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청년학생축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47년부터 주로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 전쟁 및 제국주의 반대를 위한 세계 청년 연대의 행사로 개최되었다. 스포츠, 문화 예술, 정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사회주의 국가의 유니버시아드"로 불리기도 했다. 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축전은 131개국에서 34,000명이 참가하여 최대 규모였으며, 1989년 평양에서 열린 제13회 축전은 177개국이 참가하여 참가국 수에서 가장 큰 규모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시작된 축제 - 아비뇽 연극제
아비뇽 연극제는 1947년 장 빌라르가 창설한 프랑스의 대표적인 연극 축제로, 매년 7월 아비뇽에서 '인'과 '오프' 두 조직으로 나뉘어 연극, 발레, 뮤지컬 등 다양한 공연을 선보이는 종합 예술 축제이다. - 1947년 시작된 축제 - 에든버러 페스티벌 프린지
에든버러 페스티벌 프린지는 1947년 에든버러 국제 페스티벌에 초청받지 못한 극단들의 자발적인 공연으로 시작되어, 다양한 공연 형식과 예술의 자유를 중시하며 전 세계로 확산된 공연 예술 축제이다. - 194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NBA 파이널
NBA 파이널은 북미프로농구의 정규 시즌 우승팀을 가리는 챔피언십 시리즈로, 7전 4선승제로 진행되며 보스턴 셀틱스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47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NBA 플레이오프
NBA 플레이오프는 1947년부터 시작된 토너먼트로, 정규 시즌 종료 후 챔피언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며, 16개 팀이 4라운드 녹아웃 방식으로 7전 4선승제 시리즈를 통해 컨퍼런스 우승팀을 가린 후 NBA 파이널에서 최종 챔피언을 결정한다.
세계청년학생축전 | |
---|---|
개요 | |
명칭 | 세계 청년 학생 축전 |
영어 명칭 |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
약칭 | WFYS |
유형 | 국제 청년 행사 |
목표 | 평화, 연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 강화 |
참가 대상 | 청년 및 학생 |
주최 | 세계청년학생총연맹 (WFDY) |
첫 개최 | 1947년 |
최근 개최 | 2017년, 러시아 모스크바 |
차기 개최 예정 | 2024년, 러시아 시리우스 |
관련 슬로건 | 제국주의에 반대하는 평화, 연대, 사회 정의를 위하여! 우리의 미래를 위하여, 평화, 연대, 사회 정의를 위하여, 우리는 제국주의에 반대한다! |
역사 | |
기원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파시즘에 맞서 싸운 청년들의 연대에서 비롯 |
창립 정신 | 반제국주의, 국제 연대, 평화와 사회 진보 옹호 |
주요 활동 | 정치 토론 문화 교류 스포츠 경기 연대 활동 |
냉전 시대 | 정치적 성향이 강했으며, 주로 사회주의 국가에서 개최 |
소련 붕괴 이후 | 규모가 축소되었으나, 반제국주의와 사회 정의를 옹호하는 행사로 지속 |
특징 | |
참가자 | 다양한 배경의 청년 및 학생들이 참여 |
주요 논의 주제 | 세계 평화 사회 정의 환경 문제 청년 권리 |
문화 행사 | 다양한 국가의 문화 공연 및 전시 |
정치적 성격 | 반제국주의, 반전, 사회주의적 가치를 강조 |
기타 | |
관련 단체 | 세계청년학생총연맹 (WFDY) |
영향 | 국제 청년 운동에 큰 영향을 미침 |
한국과의 관계 | 한국에서도 과거 평화친선대축전 등의 이름으로 참여 |
2. 역사
1947년부터 주로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 전쟁 및 제국주의 반대를 위한 세계 청년 연대의 행사로 이따금씩 개최되었다.[1] 가장 큰 축제는 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세계청년학생축전으로, 131개국에서 온 34,000명의 젊은이들이 행사에 참석했다.[1] 이 축제는 또한 널리 알려진 러시아 노래가 된 "모스크바의 밤"의 국제적인 데뷔를 기념했다.[1] 1962년과 1968년 사이에는 알제리와 가나에서 제안된 행사가 쿠데타와 양국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취소되어 축제가 열리지 않았다.[1] 1989년 평양에서 열린 제13회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77개국이 참석하여 참가국 수로는 가장 큰 규모였다.[3]
제1회 대회는 1947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2년에 한 번 개최되었지만, 1968년 제9회 대회 이후에는 5년마다 개최되었으며, 제14회 대회는 8년의 공백을 거쳐 개최되었다. 이후 16회 대회까지는 4년에 한 번 개최되었다.
