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등쪼기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등쪼기새류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로, 소등쪼기새과에 속하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고유하게 분포한다. 1760년 마튀랭 자크 브리송에 의해 노란부리소똥지빠귀를 기준으로 처음 명명되었으며, 굴뚝새과와 찌르레기과와 관련된 고대 계통으로 분류된다. 소등쪼기새류는 노란부리소똥지빠귀와 붉은부리소똥지빠귀 두 종으로 구성되며, 대형 포유류의 몸에서 외부 기생충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의 행동이 상리 공생인지 기생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번식은 우기와 관련하여 포유류 숙주 위에서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흡혈 - 모기
    모기는 파리목 모기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전 세계에 3,600종 이상이 있으며, 일부 종은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병과 같은 질병을 매개하여 인간에게 해로운 존재이지만, 다양한 생태계 역할을 수행한다.
  • 흡혈 - 벼룩
    벼룩은 날개 없는 흡혈성 곤충으로 포유류와 조류의 피를 먹고 살며 뛰어난 점프력, 측면으로 납작한 몸, 강한 발톱을 가진 다리, 완전변태의 생활사, 질병 매개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인간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소등쪼기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계
참새목
아목참새아목
소등쪼기새과 (Buphagidae)
소등쪼기새속 (Buphagus)
생물학적 정보
황색부리소등쪼기새
황색부리소등쪼기새(Buphagus africanus africanus) - 세네갈의 얼룩말
학명Buphagus
명명자Brisson, 1760
Buphagus africanus
Buphagus erythrorhynchus
어원그리스어에서 유래
그리스어 어원βοῦς (bous, "소") + -φαγος (-phagos, "먹는")
특징등에 앉아 곤충, 진드기, 파리 등을 잡아먹음
부가 설명코뿔소의 피를 마시기도 함
특징 2검은코뿔소를 밀렵꾼으로부터 보호

2.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17]

최근 참새목 계통발생학 연구에 따르면, 소등쪼기새는 굴뚝새과(흉내지빠귀 포함) 및 찌르레기과와 관련된 고대 계통이지만, 어느 쪽과도 특히 가깝지는 않다.[6][7][8] 이러한 그룹의 알려진 생물지리학을 고려할 때, 소등쪼기새 계통이 다른 두 종과 마찬가지로 동아시아 또는 동남아시아에서 기원했다는 것이 가장 타당한 설명으로 보인다.[7] 이는 ''Buphagus''의 두 종을 일종의 살아있는 화석으로 만들 것이며, 과거 진화의 잔재가 놀랍고 독특한 자폐형질 적응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2. 1. 하위 종

이름학명분포 지역
노랑부리소등쪼기새Buphagus africanus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
붉은부리소등쪼기새Buphagus erythrorhynchus주로 동아프리카



Buphagus영어속은 1760년 프랑스 동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에 의해 노랑부리소등쪼기새를 기준종으로 하여 처음 소개되었다.[4]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bous'' ("소")와 ''-'' ("먹는")을 결합한 것이다.[5]

3. 분포 및 서식지

소등쪼기새류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고유하며, 대부분의 열린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가장 건조한 사막열대 우림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이들의 분포는 선호하는 먹이인 특정 종류의 진드기와 그 진드기의 동물 숙주의 존재에 의해 제한된다. 소등쪼기새류 두 종은 동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동소적 분포하며, 심지어 같은 숙주 동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두 종 간의 상호 작용의 성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4. 생태

소등쪼기새류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 고유하며, 대부분 열린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가장 건조한 사막열대 우림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이들의 분포는 선호하는 먹이인 특정 종류의 진드기와, 그 진드기의 동물 숙주의 존재에 의해 제한된다. 동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는 두 종이 동소적 분포하며, 심지어 같은 숙주 동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두 종 간의 상호 작용의 성격은 알려지지 않았다.

암컷 큰얼룩말영양 위에 있는 붉은부리소똥고리.


누 위에 있는 노란부리소똥고리.


소등쪼기새류는 대형 포유류의 몸에서만 먹이를 얻는다. 리히텐슈타인하르트비스트나 토피와 같은 종은 일반적으로 피하며, 레체, 듀이커, 갈대영양과 같은 작은 영양 또한 피한다. 가장 작게 자주 이용되는 종은 임팔라인데, 이는 아마도 이 종의 진드기 부담이 크고 사회적인 특성 때문일 것이다. 그들의 서식지 대부분에서 현재 소를 먹이로 하지만 낙타는 피한다. 그들은 외부 기생충, 특히 진드기, 그리고 상처에 침투하는 곤충, 일부 상처의 살과 피를 먹는다. 동물의 등에 상처를 내기 때문에 때때로 기생충으로 분류된다.[2]

