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수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수휘는 1351년 백련교를 기반으로 홍건적의 난을 일으킨 인물이다. 스스로를 미륵불이라 칭하며 세력을 확장, 천완 제국을 세우고 황제가 되었다. 하북성, 강서성 등지를 점령하며 세력을 키웠으나, 승상 예문준과의 갈등, 천유량과의 대립 등으로 인해 세력이 약화되었다. 1359년 천유량에게 사로잡히고, 1360년 진우량에게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0년 사망 -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
    니케포로스 그레고라스는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 천문학자, 신학자, 철학자로, 1204년부터 1359년까지의 역사를 다룬 《로마 역사》를 저술하고, 헤시카즘 논쟁에서 그레고리오스 팔라마스의 교리에 반대했으며, 천문학, 철학, 수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을 남겼다.
  • 1360년 사망 - 환조 (조선)
    환조 이자춘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아버지로, 원나라 쌍성총관부의 천호를 지내다 고려 공민왕의 반원 정책에 따라 고려에 귀순하여 동북면 영토 수복에 기여했으며, 사후 환왕, 환조 연무성환대왕으로 추존되었다.
  • 황강시 출신 - 후펑
    후펑은 중국의 시인이자 작가, 문학 비평가, 편집자, 번역가로서 좌익 작가 운동에 참여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문학예술계연합회 및 작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나, "민족 형식" 문제를 둘러싼 이념적 갈등으로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며 "후펑 반혁명파" 사건으로 많은 사람이 피해를 입었지만 사후 명예 회복되어 중국 현대 문학사와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황강시 출신 - 슝스리
    슝스리는 신해혁명과 호법운동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불교와 유교를 융합한 독자적인 철학 체계를 구축하여 중국 근현대 사상계에 큰 영향을 미친 후베이성 출신의 철학자이다.
  • 1320년 출생 - 존 호크우드
    존 호크우드는 1323년경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백년 전쟁 참전 후 이탈리아에서 용병으로 활동하며 백색 용병대를 이끌고 카시나 전투 등에서 승리했으며, 1394년 피렌체에서 사망하였다.
  • 1320년 출생 - 원 혜종
    원 혜종은 원나라의 제11대 황제이자 북원의 초대 대칸으로, 권신들의 발호와 홍건적의 난으로 국력이 쇠퇴하여 명나라에 의해 대도를 빼앗기고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하다 사망했으며, 고려 출신 기황후와의 사이에서 아들 아유르시리다르를 낳았다.
서수휘
기본 정보
이름쉬서우후이 (徐壽輝)
묘호세종 (世宗) (명옥진이 추존)
시호응천계운헌무황제 (應天啟運獻武皇帝) (명옥진이 추존)
생년1320년
몰년1360년 7월 29일
출생지허난 강베이성 뤄톈 현 둬윈 향 상우바오
사망지장저 성 타이핑 루 차이시
정치 체제황제
재위 기간1351년–1360년
연호지핑 (治平): 1351년–1355년
타이핑 (太平): 1356년–1358년
톈치 (天啟): 1358년–1359년
톈딩 (天定): 1359년–1360년
가계
아버지미상
어머니미상
배우자미상
자녀미상

2. 생애

1351년 서수휘는 기주(蘄州)에서 다른 이들과 함께 불교 백련교(白蓮教)를 가장하여 홍건적 반란을 일으켰다.[1] 이들은 기수(蘄水)를 점령하고 이곳을 홍건적의 지휘 중심지이자 새로 선포된 천완(天完) 제국의 수도로 삼았다. 그는 황제가 되었고, 연호는 "지평(治平)"이었다.

그는 자신을 빈곤한 자를 돕기 위해 부유한 자를 파괴하려는 미륵불(彌勒佛下生)이라고 주장하며 지지자의 수를 급속히 늘렸다. 1352년 하북성을 침략하고, 장시성, 안후이성, 푸젠성, 저장성, 장쑤성, 후난성을 차례로 점령했다.

원나라 군대에 일시적으로 패한 후, 황매산(黃梅山)으로 도망쳤지만, 1355년 돌아와 다시 침략하여 수도를 한양으로 옮겼다.

