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랑의 노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롤랑의 노래》는 11세기경 앵글로-노르만어로 기록된 프랑스 서사시로, 778년 롱스보 전투를 배경으로 한다. 저자는 불분명하며, 옥스퍼드 대학교 보들리 도서관에 가장 오래된 필사본이 보관되어 있다. 샤를마뉴의 조카 롤랑의 영웅적인 행적, 배신과 복수, 기사도 정신, 종교적 갈등을 주요 주제로 다루며, 듀렌달이라는 전설적인 검이 등장한다. 이 작품은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현대에도 소설, 영화, 게임 등으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롤랑의 노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원제 | La Chanson de Roland (프랑스어) |
장르 | 서사시 |
언어 | 고대 프랑스어 |
창작 시기 | 11세기 |
배경 | 카롤링거 왕조 시대 |
관련 작품 | 롤랑의 노래 (1978년 영화)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롤랑 샤를마뉴 올리비에 투르팽 대주교 가늘롱 |
내용 개요 | |
줄거리 | 샤를마뉴 대제 시대에 롤랑의 죽음을 둘러싼 이야기 |
주제 | 기독교적 신념, 충성심, 배신, 영웅적 희생 |
특징 | |
문학적 특징 | 샹송 드 제스트의 대표작, 영웅 서사시 |
역사적 배경 | 778년 롱세보 전투에서 영감을 받음 역사적 사실과 서사적 허구를 결합 |
기타 | |
관련 링크 | The Song of Roland |
2. 저자 및 성립 배경
《롤랑의 노래》의 저자는 '튀롤(Turold)'이라는 인물로 추정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마지막 행에 "Ci falt la geste que Turoldus declinet (이것이 튀롤(투롤두스)가 ?? 한 무훈이다)"라고 적혀 있는데, 'declinet'이라는 단어의 해석이 불분명하여 옥스퍼드 판본의 저자인지, 원래 이야기의 저자인지, 필사자인지 알 수 없어 애매하다.
학자들은 이 시가 대략 1040년에서 1115년 사이에 쓰여졌고, 대부분의 수정은 1098년경에 완료되었다고 추정한다. 1030년대 카스티야 원정에서 영감을 받았고, 1096년에서 1099년까지 진행된 제1차 십자군 원정에 영향을 받았다는 견해가 있다. "d'oltre mer" (해외)라는 용어는 제1차 십자군 원정 당시와 그 이후로 라틴 레반트를 가리키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십자군 원정 이후에 작품이 쓰여졌다는 것을 뒷받침한다.[5] 그러나 이 용어가 "무슬림 지역"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전 시기를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시의 대부분은 십자군 원정 이전에 쓰여졌고, 제1차 십자군 원정 시기에 약간의 추가가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19세기 후반, 가스통 파리스는 롤랑의 노래가 수 세기를 거쳐 계승되어 11세기경 현재의 형태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을 발표했다. 반면, 조제프 베디에는 아더왕 전설 등과 마찬가지로 영웅의 무덤이나 롤랑의 뿔피리라고 전해지는 피리, 롤랑이 애검 뒤랑달을 내리쳤다고 하는 바위 등의 지역 전승을 바탕으로 11세기에 튀롤두스라는 프랑스 시인이 혼자서 만들어낸 것이라는 설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학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지만, 후에 파리스 등이 말한 노래에 관한 자료가 발견되거나 역사학자들로부터 비판이 제기되었다.[16]
2. 1. 구전 전통과 필사본
《롤랑의 노래》는 카롤링거 왕조 시대를 배경으로 하지만, 수 세기 후에 쓰여졌다. 학계에서는 이 시가 대략 1040년에서 1115년 사이에 쓰여졌다고 추정하며, '투롤드'(''Turoldus''는 필사본 자체에 나오는 이름)라는 시인이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또한 대부분의 수정은 1098년경에 완료되었다고 추정한다.
현재 단 한 권의 필사본만 남아 있으며, 옥스퍼드의 보들리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2] 1129년에서 1165년 사이에 쓰여졌으며, 앵글로-노르만어로 기록되었다.[3] 롤랑을 주제로 한 다른 시의 필사본 8권과 단편 3개가 추가로 존재한다.[4]
1832년과 1835년에 두 개의 필사본이 발견되어 1837년에 출판된 후, 《롤랑의 노래》는 프랑스의 서사시로 인정받게 되었다.[6] 학계의 정설은 오랫동안 《롤랑의 노래》가 처음에는 다양한 자료와 에피소드를 가진 여러 다른 버전으로 구전되었으며, 텍스트 형태로 고정되고 조화를 이루었다는 것을 받아들여 왔다.
