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흉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흉배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관료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장식이다. 중국에서는 명나라 때 처음 제정되어 청나라까지 사용되었으며, 조선에서는 단종 때 흉배 제도가 처음 시행되었다. 흉배는 새나 동물의 종류, 수, 형태 등을 통해 품계를 나타냈으며, 왕족의 경우 용을 수놓은 보(補)를 사용했다. 베트남에서도 응우옌 왕조 시기에 흉배가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한푸 운동을 통해 부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의상 - 아오자이
    아오자이는 베트남의 전통 의상으로, 긴 셔츠를 의미하며 바지와 함께 입고 목에서 무릎까지 덮는 형태를 가지며, 현대에는 베트남 여성의 아름다움과 정체성을 상징하는 옷이다.
  • 베트남의 의상 - 곤룡포
    곤룡포는 고려, 조선, 대한제국에서 군주, 태자, 친왕 등이 평상시에 입었던 단령의 일종으로,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색깔, 허리띠 재료, 흉배가 달랐으며, 중국에서 유래하여 여러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의상 - 한푸
    한푸는 중국 전통 의상으로, 4천 년의 역사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시대별로 다양한 스타일과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다.
  • 중국의 의상 - 치파오
    치파오는 만주족 기마복에서 유래되어 서양 의복의 영향을 받아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한 중국 여성의 대표적인 전통 의상으로, 몸에 꼭 맞는 실루엣과 옆트임이 특징이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중국 문화를 상징하는 의상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색동저고리
    색동저고리는 여러 색깔의 천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옷으로, 주로 아이들이 명절에 입었으며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색상으로 조화와 상생을 나타내고 어린이 인권 존중의 상징이기도 하다.
흉배
개요
청나라 만다린 스퀘어, 6급 문관
청나라 만다린 스퀘어, 6급 문관, 약 30cm 정사각형
영어만다린 스퀘어/계급 배지
한어 병음bŭzi
웨이드 자일스putzŭ
베트남어Bổ tử
만주어sabirgi
명칭
다른 이름한푸
치좡
관복
부쯔
부푸
설명
용도관복에 부착하는 계급 표시

2. 중국의 흉배

명나라 홍무제 때 제정된 흉배(補子)는[19] 청나라까지 사용되었다. 흉배는 처음 사용된 시기부터 청나라 말기까지 품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는데, 새와 동물의 종류는 약간의 차이만 있었다. 명나라 때 낮은 관직이나 잡무를 맡은 관리들은 까치를, 감찰관들은 해치를, 음악가들은 솔개(Old World oriole)를 사용했다.[12]

예복을 입은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과 문관 1품 흉배


다음 표는 시기에 따른 문무관의 흉배 변화를 나타낸다.[12]



무관
계급명(1391–1526)명나라 및 청나라(1527–1662)청나라 말기(1662–1911)그림
1사자사자기린
2사자사자사자
3호랑이 또는 표범호랑이표범
4호랑이 또는 표범표범호랑이
5
6표범표범표범
7표범표범코뿔소
8코뿔소코뿔소코뿔소
9코뿔소해마해마


2. 1. 명나라

중국의 흉배는 명나라 홍무제 때 제정되었으며,[19] 이후 청나라까지도 사용되었다. 사각 형태의 buzi|흉배중국어의 역사는 불분명하다. 그러나 원나라 백과사전인 ''사림광기''와 몽골 궁정의 동시대 페르시아 그림에는 뒷면에 꽃, 동물, 새 등으로 장식된 사각형이 있는 옷을 입은 관리들의 그림이 있다.[3] 원나라 시대에 사각형의 buzi|흉배중국어는 이미 의복 장식으로 착용되었다.[4]

15세기 명나라 관리 류대하의 초상화. 그의 흉배는 그가 정1품 문관임을 나타낸다.


