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바 (성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바는 성경에 등장하는 고대 왕국으로, 사울과 다윗 시대에 이스라엘과 전쟁을 벌였다. 히브리 성경에는 소바 왕들과의 전쟁, 다윗의 정복, 솔로몬 시대의 독립에 대한 기록이 있다. 메소포타미아 기록에서는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정복된 것으로 언급된다. 소바의 위치는 학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견해가 있으며, 알레포, 베로다, 칼키스(시리아), 홈스, 베카 계곡 등 여러 지역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아의 고대사 - 히타이트
    히타이트는 기원전 2000년경 소아시아에서 번성한 고대 국가 및 문명으로, 아나톨리아 고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고 하투사스를 수도로 삼았으며,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로 나뉘어 설형 문자와 히타이트어를 사용하며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시리아의 고대사 - 나바테아 왕국
    나바테아 왕국은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106년까지 존재했던 아랍 왕국으로, 대상 무역으로 번영하고 페트라를 수도로 실크로드의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뛰어난 관개 기술과 건축 기술을 보유했으나 로마에 병합되었다.
  • 히브리어 성경의 장소 - 약속의 땅
    약속의 땅은 토라에 기록된 아브라함과 그 자손에게 주겠다고 약속된 땅으로, 유대 민족의 핵심 민족 신화이자 시온주의의 핵심 교리이며, 기독교에서는 영적으로 재해석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영가에서는 자유와 구원의 상징으로, 유럽 식민주의 시대에는 아메리카를 종교적 안식처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 히브리어 성경의 장소 - 에돔
    에돔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에서의 후손이 세운 고대 왕국이자 민족으로, 붉은 땅을 특징으로 하는 사해 남단에서 아카바만까지의 산악 지대에 위치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전쟁, 유다 왕국의 속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한 쇠퇴, 나바테아인에게 밀려 이두매 사람이 된 후 유대 사회에 통합되어 로마 시대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구리 채굴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신 카우스를 섬겼다.
  • 아시아의 옛 나라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아시아의 옛 나라 - 만주국
    만주국은 1931년 일본 제국이 만주사변으로 세운 괴뢰국가로, 푸이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일본 관동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고,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를 내세웠지만 일본 침략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다 1945년 일본 패망으로 멸망 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소바 (성경)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개요
국가명소바
현지 이름소바
역사
소속 국가통일 이스라엘 왕국
주요 구성원아람인
지리
수도소바
인구
민족아람인
언어
공용어아람어
종교
주요 종교고대 시리아 종교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2. 역사

소바의 역사는 크게 성경에 기록된 내용과 메소포타미아(아시리아) 기록에 나타난 내용으로 구분된다.

사울은 소바의 왕들과 전쟁을 하였다.[9] 하닷에셀이 유브라데강가에서 세력을 키우고자 하였으나, 다윗이 하닷에셀을 쳐서 하맛까지 이르고 그의 도시 디브핫에서 많은 전리품을 빼앗았다. 이후 암몬 사람들이 다윗과 전쟁을 하기 위해 소바에서 병거와 마병을 샀으며, 다윗이 암몬과 싸울 때 암몬 편에 서서 싸웠으나 지휘관 소박을 잃고 화친하였다. 솔로몬이 하맛소바를 쳤는데, 그때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9]

2. 1. 히브리 성경 기록

사울은 소바의 왕들과 전쟁을 하였다.[9] 사무엘기 상 14:47에서 소바의 왕들은 이스라엘 왕 사울과 싸웠다고 전해진다. 키크패트릭은 "그 '왕들'은 독립적인 족장들이었다"고 말하지만, 다윗 시대에는 단일 왕인 하닷에셀 바르 르홉이 있었다.[1] 하닷에셀이 유브라데강가에서 세력을 키우고자 하였으나, 다윗이 하닷에셀을 쳐서 하맛까지 이르고 그의 도시 디브핫에서 많은 전리품을 빼앗았다. 이후에 암몬 사람들이 다윗과 전쟁을 하기 위해 소바에서 병거와 마병을 샀다. 다윗이 암몬과 싸울 때 암몬 편에 서서 싸웠으나 지휘관인 소박을 잃고 화친하였다.[9] 이 전쟁에서 유프라테스 강 건너편의 아람인들이 하닷에셀을 도왔다. 하닷에셀 바르 르홉 왕은 암몬과 동맹을 맺고 다윗 왕에게 대항했지만, 다윗은 소바를 격파하고 이 왕국을 이스라엘의 조공국으로 만들었다. 솔로몬 즉위 후 소바는 이스라엘로부터 독립하였다. 솔로몬이 하맛소바를 쳤는데 그때 멸망한 것으로 보인다.[9]

