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횡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횡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고구려 시대에는 횡천현으로 불렸으며 신라, 고려를 거쳐 1413년경 횡성으로 개칭되었다. 1895년 춘천부 횡성군으로 개편된 후, 1896년 강원도 횡성군이 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횡성한우가 유명하며, 홉 생산량은 전국 70%를 차지한다. 횡성읍을 중심으로 1읍 8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경강선 등 교통망이 발달했다. 주요 관광지로는 횡성한우축제, 웰리힐리파크, 횡성온천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횡성군 - 횡성읍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의 중앙에 위치한 횡성읍은 삼국시대에 횡천 또는 어사매라 불리다 조선 시대 횡성으로 개칭되었고 1979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20개가 넘는 법정리와 다양한 교육기관을 포함한다.
  • 횡성군 - 횡성교육도서관
    횡성교육도서관은 1982년 횡성군립도서관으로 개관하여 199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서 자료실, 어린이 자료실, 열람실을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 공휴일, 설날 및 추석 연휴에 휴관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고성군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 북부에 위치하며,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금강산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군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1895년 설치 - 서빙고동
    서빙고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법정동이며, 동빙고동, 주성동, 용산동6가와 함께 용산구의 중요 지역을 구성하고, 서빙고 부군당, 서빙고로, 서울서빙고초등학교, 서빙고역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며 반포대교, 동작대교를 통해 다른 지역과 연결되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을 통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 1895년 설치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횡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강원도 내 횡성군 위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횡성군
한자 표기橫城郡
로마자 표기Hoengseong-gun
행정 구역 종류
관할 지역관동
방언강원 방언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8면
횡성읍
우천면
안흥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서원면
강림면
면적
총 면적997.82 km²
인구
총 인구 (2024년 9월)46,238명
인구 밀도47명/km²
정치
군수김명기(국민의힘)
국회의원유상범(국민의힘, 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
상징
군목느티나무
군화함박꽃
군조백로
기타
홈페이지횡성군청
행정 구역 코드32320
횡성군청 전경
횡성군청 전경

2. 역사

대동여지도


고구려 시대에는 횡천현(橫川縣) 또는 어사매(於斯買)로 불렸다.[10][21] 신라 때에는 황천(潢川)으로 고치고 삭주(朔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가 고려에 와서 다시 횡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횡천과 홍천의 발음이 비슷하다 하여 1413년경부터 횡성으로 개칭하여 내려오다가 1895년 군으로 되었다.[21]

조선 중기에는 강원도 횡성현이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횡성군으로 개편하였다가,[11][22] 1896년 8월 4일 강원도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12][23]

1914년 4월 1일 8면(군내면, 우천면, 정곡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고모곡면)으로 개편하였다.[13][24] 1937년 군내면을 횡성면으로, 정곡면을 안흥면으로, 고모곡면을 서원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63년 1월 1일 영월군 수주면 일부를 안흥면에 편입하였다.[15][25]

1973년 7월 1일 홍천군 남면 상창봉리를 공근면으로, 우천면 3개리(조곡리·생운리·남산리)를 횡성면으로, 안흥면 7개리(하궁리·정금리·산전리·용둔리·상하가리·하대리·상대리)를 우천면, 안흥면 궁종리 및 갑천면 태기리가 둔내면, 갑천면 3개리(갑천리·유평리·고시리)가 청일면으로, 청일면 6개리(율동리·삼거리·전촌리·추동리·대관대리·병지방리)를 갑천면으로 편입하였다.[16][26] 1979년 5월 1일 횡성면이 횡성읍으로 승격하였다.[17][27]

1983년 2월 15일 서원면 매호리·산현리 및 압곡리 중 일부가 원성군(현 원주시) 호저면으로 편입되었고, 우천면 정암리·추동리가 횡성읍으로 편입되었다.[18][28] 1989년 4월 1일 안흥면 강림출장소(강림리, 부곡리, 월호리)를 강림면으로 승격하였다.[19][29] 2000년 1월 12일 갑천면 부동리를 삼거리에 합동하였다.[20][30]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구려 시대에는 횡천현(橫川縣) 또는 어사매(於斯買)로 불렸다.[10] 신라 때에는 황천(潢川)으로 고쳐 삭주(朔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가, 고려에 와서 다시 횡천이라 불리게 되었다. 횡천과 홍천의 발음이 비슷하여 1413년경부터 횡성으로 개칭되었고, 1895년 군으로 되었다.[21]

