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공항은 1971년 영등포구에 여의도 비행장을 대체하여 개설된 군용 비행장이다. 인천국제공항 및 김포국제공항의 비상시 대체 공항 역할을 하며, 대통령의 해외 방문, 국빈 방문 시 사용된다.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 소음 문제와 제2 롯데월드 건설에 따른 이전 압력이 존재하며, 북한과의 군사 충돌 시 수도권에서 가장 가까운 비행장이다. 서울공항 이전 및 민간 공항 개방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2 롯데월드 건축과 관련하여 항공 안전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정구 - 을지대학교
    을지대학교는 을지학원이 설립한 사립 대학으로, 서울보건대학과 을지의과대학교의 통합으로 2007년 설립되었으며, 의학계열과 보건·의료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을지재단 산하 병원들과 연관되어 있으며, 연합뉴스TV의 최대주주이지만 경영 투명성 논란이 있다.
  • 수정구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은 사회적 기업 육성 및 지원을 통해 성장 환경을 조성하는 대한민국의 공공기관으로, 사회적기업육성법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군산공항
    군산공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1938년 일본군 비행장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민간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국제선 취항 문제, 소음 피해 등의 논란이 있는 공항이다.
  • 성남시의 건축물 - 아브뉴프랑
  • 성남시의 건축물 - 성남종합버스터미널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하여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교통 거점이다.
서울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서울공항
현지 이름서울공항 (서울空港)
영어 이름Seoul Air Base
제15특수임무비행단
제15특수임무비행단
공항 종류군용
소유 기관대한민국 공군
운영 기관대한민국 공군
위치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비고활주로 부지의 북동쪽 일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속한다.
건립 시기1970년
사용 시기1971년 ~ 현재
점유 기관제15특수임무비행단
해발 고도28m (92ft)
시간 기준한국 표준시
운영 시간24시간
IATA 코드SSN
ICAO 코드RKSM
활주로 정보
활주로 1 방향01/19
활주로 1 길이2746m
활주로 1 폭46m
활주로 1 표면콘크리트
활주로 1 ILS19 (YES)
활주로 2 방향02/20
활주로 2 길이2957m
활주로 2 폭46m
활주로 2 표면콘크리트
활주로 2 ILS20 (YES)

2. 역사

일제강점기 여의도 비행장으로 건설되었다. 197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에 있던 여의도 비행장을 대체하는 군용 비행장으로 개설되었다.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의 비상시 수도권 대체 공항으로서 민간 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군용 비행장이므로 군 수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비군용으로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해외 방문 및 해외 국빈의 한국 방문 시 발착, 격년으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Seoul ADEX, 서울 에어쇼) 등에 이용된다.

서울 근교 베드타운으로 기지 주변 주택 증가로 소음 문제가 제기되었고, 건설 중인 제2 롯데월드가 고도 제한 완화를 요구하는 등 입지 환경 악화에 따른 이전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과 군사 충돌 발생 시에는 수도권 비행장 중 서울 중심부에서 가장 가깝다는 입지를 가진다.

2. 1. 일제 강점기 및 한국 전쟁

일제강점기 당시 여의도 비행장으로 건설되었다. 한국 전쟁 기간 동안 미국 공군은 여의도 비행장을 '''K-16'''으로 지정했다.

여기에 주둔한 미국 공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부대운용 기간운용 기종
제35 전투요격비행단1951년 4월 8일 ~F-51[3]
제3 공수구조대 F 분견대1950년 10월 19일 ~시코르스키 H-5
제2157 공수구조대시코르스키 H-19


2. 2. 한국 전쟁 이후

1970년에 여의도 비행장이 폐쇄되고, 주둔지가 현재의 신촌리로 이전하여 '서울공항'으로 명명되었다.

이 기지에는 대한민국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시코르스키 UH-60 블랙 호크를 운용하는 미 육군 제2비행연대 제2 항공 연대(제2 항공 연대) 제2대대(공격)가 제2 보병 사단에 주둔하고 있다.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가 격년으로 이 비행장에서 개최된다.

