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식은 수학적 관계를 나타내는 기호들의 조합으로, 수학의 중요한 표현 수단이다. 역사적으로는 문장으로 표현되다가 아라비아 숫자, 미지수, 연산 기호의 도입을 거쳐 17세기 무렵 현재와 같은 형태로 정착되었다. 수식은 숫자, 변수, 연산 기호 등으로 구성되며, 등식, 부등식, 다항식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수식의 계산은 연산의 우선순위에 따라 이루어지며, 형식 언어와 람다 계산을 통해 형식화될 수 있다. 컴퓨터 과학에서는 표현식을 평가하여 값을 얻는 방식으로 활용되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값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리식 - 추론 규칙
추론 규칙은 전제가 참일 때 결론이 필연적으로 참임을 보이는 논리적 도출 과정을 형식적으로 표현한 규칙으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명제 논리와 술어 논리에서 기본적인 추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고, 형식 체계의 핵심 요소이다. - 논리식 - 정리
정리는 논리학과 수학에서 공리를 바탕으로 증명된 참인 명제로서, "만약 A이면 B이다" 형태의 가정적 조건문으로 표현되며, 수학 외 다양한 분야에서도 사용되지만 수학에서의 엄밀한 증명과는 차이가 있다. - 추상대수학 - 직교
직교는 수학에서 수직으로 만나는 기하학적 개념에서 시작하여 내적 공간의 벡터 내적이 0이거나 가군과 쌍대 가군의 원소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성립하며, 직교 집합, 직교 기저, 직교 여공간 등의 구조를 정의하고 푸리에 급수, 상대성이론,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뿐 아니라 컴퓨터 과학, 통계학, 법률, 예술 등에서도 독립적인 요소나 개념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추상대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수식 | |
---|---|
개요 | |
![]() | |
분야 | 수학 |
유형 | 기호 표기법 |
세부 사항 | |
정의 | 수학적 대상과 연산자의 기호 조합 |
목적 | 수학적 관계, 계산 또는 알고리즘 표현 |
예시 | |
대수식 | x + y, 2a - 3b |
방정식 | x² + y² = r² |
부등식 | a < b, x ≥ 5 |
함수 | f(x) = x², y = sin(x) |
논리식 | (A AND B) OR (NOT C) |
수열 | 1, 4, 9, 16, ... |
행렬 | [1 2; 3 4] |
구성 요소 | |
상수 | 3, π (파이), e (자연 상수) |
변수 | x, y, z |
연산자 | +, -, ×, ÷, √, ∫, ∑ |
함수 | sin, cos, tan, exp, log |
괄호 | ( ), { }, [ ] |
첨자 및 위첨자 | x₁, aⁿ |
표기법 | |
접두사 표기법 (prefix notation) | 함수 이름 또는 연산자를 피연산자 앞에 표기 (+ 1 2) |
접미사 표기법 (postfix notation) | 함수 이름 또는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표기 (1 2 +) |
중위 표기법 (infix notation) |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표기 (1 + 2) |
활용 | |
수학 | 수학적 이론, 증명, 계산 |
과학 | 물리, 화학, 공학에서의 모델링 및 계산 |
컴퓨터 과학 | 알고리즘, 프로그래밍 언어 |
경제학 | 경제 모델, 통계 분석 |
통계학 | 통계 모델 및 분석 |
참고 | |
관련 개념 | 수학, 수학 기호, 공식, 알고리즘 |
2. 역사
수학적 관계를 식으로 나타내는 것은 근대 이후부터였다. 그 이전에는 세계 모든 문화에서 수학적 관계를 문장으로 나타냈다. 예를 들어 대수학의 기반을 마련한 알콰리즈미는 《복원과 소거의 과학》에서 를 “제곱과 근의 열 배는 39와 같다”라고 표현했다.[52] 피에르 드 페르마 역시 유명한 마지막 정리를 문장으로 서술했다.[53]
