 구독 등)을 받고 있다.[7] 2005년부터 2023년까지 19년 연속 한국 CEO영어들이 선정한 '올해 최고의 경제신문'으로 선정되었다.[7]고려대학교 신문의 조사에 따르면, 2020년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경제일간지로 선정되었으며, 2001년 이후 꾸준히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해당 설문조사는 2020년까지 진행되었다.[8]
MarketLink 조사에 따르면, 매일경제신문은 2022년 한국인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읽은 모바일 뉴스 매체 1위였다.[9] 2023년 1월부터 11월까지 한국인이 가장 많이 본 신문으로 매일경제신문이 선정되었으며, 월평균 총 이용시간(TTS)은 3,304,517시간이었다.[10]
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보고서 2023"에서 매일경제신문은 한국 언론사 중 디지털 뉴스 부문 2위, 인쇄 신문 부문 3위를 차지했다. 응답자들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접속한 경험을 기반으로 일간 신문 중 3위를 기록했으며, 일주일 동안 온라인 뉴스 접속 빈도는 조선일보에 이어 2위였다.[11]
한국ABC협회에 따르면, 매일경제신문은 2022년(2021년 기준) 45개 일간 신문의 인증 발행 부수를 기준으로 경제 신문 중 1위를 기록했으며, 총 발행 부수는 약 700,000부, 유료 발행 부수는 약 550,000부였다.[12]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매일경제신문은 2021년 가장 많이 읽힌 경제신문이자 전체 신문 중 4위를 차지했다. 농민신문,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등 5개 언론사와 함께 최고 독자층에 포함되었다. 전달률은 다음과 같다: 신문 A (3.7355%), 신문 B (2.4519%), 신문 C (1.9510%), 매일경제신문 (0.9760%), 신문 D (0.7248%), 신문 E (0.6262%).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이 조사 결과는 정부 광고 배정 기준 중 하나로 활용된다.[13]
3. 1. 1. CEO가 선호하는 신문
CEO영어들이 선호하는 경제신문으로, 매일경제신문은 2005년부터 20년 연속으로 '올해의 명품 경제신문'에 선정되었다.[16][17] 500대 기업 CEO영어를 대상으로 한 경제신문 선호도 조사에서 2021년 51.52%, 2022년 56.88%, 2023년 66.06%로 꾸준히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7]연도 | 선호도 |
---|---|
2021년 | 51.52% |
2022년 | 56.88% |
2023년 | 66.06% |
3. 1. 2.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신문
한국대학신문의 조사에서 2020년 기준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경제일간지로 뽑혔다. 해당 조사에서 매일경제는 2001년 이후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최신 조사는 2020년이다.[18] 고려대학교 신문의 조사에서도 2020년 대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경제일간지로 선정되었으며, 2001년 이후 꾸준히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설문조사는 2020년까지 진행되었다.[8]3. 1. 3. 재테크에 강한 신문
매일경제신문은 2010년부터 매년 봄, 재테크 전략을 제시하는 서울머니쇼를 개최하고 있다.[19] 2023년 서울머니쇼는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렸으며, 세미나실 입구까지 300m에 달하는 대기줄이 늘어설 정도로 재테크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서울머니쇼는 2023년부터 연 2회로 확대 개최되고 있다.매일경제신문은 지면 기사 외에도 재테크에 특화된 유료 구독 서비스인 엠플러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양한 재테크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주요 채널로는 월가월부(미국주식)[20], 자이앤트TV(국내주식)[21], 매부리TV(부동산)[22] 등이 있다.
3. 1. 4.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미디어
1990년대 후반부터 비전코리아라는 이름으로 정책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여러 기획을 진행하고 있다. '''국민보고대회'''[23][24]는 국가 차원에서 고려할 만한 대형 이슈에 대한 정책 제언을 한다. 국민보고대회는 1997년 중국과 일본 사이 한국의 위기의식을 넛크래커 속 호두에 비유하여 분석한 '''''한국보고서'''''를 시작으로 매년 1~2회 열린다. 2024년에는 ‘대한민국 인구 대역전’이라는 주제로 3월 22일 보고서 발표가 있었다. 비전코리아 프로젝트로 '''세계지식포럼'''[25]도 개최하고 있다. 보통 국민보고대회는 매일경제신문 창간일(3월 24일) 전후로 개최되며 세계지식포럼은 9월경에 개최된다.역대 정부에서 반영된 주요 정책들은 다음과 같다.