이 기지는 대한민국 대통령 및 기타 VIP, 국가 원수들의 VIP 전용 비행장으로 사용된다.

3. 주요 시설 및 역할

서울공항은 성남 공군기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대통령의 해외 방문 및 해외 국빈들의 방한 시에 주로 이용되기 때문에 민항기의 이착륙은 특수 목적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비상시에는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의 대체 공항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197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던 여의도 비행장을 대체하는 군용 비행장으로 개설되었다. 군 수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대한민국 대통령의 해외 순방 및 해외 국빈 방한, 그리고 격년으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Seoul ADEX, 서울 에어쇼)에도 이용된다.[6]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으로 기지 주변에는 주택이 들어서면서 소음 문제가 제기되어 왔으며, 건설 중인 제2 롯데월드가 고도 제한 완화를 요구하는 등, 입지 환경 악화에 따른 이전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과의 군사 충돌 발생 시에는 수도권 비행장 중 서울 중심부에서 가장 가깝다는 입지를 가지고 있다.

3. 1. 군사 시설

미국 공군은 한국 전쟁 기간 동안 여의도 비행장을 '''K-16'''으로 지정했다. 여기에 주둔한 미국 공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3]

부대운용 기간운용 기종
제35 전투요격비행단1951년 4월 8일 ~F-51
제3 공수구조대 F 분견대1950년 10월 19일 ~시코르스키 H-5
제2157 공수구조대시코르스키 H-19



여의도 비행장은 1970년에 폐쇄되었고, 주둔지는 현재의 신촌리로 이전하여 ''서울공항''으로 명명되었다.

이 기지에는 대한민국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시코르스키 UH-60 블랙 호크를 운용하는 미 육군 제2 항공 연대(제2 항공 연대) 제2대대(공격)가 제2 보병 사단에 주둔하고 있다.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가 격년으로 이 비행장에서 개최된다.

이 기지는 대한민국 대통령 및 기타 VIP, 국가 원수들의 VIP 전용 비행장으로 사용된다. 197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있던 여의도 비행장을 대체하는 군용 비행장으로 개설되었다.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의 비상시 수도권 대체 공항으로서 민간 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군용 비행장이므로 군 수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군용으로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해외 방문 및 해외 국빈의 한국 방문 시 발착, 그리고 격년으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Seoul ADEX, 서울 에어쇼)에 이용된다.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으로 기지 주변에는 주택이 들어서면서 소음 문제가 제기되어 왔으며, 건설 중인 제2 롯데월드가 고도 제한 완화를 요구하는 등, 입지 환경 악화에 따른 이전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북한과의 군사 충돌 발생 시에는 수도권 비행장 중 서울 중심부에서 가장 가깝다는 입지를 가지고 있다.

3. 2. 민간 항공 기능

서울공항은 민간공항으로 개방해야 한다는 주장과 이를 반대하는 주장이 주기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명박 정부 당시 경기도와 일부 전문가들은 서울공항을 민간에 개방하면 2021년에는 1조 원이 넘는 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8][9] 일부 성남 주민들은 민간공항 유치를 위한 추진위를 구성하기도 하였다.[10][11]

송병흠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공항 접근 시간 비용 절감, 지역 경제 활성화, 성남시 항공 운송 관련 업체의 수입 증대가 예상되는 만큼 민간공항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경상대학교 항공학과 조환기 교수도 민군(民軍) 공동 활용의 찬성을 전제로 향후 발생될 소음 문제와 경제적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12]

그러나 판교신도시와 고등동, 신촌동 지역에 대한 환경 피해와 소음 피해가 그치지 않아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성남시 시민들은 민간공항 개방에 강하게 반대하였다.[13] 성남시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서울공항의 민간 활용을 반대하는 주민이 56%로, 찬성보다 더 많았다.[14]