아라비아 숫자 사용, 미지수 도입, 연산 기호 도입 등 여러 사건들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수식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피보나치는 13세기 초 《계산서》에서 북아프리카 방식의 아라비아 숫자를 소개했다.[55] 1494년 루카 파촐리는 《산술집성》(Summa de Arithmetica)에서 미지수를 나타내는 문자로 이탈리아어 낱말 co(어떤 것이라는 의미)를 사용했다.[56] 이후 대수학에서 변수를 문자로 나타내는 방법이 발달하기 시작했고, 프랑수아 비에트는 미지수를 나타내기 위해 알파벳 모음을 사용했다.[57] 16세기 독일의 위드만은 《상업산술》에서 +, - 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영국의 레코드는 《지혜의 숫돌》에서 등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나눗셈 기호(÷), 곱셈 기호(×), 부등호 역시 이 시기의 영국 수학자들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했다.[58]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학에 도입된 수학 표기와 연산 기호들이 일반화되면서 수식 표현 역시 정형화되었고, 아이작 뉴턴이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를 출간한 17세기 무렵엔 수식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2. 1. 초기 기록
가장 초기의 기록된 수학은 나무나 돌에 새겨진, 각 표시가 1단위를 나타내는 눈금 표시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초창기 계산의 예시로는 나일 강 근처에서 발견되었으며 20,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샹고 뼈가 있는데, 이는 6개월의 음력 달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6] 고대 이집트 수학에서는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10의 거듭제곱에 기호를 할당하고, 움직이는 다리와 유사한 덧셈과 뺄셈 기호를 사용하는 기호 체계를 개발했다.[7][8] 이러한 체계는 린드 수학 파피루스(기원전 2000~1800년경)와 같은 텍스트에 기록되었으며, 다른 지중해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이와 유사한 체계가 발전하여, 쐐기 문자로 쓰인 점토판에 60진법(육십진법) 형식으로 숫자가 기록되었는데, 이는 기원전 3000년경 수메르인에게서 유래된 기술이다. 이 60진법 체계는 오늘날 시간과 각도를 측정하는 데에도 사용된다.2. 2. 생략된 단계
수학의 "생략된" 단계는 연산과 수량에 대한 기호 약어를 도입하여 기하학적 추론에서 벗어나는 전환점을 만들었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판토스는 ''산술''에서 생략 대수의 한 형태를 개척했다.[11] 7세기에 브라마굽타는 ''브라마스푸타시단타''에서 대수 방정식의 미지수를 나타내기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을 사용했다.2. 3. 기호적 단계와 초기 산술
이븐 알-반나 알-마라쿠시와 아부 알-하산 이븐 알리 알-칼라사디는 완전한 기호 대수로의 전환을 시작했으며, 이들은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연산 기호를 도입했다.[15][16][17] 더하기 기호(+)는 약 1351년경 니콜 오렘에 의해 나타났으며,[18] 라틴어 'et'(~와 그리고)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빼기 기호(−)는 1489년 요하네스 비드만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9] 루카 파치올리는 자신의 저서에 이 기호들을 포함시켰지만, 그 내용은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이전 기여에 크게 기반을 두었다. 제곱근을 나타내는 근호 (√)는 1500년대에 크리스토프 루돌프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우선 순위를 위한 괄호는 1556년 니콜로 타르탈리아에 의해 도입되었다. 프랑수아 비에트의 '새로운 대수학'(1591)은 현대적인 기호 조작을 공식화했다. 곱하기 기호 (×)는 윌리엄 오트레드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고, 나누기 기호 (÷)는 요한 란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르네 데카르트는 ''라 지오메트리''(1637)에서 대수 기호를 더욱 발전시켰으며, 여기에서 그는 알파벳의 마지막 문자(x, y, z)를 변수로 사용하고, 대수와 기하학을 연결하는 데카르트 좌표계를 도입했다.[20] 아이작 뉴턴과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17세기 후반에 독립적으로 미적분을 개발했으며, 라이프니츠의 표기법이 표준이 되었다.
