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속가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속 가곡은 플레인송과 비교하여 운율적이고, 3박자 리듬과 반복적인 리듬 패턴, 명료한 프레이즈와 악절 구조를 가지는 음악 형식이다. 플레인송과 마찬가지로 단성음악이며, 장음계와 단음계를 선호하고 음절형으로 불렸다. 세속 가곡은 라틴어가 아닌 자국어로 불렸으며, 라틴어 가곡, 음유시인,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 다양한 지역에서 발전했다. 프랑스에서는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의 시에 맞춰 다양한 형식의 가곡이 나타났으며, 독일에서는 미네징어와 마이스터징어가 세속 가곡을 작곡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장르 - 잼 밴드
잼 밴드는 그레이트풀 데드에서 시작되어 즉흥 연주와 다양한 장르 혼합을 특징으로 하며 라이브 공연 녹음 및 배포를 허용하는 문화를 공유하지만, 정의가 모호하여 일부 아티스트는 이 분류를 꺼리기도 하는 밴드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 음악 장르 - 래그타임
래그타임은 19세기 후반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이 창조한 싱코페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로, 피아노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여러 작곡가들의 활동을 통해 대중화되었고, 1차 세계 대전 이후 쇠퇴했지만, 1940년대 이후 부흥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중세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중세 - 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은 9세기에 정치적 통일을 이루었고, 바이킹 침략과 노르만 정복을 거친 후 봉건 제도가 확립되었으며, 1707년 스코틀랜드와의 통합으로 대영제국이 성립되면서 잉글랜드 왕국은 독립적인 정치적 실체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세속가곡 | |
---|---|
일반 정보 | |
장르 | 클래식 음악 |
스타일 | 예술가곡 |
기원 | 중세 |
파생 장르 | 샹송 리트 |
파생 형태 | 비제 빌라넬 발라드 마드리갈 |
역사적 맥락 | |
기원 시기 | 중세 시대 |
발전 시기 | 르네상스 시대 |
주요 사용처 | 궁정, 귀족 사회 |
특징 | 다성 음악 세속적인 가사 |
음악적 특징 | |
일반적인 구성 | 성악 (독창 또는 합창) |
언어 | 라틴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 |
가사 주제 | 사랑 자연 사회 비판 |
음악적 형태 | 자유로운 형식 |
관련된 형태 | |
관련 장르 | 종교 음악 (예: 모테트) |
파생된 형태 | 세속 가곡 |
한국어 정보 (세속 가곡) | |
정의 | 세속적인 내용을 담은 가곡 |
특징 | 조선 시대에 유행 정가의 한 종류 |
가사 내용 | 남녀상열지사 자연 풍경 인생무상 |
음악적 특징 | 평조 또는 계면조 장단: 도드리, 반엽, 엇모리 등 |
대표적인 곡 | 삭대엽 황계사 춘면곡 |
참고 문헌 | 한국음악/국악 > 한국음악사 > 정가 > 세속가곡,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
2. 세속 가곡의 특성
세속 가곡은 플레인송에 비해 양식 면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5]
- 단성음악이었다.
- 운율적이고, 대부분 3박자였다.
- 강하고 규칙적인 리듬을 가졌고, 반복되는 짧은 리듬 패턴을 사용했다.
- 반복 악절과 후렴을 수반하는 명료한 프레이즈와 악절 구조를 가졌다.
- 일반적으로 선법적이지만, 장음계(이오니아 선법)와 단음계(에올리아 선법)를 선호했다.
- 일반적으로 음절형(1음절 대 1음표) 형태를 사용했다.
- 라틴어로 불린 플레인 송과 달리, 대개 자국어로 불렸다.
- 플레인송에 비해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2. 1. 플레인송과의 비교
세속가곡은 플레인송에 비해 양식 면에서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5]- 플레인송과 마찬가지로 세속가곡은 단성음악이었다. 당시 그림을 보면 세속가곡에 즉흥적인 악기 반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지만, 현존하는 사본에는 단일 선율에 의한 기보법만 나타난다.
- 플레인송과 달리, 세속가곡은 운율적이고, 대부분 3박자였다.
- 세속가곡은 플레인송보다 강하고 규칙적인 리듬을 가졌고, 반복되는 짧은 리듬 패턴을 사용했다.
- 세속가곡은 반복 악절과 후렴을 수반하는 명료한 프레이즈와 악절 구조를 가졌다.
- 세속가곡은 일반적으로 선법적이지만, 장음계(이오니아 선법)와 단음계(에올리아 선법)를 선호했다.