흉배는 1391년 명나라의 사치 금지 법에서 관리가 착용하도록 처음 허가되었다.[4] 문관에게 새를, 무관에게 동물을 묘사한 흉배의 사용은 원나라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된 유사한 흉배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5] 명나라의 초기 궁정 의복 규정은 1368년에 발표되었지만 흉배를 품계의 표장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6] 이 흉배는 명나라의 나머지 기간과 그 이후의 청나라까지 1912년 제국 체제가 몰락할 때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명나라 귀족과 관리는 흉배를 좌우로 뻗어 가슴과 등을 완전히 덮는 붉은색 전신 의복에 착용했다. 이로 인해 흉배는 상단이 하단보다 좁은 사다리꼴 모양을 띠게 되었다.[7] 명나라 법전은 흉배에 나타나야 하는 새나 동물의 수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두세 마리가 사용되었다. 전형적인 쌍을 이룬 새의 예에서는 금색 배경에 밝은 구름 띠를 배경으로 날아가는 모습이 묘사되었다. 다른 것들은 한 마리의 새가 땅에 있고 다른 한 마리가 날아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꽃을 추가하여 이상화된 자연주의를 연출했다.[8][9]

2. 2. 청나라

중국의 흉배(補子)는 왕조의 홍무제 때 제정되었으며,[19] 이후 청나라까지도 사용되었다.

가슴에 흉배를 착용한 관료의 청나라 시대 사진


명나라와 청나라 흉배는 스타일에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청나라의 흉배는 장식적인 테두리가 있는 더 작은 형태였다.[10] 흉배에 사용된 특정 새와 동물의 종류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흉배의 디자인은 거의 끊임없이 변화했다.[11] 중국 귀족에 따르면, 청나라 귀족들은 각자의 지위에 맞는 관복을 착용했다. 친왕(親王)과 군왕(郡王)을 포함한 왕자들은 보통 조정에서 입는 푸른색 옷과 달리 검은색 옷을 입었으며, 앞면과 뒷면에 하나씩 있는 일반적인 디자인과 달리 어깨, 앞면, 뒷면에 각각 하나씩 총 4개의 원형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황족은 앞을 바라보는 용 4마리를, 친왕은 앞을 바라보는 용 2마리와 옆을 바라보는 용 2마리를, 군왕은 옆을 바라보는 용 4마리를 사용했으며, 모두 발톱이 5개였다. 베일(貝勒)과 베이쯔(貝子)는 관복에 원형 디자인을 사용했으며, 베일은 앞을 바라보는 용 2마리를, 베이쯔는 옆을 바라보는 용 2마리를 사용했다. 이 용들은 발톱이 4개였으며 "드레이크" 또는 "거대한 뱀"(巨蟒 jù-mǎng)이라고 불렸다. 국공(國公), 장군, 어푸(額駙), "평민" 공작, 후작, 백작은 사각형 디자인에 앞을 바라보는 발톱 4개 달린 용 2마리를 사용했으며, 자작남작은 제1, 제2품 문관과 마찬가지로 학과 금계(金雞)를 사용했다.

2. 3. 왕조별 비교

중국의 흉배는 명나라 홍무제 때 제정되어[19] 청나라까지 사용되었다. 명나라 초기 흉배는 좌우로 뻗어 가슴과 등을 완전히 덮는 붉은색 전신 의복에 착용되었고, 윗부분이 좁은 사다리꼴 모양이었다.[7] 초기에는 두세 마리의 새나 동물을 묘사했지만, 점차 한 쌍을 이루거나 땅과 하늘에 각각 한 마리씩 배치하는 형태로 변화했다.[8][9]

명나라와 청나라의 흉배는 스타일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청나라 흉배는 장식적인 테두리가 있는 더 작은 형태였다.[10] 흉배 디자인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지만, 흉배에 사용된 특정 새와 동물의 종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11] 중국 귀족 중 친왕(親王)과 군왕(郡王) 등 왕자들은 검은색 옷에 4개의 원형 디자인을 사용했고, 베일(貝勒)과 베이쯔(貝子)는 원형 디자인에 발톱 4개 달린 용을 사용했다. 국공(國公), 장군, 어푸(額駙) 등은 사각형 디자인에 발톱 4개 달린 용 2마리를 사용했으며, 자작남작은 문관 1, 2품과 마찬가지로 학과 금계(金雞)를 사용했다.