조선 중기에는 강원도 횡성현이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가,[22] 1896년 8월 4일 강원도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23] 1914년 4월 1일 8면(군내면, 우천면, 정곡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고모곡면)으로 개편되었다.[24]

1937년 군내면을 횡성면으로, 정곡면을 안흥면으로, 고모곡면을 서원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63년 1월 1일 영월군 수주면 일부를 안흥면에 편입하였고,[25] 1973년 7월 1일 홍천군 남면 상창봉리를 공근면으로, 우천면 3개리(조곡리·생운리·남산리)를 횡성면으로, 안흥면 7개리(하궁리·정금리·산전리·용둔리·상하가리·하대리·상대리)를 우천면, 안흥면 궁종리 및 갑천면 태기리가 둔내면, 갑천면 3개리(갑천리·유평리·고시리)가 청일면으로, 청일면 6개리(율동리·삼거리·전촌리·추동리·대관대리·병지방리)를 갑천면으로 편입하였다.[26]

1979년 5월 1일 횡성면이 횡성읍으로 승격하였다.[27] 1983년 2월 15일 서원면 매호리·산현리 및 압곡리 중 일부가 원성군(현 원주시) 호저면으로 편입되었고, 우천면 정암리·추동리가 횡성읍으로 편입되었다.[28] 1989년 4월 1일 안흥면 강림출장소(강림리, 부곡리, 월호리)를 강림면으로 승격하였고,[29] 2000년 1월 12일 갑천면 부동리를 삼거리에 합동하였다.[30]

2. 2. 근현대

고구려 시대에는 횡천현(橫川縣) 또는 어사매(於斯買)로 불렸다.[10][21] 신라 때에는 황천(潢川)으로 고치고 삭주(朔州)의 영현(領縣)이 되었다가 고려에 와서 다시 횡천이라 부르게 되었다. 횡천과 홍천의 발음이 비슷하다 하여 1413년경부터 횡성으로 개칭하여 내려오다가 1895년 군으로 되었다.[21]

조선 중기에는 강원도 횡성현이었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춘천부 횡성군으로 개편하였다가,[11][22] 1896년 8월 4일 강원도 횡성군으로 개편되었다.[12][23]

1914년 4월 1일 8면(군내면, 우천면, 정곡면, 둔내면, 갑천면, 청일면, 공근면, 고모곡면)으로 개편하였다.[13][24] 1937년 군내면을 횡성면으로, 정곡면을 안흥면으로, 고모곡면을 서원면으로 각각 개칭하였다. 1963년 1월 1일 영월군 수주면 일부를 안흥면에 편입하였다.[15][25]

1973년 7월 1일 홍천군 남면 상창봉리를 공근면으로, 우천면 3개리(조곡리·생운리·남산리)를 횡성면으로, 안흥면 7개리(하궁리·정금리·산전리·용둔리·상하가리·하대리·상대리)를 우천면, 안흥면 궁종리 및 갑천면 태기리가 둔내면, 갑천면 3개리(갑천리·유평리·고시리)가 청일면으로, 청일면 6개리(율동리·삼거리·전촌리·추동리·대관대리·병지방리)를 갑천면으로 편입하였다.[16][26] 1979년 5월 1일 횡성면이 횡성읍으로 승격하였다.[17][27]

1983년 2월 15일 서원면 매호리·산현리 및 압곡리 중 일부가 원성군(현 원주시) 호저면으로 편입되었고, 우천면 정암리·추동리가 횡성읍으로 편입되었다.[18][28] 1989년 4월 1일 안흥면 강림출장소(강림리, 부곡리, 월호리)를 강림면으로 승격하였다.[19][29] 2000년 1월 12일 갑천면 부동리를 삼거리에 합동하였다.[20][30]