정부 | 국민보고대회 | 주요 제안 및 채택 내용 |
---|---|---|
김대중 정부 | 제1·2·3차 | 창조적 지식기반 국가 건설을 6대 국정과제로 채택 |
김대중 정부 | 제4·5차 | 교육개혁, 여성인력 활용방안 대부분 정부 정책으로 채택 및 고려 |
노무현 정부 | 제2·6·7·13차 | 비전2030 보고서에 제안 내용 반영 |
이명박 정부 | 제15차 | 법인세 인하, 법질서 바로 세우기 운동 등 새 정부 주요 정책과제 채택 |
제16차 (2009년) | 국내 언론 중 처음으로 세종시를 사실상 행정수도가 아닌 교육·과학·녹색 도시로 만들자고 제안 | |
제19차 (2012년) | 아시아뮤직마켓, 한국판 코미떼 콜베르 설치, 연예기획사 등록제도, 원아시아 컬쳐컨퍼런스 등을 문화부, 경제단체 등에서 추진 | |
제20차 | 국민행복기금, 추가경정예산 편성, 대체휴일제 등 가계부채 종합자활 프로그램, 취득세·양도세 5년간 면제, 유연한 재정·통화정책, 일자리 60-30 (정년 60세로 연장) 제안 반영 | |
제30차 (2021년) | 국가우주위원회 총리급 이상 격상,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 NASA 주도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 국내 항공우주 생태계 거점 마련 및 항공우주 전문인력 집중 인력 등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유관 부처를 통해 관련법 제정 또는 정책 반영 예정 |
3. 2. 각종 조사기관에서의 평가
마켓링크 조사에서 2023년 한국인이 가장 오랜 시간 읽은 모바일 뉴스 매체 1위로 선정되었다.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마켓링크가 포털사이트 뉴스섹션과 언론사 웹사이트 데이터 등을 분석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1~11월) 한국인이 가장 오랜 시간 본 언론사는 매일경제로 월 평균 총 체류시간(TTS)이 에 달했다.[26]로이터 저널리즘 연구소의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23”에서 한국 언론 중 디지털 뉴스 분야 2위, 종이신문 3위로 선정되었다. 보고서의 한국 부분(143페이지) 그래프에서 1주일간 한 번이라도 접한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에서 매일경제는 일간지 중 조선일보, 중앙일보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또 1주일간 온라인 뉴스를 접한 적이 있는 매체를 묻는 질문에서는 일간신문 중에서는 조선일보에 이어 매일경제신문이 2위를 차지했다.[27]
2021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만 16세 이상 국민 5만 1788명을 대상으로 신문·잡지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열독률이 가장 높은 1구간에는 농민신문, 동아일보, 매일경제,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등 6개 매체가 포함됐다. 매체별 열독률은 A일보(3.7355%), B일보(2.4519%), C일보(1.9510%), 매일경제(0.9760%), D신문(0.7248%), E신문(0.6262%) 순이었다. 언론진흥재단의 해당 조사 결과는 정부광고 집행의 기준의 하나로 활용되는 지표다.[28]
한국 ABC협회 2022년(2021년분) 일간신문 45개지 인증부수 기준 매일경제는 경제지 중 1위를 차지했다. 발행부수는 약 70만 부, 유료부수는 약 55만 부였다.