올림픽이나 유니버시아드가 스포츠만의 대회인 데 반해, 세계청년학생축전은 스포츠·문화 예술·정치 등 각 프로그램이 있어 "사회주의 국가의 유니버시아드"로 칭해졌다.[10] 그러나, 그 개최 기간은 약 1주로 현저하게 짧고, 또한 참관자의 오락성도 올림픽 등에 비해 낮다고 여겨진다.[11]
2009년의 제17회 대회는 벨라루스의 민스크에서 개최 예정이었으나,[12] 2008년에 개최가 취소되었다.[13][14] 결국, 2010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프레토리아에서 개최되었다. 가장 최근의 축제는 2017년 10월 13일부터 22일까지 러시아 소치에서 열렸다.[2]
2. 1. 초기 (1947년 ~ 1962년)
1947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제1회 세계청년학생축전이 개최되었다.[1] 이후 축전은 주로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 전쟁 및 제국주의 반대를 위한 세계 청년 연대의 행사로 이따금씩 개최되었다.[1] 초기에는 2년에 한 번씩 개최되었으나, 1968년 제9회 대회 이후로는 개최 간격이 불규칙적으로 변동되었다.[1]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31개국에서 34,000명의 젊은이들이 참가하여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다.[1] 이 축제에서는 널리 알려진 러시아 노래 "모스크바의 밤"이 처음으로 국제 무대에 소개되었다.[1] 1962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제8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이 개최된 이후, 1968년까지 알제리와 가나에서 축전을 개최하려 했으나 쿠데타와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취소되었다.[1]
올림픽이나 유니버시아드가 스포츠 중심의 대회인 반면, 세계청년학생축전은 스포츠, 문화 예술, 정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사회주의 국가의 유니버시아드"로 불리기도 했다.[10] 그러나 개최 기간은 약 1주 정도로 짧고, 참관객의 오락성은 올림픽 등에 비해 낮게 평가된다.[11]
2. 2. 전환기 (1968년 ~ 1989년)
1947년부터 주로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 전쟁 및 제국주의 반대를 위한 세계 청년 연대의 행사로 이따금씩 개최되었다.[1] 가장 큰 축제는 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세계청년학생축전으로, 131개국에서 온 34,000명의 젊은이들이 행사에 참석했다. 이 축제는 또한 널리 알려진 러시아 노래가 된 "모스크바의 밤"의 국제적인 데뷔를 기념했다. 1962년과 1968년 사이에는 알제리와 가나에서 제안된 행사가 쿠데타와 양국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취소되어 축제가 열리지 않았다.[1]제1회 대회는 1947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2년에 한 번 개최되었지만, 1968년 제9회 대회 이후에는 5년마다 개최되었으며, 제14회 대회는 8년의 공백을 거쳐 개최되었다. 이후 16회 대회까지는 4년에 한 번 개최되었다. 올림픽이나 유니버시아드가 스포츠만의 대회인 데 반해, 스포츠·문화 예술·정치 등 각 프로그램이 있어 "사회주의 국가의 유니버시아드"로 칭해졌다[10]。그러나, 그 개최 기간은 약 1주로 현저하게 짧고, 또한 참관자의 오락성도 올림픽 등에 비해 낮다고 여겨진다[11]。
2. 3. 변화기 (1997년 ~ 현재)
1947년부터 주로 공산주의 국가에서 민주주의, 전쟁 및 제국주의 반대를 위한 세계 청년 연대의 행사로 이따금씩 개최되었다.[1] 가장 큰 축제는 1957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6회 세계청년학생축전으로, 131개국에서 34,000명의 젊은이들이 참석했다.[1] 이 축제는 널리 알려진 러시아 노래 "모스크바의 밤"의 국제적인 데뷔 무대였다.[1] 1962년과 1968년 사이에는 알제리와 가나에서 제안된 행사가 쿠데타와 양국의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취소되기도 했다.[1] 참가국 수로 가장 큰 축제는 1989년 평양에서 열린 제13회 세계청년학생축전으로 177개국이 참석했다.[3]올림픽이나 유니버시아드와 달리 스포츠, 문화 예술, 정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어 "사회주의 국가의 유니버시아드"로 불리기도 했다.[10] 그러나 개최 기간은 약 1주로 짧고, 참관자의 오락성은 올림픽 등에 비해 낮다고 여겨진다.[11]
2009년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제17회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었으나,[12] 2008년에 취소되었다.[13][14] 결국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레토리아에서 개최되었다. 가장 최근의 축제는 2017년 10월 13일부터 22일까지 러시아 소치에서 열렸으며, 185개국이 참가했다.[2]