성남시의회 최만식 의원은 서울공항을 민간공항으로 개방할 경우, 이미 서울공항으로 인해 소음과 각종 규제로 상당한 피해를 입고 있는 성남시민들의 주거와 생활환경 여건이 더욱 피폐해질 것이므로 서울공항의 민항 활용 논의는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지난 40년 동안 서울공항 때문에 성남의 구 도심지는 고도 제한 규제를 받아 주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보았는데, 서울공항이 민항으로 활용되면 주거 환경은 이전보다 더 열악해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5]

선거 때만 되면 이 지역의 단골 선거 이슈로 등장하는 서울공항의 민항 활용 문제에 대하여, 성남시 여론은 성남시에 위치하면서도 '''성남공항'''이 아니라 '''서울공항'''인 공항 이름부터 바꿔야 민간공항 개방에 관한 찬반 주장의 진정성이 신뢰를 얻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16][17]

3. 3. 대통령 및 국빈 전용

서울공항은 기본적으로 성남 공군기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15특수임무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다. 대통령의 해외 방문 및 해외 국빈들의 방한 시에 주로 이용된다.[1] 비군용으로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해외 방문 및 해외 국빈의 한국 방문 시에 발착에 이용된다.[6]

4. 서울공항 이전 및 활용 논의

서울공항은 1971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에 있던 여의도 비행장을 대체하는 군용 비행장으로 개설되었다.[1]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의 비상시 수도권 대체 공항으로서 민간 항공기의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군용 비행장이므로 군 수송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 비군용으로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해외 방문 및 해외 국빈의 한국 방문 시 발착, 격년으로 개최되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Seoul ADEX, 서울 에어쇼) 등에 이용된다.[1]

서울 근교의 베드타운으로 기지 주변에 주택이 들어서면서 소음 문제가 제기되었고,[1] 건설 중인 제2롯데월드가 고도 제한 완화를 요구하는 등 입지 환경 악화에 따른 이전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1]

북한과의 군사 충돌 발생 시에는 수도권 비행장 중 서울 중심부에서 가장 가깝다는 입지를 가지고 있다.[1]

4. 1. 이전 논의

2000년에 서울공항 기능을 김포공항으로 이전한다는 방안이 추진되었으나 대한민국 국방부가 강하게 반발해 무산되었다.[1] 2002년에는 강남권 주택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강남에 인접한 서울공항을 신도시로 개발하는 내용의 장단기 주택시장 안정대책이 발표되었다.[1]

2004년에 경기도 산하 경기개발연구원이 작성한 <대도시권 성장관리 방안>에는 서울공항을 신도시로 개발한다는 기본 방향이 담겨 있었고, 이에 맞추어 성남시에서는 ‘2020년 성남 도시기본계획안’에 서울공항 부지를 강남을 대체할 저밀도 주거 단지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1] 김서구 경기도 신도시개발단장은 서울공항 이전은 정부 중앙 부처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전제하였으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서울공항이 이전된다고 가정하고 그에 맞춰 장기 개발 계획을 수립했다.”라고 말했다.[1]

2005년 3월 11일에는 김한길 열린우리당 수도권발전대책특위 위원장이 “일부 부처가 반대하고 있으나 수도권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면 서울공항 이전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하였다.[1]

2009년이명박 정부가 제2롯데월드 건설을 위하여 이 공항을 강원도 횡성군이나 경기도 파주시로 이전할 것을 검토하였으나, 횡성군으로의 이전은 서울과의 거리 등 안보상 문제를 살피지 않았다는 여론의 질타를 받았고, 파주시로의 이전은 2000년대 초반부터 급속히 도시화가 진행된 파주 뿐만 아니라 인근의 일산신도시 주민들까지 적지 않은 소음 공해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어 보류되었다.[1]

4. 2. 민간 공항 개방 논란

이명박 정부 당시 경기도와 일부 전문가들은 서울공항을 민간에 개방하면 2021년에는 1조이 넘는 이익이 발생할 것이라고 주장했다.[8][9] 또한, 일부 성남 주민들은 민간공항 유치를 위한 추진위를 구성하였다.[10][11]