2. 3. 횡성 고씨

고구려의 마지막 왕 보장왕의 아들 고인승(高仁承)을 중시조로 하는 횡성 고씨(橫城 高氏)의 관향이다.[31] 대한민국에서는 1824년 횡성 고씨 족보가 발견되어 시조가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임을 밝혔고, 이어 1995년과 2004년 강원일보의 보도기사로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졌다.[31]

3. 지리

횡성군은 영서 지방에 위치해 있다. 동부의 우천면, 안흥면 지역은 산세가 매우 험준하다. 동쪽으로는 영동고속도로 등을 경계로 평창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양평군, 남쪽으로는 치악산을 경계로 원주시영월군이, 북쪽으로는 중앙고속도로 등을 경계로 홍천군과 접한다. 횡성읍이 이 지역 대표적인 중심부이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동·북·남의 3면은 산맥에 포위되고 겨우 서쪽 1면만이 섬강(蟾江)에 의하여 트여 있다. 즉 동부 및 남부는 태백산맥오대산으로부터 분기된 차령산맥의 본맥이 뻗어 1,000m 이상의 매우 고준한 산이 되고 군 중앙부로 향하여 낮아져 있다. 산악으로는 태기산(1,264m), 청태산(1,190m), 봉복산(1,028m), 운무산(980m)이 동북방에 선을 이어 산맥을 이루고 북방으로는 수리봉(1,028m), 발교산(998.4m), 오음산(930m)의 900m 대의 산이 있고, 동방으로는 사자산(1,040m), 배향산(808m)의 산이 있고, 남으로는 치악산 국립공원 내의 남대봉(1,181.5m), 향로봉(1.040m), 비로봉(1,288m)과 매화산(1,084m)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성지(791m)이 최고 높은 산이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봉복산을 제외한 모든산이 군계와 접하고 있어 군을 둥글 게 산으로 감싸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32]

섬강(蟾江)의 곡지가 중앙에 있어 거기에 침식분지인 횡성분지가 넓게 서남쪽으로 트여 있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계로 되어 있다.

3. 1. 위치 및 지형

횡성군은 영서 지방에 위치해 있다. 동부의 우천면, 안흥면 지역은 산세가 매우 험준하다. 동쪽으로는 영동고속도로 등을 경계로 평창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양평군, 남쪽으로는 치악산을 경계로 원주시영월군이, 북쪽으로는 중앙고속도로 등을 경계로 홍천군과 접한다. 횡성읍이 이 지역 대표적인 중심부이다.

강원특별자치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동·북·남의 3면은 산맥에 포위되고 겨우 서쪽 1면만이 섬강(蟾江)에 의하여 트여 있다. 동부 및 남부는 태백산맥오대산으로부터 분기된 차령산맥의 본맥이 뻗어 1,000m 이상의 매우 고준한 산이 되고 군 중앙부로 향하여 낮아져 있다. 산악으로는 태기산(1,264m), 청태산(1,190m), 봉복산(1,028m), 운무산(980m)이 동북방에 선을 이어 산맥을 이루고 북방으로는 수리봉(1,028m), 발교산(998.4m), 오음산(930m)의 900m 대의 산이 있고, 동방으로는 사자산(1,040m), 배향산(808m)의 산이 있고, 남으로는 치악산 국립공원 내의 남대봉(1,181.5m), 향로봉(1.040m), 비로봉(1,288m)과 매화산(1,084m)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성지(791m)이 최고 높은 산이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봉복산을 제외한 모든산이 군계와 접하고 있어 군을 둥글 게 산으로 감싸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32]

섬강(蟾江)의 곡지가 중앙에 있어 거기에 침식분지인 횡성분지가 넓게 서남쪽으로 트여 있다. 지질은 주로 화강암과 화강편마암계로 되어 있다.