19세기 초 《롤랑의 노래》 편집자들은 독특한 프랑스 서사시를 높이려는 애국적인 욕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아 대중에게 제시한 롤랑 전통의 텍스트 일관성을 과장했을 수 있다.[7]
2. 2. AOI 표기
옥스퍼드 사본의 특정 줄은 "AOI"라는 글자로 끝난다. 이 단어나 주석의 의미는 불분명하다. 많은 학자들은 이 표시가 텍스트의 공개 공연에서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추측해 왔다. 예를 들어, '''중세 음유시인'''이 속도를 바꾸는 지점을 나타내는 역할을 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네이선 러브는 "AOI"가 서기관이나 필사자가 주요 사본에서 벗어났다는 것을 알리는 표시라고 믿는다. 따라서 이 표시는 출처가 '''비공연용''' 사본임을 나타낸다.[8]
3. 역사적 배경
《롤랑의 노래》는 778년 롱스보 전투를 배경으로, 샤를마뉴의 군대가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과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역사적으로는 바스크인과 가스코뉴인과의 전투였지만,[22] 시에서는 이슬람교도와의 전투로 묘사된다. 이는 십자군 시대에 이슬람교도에 맞서는 기독교도를 격려하는 역할을 이 노래가 맡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16]
샤를마뉴의 전기 작가 아이하르트는 샤를마뉴의 생애에서 롱스보 전투에서 전사한 장수 중 한 명으로 브리타니아 변경백 후로트란트(Hruodland)를 언급했다.[23] 그러나 프랑크 왕국 연대기(Annales regni Francorum)에는 롱스보 전투나 마르실, 발리간이라는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다.[25],[22],[17]
4. 줄거리
샤를마뉴의 조카이자 12성기사 중 한 명인 롤랑은 명검 듀렌달을 하사받았다. 에스파냐의 이교도 사라센과의 전쟁에서 샤를마뉴 군대는 승승장구하고, 사라고사의 마르실 왕은 거짓 화평을 제안한다. 롤랑의 계부 가늘롱은 롤랑을 모함하여 후위부대 사령관으로 천거하고, 마르실 왕과 함께 롤랑을 죽일 계략을 꾸민다.[16] 롤랑의 전우이자 지략가인 올리비에는 롤랑에게 뿔나팔 올리판트를 불어 샤를마뉴에게 도움을 청하라고 세 번이나 요청했지만, 롤랑은 오만함 때문에 처음에는 이를 거절했다. 그러나 결국 롤랑은 뿔나팔을 불어 도움을 요청한다. 샤를마뉴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롤랑과 그의 부하들이 모두 전멸한 뒤였다.[16]
샤를마뉴는 사라센을 물리치고 가늘롱을 처벌하며, 꿈에서 가브리엘 대천사로부터 새로운 십자군을 조직하라는 명령을 받는다.[16]
5.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크게 프랑크 왕국 측과 사라센 측으로 나뉜다.
'''프랑크 왕국 측'''
- '''샤를마뉴''' - 프랑크 왕국의 왕.
- '''롤랑''' - 샤를마뉴의 조카. 십이 용사 중 한 명이자 이야기의 주인공이다.
- '''올리비에''' - 십이 용사 중 한 명이자 롤랑의 절친이다.
- '''튀르팽''' - 랭스 대주교
- '''가늘롱''' - 롤랑의 계부이자 배신자.
- 나이몽 - 샤를마뉴의 신뢰받는 고문.
- 오드 - 롤랑과 올리비에의 여동생이자 롤랑의 약혼녀
- 바산 - 프랑크족 남작, 마르실의 사절로 일하다 살해됨.
- 베랭제르 - 마르실의 군대에 의해 살해된 12명의 팔라딘 중 한 명.
- 베스군 - 샤를마뉴 군대의 주요 요리사.
- 게보앵 - 프랑크족 전사들의 시체를 지킴.
- 고드프루아 - 샤를마뉴의 기수(旗手).
- 아몽 - 샤를마뉴 제8사단의 공동 사령관.
- 로랑 - 발리가에게 대항하는 최초의 사단 중 하나의 프랑크족 사령관.
- 밀롱 - 샤를마뉴가 사라센 군대를 추격하는 동안 프랑크족 전사들의 시체를 지킴.