4. 디지털 전환
매일경제는 1988년 11월 국내 언론기관 중 최초로 신문 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전자신문 시대를 열었고,[29] 2013년에는 국내 언론 최초로 유료 구독 서비스인 매경e신문을 론칭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3년 세계신문협회(WAN-IFRA) ‘디지털 미디어 아시아 콘퍼런스’에서 ‘미라클레터’가 은상을 수상하는 등 뉴스레터에도 강점이 있다.[30][31] 2024년 3월 기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약 8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4. 1. 매경e신문
매일경제는 2013년에 국내 언론 최초로 유료 구독 서비스인 매경e신문을 론칭했다.[29] 1988년 11월에는 국내 언론기관 중 최초로 신문 기사를 온라인으로 실시간 제공하는 전자신문 시대를 열기도 했다.[29]4. 2. 유튜브 채널
매일경제신문은 여러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2024년 3월 기준, 주요 채널과 구독자 수는 다음과 같다.채널명 | 구독자 수 |
---|---|
월가월부 | 24만 3천 명 |
자이앤트TV | 20만 7천 명 |
매부리TV | 23만 6천 명 |
세계지식포럼 | 9만 4,800명 |
이들 채널을 통해 2024년 3월 기준 약 8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5]
4. 3. 뉴스레터
세계신문협회(WAN-IFRA) ‘디지털 미디어 아시아 콘퍼런스’에서 ‘미라클레터’가 은상을 수상할 만큼 뉴스레터에 강점이 있다. 글로벌 정보기술(IT)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전하는 미라클레터를 비롯해 넘쳐나는 경제·재테크 뉴스 중 꼭 필요한 것을 골라 핵심만을 요약해 전달하는 경제 뉴스레터 ‘디그(dig)’, 부동산 소식지 '매부리레터', 해외증시 소식 '자이앤트레터', 영문 뉴스레터 '펄스'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레터를 통해 독자들에게 실용 정보를 전달한다.[30][31]5. 글로벌화
매일경제신문은 세계지식포럼,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글로벌포럼 등 다양한 국제 행사를 개최하고 해외 언론사와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인 영향력을 확대하며 글로벌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왔다.
세계지식포럼은 2000년 10월부터 시작되어 세계 각국의 정상급 인사들과 석학들이 참여하는 권위 있는 행사로 자리매김했다.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는 한민족 최대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행사로 성장했으며, 글로벌포럼은 양국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구축과 경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장이 되고 있다.
또한,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중국 인민일보와 매년 초 '''한중일 CEO 100인 설문조사'''를 공동 진행하고,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FT)'''의 한국 인쇄를 담당하는 등 세계 유수의 언론사들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제 뉴스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미국 블룸버그를 비롯한 다양한 해외 언론사들과의 제휴를 통해 동남아시아와 중동 지역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5. 1. 세계지식포럼
2000년 10월부터 개최되어, 2024년까지 총 82개국에서 5,832명의 글로벌 연사와 6만 2,821명의 청중이 참가했다.[5] 역대 주요 참석자는 다음과 같다.구분 | 주요 인사 |
---|---|
국가 정상 | 조지 W. 부시 (미국 제43대 대통령), 힐러리 클린턴 (전 미국 국무부 장관), 테리사 메이 (영국 제76대 총리),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제23대 대통령),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제7대 총리) |
국제기구 대표 | 김용 (세계은행 총재) |
기업인 |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 존 헤네시 (알파벳 회장), 조지 소로스 (소로스펀드 회장), 잭 마 (알리바바 회장), 로빈 리 (바이두 회장) |
학계 인사 | 래리 서머스, 폴 크루그먼, 마이클 포터, 그레고리 맨큐 |
5. 2.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한상대회)는 2002년 28개국 968명의 참가로 시작하여 매년 3,000여 명이 참석하는 한민족 최대의 비즈니스 네트워크 행사로 성장했다.[32] 2023년 10월에는 제21차 대회가 사상 처음으로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개최되었다.[32][6]5. 3. 글로벌포럼
글로벌포럼(Global Forum)은 2004년 워싱턴을 시작으로 매년 1~2차례씩 해외 거점 도시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포럼이다. 이 포럼을 통해 양국의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경제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2023년까지 총 31회의 글로벌 포럼이 개최되었으며, 2024년에는 캄보디아에서 열릴 예정이다.[33][34]5. 4. 글로벌 네트워크
