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한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한길은 1953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소설가,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96년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대중 정부에서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중도통합민주당 대표 등을 거쳐 2012년 국회에 복귀하여 민주당 대표를 지냈다.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를 역임했으나 재보궐선거 패배로 사퇴했고, 2016년 국민의당에 합류했다. 2017년 폐암 4기 진단을 받았으며, 2021년 윤석열 캠프에 합류하여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도개혁통합신당 당원 - 변재일
    변재일은 제17대부터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중도개혁통합신당 당원 - 최용규 (정치인)
    최용규는 장항국교, 인천송도중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법학과 학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은행에서 근무하다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인천광역시의회 시의원, 부평구청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국민의당 고문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장관 - 남궁진
    남궁진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학생운동과 민주화 투쟁에 참여하여 신민당, 평민당, 민주당 등에서 주요 당직을 맡았고, 제14대, 15대 국회의원과 김대중 정부의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햇볕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 대한민국의 문화관광부 장관 - 박지원 (1942년)
    박지원(1942년)은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지원을 통해 정계에 입문하여 주요 당직을 맡았고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으나 대북 불법 송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김한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2년 김한길 선거 운동 모습
이름김한길
출생일1952년 9월 17일
출생지일본 도쿄
거주지서울특별시 광진구
국적대한민국
로마자 표기Gim Han-gil
배우자최명길
직업언론인
학력건국대학교
정치 경력
소속 정당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민주당 (2005년)
중도개혁통합신당
통합민주당
민주당 (2008년)
민주통합당
민주당 (2011년)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2016년)
바른미래당
민생당
국회의원제15대 국회의원
제16대 국회의원
제17대 국회의원
제19대 국회의원
국회의원 지역구서울특별시 구로구 을 (2004년–2008년)
서울특별시 광진구 갑 (2012년–2016년)
문화관광부 장관제7대 문화관광부 장관
재임 기간: 2000년 9월 20일 – 2001년 9월 18일
김대중 대통령
민주당 대표재임 기간: 2013년 5월 4일 – 2014년 3월 26일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재임 기간: 2014년 3월 26일 – 2014년 7월 31일
안철수와 공동 대표
가족 관계
아버지김철
기타
웹사이트hangillo.net

2. 생애

김한길은 1953년 9월 17일 일본 도쿄도에서 김철과 윤초옥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본관은 김녕이다. 부모는 함경북도 출신이다.[44] 7세 때 대한민국으로 귀국하여 서울덕수초등학교를 다녔고, 1976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중앙여자고등학교에서 잠시 교편을 잡기도 했다.[44]

1981년 소설 《바람과 박제》로 등단한 후, 한국일보중앙일보에서 기자와 지사장을 지냈다.[44] 귀국 후에는 방송위원회에서 기획국장, 사무총장 서리를 역임하며 소설가로도 활동했다.[44] 1988년 조영남의 '화개장터'를 작사했고, 1993년부터 MBC 《김한길과 사람들》을 진행하며 방송 활동을 했다.[45]

1992년 제14대 총선통일국민당 소속으로 동작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45] 이후 정주영의 공보특별보좌관을 맡았다.[46][47]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44] 김대중 정부에서는 청와대 정책기획수석비서관과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하며 일본문화개방,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 등을 주도했다.[44]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17대 국회 전반기 건설교통위원장, 국회 신행정수도후속대책특위 위원장을 역임했다.[44] 2006년 열린우리당 원내대표를 맡았으나, 2007년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했다.[44] 2008년 제18대 총선에는 불출마했다.[44]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 광진구 갑에 당선되어 국회에 복귀했고, 2013년 민주당 대표, 2014년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를 역임했다.[29][33] 2014년 7·30 재보궐선거 패배 후 대표직을 사퇴했다.[34]

2016년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합류했으나, 제20대 총선에는 불출마했다.[37] 국민의당바른미래당에 합당되는 과정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2018년 폐암 4기 선고를 받았으나, 치료를 통해 건강을 회복했다.[49]

2021년 윤석열 캠프의 새시대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39][40]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金ハンギル|김한길일본어은 1953년 9월 17일 일본 도쿄도에서 김철과 윤초옥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모는 함경북도 출신이며, 본관은 김녕이다.[44] 7세 때 부모와 함께 대한민국에 귀국하여 서울덕수초등학교를 다녔다. 1976년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여자고등학교에서 잠시 교편을 잡았다.[44]