3. 표기와 기호
수학 표기는 숫자와 같은 수학적 객체나 극한과 같은 개념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국제단위계에서 숫자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하며[59], 수학계에서는 미지수는 문자로, 지수는 첨자로, 극한이나 급수는 그에 해당하는 기호로 나타내는 등 표기가 나타내는 관습적인 의미가 확립되어 있으며, 사칙 연산을 비롯한 연산 기호 역시 따로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한 일반적인 용법이 확립되어 있다.[60] 이와 같은 용법에 따라 수식은 문장으로 풀어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2분의 1 더하기 3분의 2는 1과 6분의 1과 같다”로 읽는다.
4. 구조와 종류
수식은 등식, 부등식, 방정식, 항등식, 논리식 등으로 구성된다.[61] 다음의 식 ⓐ를 통해 수식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자.
: --- ⓐ
식 ⓐ는 등호를 기준으로 좌변과 우변으로 나뉘며, 두 식의 값이 같다는 것을 의미하는 등식이다. 좌변의 은 단항식이고, 우변의 , , 는 세 개의 항으로 이루어진 삼항식이다. 단항식 또는 여러 항으로 이루어진 식을 다항식이라고 한다. 식 ⓐ는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방정식이기도 하다. 실수 에 대해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방정식을 풀면, 라는 해를 얻을 수 있다.
방정식 ⓐ는 치환을 통해서도 풀 수 있다. 는 이므로 로 치환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미분이나 적분과 같이 수학적 개념을 포함하는 수식도 있다. 다음은 미분의 정의를 나타내는 수식이다.[62]
:
위 식에서 는 미분을, 는 함수를, 는 함수의 정의역에 속하는 임의의 원소를, 는 의 변화량을 의미한다. 는 변화량 가 으로 수렴한다는 의미이다. 즉, 위 식은 평균변화율의 극한을 취하여 함수 의 특정 지점 에서 순간변화율을 구하는 미분을 정의한다.
이 외에도 수식에는 부등식, 논리식과 같은 종류가 있다.
종류 | 설명 |
---|---|
등식 | 등호를 사용하여 두 식이 같음을 나타내는 식 |
부등식 | 부등호를 사용하여 두 식의 크기 관계를 나타내는 식 |
방정식 | 미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미지수의 값에 따라 참 또는 거짓이 되는 식 |
항등식 | 미지수에 어떤 값을 대입해도 항상 참이 되는 식 |
논리식 | 참 또는 거짓을 판별하는 식 |
4. 1. 대수식과 초월식
대수적 수, 변수, 그리고 대수적 연산(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및 유리수에 의한 지수)으로부터 구성된 식이다.[43] 예를 들어, 는 대수식이다. 제곱근을 취하는 것은 제곱하는 것과 같으므로 다음 식 또한 대수식이다.:
대수 방정식 및 대수적 폐포 참고.
대수식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거듭제곱근의 6가지 기호로 연결된 수식을 의미하며, 그 외의 식을 초월식이라고 한다.[50] 대수식에는 유리식과 무리식이 있다.[51]
단항식( 등)
다항식(나 등)
4. 2. 관계식
관계식에는 등식과 부등식이 있다.[51]4. 3. 기타 분류
- 완전 제곱식: 정수의 제곱으로 변환할 수 있는 식이다.[51]
- 대칭식: 앞뒤 문자를 바꿔도 같은 식이 되는 식이다.(나 등)[51]
- 교대식: 앞뒤 문자를 바꾸면 부호가 변하는 식이다.(나 등)[51]
5. 변수
수식에서 변수는 값이 변할 수 있는 숫자를 나타내는 문자이다. 변수는 독립 변수(자유 변수, 부정원)와 종속 변수(결합 변수)로 나뉜다. 독립 변수는 수식 자체에서는 값을 가지지 않지만, 외부에서 값이 주어지면 수식을 평가할 수 있게 한다. 종속 변수는 독립 변수의 값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된다.[22]
예를 들어, 라는 수식에서 `n`은 종속 변수이고, `x`는 독립 변수이다. 이 수식은 와 같다.