3. 2. 지질

횡성군은 경기 육괴 중동부에 위치해 있으나 지질은 대부분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남부의 안흥면만이 선캄브리아기 원생대에 형성된 편마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3. 3. 기후

횡성군은 내륙 산간에 위치하여 해양의 영향을 받지 않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며, 기온의 교차가 심하다. 연평균 기온은 10.7℃이며, 1월 평균 기온은 -6.3℃, 8월 평균 기온은 25.5℃이다. 역대 최고 기온은 1942년 7월 14일 41.5℃였고,[2] 최저 기온은 1927년 12월 31일 -29.8℃였다.[2] 연평균 강수량은 1,250mm이다.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Dwa)를 보이며, 이는 남서쪽 내륙 산악 지역의 위치를 반영한다. 1927년 12월 31일 기록된 최저 기온(-29.8℃)은 한국에서 기록된 5대 최저 기온 중 하나였다.[2]

4. 행정 구역

횡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8면, 175 행정리, 110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횡성군의 면적은 997.68km2이며, 인구는 2016년 9월을 기준으로 45,951명이고 그중 44.8%가 횡성읍에 거주한다. 예전에는 103,731명을 기록하기도 했고, 2006년 이후 인구가 계속 늘고 있다.[34]

읍면동한자인구세대면적행정 지도
횡성읍橫城邑20,4618,56972.41
400px
우천면隅川面4,5492,27894.80
안흥면安興面3,1641,34096.35
둔내면屯內面5,6402,715128.04
갑천면甲川面2,2881,214123.35
청일면晴日面2,3981,254133.63
공근면公根面3,6171,796129.3
서원면書院面2,1921,086123.43
강림면講林面1,64285896.37
횡성군橫城郡45,95121,110997.68



각 읍면별 관할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횡성읍읍상리, 읍하리, 북천리, 내리, 마옥리, 송다리, 궁천리, 옥동리, 영영포리, 개단리, 마산리, 조곡리, 생운리, 남산리, 교항리, 립석리, 청룡리, 묵계리, 곡교리, 초평리, 반곡리, 갈풍리, 학곡리, 가담리, 추동리, 정암리
우천면두곡리, 용둔리, 연암리, 상하가리, 정금리, 하궁리, 상대리, 하대리, 오원리, 백달리, 우항리, 양적리, 법주리, 문암리
안흥면안흥리, 가천리, 송한리, 상안리, 지구리, 소사리, 성산리
강림면강림리, 부곡리, 월현리
둔내면현천리, 둔방내리, 영랑리, 조항리, 우용리, 두원리, 자포곡리, 석문리, 섬교리, 마암리, 화동리, 궁종리, 태기리
갑천면중금리, 부동리, 화전리, 구방리, 포동리, 매일리, 하대리, 상대리, 율동리, 삼거리, 천촌리, 추동리, 대관대리, 병방리
청일면봉명리, 속실리, 춘당리, 유동리, 초현리, 유평리, 갑천리, 고시리, 신대리
공근면상동리, 부창리, 어둔리, 공근리, 가곡리, 삼배리, 청곡리, 행정리, 상창봉리, 창봉리, 도곡리, 초원리, 학담리, 매곡리, 오산리, 수백리, 덕촌리, 신촌리
서원면창촌리, 압곡리, 옥계리, 석화리, 유현리, 금대리


5. 교통

5·6번 국도가 교차하고 우천면, 안흥면을 통과하는 42번 국도가 있다. 영동고속도로가 군의 중앙을 횡단하고 중앙고속도로가 종단한다. 횡성군은 독자적으로 군내버스를 운영하지 않으며 원주시 시내버스가 횡성을 연장하는 형식으로 운행한다. 2017년에는 경강선이 군내를 관통하여 횡성역, 둔내역이 신설되고 서울과 횡성을 40분에 이어 줄 수 있게 되어 서울로의 접근이 편리해진다.







35px
경강선이 횡성군을 지나간다.

만종역에서 둔내역 사이에 횡성역이 있다.

횡성읍에 원주공항이 있으며 제주국제공항으로 주 14회(하루 왕복 2회) 운항한다. 대한항공만 운항하며, 다른 항공사는 운항하지 않는다. 비행기 활주로는 따로 만들어지지 않았고, 근처 공군 부대까지 셔틀버스로 이동한 후 공군 부대 활주로에서 비행기가 이착륙한다. 원주공항 터미널 건물은 양성군 양성읍 곡교리에 위치하며, 시간표에는 "원주/양성"으로 표기되어 있다.

25px
횡성시외버스터미널
횡성읍 읍하리에 있으며, 시외 버스를 운행한다.



횡성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동서울터미널까지는 하루 7회, 부산종합버스터미널까지는 하루 11회, 대구와 대전까지는 각각 하루 15회 운행한다.