시편 60편의 장 제목은 새로운 킹 제임스 성경에서 소바를 언급하고 있다.[2] 개정 표준역과 새 아메리카 성경(개정판)에서는 아람-소바를 언급하고 있다.[3][4]

2. 2. 메소포타미아 기록

기원전 7세기 아슈르바니팔 연대기에는 소바(수비티)가 아슈르바니팔에 의해 정복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1] 깨진 설형 문자 도시 목록에는 소바(수비티)가 하마, 다마스쿠스와 함께 언급된다.[2]

3. 위치 비정

성경에 나오는 소바의 위치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열왕기와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하닷에셀의 도시 베로다이는 하맛과 다마스쿠스 사이에 있던 베로다와 동일시되기도 한다. 소바는 이 도시 근처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조셉 할레비는 소바를 칼키스로 비정하기도 했다. 이 견해에 따르면 소바는 시리아 최북단과 터키 일부 지역에 위치했을 것이다.

몇몇 자료에서는 소바가 현대 시리아의 홈스 또는 레바논베카 계곡에 있는 안자르라고 주장한다.[7]

3. 1. 랍비 자료

11세기부터 랍비들은 "아람-조바"라는 용어를 알레포 지역에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는 오늘날까지 시리아 유대인들에게 통용되고 있다.[5] 그러나, 사디아 가온(882–942 CE)은 유대-아랍어 시편 번역(''tafsīr'')에서 아람-조바를 니시비스와 동일시했다.[6]

3. 2. 학계의 다양한 견해

베로다이(베로다)와 동일시하는 견해가 있으며, 조셉 할레비는 소바를 칼키스(시리아)와 동일시했다.[1] 홈스 또는 레바논베카 계곡에 있는 안자르(레바논)라는 주장도 있다.[7] 에드워드 리핀스키는 소바의 수도가 베카 계곡의 텔 데이르 유적지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가비 아부삼라는 성경 속 도시를 레바논의 자부드 마을과 연결한다. 후기 아시리아 문서에서는 다마스쿠스에서 파생된 지방 중심지였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이는 알 키스와 서쪽의 데일 하비야일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8]

4. 중도진보적 관점에서의 소바

소바는 고대 근동 지역의 패권을 둘러싼 이스라엘, 아람, 아시리아 등 여러 세력 간의 경쟁과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특히 다윗솔로몬 시대의 이스라엘 왕국과의 관계는 초기 이스라엘 왕국의 발전과 쇠퇴에 큰 영향을 미쳤다.[9]

사울은 소바의 왕들과 전쟁을 벌였다. 하닷에셀이 유브라데강가에서 세력을 확장하려 했으나, 다윗이 그를 쳐서 하맛까지 진격하고 그의 도시 디브핫에서 많은 전리품을 획득했다. 이후 암몬 사람들이 다윗과 전쟁을 벌이기 위해 소바에서 병거와 마병을 고용했다. 암몬 편에 서서 다윗과 싸웠지만, 지휘관 소박을 잃고 이스라엘과 화친했다. 솔로몬이 하맛소바를 공격했을 때 소바는 멸망한 것으로 추정된다.[9]

참조

[1] 서적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1 Samuel 14 https://biblehub.com[...] 2019-07-26
[2] 성경 Psalm 60
[3] 성경 Psalm 60
[4] 성경 Psalm 60
[5] 웹사이트 World Center for Aleppo (Halab) Jews Traditional Culture https://aleppojews.c[...]
[6] 서적 The Book of Psalms (with Rabbi Saadia Gaon's Translation and Commentary) Machon Moshe 2010
[7] 웹사이트 كتاب صوبا - تاريخ وطن وحياة قرية http://www.subaa.com[...]
[8] 웹사이트 مملكة آرام حماة http://www.nesrosury[...]
[9] 성경 역대하 8: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