- 오지에 - 발리가의 군대에 맞서 샤를마뉴 군대의 제3열을 이끄는 덴마크인.
- 오톤 - 샤를마뉴가 사라센 군대를 추격하는 동안 프랑크족 전사들의 시체를 지킴.
- 피나벨 - 재판 투쟁에서 가넬론을 위해 싸움.
- 티에리 - 재판 투쟁에서 샤를마뉴를 위해 싸움.
'''사라센 측'''
- '''마르실 왕''' - 사라센 왕
- '''블랑카드랭''' - 사라센의 용장
- '''발리강''' - 이집트 왕
- 그란도인 - 마르실 편에서 싸우는 전사.
- 브라밈몬드 - 사라고사의 여왕이자 마르실 왕의 아내.
5. 1. 프랑크 왕국 측
- '''샤를마뉴''' - 프랑크 왕국의 왕이자 카롤루스 대제. 롤랑의 삼촌으로 그를 특히 아껴 요정들이 만든 명검 뒤렌달을 하사했다. 778년 사라센과의 전쟁에서 승승장구하며 마르실 왕과의 마지막 전투를 앞두고 있었다. 마르실 왕의 거짓 화평 제안을 받아들였으나, 배신으로 인해 롤랑을 잃게 된다. 이후 복수에 성공하고 가늘롱을 처벌한다.
- '''롤랑''' - 샤를마뉴의 조카이자 12성기사 중 최고였다. 명검 뒤렌달을 소유한 용맹한 기사였으나, 자만심으로 인해 롱스포에서 사라센 군대의 공격을 받고 전사한다.
- '''올리비에''' - 롤랑의 전우이자 지략가. 롤랑에게 구원을 청하라고 세 번이나 권했으나, 롤랑이 듣지 않아 함께 전사한다.
- '''튀르팽''' - 랭스 대주교. 롤랑에게 도움을 청하기 위해 올리팡을 불라고 조언한다.
- '''가늘롱''' - 롤랑의 계부이자 배신자. 롤랑을 시기하여 사라센의 마르실 왕과 내통, 롤랑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이후 샤를마뉴에게 배신이 발각되어 찢겨 죽는 형벌을 받는다.[19][20][21]
5. 2. 사라센 측
6. 주요 특징 및 주제
《롤랑의 노래》는 샤를마뉴의 조카 롤랑을 찬양하는 약 4000행의 10음절 운문 서사시이다. 노르망디 지방에서 사용되던 앵글로-노르망 방언의 고대 프랑스어로 쓰여졌다. 레콩키스타 초기의 전투인 롱소 전투를 배경으로, 샤를마뉴가 이끄는 프랑크 왕국과 이베리아 반도의 이슬람 제국 사이의 갈등을 그린다. 11세기 말경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본은 1170년경에 쓰여진 옥스퍼드 사본이다. 이 외에도 14세기경의 프랑코-프로방살어 베니스 사본, 12세기 전반의 독일어 콘라트 사본 등 여러 사본이 존재한다.[16]
원래 롤랑을 지지하는 브르타뉴인들이 불렀다고 전해지며, 이후 메인, 앙주, 노르망디로 퍼져 국가적 규모로 불리게 되었다. 이는 『샹송 드 제스트』처럼 프랑스의 위대한 영웅을 찬양하는 최초의 시로서, 애국가의 선구적인 존재로 평가받는다.[17]
이 시는 불규칙한 길이의 라이스라는 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11] 각 행은 10음절(십음절)로, 대개 네 번째 음절 뒤에 강한 시적 절단이 나타난다. 라이스 내 각 행의 마지막 강세 음절은 동일한 모음 소리를 갖는 협각적인 연의 형태를 띤다. 이러한 기교적인 표현은 다른 언어로 효과적으로 재현하기 어려워, 현대 영어 번역에서는 가장 유사한 의미를 가진 단어를 사용한다.[17]
《롤랑의 노래》는 반복, 평행 구조, 명제-반명제 쌍을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서사적 특징을 보인다.[11] 롤랑이 가넬론을 사라고사로 가는 위험한 임무에 추천하고, 가넬론은 롤랑을 후위대에 배치하는 식이다. 샤를마뉴와 발리강트의 대조도 나타난다. 후기 르네상스 문학이나 낭만주의 문학과 달리, 내면 묘사보다는 행동에 초점을 맞추며, 등장인물들은 행동을 통해 성격이 드러난다.