2. 2. 작가 및 언론인 활동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중앙여자고등학교에서 잠시 교편을 잡았다. 1981년 소설 《바람과 박제》가 문학사상에서 소설부문 신인상을 수상하며 등단했다.[44] 미국으로 건너가 한국일보중앙일보에서 기자와 지사장을 지냈다. 귀국 후에는 강원룡 방송위원장을 보좌하며 기획국장, 사무총장 서리를 역임했다. 방송위 재직 당시에는 신문에 '여자의 남자'를 연재하며 소설가로 활동했다.[44]

1988년 조영남의 노래 '화개장터'를 작사했다. 1993년부터 MBC의 《김한길과 사람들》을 진행하며 방송 활동을 했다.[45]

2. 3. 정계 입문

1996년 초, 김대중이 총재로 있던 새정치국민회의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같은 해 4월에 치러진 제15대 총선에서 전국구 의원으로 당선되었다.[44] 그 전에는 제14대 총선통일국민당 소속으로 동작구 을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45] 이후 제14대 대선에 출마한 정주영의 공보특별보좌관을 맡아 홍보 전략을 총괄했다.[46][47] 1997년 말 김대중의 대통령 당선 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 문화관광부 장관 등을 역임했다. 2002년 말 대선에서는 노무현 후보(새천년민주당)와 정몽준 후보(국민통합21)의 단일화에 힘썼다. 2004년 4월 제17대 총선에서 3선에 성공한 후 2006년 1월 열린우리당 원내대표에 취임했다.[22]

2007년 2월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같은 해 6월 중도통합민주당(민주당과 열린우리당 탈당파가 합쳐 결성)의 공동대표가 되었다.[23][24] 같은 해 말 대선에서 대통합민주신당(열린우리당의 후계 정당)의 정동영 후보가 패배한 책임을 지고, 이듬해 2008년 4월 제18대 총선에는 불출마를 선언했다.[25] 그러나 2012년 4월 제19대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민주통합당이 여당 새누리당에 패배한 책임을 지고 사퇴한 한명숙 대표의 후임을 결정하는 지도부 선거에 출마하여 지역 순회를 통해 진행된 대의원 투표에서는 친노(친노무현)계에 반발하는 비노(비노무현)계의 지지를 받아 1위를 차지했지만, 당원·시민선거인단 모바일 투표를 포함한 최종 결과에서는 친노계 이해찬이 0.5%p 차이로 1위를 차지하여 김한길은 최고위원이 되었다.[26] 11월 1일, 당 지도부 쇄신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최고위원직을 사퇴했다.[27]

2013년 3월 24일, 5월 4일 전당대회에서 치러질 당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28] 당원과 대의원 투표 및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통해 진행된 선거 결과, 범주류인 이용섭을 누르고 민주당(민주통합당에서 당명 개칭)의 새 대표로 선출되었다.[29]

2014년 3월 2일, 신당(새정치연합) 결성을 추진하던 안철수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6월에 예정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통합하여 신당을 결성할 것을 선언했다.[31] 같은 달 16일 통합 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약칭: 새정치연합)의 창당 발기인 대회에서 결성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32] 같은 달 26일 창당대회에서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33] 그러나 같은 해 7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15개 선거구 중 4개 선거구 승리에 그치는 참패를 한 책임을 지고 7월 31일 사퇴를 선언했다.[34]

2016년 1월, 더불어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에서 당명을 변경한 정당)을 탈당하고, 새정치연합을 탈당한 안철수가 결성을 추진하는 신당에 참여할 것을 밝혔다.[35] 2016년 2월 발족한 국민의당에서는 선거대책위원장에 취임했다.[36] 그러나 3월 17일, 같은 해 4월 제20대 총선 야당 간의 선거 협력이 실패한 책임을 지고 총선 출마를 포기했다.[37]

2. 4. 김대중 정부 시절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1998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비서관을 거쳐 문화관광부 장관을 역임했다. 장관 재임 기간 동안 일본문화개방,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21세기 새로운 한일파트너십 공동선언) 기획, 문화콘텐츠진흥원 및 한국문학번역원 설립 등을 주도했다.[44] 특히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논란 당시에는 도야마 아츠코 일본 문부과학상과 장관 회담을 갖고 교과서 재수정을 요구하기도 했다.[44]