5. 1. 도로

wikitext






5. 2. 철도

경강선이 횡성군을 지나간다.

만종역에서 둔내역 사이에 횡성역이 있다.

5. 3. 항공

횡성읍에 원주공항이 있으며 제주국제공항으로 주 14회(하루 왕복 2회) 운항한다. 대한항공만 운항하며, 다른 항공사는 운항하지 않는다. 비행기 활주로는 따로 만들어지지 않았고, 근처 공군 부대까지 셔틀버스로 이동한 후 공군 부대 활주로에서 비행기가 이착륙한다. 원주공항 터미널 건물은 양성군 양성읍 곡교리에 위치하며, 시간표에는 "원주/양성"으로 표기되어 있다.

5. 4. 버스

횡성시외버스터미널횡성읍 읍하리에 있으며, 시외 버스를 운행한다.



횡성시외버스터미널에서 동서울터미널까지는 하루 7회, 부산까지는 하루 11회, 대구와 대전까지는 각각 하루 15회 운행한다.

6. 산업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인구의 약 68%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고, 서비스업·상업 등이 겨우 10%를 차지하는 전형적인 농업군이다.

특산물인 더덕무침


==== 농업 ====

비교적 농토가 넓으나 산간지이므로 밭이 많고 유축 농업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육우단지가 있다. 양잠이 성하여 도내 상위이며, 매년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또, 크고 맛이 좋은 횡성 밤의 명산지로 이름이 높다. 그리고 영동고속도로 연변에는 유실수 단지, 채소·화훼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경지 면적 약 156km2 중 논밭비율은 38:62로 밭이 대단히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감자·콩·메밀·담배·누에고치 등이다. 특히 은 전국 총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한우·감자·더덕·찐빵·건고추·참기름·들기름·누룽지밥·솔잎진송엑기스·옹기독 전통장류·고랭지토마토·고랭지/절인 배추·양송이·하향주 등이 유명하다. 횡성군의 한우는 '''횡성한우'''라는 이름의 고급 한우로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지리적표시제를 통해 보호받고 있다. 횡성 한우(Han-u영어)는 한국에서 널리 판매되고 유명한 한국 소고기이다.[4] 횡성군은 1995년부터 한국 최고 품질의 소고기 원산지로서 브랜드화하기 위한 전략적 마케팅 캠페인을 시작했다.[4] 소의 근육은 논밭에서의 일을 통해 발달하며,[4] 소고기 세트는 서울과 다른 대도시의 백화점으로 배송된다. 최근에는 교통 인프라 개선으로 비용이 절감되었다.[5]

==== 광공업 ====

횡성군에는 금, 은, 동, 철, 망간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 청일면에 있는 금광과 공근면에 있는 철광은 군의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대동 철광에서는 앞으로 40년을 더 채광할 수 있다고 한다. 공업으로는 양곡 가공업, 요업, 제재업 등이 있으며, 갈포벽지 공장은 주로 수출품을 생산하여 외화를 획득한다.

2005년부터 풍력 발전단지 건설 계획이 시작되어 2008년 1월에 첫 번째 단지가 완공되었다.[7] 2009년 이후 횡성군은 일본 개발업체인 유러스에너지(Eurus Energy)와 포스코(POSCO)가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발전소 설치를 계획하고 시행했다.[7] 횡성군에 9기, 평창군(11기)에 총 20기의 발전소가 설치되어있다.[7]