서술자는 등장인물들의 행동에 대한 설명을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전사들은 몇 가지 특징적인 면모로 정의되는 고정관념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롤랑은 충성스럽고 신뢰할 수 있는 인물인 반면, 가넬론은 용감하지만 배신적이고 복수심에 불타는 인물이다.
이야기는 빠른 속도로 전개되지만, 때로는 속도가 느려지고 같은 장면이 최대 세 번까지 반복되면서 매번 다른 세부 사항에 초점을 맞추거나 다른 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롤랑의 노래》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 설명 |
---|---|
발리강트 | 바빌론의 에미르. 마르실이 샤를마뉴에게 대항하여 도움을 요청한다. |
블랑카드랭 | 지혜로운 이교도. 인질과 선물을 주어 샤를마뉴를 스페인에서 매수하고, 마르실의 세례 약속을 어기자고 제안한다. |
브라밈몬드 | 사라고사의 여왕, 마르실 왕의 아내. 도시 함락 후 샤를마뉴에게 사로잡혀 개종한다. |
샤를마뉴 | 프랑크 왕. 그의 군대는 스페인에서 사라센과 싸운다. 조이외즈 검을 사용한다. |
가넬론 | 배신자 영주이자 롤랑의 계부. 마르실이 프랑스 군대를 공격하도록 부추긴다. 무르글레 검을 사용한다. |
마르실 왕 | 스페인의 사라센 왕. 롤랑에게 상처를 입고 나중에 그 상처로 죽는다. |
나이몽 | 샤를마뉴의 신뢰받는 고문. |
올리비에 | 롤랑의 친구. 마가리세에게 치명상을 입는다. 지혜를 상징한다. |
롤랑 | 서사시의 영웅이자 샤를마뉴의 조카. 두랑달 검을 사용한다. 프랑스 군 후위대를 지휘하며, 올리팡 뿔피리를 불어 관자놀이가 터지고 결국 적진을 바라보며 죽는다. |
튀르팽 | 랭스 대주교. 가톨릭의 힘을 상징한다. 알마세 검을 사용한다. |
《롤랑의 노래》에서 두랑달은 천사가 샤를마뉴에게 준 전설적인 검으로 묘사된다. 이 검에는 베드로의 이빨, 바실리우스의 피, 생드니의 머리카락, 성모 마리아의 옷 조각이 들어 있으며, 모든 검 중 가장 날카로운 검이라고 전해진다. 롤랑은 이 검으로 수천 명의 무슬림 공격자들에 맞서 싸웠다. 프랑스 로카마두르 마을의 12세기 전설에 따르면, 롤랑은 이 검을 절벽에 던졌다고 한다.[9] 현재 로카마두르 성역 옆 절벽에는 전설적인 검의 복제품이 박혀 있다.[10]
6. 1. 기사도 정신과 영웅주의
롤랑은 용맹, 충성, 명예를 중시하는 중세 기사도의 전형적인 인물로 묘사된다. 샤를마뉴의 조카이자 뛰어난 용사인 롤랑은 두랑달이라는 검과 올리팡이라는 뿔피리를 가지고 롱세스발레스에서 사라센과의 전투 중 수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도 끝까지 싸우다 장렬히 죽는다.올리비에는 롤랑의 친구로, 지혜와 신중함을 대표한다. 롤랑에게 올리팡을 불어 도움을 청하라고 설득하지만, 롤랑은 이를 비겁한 행위라 여겨 거절하여, 롤랑의 오만함과 대비된다.
튀르팽 대주교는 랭스의 대주교로, 신앙심과 용기를 겸비하였으며 가톨릭의 힘을 대표한다. 알마세라는 검을 사용하며, 전투에서 롤랑과 올리비에에게 종교적 권위를 부여하고 용기를 북돋아준다.
6. 2. 배신과 복수
가늘롱의 배신은 이야기의 중심 갈등을 유발하는 핵심 요소이다. 롤랑에 대한 개인적인 원한과 복수심이 배신의 동기로 작용한다.[19][20][21] 가늘롱은 롤랑이 자신을 죽을지도 모르는 사라고사의 마르실 왕에게 사절로 추천하자, 롤랑이 자신의 영지를 노린다고 의심하며 복수를 결심한다.가늘롱은 사라센의 용장 블랑칸드랑과 함께 롤랑을 죽일 계략을 세운다. 샤를마뉴가 귀국할 때 뒤에서 기습 공격을 하겠다는 작전이었다. 가늘롱은 마르실 왕에게 롤랑을 제거하면 왕의 앞날이 안전할 것이라고 부추긴다.