감찰관들은 해치를, 음악가들은 솔개(Old World oriole)를 사용했다.[12]

2. 3. 1. 문관



흉배는 1391년 명나라의 사치 금지 법에서 관리가 착용하도록 처음 허가되었다.[4] 문관에게 새를, 무관에게 동물을 묘사한 흉배의 사용은 원나라에서 장식용으로 사용된 유사한 흉배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5]

흉배가 처음 사용된 시기부터 청나라 말기까지 품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새와 동물의 종류는 약간의 차이만 있었다. 명나라 때 낮은 관직이나 잡무를 맡은 관리들은 까치를 사용했다. 다음 표는 이러한 변화를 보여준다.[12]


2. 3. 2. 무관

무관의 흉배는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하였다.

계급명(1391–1526)명나라 및 청나라(1527–1662)청나라 말기(1662–1911)그림
1사자사자기린
2사자사자사자
3호랑이 또는 표범호랑이표범
4호랑이 또는 표범표범호랑이
5
6표범표범표범
7표범표범코뿔소
8코뿔소코뿔소코뿔소
9코뿔소해마해마

[12]

3. 조선의 흉배

조선 시대에는 관리의 품계에 따라 흉배에 다른 문양을 사용했다. 단종 2년(1454년)에 처음으로 흉배 제도가 시행된 이후, 시대에 따라 흉배의 문양이 변화했다.[21][22]

19세기에 제작된 흉배는 파란색 바탕에 분홍색, 보라색, 옅은 녹색의 구름 무늬로 둘러싸여 있고, 서로 반대 방향을 보는 한 쌍의 흑백 표범을 보여준다. 표범호랑이는 힘과 용기를 상징하여 무관의 흉배에 사용되었고, 문관은 학 문양을 사용했다. 이 흉배는 바위, 파도, 구름 속에 있는 특징적인 반점 무늬의 동물을 보여주는데, 이는 300년 동안 거의 변하지 않은 패턴이다.[19][26]

한국 흉배, 1850-1900, 빅토리아 & 앨버트 박물관 (no. FE.272-1995)

3. 1. 단종 시기

조선의 흉배는 명나라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흉배의 도입은 세종 때부터 논의되었는데, 우의정 하연과 우참찬 정인지가 도입을 건의하였으나 영의정 황희가 검소하지 않음을 들어 반대하여 세종이 황희의 의견을 따랐다.[20] 단종 2년(1454년) 검토관 양성지가 재건의하여 이를 제정하게 되었으며,[21][22] 그 지위나 품계(品階)에 따라 흉배에 수놓는 것이 달랐다. 《단종실록》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품계문관무관
1품

공작(孔雀)

호표(虎豹)
2품

운안(雲雁)

호표(虎豹)
3품

백한(白鷳)
웅비(熊羆)



대사헌도통사

해치(獬豸)

사자(獅子)



大君|대군중국어은 기린(麒麟), 都統使|도통사중국어는 사자(獅子), 諸君|제군중국어은 백택(白澤)으로 하고, 문관 1품은 공작(孔雀), 2품은 운안(雲雁), 3품은 백한(白鷴), 무관 1, 2품은 호표(虎豹), 3품은 웅표(熊豹), 大司憲|대사헌중국어은 해치(獬豸)로 정하였다.[12]

3. 2. 연산군 이후

연산군 11년(1505년) 중국 제도를 모방하여 품계 범위와 흉배 종류를 늘려 당상관 품계에만 적용하던 것을[22] 1품부터 9품까지 모든 신하가 흉배를 착용하도록 하고 돼지, 사슴, 거위 등을 추가하여 구분하도록 하였다.[23]

3. 3. 영조 이후

영조 때 흉배의 종류를 간소화하여 당상을, 당하는 백한(흰 )을, 무신은 호표·웅비(곰)로 정하였다.[24][25] 이후 중국의 것과 다른 고유의 기법과 문양으로 독자적인 체계를 지니게 되었다.[19][26]

3. 4. 고종 이후

고종 이후 흉배는 다음과 같다.

품계문관무관
당상관

쌍학

쌍호
당하관

단학

단호


3. 5. 왕족의 보(補)

조선 초기의 용보.


조선 중후기의 용보.