회귀 분석에서는 독립 변수를 설명 변수, 종속 변수를 응답 변수 또는 목적 변수라고 부른다.[49]
6. 연산의 우선 순위
수식에서 여러 가지 연산 기호가 함께 쓰이는 경우 혼란을 막기 위하여 연산의 우선순위를 둔다. 일반적으로 쓰여진 수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를 따른다. 목록의 앞쪽에 있는 연산의 우선순위가 높다.[37]
# 괄호 안쪽의 수식
# 지수 및 근호
# 곱셈과 나눗셈
# 덧셈과 뺄셈
아래는 연산의 우선 순위에 대한 예이다.
괄호 안의 수식은 어떤 경우에서든지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
아래와 같은 수식의 경우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곱하기와 나누기가 우선이고 그 다음이 더하기 또는 빼기를 하는 것이다.
:
부호보다 지수가 먼저 계산된다.
:
근호로 둘러싸인 수식은 먼저 계산한다.
:
분수형태에 갇혀있는 수식은 먼저 계산한다.
:
우선순위가 같은 연산은 앞에서부터 차례로 계산한다.
:
지수위의 지수가 있는 경우, 위쪽에 있는 지수의 우선순위가 높다.
:
7. 형식 언어와 람다 계산
형식 언어는 올바른 수식(well-formed expression영어)의 개념을 형식화할 수 있게 해준다.
1930년대에 알론조 처치와 스티븐 클레이니는 함수와 그 평가를 정식화하기 위해 "λ식"이라는 새로운 종류의 수식을 도입했다.[42] λ식은 수리 논리학 및 프로그래밍 언어 이론에서 사용되는 형식 체계인 λ 계산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임의의 두 람다식에 대한 '''동치성''' 판정은 결정 불가능한 문제이다. 이는 정수에서 시작하여 사칙 연산이나 지수, 로그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실수를 표현하는 수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리처드슨의 정리).
8. 정형식과 의미론
수식은 구문적으로 구성되어 정형식이어야 한다. 즉, 사용이 허용된 연산은 올바른 위치에 올바른 수의 인수를 가져야 하고, 이 인수들을 구성하는 문자열은 유효하며 연산 순서가 명확해야 한다.[36]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산술에서 식 '1 + 2 × 3'은 올바르게 정렬되어 있지만, '× 4)x + , / y'는 유효한 식이 아니다.
수식이 나타내는 의미를 연구하는 것이 의미론이다. 형식 의미론은 구문론적으로 올바른 문자열로 형식적으로 주어진 수식에 형식적으로 의미를 부여한다.
대수학에서 수식은 값을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값은 그 식에 나타나는 변수에 할당된 값에 의존할 수 있다). 이 값을 결정하는 문제는 수식을 구성하는 각 기호에 할당된 의미론에 따라 다르며, 의미론의 선택은 해당 수식이 속한 문맥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구문론적으로는 같은 식 '1 + 2 × 3'이라도 연산자 우선순위가 문맥에 따라 다르면 다른 값(7 또는 9)을 가질 수 있다.
9. 계산
계산은 잘 정의된 모든 유형의 산술 또는 비산술적 계산이다.[27] 튜링 머신은 잘 정의된 명제 또는 계산을 표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1] 계산의 일반적인 예로는 기본 산술과 컴퓨터 알고리즘의 실행이 있다. 예를 들어, 7에 6을 곱하는 것은 간단한 알고리즘 계산이다.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숫자의 제곱근 또는 세제곱근을 추출하는 것은 더 복잡한 알고리즘 계산이다.