6. 1. 농업

비교적 농토가 넓으나 산간지이므로 밭이 많고 유축 농업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으며 육우단지가 있다. 양잠이 성하여 도내 상위이며, 매년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또, 크고 맛이 좋은 횡성 밤의 명산지로 이름이 높다. 그리고 영동고속도로 연변에는 유실수 단지, 채소·화훼단지를 조성하고 있다. 경지 면적 약 156km2 중 논밭비율은 38:62로 밭이 대단히 많다. 주요 농산물은 쌀·옥수수·감자·콩·메밀·담배·누에고치 등이다. 특히 은 전국 총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한우·감자·더덕·찐빵·건고추·참기름·들기름·누룽지밥·솔잎진송엑기스·옹기독 전통장류·고랭지토마토·고랭지/절인 배추·양송이·하향주 등이 유명하다. 횡성군의 한우는 '''횡성한우'''라는 이름의 고급 한우로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지리적표시제를 통해 보호받고 있다. 횡성 한우(Han-u)는 한국에서 널리 판매되고 유명한 한국 소고기이다.[4] 횡성군은 1995년부터 한국 최고 품질의 소고기 원산지로서 브랜드화하기 위한 전략적 마케팅 캠페인을 시작했다.[4] 소의 근육은 논밭에서의 일을 통해 발달하며,[4] 소고기 세트는 서울(Seoul)과 다른 대도시의 백화점으로 배송된다. 최근에는 교통 인프라 개선으로 비용이 절감되었다.[5]

6. 2. 광공업

횡성군에는 금, 은, 동, 철, 망간 등이 매장되어 있으며, 청일면에 있는 금광과 공근면에 있는 철광은 군의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대동 철광에서는 앞으로 40년을 더 채광할 수 있다고 한다. 공업으로는 양곡 가공업, 요업, 제재업 등이 있으며, 갈포벽지 공장은 주로 수출품을 생산하여 외화를 획득한다.

2005년부터 풍력 발전단지 건설 계획이 시작되어 2008년 1월에 첫 번째 단지가 완공되었다.[7] 2009년 이후 횡성군은 일본 개발업체인 유러스에너지(Eurus Energy)와 포스코(POSCO)가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에 발전소 설치를 계획하고 시행했다.[7] 횡성군에 9기, 평창군(11기)에 총 20기의 발전소가 설치되어있다.[7]

7. 문화·관광


  • 중금리 삼층석탑
  • 청태산자연휴양림
  • 횡성향교
  • 우리별천문대
  • 강원쥬라기랜드
  • 횡성자연휴양림
  • 둔내자연휴양림
  • 횡성생활체육공원
  • 둔내종합체육공원
  • 어답산
  • 웰리힐리파크
  • 횡성한우축제(橫城韓牛祭り): 매년 10월 상순에 열리는 횡성 한우 축제이다. 무료 시식회와 농촌 체험 등을 진행한다.
  • 둔내성우리조트(屯内星宇リゾート): 20개 코스를 갖춘 스키장을 비롯하여 2,000명 수용 규모의 호텔, 온수 풀, 볼링장 등이 갖춰진 대규모 리조트 시설이다. 2009년에는 스노보드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종가김치공장(宗家キムチ工場): 직원 300명 규모의 김치 공장으로, 엄선된 재료만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수제 방식으로 김치를 생산한다. 일본, 중국, 유럽 등 해외에도 수출하고 있으며, 19년 연속 국내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횡성온천(横城温泉): 온천에서 호반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 사우나, 옥로 사우나, 마사지탕 등이 있는 아담한 분위기의 온천이다. 갑천면에 위치한다.

7. 1. 축제

2004년부터 횡성의 대표 브랜드인 한우를 내세워 횡성한우축제가 열리고 있다. 횡성한우축제는 매년 10월 상순에 열리는 횡성 한우 축제로, 무료 시식회와 농촌 체험 등을 진행한다.[35] 횡성군은 지역 특산품인 더덕을 명품화하기 위해 생산지를 넓히고 더덕 캐기 영농 체험 행사를 비롯해 가공 산업을 육성해 나가는 등 전국 최대 더덕 주산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35] 횡성에서는 횡성한우축제, 안흥찐빵축제, 더덕축제, 횡성회다지소리민속문화제, 둔내고랭지토마토축제 등이 열린다. 이 중 횡성한우축제가 가장 규모가 크고, 둔내고랭지토마토축제, 안흥찐빵축제가 그 뒤를 잇는다.