송병흠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공항 접근 시간비용의 절감과 지역경제의 활성화, 성남시 항공운송관련 업체의 수입증대가 예상되는 만큼 민간공항 개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경상대학교 항공학과 조환기 교수도 민군(民軍) 공동 활용의 찬성을 전제로 향후 발생될 소음 문제와 경제적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12]

그러나, 판교신도시와 고등동, 신촌동 지역에 대한 환경 피해와 소음 피해가 그치지 않아 이들 지역에 거주하는 성남시 시민들은 민간공항 개방에 강하게 반대하였다.[13] 성남시민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서울공항의 민간 활용을 반대하는 주민은 56%로, 반대가 찬성보다 더 많았다.[14]

성남시의회 최만식 의원은 서울공항을 민간공항으로 개방할 경우에 이미 서울공항으로 인해 소음과 각종 규제로 상당한 피해를 입고 있는 성남시민들의 주거와 생활환경 여건이 더욱 피폐해질 것이므로 서울공항의 민항 활용 논의는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특히, 지난 40년 동안 서울공항 때문에 성남의 구 도심지는 고도 제한 규제를 받아 주민들이 막대한 피해를 보았는데 서울공항이 민항으로 활용되면 주거환경은 이전보다 더 열악해 질 것이라고 주장하였다.[15]

선거 때만 되면 이 지역의 단골 선거이슈로 등장하는 서울공항의 민항 활용 문제에 대하여, 성남시 여론은 성남시에 위치하면서도 '''성남공항'''이 아니라 '''서울공항'''인 공항 이름부터 바꿔야 민간공항 개방에 관한 찬반 주장의 진정성이 신뢰를 얻을 것이라는 반응을 보였다.[16][17]

4. 3. [[제2롯데월드]] 건축 문제

언론사 시사IN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한 현역 군 조종사와 관제사의 86%가 항공 안전을 이유로 제2롯데월드 신축을 적극 반대하였다. 이들은 제2롯데월드를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로 군의 항공관제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문제와 맹점 발생으로 인한 충돌 위험성을 들었다.[1] 제2롯데월드 측에서는 활주로 방향을 3도 바꾸는 비용을 지불했다.[2]

이명박 대통령(2008–2012)은 서울 잠실에 123층 규모의 타워에서 벗어나 활주로를 재건설한 후 555미터 높이의 마천루 건설을 승인했다.[3] 이 건물은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건물인 롯데월드 타워로 운영되고 있다.[4]

5. 북한과의 관계

북한과 군사 충돌이 발생할 경우, 서울공항은 수도권 비행장 중 서울 중심부에서 가장 가깝다는 입지적 특징을 갖는다.[1]

참조

[1] 웹사이트 Airport information for RKSM http://worldaerodata[...]
[2] GCM SSN
[3] 서적 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 https://media.defens[...] Air Force History & Museums Program
[4] 뉴스 86% of military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opposed construction of 2nd lotte world http://www.sisain.co[...] 2009-02-16
[5] WAD RKSM
[6] GCM SSN
[7] 문서 활주로 부지의 북동쪽 일부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세곡동]]에 속한다.
[8] 뉴스 경기硏 "서울공항, 민간항공에 개방 무리 없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11-27
[9] 뉴스 '서울공항' 민·군 공동활용 모색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50205094848
[10] 뉴스 "서울공항에 민항기 띄우자" 성남시민 추진위 결성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6-28
[11] 뉴스 성남시 '서울공항' 민·군 활용 힘 실리나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1-06-27
[12] 뉴스 "성남 서울공항에 민간 항공기·물류단지 유치를"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1-05-09
[13] 뉴스 서울공항, 민간공항 전환 싸고 논란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7-04
[14] 뉴스 "성남시민 56% 서울공항 민간공항 활용 반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8-05
[15] 뉴스 "서울공항 민간공항 추진 문제 있다" http://www.snilbo.co[...] 성남일보 2011-07-02
[16] 뉴스 '서울공항의 민간공항 전환은 선거용' 대다수 시민들 시큰둥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50411084506
[17] 뉴스 "서울공항 이전하라"…'민간활용' 논의 중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