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림 팔름그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셀림 팔름그렌은 핀란드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1878년 포리에서 태어났다. 페루초 부소니에게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으며, 1921년부터 미국 이스만 음악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핀란드로 돌아와 활동했다. 그의 작품은 피아노 곡과 남성 합창곡이 주를 이루며, 스칸디나비아 민요적 요소를 활용한 서정적인 피아노 소품이 특징이다. 주요 작품으로는 피아노 협주곡 1번, 2번, 3번, 4번, 5번, 오페라 다니엘 요르트, 관현악 모음곡 핀란드의 풍경(사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랄프 고토니
- 핀란드의 지휘자 - 클라우스 메켈레
1996년 핀란드 헬싱키에서 태어난 지휘자 클라우스 메켈레는 음악가 집안에서 엘리트 음악 교육을 받고 시벨리우스 아카데미를 거쳐, 스웨덴 라디오 교향악단 데뷔 후 오슬로 필하모니, 파리 오케스트라, 콘세르트헤바우, 시카고 심포니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지휘를 맡으며 데카 레코드에서 음반을 발매하는 등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 핀란드의 지휘자 - 랄프 고토니
- 핀란드의 클래식 작곡가 - 에이노유하니 라우타바라
에이노유하니 라우타바라는 1928년 헬싱키에서 태어나 1954년 작품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으며,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기고 시벨리우스 아카데미에서 교수로 재직하다 2016년 사망한 핀란드의 작곡가이다. - 핀란드의 클래식 작곡가 - 에사페카 살로넨
에사페카 살로넨은 핀란드의 지휘자 겸 작곡가로,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 음악 감독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를 역임하며 현대 음악 발전에 기여했고, 음악과 기술의 융합에도 적극적이다.
셀림 팔름그렌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셀림 팔름그렌 |
출생 | 1878년 2월 16일 |
출생지 | 핀란드 대공국 투르쿠・포리 주 포리 |
사망 | 1951년 12월 13일 (73세) |
사망지 | 핀란드 우시마 주 헬싱키 |
국적 | 핀란드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 음악 교사 |
장르 | 클래식 음악, 낭만주의 음악, 근대 음악 |
악기 | 피아노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Kuka Kukin On (Who's Who) (1954) |
2. 생애
셀림 팔름그렌은 1878년 투르쿠-포리 주 포리에서 태어났다. 페루초 부소니에게 사사받아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다. 1921년부터 미국의 이스만 음악학교 작곡과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후 핀란드로 돌아왔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피아노 곡과 남성 합창곡이며, 특히 피아노를 위한 서정적인 소품은 스칸디나비아 민요적 요소가 활용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셀림 팔름그렌은 1878년 투르쿠-포리 주 포리에서 태어났다. 페루초 부소니에게 사사받아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다.2. 2. 음악 활동
셀림 팔름그렌은 1878년 투르쿠-포리 주 포리에서 태어났다. 페루초 부소니에게 사사받아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다. 1921년부터 미국의 이스만 음악학교 작곡과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후 핀란드로 돌아왔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피아노 곡과 남성 합창곡이며, 특히 피아노를 위한 서정적인 소품은 스칸디나비아 민요적 요소가 활용되었다.2. 3. 미국에서의 활동 (1921-1926)
셀림 팔름그렌은 1921년부터 미국 이스만 음악학교 작곡과에서 교편을 잡았다. 핀란드로 돌아오기 전까지 미국에서 활동하며, 피아노 곡과 남성 합창곡 등 다양한 작품을 작곡했다. 특히 피아노를 위한 서정적인 소품에는 스칸디나비아 민요적 요소가 활용된 것이 특징이다.2. 4. 핀란드 귀국 이후