샤를마뉴가 프랑크 왕국으로 돌아갈 때, 가늘롱은 계획대로 롤랑을 후위 부대 책임자로 추천한다. 롤랑과 2만 명의 병사들은 후위를 맡아 남았고, 사라센 대군의 공격을 받게 된다. 롤랑은 나팔을 불어 원군을 요청하라는 올리비에의 요청을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결국 나팔을 불었다. 가늘롱은 샤를마뉴에게 거짓 보고를 하며 상황을 수습하려 했지만, 샤를마뉴는 가늘롱의 배신을 눈치채고 그를 체포한다.
롤랑은 사라센 군대와의 전투에서 마르실 왕의 오른팔을 베고 그의 아들을 죽이는 등 맹활약했지만, 결국 전사한다.
배신자 가늘롱은 재판에 회부되어 사면을 호소했지만, 결국 사지가 찢기는 형벌을 받고 그의 친족들도 처형되었다.[19][20][21]
6. 3. 종교적 갈등
《롤랑의 노래》는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대립을 주요 배경으로 한다. 작품에서 사라센은 마호메트와 아폴리온을 따르는 이교도로 묘사되며, 기독교 세계의 적으로 간주된다.[22] 이는 11세기 십자군 시대에 이슬람교도에 맞서는 기독교도를 격려하는 역할을 이 노래가 맡았기 때문이며, 역사적 사실과는 다르지만, 중세 기사도 정신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로 여겨진다.[16]6. 4. 서사적 특징
이 노래는 불규칙한 길이의 라이스라고 알려진 연으로 쓰여졌다.[11] 각 행은 10음절(십음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네 번째 음절 다음에 오는 강한 시적 절단으로 나뉜다. 라이스에서 각 행의 마지막 강세 음절은 그 라이스의 다른 모든 끝 음절과 같은 모음 소리를 갖는다. 따라서 라이스는 협각적인 연이지, 운율적인 연이 아니다.서사적 수준에서, 《롤랑의 노래》는 반복, 평행구조, 그리고 명제-반명제 쌍의 광범위한 사용을 특징으로 한다.[11] 롤랑은 사라고사로의 위험한 임무에 가넬론을 제안하고, 가넬론은 롤랑을 후위대에 배치한다. 샤를마뉴는 발리강과 대조된다. 후기 르네상스 문학이나 낭만주의 문학과는 달리, 이 시는 내면 묘사보다는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등장인물들은 그들의 생각이나 감정이 아닌, 그들의 행동을 통해 제시된다.
서술자는 등장인물들의 행동에 대한 설명을 거의 하지 않는다. 전사들은 몇 가지 두드러진 특징으로 정의되는 고정관념이다. 예를 들어, 롤랑은 충성스럽고 신뢰하는 반면 가넬론은 용감하지만 배신적이고 복수심에 불타 있다.
이 이야기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지만, 때때로 속도가 느려지고 같은 장면을 최대 세 번까지 반복하지만 매번 다른 세부 사항에 초점을 맞추거나 다른 관점을 취한다.
7. 듀렌달
샤를마뉴가 요정에게서 받아 롤랑에게 하사했다고 전해지는 명검이다. 《롤랑의 노래》에 따르면, 듀렌달(Durandal)은 원래 천사가 샤를마뉴에게 준 것이다.[9] 이 검에는 베드로 사도의 이빨 하나, 바실리우스 대제의 피, 생드니(Saint Denis)의 머리카락, 성모 마리아의 옷 조각이 들어 있었으며, 모든 검 중 가장 날카로운 검이었다고 한다.[9] 롤랑은 이 검을 사용하여 수많은 적을 베었으며, 죽기 직전에는 바위에 내리쳐 부수려 했으나 실패했다. 프랑스 로카마두르 마을의 전설에 따르면, 롤랑은 이 검을 절벽에 던졌다고 하며,[9] 그곳 절벽에는 검의 복제품이 박혀 있다.[10]
8. 현대적 각색
《롤랑의 노래》는 다양한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어, 여러 형태로 각색되었다.