홍건적의 핵심을 이루는 한산동·유복통 등에 비해 서부에 근거지를 두었기에 서파 홍건군이라 불렸다. 최성기에는 그 세력이 호광·강서에서 강절에 이르렀다. 그러나 점차 승상으로 임명한 예문준이 두각을 나타내 그의 지위를 위협하게 된다. 태평 2년(1357년)에 예문준은 서수휘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황주에서 부하 천유량에게 살해당했다. 이어 그의 부하 세력을 통합한 천유량이 급속히 성장하여 결국 서수휘마저 능가하게 된다.

2. 1. 초기 생애와 봉기

1351년 8월, 서수휘는 기주(蘄州)에서 다른 이들과 함께 불교 백련교(白蓮教)를 가장하여 홍건적 반란군을 일으켰다.[1] 연호는 "지평(治平)"이었다. 그는 자신을 빈곤한 자를 돕기 위해 부유한 자를 파괴하려는 미륵불이라고 주장하며 지지자의 수를 급속히 늘렸다.

원래 서수휘는 목화 천을 파는 상인으로 생계를 유지했으나, 지정 11년(1351년) 8월 백련교를 숭봉하여 거병했다. 10월, 국호를 '''천완'''으로 하고 황제를 자칭하며 연호를 치평이라 하였다. 용모가 웅장했기 때문에 황제로 추대되었다는 말도 있다.

2. 2. 세력 확장과 갈등

1351년 8월, 서수휘는 기주(蘄州)에서 다른 이들과 함께 불교 백련교(白蓮教)를 가장하여 홍건적 반란군을 일으켰다.[1] 이들은 기수(蘄水)를 점령하고 이곳을 홍건적의 지휘 중심지이자 새로 선포된 천완(天完) 제국의 수도로 삼았다. 천완 제국은 처음에는 송(宋)이라 불렸다.[1] 서수휘는 황제가 되었고, 연호는 "지평(治平)"이었다.

그는 자신을 빈곤한 자를 돕기 위해 부유한 자를 파괴하려는 미륵불(彌勒佛下生)이라고 주장하며 지지자의 수를 급속히 늘렸다. 1352년, 하북성을 침략하고, 장시성, 안후이성, 푸젠성, 저장성, 장쑤성, 후난성을 차례로 점령했다.

원나라 군대에 일시적으로 패한 후, 황매산(黃梅山)으로 도망쳤지만, 1355년 돌아와 다시 침략하여 수도를 한양으로 옮겼다.

1358년 천유량이 룡흥(현재의 남창)을 장악하자, 서수휘는 수도를 한양에서 룡흥으로 옮기려 했다. 그러나 천유량은 서수휘가 룡흥을 장악하면 자신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반대했다. 룡흥은 강주와 가까웠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서수휘는 수도 이전을 고집했고, 1359년 12월 군대를 이끌고 양자강을 따라 강주로 향했다. 이를 예상한 천유량은 매복을 명령했다. 서수휘가 도착하자 매복에 걸려들었고, 천유량은 그의 부하들을 죽이고 그를 사로잡은 후 자신을 한의 왕으로 선포했다. 서수휘는 1360년 천유량에게 감금되어 있다가 사망했는데, 처형되었는지 질병으로 사망했는지는 알 수 없다.[2]

2. 3. 최후

1358년 천유량이 룡흥(현재의 남창)을 장악하자, 서수휘는 수도를 한양에서 룡흥으로 옮기려 했다. 그러나 천유량은 룡흥이 강주와 가까워 서수휘가 룡흥을 장악하면 자신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반대했다. 그럼에도 서수휘는 수도 이전을 고집했고, 1359년 12월 군대를 이끌고 양자강을 따라 강주로 향했다. 이를 예상한 천유량은 매복을 명령했고, 서수휘는 매복에 걸려들었다. 천유량은 서수휘의 부하들을 죽이고 그를 사로잡은 후 자신을 한의 왕으로 선포했다.[2] 1360년 서수휘는 천유량에게 감금되어 있다가 사망했는데, 처형되었는지 질병으로 사망했는지는 알 수 없다.[2] 천정 2년(1360년), 서수휘는 채석에서 진우량에게 철과로 살해당했다.

3. 평가

(소스에 내용 없음)

참조

[1] 논문 The ‘Song’ Dynasty Legacy: Symbolism and Legitimation from Han Liner to Zhu Yuanzhang of the Ming Dynasty http://www.jstor.org[...] 2008
[2] 서적 From the Mongols to the Ming Dynasty: How a Begging Monk Became Emperor of China, Zhu Yuan Zhang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6
[3] 문서 夏の明玉珍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