2000년부터 2001년까지 문화관광부 장관으로서 2001년 3월 10일 북한을 방문, 관광 및 문화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3][4] 방북 후 김한길은 200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으나, 북한은 3월 말 "합의 미비 및 준비 문제"를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5]

2. 5. 노무현 정부 시절

김한길은 17대 국회 전반기 건설교통위원장을 지냈고, 국회 신행정수도후속대책특위 위원장을 역임하며 정부기관 세종시 이전 작업의 밑그림을 그렸다.[44] 2006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나간 정세균 의원의 후임으로 열린우리당 원내대표에 선출되어 노무현 정부의 여당을 이끌었다.[44] 2007년에는 친노패권주의와 운동권 중심 정치에 반발하여 당내 중도·보수성향 의원들(김한길계)과 함께 탈당하고 중도개혁통합신당을 창당, 대표로 취임했다.[44] 중도개혁통합신당은 이후 중도통합민주당, 민주통합당 등으로 이어졌다. 2008년 1월 6일,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노무현 프레임 극복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서민과 중산층을 위한 정치가 실패한 데 대한 책임을 지겠다"라고 선언하며 제18대 총선 불출마를 약속했다.[44]

2. 6. 이명박 정부 시절

2021년 11월 윤석열 대통령 후보 캠프의 새시대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3월 윤석열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국민통합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39]

2. 7. 민주통합당 시절

2012년 4월 11일에 열린 제19대 총선광진구 갑에서 당선되었다.[45] 같은 해 6월 9일 실시된 민주통합당 전당대회에서 8명의 후보 중 근소한 차이로 2위(1위 이해찬)를 하여 최고위원이 되었다.[26] 이후 이해찬 민주통합당 대표는 18대 대선 실패에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2013년 5월 4일 실시된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대표로 선출되었다.[29]

2. 8.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2014년 3월 2일, 안철수가 신당(신정치연합) 창당을 추진하자, 김한길은 기자회견을 열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과 신정치연합의 통합 신당 결성을 선언했다.[31] 같은 달 16일, 통합 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 창당 발기인 대회에서 김한길은 결성준비위원회 공동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32] 26일 창당대회에서는 안철수와 함께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7][33] 그러나 같은 해 7월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15개 선거구 중 4곳만 승리하는 참패를 당하자, 김한길은 7월 31일 안철수와 함께 공동대표직에서 사퇴했다.[8][34]

2. 9. 국민의당 시절

2016년 1월 3일, 안철수가 새정치민주연합의 후신인 더불어민주당을 떠난 후, 김한길은 안철수와 함께 새로운 국민의당 창당 멤버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다.[2] 2016년 총선을 앞두고 김한길은 더불어민주당과의 선거연대 필요성을 두고 안철수와 갈등을 빚었다.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2016년 3월 11일 선거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직에서 사퇴했고,[9] 안철수가 연대를 거부하고 공동위원장 천정배가 연대 가능성에서 물러서자 2016년 3월 17일 총선 출마를 포기했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한길은 국민의당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 선거 결과를 환영하며, 정권교체의 날이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11]

국민의당바른미래당에 합당하면서 바른정당과 합쳐지는 과정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2. 10. 윤석열 정부 시절

2021년 11월 윤석열 대통령 후보 캠프의 새시대준비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20] 2022년 3월 윤석열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국민통합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39] 이후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19][40]

3. 질병

2017년 10월, 김한길은 생존율 10%의 폐암 4기 진단을 받았다. 그는 한쪽 폐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았고, 수술 후 2주 동안 의식을 잃었다.[12][13]

4. 학력

5. 경력

6.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80년문학사상 신인상
2003년청조근정훈장
2013년백봉 라용균 선생 기념사업회 백봉신사상


7. 방송 출연

8. 저서

출판 연도제목비고
1978년《병정일기》
1980년《대학일기》
1981년《바람과 박제》제15회 문학사상 신인발굴작품당선작(소설부문)
1981년《세네카의 죽음》
1984년《미국일기》
1989년《낙타는 따로 울지 않는다》
1991년《여자의 남자》(전3권)
1993년《눈뜨면 없어라》《미국일기》의 제1차 개정판
1995년《거기 그녀가 서 있는 걸 보았네》
1996년《아침은 얻어먹고 사십니까》
2000년《김한길의 희망일기》
2006년《눈뜨면 없어라》제2차 개정판
2011년《눈뜨면 없어라》제3차 개정판