다시 쓰기에서, 축약 전략은 주어진 축약 관계와 호환되는 각 객체 또는 항에 대한 다시 쓰기를 지정하는 관계이다. 다시 쓰기 전략은 모든 축약 가능한 하위 항 (redexes) 중에서 항 내에서 어떤 것을 축약('축약')해야 하는지를 지정한다. 가장 일반적인 시스템 중 하나는 람다 대수를 포함한다.
9. 1. 다항식 계산
다항식은 변수와 계수로 구성되며, 덧셈, 뺄셈, 곱셈 및 지수 연산만을 포함하며, 음이 아닌 정수 거듭제곱을 가지고, 유한 개의 항을 갖는다. 다항식 계산 문제는 실제로 자주 발생한다. 계산 기하학에서 다항식은 테일러 급수를 사용하여 함수 근사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암호학과 해시 테이블에서 다항식은 ''k''-독립 해싱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1]전자의 경우, 다항식은 정확하지 않은 부동 소수점 산술을 사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계산에 대한 다른 방식은 일반적으로 약간 다른 답을 제공한다. 후자의 경우, 다항식은 일반적으로 유한체에서 계산되며, 이 경우 답은 항상 정확하다.[1]
일변수 다항식 을 계산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번의 곱셈을 사용하여 을 계산하고, 번의 곱셈을 사용하여 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총 번의 곱셈과 번의 덧셈을 사용한다. 호너의 방법과 같은 더 나은 방법을 사용하면 이를 번의 곱셈과 번의 덧셈으로 줄일 수 있다. 일부 전처리가 허용되는 경우 훨씬 더 많은 절약이 가능하다.[1]
9. 2. 컴퓨터 과학에서의 표현식
컴퓨터 과학에서 표현식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값을 결정하기 위해 평가되는 구문 객체이다.[44][45] 표현식은 상수, 변수, 함수, 연산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프로그래밍 언어의 우선순위 규칙 및 결합 법칙에 따라 해석되고 계산되어 다른 값을 생성한다. 이 과정을 '평가'라고 한다.단순한 환경에서 결과 값은 문자열, 부울, 정수, 부동 소수점, 복소수와 같은 다양한 기본 형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컴퓨터 대수학에서 공식은 표현식에 나타나는 변수에 부여된 값에 따라 부울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8x-5 \geq 3\)은 x에 1보다 작은 값이 주어지면 '거짓' 값을, 그렇지 않으면 '참' 값을 갖는다.
수학적 표현식은 숫자와 변수를 제외하고 연산자 기호와 그 뒤에 오는 피연산자의 시퀀스로 볼 수 있다. 컴퓨터 대수학 소프트웨어에서 표현식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방정식은 "="를 연산자로 사용하는 표현식이고, 행렬은 "행렬"을 연산자로 사용하고 행을 피연산자로 하는 표현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참조
[1]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doi:10.1093/OED/4555[...]
[2]
서적
Set Theory and Logic
Dover Publications
[3]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doi:10.1093/OED/3423[...]
[4]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doi:10.1093/OED/1018[...]
[5]
간행물
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
https://www.seas.upe[...]
2020-04-29
[6]
서적
The Roots of Civilization
Colonial Hill, Mount Kisco, NY
[7]
서적
Encyclopædia Americana
https://books.google[...]
[8]
서적
Mathematical Excursion, Enhanced Edition: Enhanced Webassign Edition
https://books.google[...]
[9]
서적
Mathematics and Measurement
https://books.google[...]
[10]
웹사이트
Diophantine Equations
http://www.ms.uky.ed[...]
1999-02-16
[11]
문서
Revival and Decline of Greek Mathematics
[12]
문서
Revival and Decline of Greek Mathematics
[13]
서적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From Aristarchus to Diophantus
iarchive:bub_gb_7DDQ[...]