셀림 팔름그렌은 1878년 투르쿠-포리 주 포리에서 태어났다. 페루초 부소니에게 사사받아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다. 1921년부터 미국의 이스만 음악학교 작곡과에서 교편을 잡았다. 이후 핀란드로 돌아왔다. 그의 작품 대부분은 피아노 곡과 남성 합창곡이며, 특히 피아노를 위한 서정적인 소품은 스칸디나비아 민요적 요소가 활용되었다.3. 주요 작품
3. 1. 작품 목록 (작품 번호순)
3. 2. 작품 목록 (작품 번호 미상, 알파벳순)
셀림 팔름그렌의 작품 번호가 없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작품 번호 미상''' - 자장가 (1919년까지)
- '''작품 번호 미상''' - 핀란드 카비네슈투케 (피아노 7곡) (1923년까지)
- '''작품 번호 미상''' - 가보트와 뮈제트 (1919년까지)
- '''작품 번호 미상''' - '쇼팽의 무덤' (피아노 및 오케스트라)
- '''작품 번호 미상''' - 왼손만을 위한 간주곡 (1906)
- '''작품 번호 미상''' - 북부 민요
- '''작품 번호 미상''' - 로망스 (1917)
- '''작품 번호 미상''' - 스케르초 (1893)
- '''작품 번호 미상''' - 피아노를 위한 핀란드 민요 (아마 Op.69?)
- '''작품 번호 미상''' - '보르브레카르나르 브루스' ("봄의 바스락거림")
사후 출판된 작품(Op. posth.)은 다음과 같다.
- '''Op. posth.''' - 합창을 위한 아프톤살름
- '''Op. posth.''' - 피아노를 위한 알레그레토 (1921)
- '''Op. posth.''' - 남성 합창을 위한 알로엘고나나트
- '''Op. posth.''' - 안나-미 (노래)
- '''Op. posth.''' - 아라베스크 (1946)
- '''Op. posth.''' - 아라베스키 (1896)
- '''Op. posth.''' - 아스파르나스 수스닝 (노래)
- '''Op. posth.''' - 아우리코카우푸키 합창
- '''Op. posth.''' - 피아노를 위한 바가텔
- '''Op. posth.''' - 자장가
- '''Op. posth.''' - 자장가 (1895)
- '''Op. posth.''' - 자장가 (1917)
- '''Op. posth.''' - 비요르카르나르 다르 헴마 남성 합창
- '''Op. posth.''' - 보르트 알트 바드 오로 뢰르 남성 합창
- '''Op. posth.''' - 보트니스카 하브
- '''Op. posth.''' - 브루데페르덴
- '''Op. posth.'''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카바티나 (분실?)
- '''Op. posth.'''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샹송 엘레지악
- '''Op. posth.'''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샹송 도톤 (1917)
- '''Op. posth.''' - 클라리넷 협주곡 (미완성)
- '''Op. posth.''' - 콘 소르디노
- '''Op. posth.''' - 콘체르트-에튀드 ("콘세르트에튀드") (1906)
- '''Op. posth.''' - 컨트리 댄스 / 뮈제트 / 백파이프 (1922)
- '''Op. posth.''' - 도움을 외침 (1927)
- '''Op. posth.''' - 다그 에프터 다그
- '''Op. posth.''' - 다르툴라스 그라브송 남성 합창
- '''Op. posth.''' - '데 팔라나' ("타락한 자들") (1919)
- '''Op. posth.''' - 데 헬리가 앵글라 합창 (1933)
- '''Op. posth.''' - 데 비타 스콜라스티카
- '''Op. posth.''' - 덴 롱가 다겐
- '''Op. posth.''' - 덴 오베르기브나
- '''Op. posth.''' - '드롬멘' ("꿈") (1898)
- '''Op. posth.''' - 드롬비사 (1921)
- '''Op. posth.''' - 엔 이딜
- '''Op. posth.''' - 엔심매이넨 페르호넨 ("첫 번째 나비")
- '''Op. posth.''' - 앙트레트 발상
- '''Op. posth.''' - '에로투스 미엘릴라' ("떠나간 생각") (1900)
- '''Op. posth.''' - 피아노를 위한 에튀드 (1896) ("미완성")
- '''Op. posth.''' - 에튀드 ("그니스토르")
- '''Op. posth.''' - 콘서트 에튀드 (c.1900)
- '''Op. posth.''' - 핀란드 카프리스 (1922)
- '''Op. posth.''' - '헬싱키 올드보이스 연대' 행진곡
- '''Op. posth.''' - 간주곡 (1895)
- '''Op. posth.''' - 행진 간주곡 (Op.47 No.4 편곡?)