9. 가족


  • 아버지: 김철
  • 어머니: 윤초옥
  • 형: 김밝힘 (기업인)
  • 동생: 김누리 (중앙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 배우자: 최명길
  • * 첫째 아들: 김어진
  • * 둘째 아들: 김무진

10.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92년총선통일국민당22,424표 (21.81%)3위낙선
1996년총선새정치국민회의4,971,961표 (25.3%)전국구 6번당선초선
2000년총선새천년민주당6,780,359표 (35.9%)비례대표 13번당선재선
2001년10.25 재보선새천년민주당23,411표 (42.74%)2위낙선
2004년총선열린우리당48,673표 (54.02%)1위당선3선
2012년총선민주통합당44,334표 (52.11%)1위당선4선


11. 정당

김한길은 1996년 새정치국민회의에 참여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새정치국민회의는 2016년까지 다양한 이름으로 존속한 주요 진보 정당이었다.[1][2] 2013년 민주당 대표가 되었고,[6] 2014년 3월에는 안철수새정치연합과 합당하여 새정치민주연합을 결성, 안철수와 함께 공동대표를 맡았다.[7]

2016년 1월, 안철수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후, 김한길은 안철수와 함께 국민의당 창당 멤버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다.[2] 이후 국민의당이 바른미래당에 합당되는 과정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2021년 말에는 윤석열 캠프에 합류하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국민통합위원장,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20][39][19][40]