- 세속가곡은 일반적으로 음절형(1음절 대 1음표) 형태를 사용했다.
- 플레인송은 라틴어로 불린 반면, 세속가곡은 대개 자국어로 불렸다.
- 플레인송에 비해 더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3. 라틴어 가곡
10세기에서 13세기 초, 골리아드라 불리는 방랑 학생이나 하급 성직자들이 콘둑투스라는 라틴어 가곡을 만들었다. 콘둑투스는 사랑, 예술, 정치 풍자, 속된 화제, 플레인송 패러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대표적인 콘둑투스로 중세 초기 「시빌의 노래」가 있다.
4. 음유시인
하층 사회 계급의 음유시인은 프랑스에서는 종글뢰르, 독일에서는 가우클러, 영국에서는 글리맨이라 불렸다. 그들은 중세 시대에 유럽을 방랑하면서 요술이나 카드 속임수, 길들여진 동물로 재주를 보이기도 하고, 다른 사람이 작곡한 노래를 부름으로써 봉건 영주들을 즐겁게 해주었다. 비록 시인도 작곡가도 아니었지만 많은 악보를 보존하고 전파했기 때문에 음악적으로 중요한 존재이다.[6][7]
5. 프랑스의 세속 가곡
프랑스의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는 중세 세속 가곡의 대부분을 만들었다. 이들은 교육받은 귀족 출신으로, 봉건 영주의 성에서 생활하며 시와 음악을 결합한 다양한 형식의 세속 가곡을 창작했다.
5. 1. 시의 형태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의 시는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캉소(canso; 사랑의 시)
- 시르방트(sirventes; 풍자시)
- 플랑(planh; 유명인의 죽음에 대한 비탄과 애도의 노래)
- 파스투렐(pastourelle; 흔히 대화 형식으로 된 기사와 시골 처녀의 노래)
- 샹송 드 투알(chanson de toile; 물레질 노래)
- 에누에그(enueg; 풍자시)
- 오브(aube; 새벽까지 연인들의 망을 보아주는 친구의 노래)
- 탕소 또는 죄파르티(tenso, jeu-parti; 대화체의 시)
- 샹송 드 제스트(chanson de geste; 서사시적 이야기)
샹송 드 제스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11세기의 「롤랑의 노래」(chanson de Roland)이다.[5]
5. 2. 음악 형식
시의 형식을 구분하기 어려운 것처럼, 가곡의 형식도 매우 다양하다. 가곡의 각 형식은 구조적으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후렴(가사와 선율의 반복 부분)은 여러 가곡 형식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비를레 형식은 다음과 같은 반복 구조를 가진다.프레이즈 | 12345678 | 12345 |
---|---|---|
가사 | abcdefab | abcda |
선율 | ABCDEFAB | AbbaA |
대문자는 후렴을 의미한다.
론도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프레이즈 | 1 2 3 4 5 6 7 8 |
---|---|
가사 | a b c d e f g h |
선율 | A B a A a b A B |
샹송 드 제스트는 긴 시 전체에 걸쳐 단순한 선율을 반복하는 형태이다. 발라드는 후렴에 론도나 비를레와 비슷한 다양한 구조를 사용했다.
6. 독일의 세속 가곡
프랑스의 트루바두르와 트루베르의 가곡은 12세기에서 16세기까지 독일의 시인 겸 작곡가인 미네징어와 마이스터징어들의 모델이 되었다. 미네징어는 귀족 출신으로 사랑과 기사도를 노래했고, 마이스터징어는 장인 계층으로 엄격한 규칙에 따라 노래를 만들었다.
7. 그 밖의 나라들
영국에서는 정착 음유시인인 스콥스와 떠돌이 음유시인인 글리맨이라는 앵글로 색슨 집단이 가곡을 만들었으나, 현존하는 것은 거의 없다. 이탈리아에서는 성모를 찬양하는 노래인 라우다가 발라타 형식(프랑스 비를레와 유사)으로 작곡되었다. 스페인에서는 성모 찬양 노래인 칸티가가 비얀시코라는 형식으로 불렸다.
참조
[1]
서적
Grout, 1996, p. 60
[2]
서적
Grout, 1996, p. 61
[3]
서적
Grout, 1996, p. 68
[4]
서적
Grout, 1996, p. 106/107
[5]
서적
음악사
삼호뮤직
2000
[6]
웹인용
Encyclopaedia Britannica: 트루바두르
https://web.archive.[...]
2009-04-29
[7]
웹인용
Encyclopaedia Britannica: 트루베르
https://web.archive.[...]
200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