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어 위키백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어 위키백과는 2003년 2월 16일에 개설되었으며, 키릴 문자와 로마자를 모두 사용한다. 초기에는 키릴 문자만 사용했지만, 두 문자를 모두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자동 변환 시스템을 도입했다. 세르비아어 위키백과는 2005년 2월부터 정기적인 커뮤니티 모임을 가졌으며, 위키미디어 세르비아 지부를 설립하여 세르비아어 자유 콘텐츠 제작과 지식 확산을 목표로 한다. 2006년에는 프랑스 코뮌 기사 10,000여 개가 봇에 의해 작성되었으나, 세르비아어로의 전사 작업은 미진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인터넷 - 세르보크로아트어 위키백과
세르보크로아트어 위키백과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사용자를 위한 위키백과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폐쇄 후 재개방되었으며, 봇을 활용한 급격한 성장과 중립성 유지를 위한 노력을 거쳐 다양한 관점 포용과 객관적 정보 제공에 주력했다. - 세르비아의 인터넷 - .rs
.rs는 세르비아의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2006년 세르비아 독립 이후 .yu 도메인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2008년부터 도메인 등록이 시작되었다. - 언어별 위키백과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언어별 위키백과 - 중국어 위키백과
중국어 위키백과는 2001년에 설립된 위키백과의 중국어 버전으로, 간체자와 번체자 자동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중국 정부의 검열과 논란 속에서 바이두 백과와 경쟁한다.
세르비아어 위키백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언어 | 세르비아어 |
등록 | 선택 사항 |
소유자 | 위키미디어 재단 |
시작일 | 2003년 2월 16일 |
주소 | 세르비아어 위키백과 |
통계 | |
사용자 수 |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의 사용자 수) |
활동 사용자 수 |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의 활동 사용자 수) |
문서 수 |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의 문서 수) |
순위 |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의 순위) |
2. 역사
세르비아어 위키백과는 2003년 2월 16일에 개설되었다. 메인 페이지는 2003년 4월 22일, 독일 프라이부르크에서 접속한 것으로 추정되는 IP 주소 80.131.158.32를 사용하는 익명의 사용자가 영어에서 세르비아어로 번역하기 시작했으며, 사용자 니콜라 스몰렌스키가 5월 24일에 번역을 완료했다.
2003년 9월 동안 스몰렌스키는 몇 개의 기본 기사 초안을 만들고 메인 페이지를 준비했다. 세르비아 IT 잡지 ''Svet kompjutera''의 2003년 10월호에 그가 작성한 위키와 위키백과에 관한 기사가 실리면서 새로운 사용자가 크게 늘어났다.[3] 비슷한 시기에 스몰렌스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세르비아어로 번역했다.
2. 1. 편집 동향 (2011-2012)
2011년 4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의 편집 기원은 다음과 같다. 출처
세르비아어는 표기 체계에서 두 가지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첫째,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라는 두 종류의 알파벳을 공식적으로 사용한다. 둘째, 에카비안(ekavian)과 이에카비안(ijekavian)이라는 두 가지 주요 표준 발음(방언)이 공존한다.
3. 표기
이 두 가지 문자 체계와 두 가지 발음 표준의 조합으로 인해, 세르비아어는 이론적으로 네 가지의 표준 표기법(에카비안 키릴, 이에카비안 키릴, 에카비안 라틴, 이에카비안 라틴)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표기 방식의 공존은 세르비아어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3. 1. 자동 문자 변환
세르비아어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라는 두 가지 알파벳을 사용하며, 에카비안과 이에카비안이라는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있다. 이 때문에 문자와 방언을 조합하면 에카비안 키릴, 이에카비안 키릴, 에카비안 라틴, 이에카비안 라틴과 같이 총 네 가지의 표기 방식이 존재한다.