매일경제신문은 세계 유수의 언론사와 제휴하여 지구촌 곳곳의 소식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에서는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중국 인민일보, 중국 경제참고보''' 등과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닛케이, 인민일보와는 매년 초 '''한중일 CEO 100인 설문조사'''를 공동으로 진행한다. '''파이낸셜 타임즈(FT, 영국)'''의 한국 인쇄를 매일경제신문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한때 FT 서울지국이 매일경제신문 사옥에 위치했을 정도로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5] 블룸버그(미국), 함샤흐리(이란), 베트남뉴스(베트남), 뉴스트레이츠타임스(말레이시아) 등 다양한 해외 언론사와 제휴 중이다.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 대부분에 제휴 언론사를 두는 등 동남아시아와의 협력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5] 2023년 12월에는 아랍에미리트(UAE)의 ‘문화수도’로 불리는 샤르자 정부와 MOU를 체결, K콘텐츠를 중동 전역에 소개하고 인적 교류 및 미디어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장기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5]6. 창립자
매일경제신문의 창업자는 정진기이다. 그는 1966년 매일경제신문을 창간하고, '봉황대상', '이코노미스트상', 한국광고인 대상 등을 제정하여 한국 언론 및 경제 발전에 기여하였다.[35] 1981년에는 정진기언론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언론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35]
6. 1. 정진기
'''정진기'''(鄭進基)는 1948년부터 6 · 25전쟁 발발 전까지 전라남도 삼도국민학교와 해보국민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63년 국학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1966년에는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을 수료하였다.[35]1959년 주간 『행정신문』 기자로 언론계에 입문하여, 같은 해 8월 『평화신문』, 1960년 8월 『서울경제신문』, 1964년 8월 『대한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하였다. 1966년 3월 24일 매일경제신문을 창간하여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하였다. 같은 해 '봉황대상'을 제정하여 소비자가 투표로 최고 상품을 선정하면 매일경제신문이 시상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1971년에는 '이코노미스트상'을 제정하여 매년 건전한 경제 여론을 주도한 경제 평론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으며, 1974년에는 한국광고인 대상을 제정하였다. 1976년에는 국내 기업 정보를 집대성한 『회사연감』과 국내 최초의 경제 전문 주간지 『주간매경』을 창간하였다.[35] 한국신문연구소 이사, 신문윤리위원, 한국평생교육기구 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소비자 보호 운동과 국민 경제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국무총리 공로표창(1967), 고려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제8회 경영상(1970)을 받았고, 1982년 4월 국민훈장 모란장이 추서되었다. 1981년 7월 14일 재단법인 정진기언론문화재단을 설립하여, 생전에 남긴 뜻에 따라 자신이 소유했던 신문사 주식의 80%는 문화재단에, 20%는 사우회에 기증하였다.[35]
1983년에는 정진기언론문화재단에서 ‘정진기언론문화상’을 제정하여 매년 한국의 경제 발전과 과학 기술 개발에 뚜렷한 공헌을 한 단체나 개인에게 시상하고 있다.[35]
7. 자매지
자매지로 경제 주간지인 매경이코노미, 생활 정보 주간지 시티라이프와 월간지 럭스맨이 있다.
8. 계열사
계열사명 | 비고 |
---|---|
매일경제 | 신문, 잡지 |
매일방송 | MBN, 종합편성채널 |
매경출판 | 출판업 |
매경닷컴 | 매경미디어그룹 인터넷 총괄 |
매일경제TV | 방송, 경제정보채널 |
매경비즈 | 비즈니스 부문 총괄 |
(주)미라클랩 | |
(주)엠비엔미디어렙 | |
(주)엠비엔미디어텍 | |
(주)케이디엑스한국데이터거래소 | |
여플(주) |
9. 지면
10. 뉴스레터
매일경제신문은 2023년 세계신문협회(WAN-IFRA)의 ‘디지털 미디어 아시아 콘퍼런스’에서 ‘미라클레터’가 은상을 수상할 만큼 뉴스레터에 강점이 있다.[30][31] 글로벌 정보기술(IT)산업의 최신 트렌드를 전하는 '미라클레터'를 비롯해 넘쳐나는 경제·재테크 뉴스 중 꼭 필요한 것을 골라 핵심만을 요약해 전달하는 경제 뉴스레터 ‘디그(dig)’, 부동산 소식지 '매부리레터', 해외증시 소식 '자이앤트레터', 영문 뉴스레터 '펄스'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레터를 통해 독자들에게 실용 정보를 전달한다.[30][31]
매일경제신문에서 발행하는 주요 뉴스레터는 다음과 같다.
11. 참고 사항
참조
[1]
논문
Knowledge management in the digital newsroom
Focal Press
[2]
웹사이트
Maeil Business Newspaper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15
[3]
웹사이트
매경 자이앤트TV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15
[4]
웹사이트
매부리TV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15
[5]
웹사이트
세계지식포럼
http://www.wkforum.o[...]
2024-03-15
[6]
웹사이트
한상넷
http://www.hansang.n[...]
2024-03-15
[7]
웹사이트
http://www.newmanage[...]
2024-07-04
[8]
웹사이트
[2020 대학생 의식조사] 대학생들이 선택한 최고의 언론사, 한겨레·스포츠서울· 매일경제
https://news.unn.net[...]
2020-10-26
[9]
웹사이트
올해 가장 많이 본 언론사 연합뉴스, 오래 본 건 매경 - 한국기자협회
http://m.journalist.[...]