3. 역대 개최지
회 | 년도 | 개최지 | 참가 인원 | 참가국 수 |
---|---|---|---|---|
1 | 1947 |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 17,000 | 71 |
2 | 1949 | 부다페스트 (헝가리) | 20,000 | 82 |
3 | 1951 | 동베를린 (동독) | 26,000 | 104 |
4 | 1953 |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30,000 | 111 |
5 | 1955 | 바르샤바 (폴란드) | 30,000 | 114 |
6 | 1957 | 모스크바 (소련) | 34,000 | 131 |
7 | 1959 | 빈 (오스트리아) | 18,000 | 112 |
8 | 1962 | 헬싱키 (핀란드) | 18,000 | 137 |
9 | 1968 | 소피아 (불가리아) | 20,000 | 138 |
10 | 1973 | 동베를린 (동독) | 25,600 | 140 |
11 | 1978 | 아바나 (쿠바) | 18,500 | 145 |
12 | 1985 | 모스크바 (소련) | 26,000 | 157 |
13 | 1989 | 평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2,000 | 177 |
14 | 1997 | 아바나 (쿠바) | 12,325 | 136 |
15 | 2001 | 알제 (알제리) | 6,500 | 110 |
16 | 2005 | 카라카스 (베네수엘라) | 17,000 | 144 |
17 | 2010 | 프리토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 15,000 | 126 |
18 | 2013 | 키토 (에콰도르) | 8,500 | 80[4] |
19 | 2017 | 소치 (러시아) | 30,000 | 185[5] |
4. 주요 참가 단체
- 콤소몰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그리스)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미국)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베네수엘라)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영국)
- 청년 공산주의자 연맹(쿠바)
5. 논란 및 비판
6. 한국과 세계청년학생축전
6. 1. 임수경 방북 사건
6. 2. 1989년 평양축전의 의의
참조
[1]
논문
The World Youth Festival as a Soviet Cultural Product during the Cold War
Ural Federal University
2020-12-30
[2]
웹사이트
"#WFYS2017"
http://russia2017.co[...]
[3]
뉴스
North Korea's Would-Be Olympics: A Tale of a Cold War Boondoggle
https://www.nytimes.[...]
2018-02-04
[4]
웹사이트
El festival busca que los jóvenes tengan presencia
http://www.telegrafo[...]
[5]
웹사이트
"#WFYS2017"
http://russia2017.co[...]
[6]
웹사이트
モスクワで「世界青年学生祭典」のパレード、旧ソ連スタイルで ロシア
https://www.afpbb.co[...]
2023-09-01
[7]
웹사이트
【駆けある記】旧ソ連とたたかった党:笠井亮衆院議員 {{!}} JCP TOKYO
https://www.jcp-toky[...]
2023-09-01
[8]
Google 검색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検索「平和友好祭」
https://www.google.c[...]
[9]
뉴스
聯合ニュース検索「世界青年学生祝典」
http://japanese.yonh[...]
[10]
문서
[[오스트리아]]나[[핀란드]]에서도 개최된 적이 있다
[11]
서적
북한사전 - 우표로 읽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다케우치 서점 신사]]
2001
[12]
웹사이트
Belarus Hosts the XVII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http://www.brsm.by/e[...]
[13]
뉴스
WFDY News
http://wfdydemo.kne.[...]
2008-06
[14]
뉴스
La Juventud Mundial no renunciara a los Festivales
http://www.cubainfor[...]
Cuba Información
[15]
URL
http://www.telegrafo[...]
[16]
웹인용
Decree of the Presid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No. 249 dated 05.04.2023 "On holding the World Youth Festival in 2024"
http://publication.p[...]
2023-04-06
[17]
뉴스
Russia will host the World Youth Festival in February-March 2024
https://www.ranep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