소등쪼기새류와 포유류의 상호 작용은 일부 논쟁과 진행 중인 연구의 대상이다.[10] 이들은 원래 상리 공생의 예시로 여겨졌지만, 최근 증거에 따르면 소등쪼기새류가 대신 기생충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11] 소등쪼기새류는 진드기를 먹지만, 종종 진드기가 이미 유제류 숙주를 먹이를 섭취한 상태이며, 소등쪼기새류의 존재와 외부 기생충 감소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다.[11] 소등쪼기새류는 앉아있는 동물의 피를 마시기 위해 새로운 상처를 내거나 기존의 상처를 악화시키는 것이 관찰되었다.[12] 소등쪼기새류는 또한 포유류의 귀지, 비듬을 먹으며, 이 행위가 포유류에게 어떤 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지만, 이 또한 기생적인 행동일 것으로 추정된다.[11] 일부 소등쪼기새류의 숙주는 그들의 존재를 참지 못한다.[12] 코끼리와 일부 영양은 소등쪼기새류가 앉으면 적극적으로 쫓아낸다. 그러나 코끼리가 소등쪼기새류가 자신에게서 기생충을 먹도록 허용하는 경우도 있었다.[13] 다른 종들은 소등쪼기새류가 얼굴에서 진드기를 찾는 동안 관대하게 대하는데, 한 저자는 이를 "불편하고 침입적인 과정으로 보인다"고 말한다.[14]

4. 1. 번식

임팔라 털로 덮인 둥지 속의 붉은부리소똥지빠귀의 알 뭉치, 케냐


소똥지빠귀의 번식기는 적어도 한 지역에서는 우기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포유류 숙주의 활동과 숙주의 진드기 부하에 영향을 미친다. 구애와 교미 모두 숙주 위에서 일어난다. 보통 나무 구멍에 둥지를 틀지만 벽의 구멍을 포함한 다른 유형의 동굴에서도 둥지를 튼다. 둥지는 풀로 덮여 있으며 종종 숙주에게서 뽑은 털, 심지어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양과 같은 가축의 털로도 덮여 있다. 전형적인 산란은 2~3개의 알이지만, 붉은부리소똥지빠귀는 최대 5개의 알을 낳을 수 있다.

4. 2. 잠자리

붉은부리소등쪼기새는 갈대와 나무에서 둥지를 트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밤에 카메라를 사용하여 대형 사바나 초식동물을 연구한 결과, 두 종의 소등쪼기새(특히 노란부리소등쪼기새) 모두 기린의 넓적다리 안쪽 아래, 임팔라와 물소 위에 매달려 초식동물의 몸에 둥지를 틀 수 있음이 밝혀졌다.[15]

5.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딱새소목의 계통 분류이다.[17]

{| class="wikitable"

|-

! 딱새소목

|-

|

{| class="wikitable"

|-

! 여새상과

|-

|

{| class="wikitable"

|-

| 종려나무떠들썩새과

|-

|

{| class="wikitable"

|-

| 여새과

|-

|

Hylocitreidae
오오과



|}

|}

|-

! 딱새상과

|-

|

{| class="wikitable"

|-

| 엘라쿠라과

|-

|

{| class="wikitable"

|-

| 물까마귀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소등쪼기새과

|-

|



|}

|}

|}

|}

|-

|

{| class="wikitable"

|-

| 상모솔새과

|-

! 나무발바리상과

|-

|

{| class="wikitable"

|-

| 나무타기사촌과

|-

|

{| class="wikitable"

|-

| 동고비과

|-

|

{| class="wikitable"

|-

|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Buphagidae https://www.aviansys[...] The Trust for Avian Systematics 2023-07-15
[2] 웹사이트 Those Little Birds On The Backs Of Rhinos Actually Drink Blood https://www.smithson[...] 2019-03-09
[3] 웹사이트 These Birds Protect Black Rhinos From Poachers (but Also Drink Their Blood) https://www.audubon.[...] Audubon 2020-06-10
[4] 서적 Ornithologie, ou, Méthode contenant la division des oiseaux en ordres, sections, genres, especes & leurs variétés Jean-Baptiste Bauche
[5] 웹사이트 Key to Scientific Names in Ornithology https://www.hbw.com/[...] Lynx Edicions 2018-05-11
[6] 논문 Assessing the passerine 'tapestry':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Muscicapoidea inferred from nuclear DNA sequences
[7] 논문 Nuclear and mitochondrial sequence data reveal the major lineages of starlings, mynas and related taxa
[8] 논문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y of the starlings (Aves: Sturnidae) and mockingbirds (Aves: Mimidae): congruent mtDNA and nuclear trees for a cosmopolitan avian radiation
[9] 웹사이트 Nuthatches, Wallcreeper, treecreepers, mockingbirds, starlings, oxpecker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8-05-11
[10] 논문 Large-scale assessment of commensalistic–mutualistic associations between African birds and herbivorous mammals using internet photos
[11] 논문 Red-billed oxpeckers: vampires or tickbirds?
[12] 논문 Interactions between red-billed oxpeckers and black rhinos in captivity
[13] Youtube Odzala: Islands In The Forest https://www.youtube.[...] 2024-09-13
[14]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ume 14, Bush-shrikes to Old World Sparrows Lynx Edicions
[15] 논문 Giraffe bed and breakfast: Camera traps reveal Tanzanian yellow-billed oxpeckers roosting on their large mammalian hosts 2018
[16] 웹인용 Nuthatches, Wallcreeper, treecreepers, mockingbirds, starlings, oxpeckers http://www.worldbird[...]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19-08-12
[17] 저널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