2024-03-15
[10]
웹사이트
올해 가장 많이 본 언론사 연합뉴스, 오래 본 건 매경 - 한국기자협회
http://m.journalist.[...]
2024-07-04
[11]
웹사이트
South Korea
https://reutersinsti[...]
2024-03-15
[12]
웹사이트
ABC : ABC 89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https://www.business[...]
2024-03-15
[13]
웹사이트
Korea Press Foundation
https://kpf.or.kr/en[...]
2024-03-15
[14]
뉴스
진보는 한겨레, 보수는 매일경제 선호
http://news.cauon.ne[...]
2021-12-21
[15]
웹사이트
세계지식포럼
https://www.wkforum.[...]
2024-08-18
[16]
웹인용
500대 기업 CEO가 선호하는 경제지 중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다.
http://www.newmanage[...]
2024-03-06
[17]
웹인용
CEO들이 가장 선호하는 신문은 조선일보·매일경제
https://www.mediatod[...]
2024-07-05
[18]
웹인용
[2020 대학생 의식조사] 대학생들이 선택한 최고의 언론사, 한겨레·스포츠서울· 매일경제
https://news.unn.net[...]
2024-03-06
[19]
웹인용
2024 서울머니쇼
https://www.seoulmon[...]
2024-03-06
[20]
웹인용
매경 월가월부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06
[21]
웹인용
매경 자이앤트TV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06
[22]
웹인용
매부리TV - YouTube
https://www.youtube.[...]
2024-03-06
[23]
웹인용
국민보고대회
https://visionkorea.[...]
2024-03-06
[24]
웹인용
디지털플랫폼정부 정책 성과, 혁신 의지 ‘국민 보고 대회’ 개최
https://www.aitimes.[...]
2024-03-06
[25]
웹인용
세계지식포럼
https://wkforum.mk.c[...]
2024-03-06
[26]
웹인용
올해 가장 많이 본 언론사 연합뉴스, 오래 본 건 매경 - 한국기자협회
http://m.journalist.[...]
2024-03-06
[27]
웹인용
Digital News Report 2023 Reuters Institute for the Study of Journalism
https://reutersinsti[...]
2024-03-06
[28]
웹인용
종이신문 열독률 13.2%…조·중·동·매경·농민·한겨레 순
https://news.kbs.co.[...]
2024-03-06
[29]
웹인용
매일경제 '매경e신문'으로 본격 유료화 시동
http://www.onlinemed[...]
2024-03-06
[30]
웹인용
Digital Media Awards South Asia 2023 Unveils Top Honours for Digital Media Excellence
https://wan-ifra.org[...]
2024-03-06
[31]
웹인용
매경 '미라클레터' 아시아 디지털미디어 은상
https://www.mk.co.kr[...]
2024-03-06
[32]
웹인용
세계한상대회
https://www.bing.com[...]
2024-03-06
[33]
웹인용
MKNF 2023
https://mknyforum.co[...]
2024-03-06
[34]
웹인용
[매경 글로벌포럼] 30년 우정 韓·베트남, 이젠 `팀VK`로 뛴다
https://www.mk.co.kr[...]
2024-03-06
[35]
웹인용
[신간] 정도(正道)로 성공한 언론인
https://www.news1.kr[...]
2024-03-04
[36]
문서
설날·추석에 한정
[37]
웹인용
엠블록 레터 목록 - 매일경제
https://www.mk.co.kr[...]
2024-03-04
[38]
웹인용
디그(dig)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
2024-03-04
[39]
웹인용
날리지 인박스 레터 목록 - 매일경제
https://www.mk.co.kr[...]
2024-03-04
[40]
웹인용
자이앤트레터 GIANT LETTER 구독 가즈아~ 💎
https://page.stibee.[...]
2024-03-04
[41]
웹인용
미라클레터 레터 목록 - 매일경제
https://www.mk.co.kr[...]
2024-03-04
[42]
웹인용
부동산 재테크 뉴스 매부리레터📧를 구독해주세요.
https://page.stibee.[...]
2024-03-04
[43]
웹인용
데이터루 - KDX 한국데이터거래소
https://kdx.kr/news/[...]
2024-03-04
[44]
웹인용
Pulse 레터 목록 - 매일경제
https://www.mk.co.kr[...]
2024-03-04
[45]
문서
1999년 12월 31일까지 열람을 볼 수 있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