세르비아어 위키백과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키릴 문자를 기본으로 사용했으며, 에카비안과 이에카비안 방언 모두를 사용했다. 하지만 세르비아어 사용자들은 두 종류의 문자를 모두 널리 사용하기 때문에,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봇을 이용해 모든 문서를 자동으로 변환하려 했으나, 약 1,000개의 문서를 변환한 후 기술적인 문제로 중단되었다. 이후 중국어 위키백과에서 사용된 방식을 참고하여, 각 문서 상단의 탭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자동 변환 기능이 도입되었다. 문자 변환 과정에서 이름이나 외국어 단어처럼 변환되면 안 되는 부분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수 태그가 사용된다.-{text here}-
: 문서 내 특정 텍스트의 변환을 막는다.
또는 __БЕЗКН__
: 문서 제목의 변환을 막는다.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 간의 변환은 약간의 기술적 문제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성공적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에카비안 방언과 이에카비안 방언 간의 변환은 훨씬 더 복잡하여 아직 구현되지 못했다. 이를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단어 대조 목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어 위키백과의 이러한 시도는 세르비아어의 네 가지 표기 방식을 모두 지원하려는 중요한 노력으로 평가받는다.
4. 커뮤니티
2005년 2월 15일부터 세르비아어 위키백과 사용자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시작했다. 주로 베오그라드에서 주 1회 모임을 가졌으며, 이러한 커뮤니티 활동은 이후 위키미디어 세르비아의 설립 기반이 되었다.
4. 1. 위키미디어 세르비아

세르비아 위키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2005년 2월 15일 첫 모임을 시작으로 정기적인 모임을 가졌다. 초기에는 서로의 집이나 카페, 공원 등에서 모였으나, 2005년 말부터는 베오그라드 청소년 센터에서 장소를 무료로 제공받아 모임을 진행했다. 2013년 9월까지 총 253회의 모임이 열렸으며, 대부분 베오그라드에서 진행되었고, 노비사드에서 약 12회, 그 외 니시, 판체보, 피로트 등에서도 몇 차례 모임이 있었다.
2005년 12월 3일, 베오그라드 청소년 센터에서 열린 모임에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위키미디어 재단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지부를 설립했다. '위키미디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이 지부는 당시 전 세계에서 5번째 위키미디어 재단 지부였다.
2006년 5월, 몬테네그로의 독립으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연합이 해체되자, 지부 명칭을 '위키미디어 세르비아'(|)로 변경했다. 위키미디어 세르비아는 비정부, 비정파, 비영리 단체로 등록되었으며, 세르비아어로 된 자유 콘텐츠의 생성과 보급을 장려하고 모든 이에게 동등한 지식 및 교육 접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같은 해 12월, 위키미디어 세르비아는 동남유럽 지역 최초의 위키미디어 지역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후 세 차례 더 지역 컨퍼런스를 주최했다.
2012년 2월, 위키미디어 세르비아는 오픈 위키 GLAM(Open Wiki GLAM of Serbia) 행사를 조직했다. GLAM은 갤러리(Gallery), 도서관(Library), 기록 보관소(Archive), 박물관(Museum)을 의미하며, 이 행사는 세르비아의 문화 및 역사 유산을 알리고 인터넷에서의 지식재산권 및 저작권 보호 문제를 다루는 더 큰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 같은 해 12월, 위키미디어 세르비아는 베오그라드 시내 알렉산더 왕 부르바르 초입에 자체 사무실 공간을 마련했고, 이후 대부분의 세르비아 위키 커뮤니티 모임이 이곳에서 열리기 시작했다.
세르비아어 위키백과는 2020년 글로벌 1Lib1Ref 캠페인에서 1위를 차지했다.[4]
5. 봇을 이용한 문서 생성
2006년, 프랑스의 코뮌 관련 기사 약 10,000개가 봇을 이용하여 작성되어 논란이 되었다.[1] 이 기사들은 세르비아어로 전사하는 작업이 필요하지만, 이 작업은 크게 진척되지 않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Wikipedias
http://meta.wikimedi[...]
[2]
간행물
DEPTH+: An Enhanced Depth Metric for Wikipedia Corpora Quality
https://aclanthology[...]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23
[3]
웹사이트
Svet kompjutera: Potpuna sloboda
http://www.sk.co.rs/[...]
[4]
웹사이트
Vikipedija na srpskom na prvom mestu u svetu po broju unetih novih referenci
https://rs.n1info.co[...]
2021-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