참조

[1] 백과사전 Kim Han-gil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 뉴스 Former opposition leader leaves party https://www.koreatim[...] 2016-01-03
[3] 뉴스 Why is the minister going to Pyongyang? http://english.donga[...] 2001-03-08
[4] 뉴스 Two Koreas announce fifth round of talks http://edition.cnn.c[...] CNN 2001-03-07
[5] 뉴스 North Korea Tells South: No Ping-Pong https://www.nytimes.[...] 2011-03-29
[6] 뉴스 Kim Han-gil elected to head main opposition DP http://eng.ajunews.c[...] 2013-05-05
[7] 뉴스 Democratic Party Makeover! https://blogs.wsj.co[...] 2014-03-27
[8] 뉴스 Co-chairmen quit amid election rubble http://koreajoongang[...] 2014-08-01
[9] 뉴스 Kim Han-gil Resigns as Co-Chairman of People's Party Election Committee http://world.kbs.co.[...] KBS World Radio 2016-03-11
[10] 뉴스 Rep. Kim not to run in April elections https://www.koreatim[...] 2016-03-17
[11] 뉴스 김한길 "정권교체의 날 머지 않았다" http://www.moneyweek[...] 2016-04-14
[12] 웹사이트 그는 폐암 4기였다… 김한길의 특별한 1년 https://www.joongang[...] 2018-10-26
[13] 웹사이트 ‘폐암 4기 극복’ 김한길 “폐 한쪽 없다…2주간 의식불명” https://www.donga.co[...] 2019-11-26
[14] 간행물 ‘DJ의 리베로’ 김한길 문화관광부 장관(‘DJのリベロ’金ハンギル文化観光部長官) http://www.donga.com[...] 신동아 2000-11
[15] 웹사이트 김한길 “제가 누린 자리 중 제일 괜찮은 자리는 최명길 신랑 자리” https://www.joongang[...] 2020-10-21
[16] 웹사이트 김한길 선친 김철 전 사회당 당수 서거 기념 심포지움 20일 개최 https://www.news1.kr[...] 2014-11-18
[17] 웹사이트 이어령의 딸, 이민아의 삶 이야기 https://www.newsfree[...] 2015-05-31
[18]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19] 웹사이트 '창당 전략가' 김한길 "정계개편 구상 없다..尹 탈당도 없어야" https://www.fnnews.c[...] 2023-02-07
[20] 웹사이트 [뉴스썰기] 창당 전문가 김한길의 '다른 길'…국힘서 리모델링 착수? https://news.jtbc.co[...] 2021-11-22
[21] 뉴스 김한길 최고위원 프로필(金ハンギル最高委員プロフィール) http://news.chosun.c[...] 2012-06-09
[22] 뉴스 与党ウリ党 新院内代表に金ハンギル議員 http://rki.kbs.co.kr[...] 2006-01-24
[23] 뉴스 ウリ党議員23人が離党 ウリ党は第2党に http://rki.kbs.co.kr[...] 2007-02-06
[24] 뉴스 中道改革統合新党と民主党、「中道統合民主党」を結成 http://rki.kbs.co.kr[...] 2007-06-04
[25] 뉴스 「総選挙に出馬せず」大統合民主新党の金ハンギル議員 http://rki.kbs.co.kr[...] 2008-01-07
[26] 뉴스 民主統合党の新代表 李海瓚氏を選出 http://rki.kbs.co.kr[...] 2012-06-09
[27] 뉴스 民主統合党 最高委員が刷新訴え辞職 http://rki.kbs.co.kr[...] 2012-11-01
[28] 뉴스 김한길, 대표 출마선언 "계파패권주의 청산·당혁신"(金ハンギル、代表出馬宣言“系派覇権主義清算・党革新” http://www.yonhapnew[...] 2013-03-24
[29] 뉴스 民主統合党が民主党に党名変更 金ハンギル氏が党代表に http://world.kbs.co.[...] 2013-05-04
[30] 뉴스 韓国の最大野党代表ら独島訪問 日本の右傾化に警告 http://japanese.yonh[...] 2013-08-13
[31] 뉴스 「緊急」キム・ハンギル・安哲秀(アン・チョルス) "共同で統合新党創党 推進" 電撃宣言 http://japan.hani.co[...] 2014-03-02
[32] 뉴스 民主党・安哲秀氏による新党 名前は「新政治民主連合」 http://world.kbs.co.[...] 2014-03-16
[33] 뉴스 巨大野党誕生 安哲秀氏が共同代表に=韓国 http://japanese.yonh[...] 2014-03-26
[34] 뉴스 野党の共同代表2人 再・補選敗北で辞意表明 http://world.kbs.co.[...] 2014-07-31
[35] 뉴스 国最大野党の分裂加速へ 前共同代表が離党 http://japanese.yonh[...] 2016-01-03
[36] 뉴스 「国民の党」発足…安哲秀氏中心に議員17人 http://www.mindan.or[...] 민단 2016-04-30
[37] 뉴스 김한길 "야권연대 실패 책임" 불출마 선언 천정배 당무 복귀로 동력 상실, 국민의당 당내 입지도 좁아져(金ハンギル"野党連帯の失敗責任"不出馬宣言 千正培党務復帰に動力の喪失、国民の党党内の立場も狭くなって) http://www.kookje.co[...] 2016-03-17
[38] 웹사이트 김한길, 폐암 4기 극복 어떻게?…"신약 치료 덕분" https://www.hankyung[...] 2019-12-01
[39] 웹사이트 尹당선인 “국민통합위원장 김한길, 지역균형발전위원장 김병준” https://www.chosun.c[...] 2022-03-14
[40] 웹사이트 국민통합위원회 https://www.k-cohesi[...]
[41] 신문기사 김한길과 사람들 돌연 중단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995-12-28
[42] 웹사이트 김한길 의원 http://weekly.khan.c[...] 경향신문 2007-08-07
[43] Youtube 김한길-국민당.신한국당 https://www.youtube.[...] 커널씽크tv 2012-06-04
[44] 잡지 신임 청와대 정책기획수석 김한길 http://monthly.chosu[...] 월간조선 1999-04
[45] 신문기사 제14대 지역구 의원 당선자 및 득표현황 한겨레 1992-03-26
[46] 신문기사 교수·文人(문인)도 大選(대선)"머리싸움" 경향신문 1992-12-13
[47] 신문기사 "멋대로 하라"요청에 방송 맡아 BBS「아침저널」진행 김한길 동아일보 1993-08-28
[48] 뉴스인용 김한길 "야권연대 실패 책임" 불출마 선언 http://www.kookje.co[...] 2016-03-18
[49] 뉴스인용 '최명길 남편' 김한길, 폐암 4기 투병 "신약 치료로 완치도 가능"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8-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