- '''Op. posth.''' - '케이유카이셋' ("요정들")
- '''Op. posth.''' - '케바타우에르타'
- '''Op. posth.''' - '상처받은 마음을 위한 자장가' (피아노곡 Op 81에서 오케스트라로 각색?)
- '''Op. posth.''' - 뮈제트
- '''Op. posth.''' - 서곡 (1934) – Op 93b와 동일! (1982년에 "사후" 작품으로 재출판)
- '''Op. posth.''' - '피에니 레겐다' ("작은 전설") (1895)
- '''Op. posth.''' - 프렐루드 퓨네브르
- '''Op. posth.''' - 프렐루데토
- '''Op. posth.''' - 프레스토
- '''Op. posth.''' - 로망스 (1917)
- '''Op. posth.''' - 스케르치노 (1894)
- '''Op. posth.''' - 세레나데
- '''Op. posth.''' - '솔스켄 도르 테라르' ("눈물 속의 햇살") (1946)
- '''Op. posth.''' - '스핀로켄'
- '''Op. posth.''' - '시스프로로기' ("가을 서론")
- '''Op. posth.''' - 티타니아 남성 합창
- '''Op. posth.''' - 웅가리셔 탄츠
- '''Op. posth.''' - 발코카르티 ("백색 경비대")
- '''Op. posth.''' - '발씨 란시수오말라이센 타파안' ("서부 핀란드 스타일의 왈츠")
- '''Op. posth.''' - 아리아 (1904)
1926년 6월의 ''그래머폰 기사''에 실린 전기에 따르면, 팔름그렌은 당시에 두 개의 오페라를 썼는데, 하나는 제작되었고(다니엘 히요르트다니엘 히요르트), 다른 하나는 제작되지 않았다. 팔름그렌은 다른 오페라를 제작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3. 장르별 주요 작품
3. 3. 1. 피아노곡
- 피아노 소나타 라단조, 작품 11
- 24개의 전주곡, 작품 17
- 모음곡 《봄》 작품 27
- * 5월의 밤 (''Night in May'') 작품 27의 4
- 3개의 소품, 작품 54
- * 빗방울 (''Rain Drops'') 작품 54의 1
- * 달빛 (''Moonlight'') 작품 54의 3
- 3개의 소품, 작품 57
- * 가루눈 (''Snow Flakes'') 작품 57의 2
- 3개의 야상곡적 정경, 작품 72
- * 별은 반짝인다 (''The Stars are Twinkling'') 작품 72의 1
- 소나티네 바장조, 작품 93
- 태양과 구름, 작품 102
3. 3. 2.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1번 사단조, 작품 13
- 피아노 협주곡 2번 '흐름', 작품 33
- 피아노 협주곡 3번 '변용', 작품 41a
- 피아노 협주곡 4번 '4월', 작품 85
- 피아노 협주곡 5번 가장조, 작품 90
3. 3. 3. 관현악곡
- 관현악 모음곡 《핀란드의 풍경(사계)》 작품 24
3. 3. 4. 오페라
- 다니엘 요르트/Daniel Hjortfi 작품 30
4. 평가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Selim Palmgren
http://www.musicsack[...]
2011-01-26
[2]
서적
Kuka Kukin On (Who's Who)
https://runeberg.org[...]
Otava
19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