왕비, 왕세자, 왕세손의 평상복인 곤룡포에는 을 수놓은 흉배를 가슴과 등, 양어깨에 달았는데, 이를 보(補)라고 한다. 왕과 왕비는 발가락이 5개인 원형의 오조룡보(五爪龍補)를, 왕세자와 그 은 발가락이 4개인 원형의 사조룡보(四爪龍補)를, 왕세손은 발가락이 3개인 사각형의 삼조룡보(三爪龍補)를 사용하였다.[27][28][29][30] 왕자대군의 보에는 기린을 넣기도 하였다.[25] 흥선대원군기린흉배 역시 대군의 예를 따른 것이다.

보는 관복뿐만 아니라 구군복에도 달고 다녔는데 조선 철종의 어진에 이 모습이 나타나 있다.

4. 베트남의 흉배

5. 현대의 흉배

한푸 운동 이후 중국에서 둥근 모양과 사각형 모양의 흉배가 부활하였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Chinese science and technology. Volume 2 https://www.worldcat[...] 2014
[2] 웹사이트 Guide to Hanfu Types Summary & Dress Codes (Ming Dynasty) https://www.newhanfu[...] 2021-04-04
[3] 논문 University College London
[4] 서적 The arts of China https://www.worldca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9
[5] 문서 'Cammann, Schuyler: "Birds and Animals as Ming and Ch''ing Badges of Rank", ''Arts of Asia'' (May to June 1991), page 89.'
[6] 기타 cite Q
[7] 문서 'Cammann, Schuyler: "Chinese Mandarin Squares, Brief Catalogue of the Letcher Collection", ''University Museum Bulletin'' Vol 17, No 3 (June 1953), pages 8–9.'
[8] 문서 'Cammann, Schuyler: "Chinese Mandarin Squares, Brief Catalogue of the Letcher Collection", ''University Museum Bulletin'' Vol 17, No 3 (June 1953), page 9.'
[9] 기타 cite Q
[10] 문서 'Cammann, Schuyler, "Birds and Animals as Ming and Ch’ing Badges of Rank", ''Arts of Asia'' (May–June 1991), page 90.'
[11] 문서 'Jackson, Beverley & Hugus, David, ''Ladder to the Clouds'', Berkeley: Ten Speed Press, 1999, Chapter 15, pages 215–289.'
[12] 기타 cite Q
[13] 문서 Note that the rhinoceros is depicted as a buffalo, rather than as a rhinoceros.
[14] 문서 Note that the sea horse is depicted as a horse living under water, rather than as a seahorse.
[15] 문서 'Jackson, Beverley & Hugus, David, ''Ladder to the Clouds'', Berkeley: Ten Speed Press, 1999, Table 4, page 133;'
[16] 문서 'Jackson, Beverley & Hugus, David, ''Ladder to the clouds'', Berkeley: Ten Speed Press, 1999, Table 3, page 133.'
[17] 서적 Journal of an embassy from the Governor-General of India to the courts of Siam and Cochin-China : exhibiting a view of the actual state of those kingdoms http://seasiavisions[...] H. Colburn
[18] 웹사이트 Portrait of a young official https://www.facebook[...] 2019-07-31
[19] 간행물 http://www.kaum.or.k[...]
[20] 뉴스 세종실록 111권, 세종 28년(1446 병인 / 명 정통(正統) 11년) 1월 23일(신묘)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1] 뉴스 단종실록 11권, 단종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6월 1일(임오)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2] 뉴스 단종실록 12권, 단종 2년(1454 갑술 / 명 경태(景泰) 5년) 12월 10일(병술)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3] 뉴스 연산군일기 60권, 연산 11년(1505 을축 / 명 홍치(弘治) 18년) 11월 23일(갑진) 1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4] 뉴스 영조실록 60권, 영조 20년(1744 갑자 / 청 건륭(乾隆) 9년) 8월 5일(기유) 4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5] 뉴스 영조실록 61권, 21년(1745 을축 / 청 건륭(乾隆) 10년) 5월 26일(정유)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6] 간행물 http://www.hanbok97.[...]
[27] 뉴스 세종실록 125권, 세종 31년(1449 기사 / 명 정통(正統) 14년) 9월 2일(기묘) 1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8] 뉴스 세조실록 3권, 세조 2년(1456 병자 / 명 경태(景泰) 7년) 3월 21일(경인) 2번째 기사 http://sillok.histor[...]
[29] 간행물 http://koreana.kf.or[...] 2010-10-15
[30] 웹인용 http://www.cha.go.kr[...] 2010-1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