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주선은 1911년 평양에서 태어나, 일본 도쿄 고등양재학원을 졸업하고, 8·15 광복 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 국립과학박물관 공예연구실장을 지냈으며, 평생 수집한 전통 복식 및 민속 유물 3,365점을 단국대학교에 기증했다. 단국대학교는 이를 바탕으로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을 개관했다. 1961년부터 1977년까지 문화재 위원, 1981년부터 1986년까지 방송 자문위원 등을 역임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1996년 사망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복식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석씨 - 석주명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 한국에서 활동한 생물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석주명은 한국 나비 분류 연구의 선구자로서 160만 마리 이상의 배추흰나비 분석을 통해 한국산 나비의 종류를 정정하고 고유 이름을 짓는 데 기여했으며, 제주도 방언 연구와 에스페란토 보급에도 힘썼다.
  • 민속학자 - 손진태
    손진태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의 역사학자이자 민속학자로, 조선민속학회 설립, 《조선민속》 창간 등 활발한 학문 활동을 펼쳤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문교부 차관보를 역임하고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제 강점기 친일 활동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 민속학자 - 정병욱
    정병욱은 한국 국문학자이자 서울대 국문학과 교수로,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원고 보관, 한국 고전문학 연구 및 판소리 보존·대중화 기여, 하버드·파리대학교 초빙교수 활동 등 한국 문학 발전에 헌신한 공로로 여러 상을 수상하고 그의 가옥은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석주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석주선
석주선
출생일1911년 9월 17일
출생지평양
사망일1996년 3월 3일
사망지천안
친척석주명(오빠)
한국어 이름 정보
한글석주선
한자石宙善
로마자 표기Seok Ju-seon
매큔-라이샤워 표기Sŏk Chu-sŏn
학자 정보
이름석주선
출생일1911년 9월 17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평양부
사망일1996년 3월 3일
사망지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
장르전통민속복식사학 저술
국적대한민국
필명아호: 난사(蘭斯)
학력일본 도쿄 고등양재학원 전문학사
직업전통복식학자, 복식연구가, 복식사학자, 민속학자, 교육자, 대학 교수, 저술가
종교천주교(세례명 : 마리아)
소속前 동덕여자대학교 명예교수
단국대학교 석좌교수
前 세종대학교 석좌교수
배우자심학진
활동 기간1932년 ~ 1996년
부모석승서(부), 김의식(모)
친척석주명(오빠), 석윤희(조카)
분야전통복식학자, 복식사학, 민속학
수상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 생애

1911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다. 1930년 평양 명륜여자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옷을 공부했다. 1941년 도쿄 고등양재학원을 졸업하고, 1945년 광복 전까지 이 학원의 교수로 재직했다. 1950년까지 국립과학박물관 공예연구실장을 지냈다.[10] 1996년 3월 3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2. 1. 유물 기증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석주선 박사는 평생 동안 연구하고 수집한 전통 복식 및 민속 유물 3,365점을 단국대학교에 기증하였다. 기증 유물 중에는 17세기 순조의 셋째 딸 덕온공주의 복(중요민속자료 제1호), 심동신금관조복(중요민속자료 제2호), 항아당의(중요민속자료 제213호), 광해군비 중궁 유씨의 당의(중요민속자료 제215호) 등 당의와 생활 유품 같은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가 포함되어 있었다.[10]

단국대학교1981년 5월 2일 석주선 박사가 기증한 유물을 바탕으로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이후 1999년 3월 1967년 11월 3일 개교 20주년 기념으로 개관한 '단국대학교 부속 박물관'과 통합하여 '석주선기념박물관(石宙善紀念博物館)'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1]

석주선기념박물관은 석주선 박사가 기증한 한복을 중심으로 중앙박물관과 통합되면서 동아시아 고전 미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 9,421점의 국내 최대 복식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귀중한 문화재가 많이 있다.[11]

2. 2. 학문적 업적과 사회 활동

석주선은 1941년 일본 도쿄(東京) 고등양재학원을 졸업하고, 8·15 광복 전까지 도쿄 고등양재학원의 교수로 재직하였다. 1950년까지 국립과학박물관 공예연구실장을 지냈으며, 항상 후학 교육 시 실증적인 유물을 뒷받침하여 가르쳤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일생 동안 연구하고 수집한 전통복식 및 민속 유물 3,365점을 기증하였는데, 특히 17세기 순조의 삼녀 덕온공주의복(중요민속자료 제1호), 심동신금관조복(중요민속자료 제2호), 항아당의(중요민속자료 제213호), 광해군비 중궁 유씨의 당의(중요민속자료 제215호) 등 당의와 생활유품 같은 국가지정 중요민속자료를 보관하다 단국대학교에 기증하였다. 단국대학교1981년 5월 2일 별도의 박물관을 세워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을 개관하였다. 1999년 3월에는 1967년 11월 3일 개교 20주년 기념일을 맞아 ‘단국대학교 부속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던 단국대학교 박물관과 통합되었다.

석주선 기념박물관은 그녀가 기증한 한복을 바탕으로 중앙박물관과 합치면서 동아시아 고전미술에 대한 연구를 펼치고 있다. 전통복식과 민속유물 3365점으로 출발, 현재는 9421점의 국내 최대 복식자료를 수장한 박물관답게 귀중한 문화재가 소장돼 있다.[11]

1961∼1977년 문화재 위원(문화부), 1981∼1986년 방송 자문위원(한국방송공사), 1983∼1995년 영정 심의위원(문화체육부), 1986∼1995년 민속자료평가 심의위원(국립민속박물관), 1983∼1995년 여성솜씨 전시회 심사위원(서울특별시), 1987∼1995년 신사임당 심사위원(주부클럽연합회), 1983∼1995년 한국 전통미술인회 자문위원 및 고문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3. 학력


  • 평안남도 평양 명륜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1930년)
  • 일본 도쿄 고등양재학원 전문학사 (1941년)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내역
1972년제1회 양서출판문화상 저술 부문 금상(경향신문사)
1973년제2회 교육공로상(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
1980년제20회 한국출판문화상 제작상(한국일보사)
1991년제23회 대한민국 예술문화상 문화 부문 은관문화훈장(문화부)


5. 저서

6. 기타

석주선과 관련된 내용 중 '기타' 섹션에 포함될 만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뉴스 Lee Young Hee designs modern hanboks that everyone can wear http://www.straitsti[...] 2017-06-04
[2] 웹사이트 Seok Juseon Memorial Museum (Korean) http://museum.dankoo[...]
[3] 서적 The History of Korean Dresses and Ornaments Pochinchae 1972
[4] 서적 Handicrafts of the Korean people Dahal Media 2009
[5] 뉴스 Seok Juseon Memorial Museum, Dankook University, South Korea - Google Arts & Culture https://www.google.c[...] 2017-06-02
[6] 뉴스 Coming Attraction: Philadelphia Museum Of Art Presents Treasures from Korea: Arts and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Opening Sunday, March 2 http://www.uwishunu.[...] 2017-06-04
[7] 간행물 100th special edition: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ttps://books.google[...] 2017-06-04
[8] 웹사이트 석주선 박사 http://100.naver.com[...] 두산백과
[9] 웹사이트 보석처럼 빛나는 한국 옷들의 흔적 http://weekly.hankoo[...]
[10] 뉴스 민속학자 석주선의 우리 옷 나라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9-01-26
[11] 뉴스 “한복의 멋 제대로 감상하세요”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2-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