7. 2. 휴양 시설

횡성 지역은 위치적 특성 덕분에 광활한 산림 지역을 자랑하며, 4곳 이상의 산림 휴양 시설이 운영 중이다.[6] 숲은 인공 조림지와 자연림이 혼합되어 있으며, 노루, 멧돼지, 토끼를 비롯한 다양한 야생 동물들이 서식한다.[6]

웰리힐리파크는 20개 코스를 갖춘 스키장, 2,000명 수용 규모의 호텔, 온수 풀, 볼링장 등을 갖춘 대규모 리조트 시설이다. 2009년에는 스노보드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6] 횡성온천은 호반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 사우나, 옥로 사우나, 마사지탕 등이 있는 아담한 분위기의 온천으로, 갑천면에 위치한다.[6]

7. 3. 기타

횡성군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 및 축제가 있다.

  • 중금리 삼층석탑
  • 청태산자연휴양림
  • 횡성향교
  • 우리별천문대
  • 강원쥬라기랜드
  • 횡성자연휴양림
  • 둔내자연휴양림
  • 횡성생활체육공원
  • 둔내종합체육공원
  • 어답산
  • 웰리힐리파크
  • 횡성한우축제(橫城韓牛祭り): 매년 10월 상순에 열리는 횡성 한우 축제이다. 무료 시식회와 농촌 체험 등을 진행한다.
  • 둔내성우리조트(屯内星宇リゾート): 20개 코스를 갖춘 스키장을 비롯하여 2,000명 수용 규모의 호텔, 온수 풀, 볼링장 등이 갖춰진 대규모 리조트 시설이다. 2009년에는 스노보드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기도 했다.
  • 종가김치공장(宗家キムチ工場): 직원 300명 규모의 김치 공장으로, 엄선된 재료만을 사용하여 전통적인 수제 방식으로 김치를 생산한다. 일본, 중국, 유럽 등 해외에도 수출하고 있으며, 19년 연속 국내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횡성온천(横城温泉): 온천에서 호반의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곳에 위치하며, 황토 사우나, 옥로 사우나, 마사지탕 등이 있는 아담한 분위기의 온천이다. 갑천면에 위치한다.

8. 군사

대한민국 공군의 제8전투비행단이 인근의 원주시 소초면에 주둔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육군의 36사단 예하의 일부 부대가 이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9. 교육

횡성군에는 송호대학교한국골프과학기술대학교와 같은 사립 전문대학과 민족사관고등학교, 갑천고등학교, 둔내고등학교, 안흥고등학교, 횡성고등학교, 횡성여자고등학교와 같은 고등학교들이 있다.

민족사관 고등학교

10. 자매 도시

횡성군은 대한민국 내외의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8]

국가지역도시체결일
대한민국서울특별시서초구1997년 9월 1일
대한민국서울특별시금천구2008년 5월 22일
일본돗토리현야즈시2005년 10월 19일
중국저장성 타이저우린하이2005년 11월 6일
일본시즈오카현가케가와2011년 11월 25일


11. 출신 인물

횡성군 출신 유명인으로는 슈퍼주니어의 김희철과 이형택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Climate of Hoengseong
[3] 뉴스 http://www.kwnews.co[...]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hansik.or[...] 2011-11-09
[5] 뉴스 백화점 '실속형' 선물세트 인기 Seoul Economy 2008-01-23
[6] 웹사이트 Hoengseong-gun http://www.hsg.go.kr[...] 2008-01-26
[7] 뉴스 태기산 풍력발전단지 3월께 착공 http://www.kwnews.co[...] 2009-03-01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www.clair.or.[...]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기타
[1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2]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4] 기타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 1917-01-01
[15]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의 폐치에 관한 법률 1962-11-21
[16]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73-03-12
[17]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8]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의 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19] 법률 군조례 제1254호 1989-03-29
[20] 법률 군조례 제1705호 2000-01-12
[21] 기타
[22]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3]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24]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25]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6]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7]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8]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9] 법률 군조례 제1254호 1989-03-29
[30] 법률 군조례 제1705호 2000-01-12
[31] 뉴스 언중언 고구려 고씨 http://www.kwnews.co[...] 강원일보 2004-01-29
[32] 웹사이트 횡성군 소개, 위치와 면적 http://www.hsg.go.kr[...] 2012-04-19
[33] 웹사이트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34] 웹사이트 횡성군의 인구 http://www.hsg.go.kr[...] 2012-04-12
[35] 비디오 횡성홍보영상, 다큐멘터리 1부
[36] 백과사전 사이타마시 통합 2001-05-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