[14]
서적
A History of Greek Mathematics: From Aristarchus to Diophantus
iarchive:bub_gb_7DDQ[...]
[15]
웹사이트
al-Marrakushi ibn Al-Banna
[16]
서적
Mathematics: From the Birth of Numbers
https://archive.org/[...]
W. W. Norton
1997
[17]
웹사이트
Abu'l Hasan ibn Ali al Qalasadi
[18]
서적
Der Algorismus proportionum des Nicolaus Oresme
https://books.google[...]
S. Calvary & Company
1868
[19]
서적
A New System of Mercantile Arithmetic
iarchive:anewsystemm[...]
Edmund M. Blunt
1801
[20]
문서
[21]
웹사이트
1.1 Use the Language of Algebra - Intermediate Algebra 2e
https://openstax.org[...]
2024-10-14
[22]
서적
Model Theory
North Holland
[23]
웹사이트
Free variable
http://encyclopediao[...]
Springer
[24]
간행물
A Relational Model of Data for Large Shared Data Banks
https://www.seas.upe[...]
2020-04-29
[25]
웹사이트
Equation
http://encyclopediao[...]
[26]
웹사이트
Algebra
https://plato.stanfo[...]
Winter 2022
[27]
웹사이트
Definition of COMPUTATION
https://www.merriam-[...]
2024-10-12
[28]
서적
la Logique de Leibniz a'Après des Documents Inédits
Paris
1901
[29]
서적
The Universal Computer
W. W. Norton & Company
2000
[30]
서적
Computability & Unsolvability
Courier Corporation
1982-01-01
[31]
뉴스
On Computable Numbers, with an Application to the Entscheidungsproblem
http://www.comlab.ox[...]
[32]
서적
The Universal Computer
W. W. Norton & Company
2000
[33]
간행물
Why there is no such discipline as hypercomputation
[34]
서적
Theory and Practice of Computation
https://books.google[...]
2021-08-21
[35]
서적
Essentials of Programming Languages
The MIT Press
2008
[36]
서적
Set Theory and Logic
Dover Publications
[37]
웹사이트
Well-Defined
http://mathworld.wol[...]
From MathWorld – A Wolfram Web Resource
2013-01-02
[38]
웹사이트
Well-Defined
http://mathworld.wol[...]
From MathWorld – A Wolfram Web Resource
2013-01-02
[39]
웹사이트
Operator Precedence and Associativity in C
https://www.geeksfor[...]
2019-10-18
[40]
서적
Model Theory
North Holland
[41]
서적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Logic
Springer London
[42]
간행물
A set of postulates for the foundation of logic
[43]
서적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s://archive.org/[...]
Gulf Professional Publishing
[44]
문서
Concepts in Programming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문서
Programming Languages - Principles and Paradigms
Springer London
[46]
학위논문
The Feasibility of Automatic Storage Reclamation with Concurrent Program Execution in a LISP Environment
https://commons.wiki[...]
1985-12
[47]
서적
Introduction To Modern Algebra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48]
서적
A first course in abstract algebra
https://archive.org/[...]
Boston : Addison-Wesley
2003
[49]
문서
[50]
문서
『新修百科辞典』
三省堂
[51]
문서
改訂2版 電験2種電気数学
電気書院
[52]
문서
문제해결로 살펴본 수학사
경문사
[53]
문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영림카디널
[54]
문서
[55]
문서
Zero: The Biography of a Dangerous Idea
Penguin Books
[56]
문서
수학의 천재들
경문사
[57]
문서
A First Course in Abstract Algebra
Addison-Wesley
[58]
문서
명화와 함께 떠나는 수학사 여행
살림
[59]
웹사이트
SI Unit rules and style conventions checklist
http://physics.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60]
문서
조중걸 교수와 함께하는 열정적 고전 읽기
프로네시스
[61]
문서
디오판토스가 들려주는 방정시 이야기
자음과모음
[62]
서적
미분적분학
학문사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