- 요제프 하이든과 늅치안토 포르타의 오페라 《오를란도 팔라디노》(1782)는 루도비코 아리오스토의 버전을 바탕으로 롤랑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하이든 생전에 가장 인기 있는 오페라였다.[13]
- 안토니오 비발디와 그라치오 브라치올리의 오페라 《오를란도 푸리오소》(1727)와 1714년 버전도 롤랑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13]
- 루도비코 아리오스토의 서사시 《오를란도 푸리오소》(1516)는 《롤랑의 노래》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11]
- 그레이엄 그린의 소설 《비밀 특사》(1939)에서는 《롤랑의 노래》가 중요한 배경으로 등장하며, 주인공은 자신과 다른 인물들을 롤랑의 등장인물들과 비교한다.[13]
- 스티븐 킹의 《다크 타워》 시리즈는 롤랑 데스체인이라는 인물을 통해 《롤랑의 노래》에서 영감을 받은 이야기를 선보인다.[13]
- 에마누엘레 루자티의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 《프랑스의 팔라딘》(1960)은 어린이 그림책으로도 만들어졌으며, 영어판 《로널드와 마법사 칼리코》(1969)로도 출판되었다.[13]
- 번지사의 비디오 게임 《마라톤》(1994)의 13번째 레벨과 주요 적대자의 이름은 롤랑의 무기 두란달에서 따왔다.[14]
- 마이클 이징과 스티브 아놀드의 소설 《은빛 뿔의 메아리: 롤랑의 노래》(2017)는 롤랑이 롱세보에서 배신당하는 이야기를 다룬다.[14]
- 독일 포크 록 밴드 다르타냥의 "Chanson de Roland"(2019)는 《롤랑의 노래》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곡이다.[15]
- 1978년에는 클라우스 킨스키 주연으로 영화화되었다.[27]
9. 한국어 번역
김준한이 번역하고 휴머니스트 출판사에서 2022년 4월 11일에 출간하였다.[1]
La Chanson de Roland|라 샹송 드 롤랑|ko프랑스어
참조
[1]
웹사이트
The Song of Roland
http://legacy.fordha[...]
FordhamUniversity.edu
2015-02-04
[2]
웹사이트
La Chanson de Roland
https://web.archive.[...]
2022-09-25
[3]
서적
La Chanson de Roland
Le Livre de Poche
[4]
웹사이트
La Chanson de Roland
https://www.arlima.n[...]
[5]
간행물
Chronicon Ghisnense et Ardense
Denis-Charles Godefroy Ménilglaise
[5]
간행물
Les chansons de croisade avec leurs mélodies
Joseph Bédier & Pierre Aubry
[6]
서적
The Song of Roland, and Other Poems of Charlemag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7]
논문
Was There a Song of Roland?
2001-01
[8]
논문
AOI in the Chanson de Roland: A divergent hypothesis
https://scholarworks[...]
Société Rencesvals
[9]
웹사이트
The sword of Rocamadour
https://www.quercy.n[...]
2014-12-16
[10]
웹사이트
Rocamadour: Roland's sword, Durandal, leaves for the Cluny museum
https://www.ladepech[...]
2019-12-18
[11]
서적
Song of Roland: An Analytical Editio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12]
Youtube
Part of Runtsivalstríðið with Dansifelagið í Havn
https://www.youtube.[...]
[13]
서적
Graham Greene: an approach to the novels
https://books.google[...]
[14]
서적
The Silver Horn Echoes: A Song of Roland
http://www.iuniverse[...]
iUniverse
2017-07
[15]
웹사이트
Chanson de Roland – dArtagnan: Lyrics & Translation
https://musinfo.net/[...]
2021-06-25
[16]
서적
ローランの歌
平凡社
[17]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The Song of Roland
http://www.fordham.e[...]
[18]
서적
西洋騎士道事典
原書房
[19]
서적
中世騎士物語
白水社
[20]
서적
西洋騎士道事典
原書房
[21]
웹사이트
ローランの歌
https://www.vivonet.[...]
株式会社ビボネット
2021-12-12
[22]
웹사이트
Song of Roland Historical Background
http://www.timelessm[...]
[23]
서적
ローランの歌
白水社
[24]
서적
スペイン史1
山川出版社
[25]
웹사이트
Royal Frankish Annals#The Revised Text
:en:Royal_Frankish_A[...]
[26]
서적
西洋騎士道事典
原書房
[27]
웹사이트
La Chanson de Roland (1978) – IMDb
https://www.imdb.com[...]
[28]
서적
Das Rolandslied des Pfaffen Konrad: Mittelhochdeutsch / Neuhochdeutsch
Reclams Universal-Bibliothek
[29]
논문
カール・インマーマン『ロンスヴォーの谷』について
関西大学
[30]
논문
カール・インマーマン『ロンスヴォーの谷』について
関西大学
[31]
논문
ハイネ『アルマンゾル』とインマーマン『ロンスヴォーの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