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몬은 기원전 2천 년대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트란스요르단 지역에 존재했던 민족이다. 신아시리아 제국 시대에 아시리아에 공물을 바치며 독립을 유지했고, 이후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융성했다. 페르시아 제국과 헬레니즘 제국 시기에 대한 기록은 부족하며, 유다 마카베오에 의해 유다 왕국이 재건될 때 이를 반대했다. 성경에서는 롯의 두 딸에서 유래한 민족으로 묘사되며, 이스라엘과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암몬은 가나안어파에 속하는 암몬어를 사용했으며, 몰렉을 숭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의 지역 - 에돔
에돔은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에서의 후손이 세운 고대 왕국이자 민족으로, 붉은 땅을 특징으로 하는 사해 남단에서 아카바만까지의 산악 지대에 위치했으며, 이스라엘과의 전쟁, 유다 왕국의 속국, 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한 쇠퇴, 나바테아인에게 밀려 이두매 사람이 된 후 유대 사회에 통합되어 로마 시대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고, 구리 채굴 산업을 기반으로 국가신 카우스를 섬겼다. - 요르단의 지역 - 모압
모압은 철기 시대에 사해 동쪽에 위치했던 고대 왕국으로, 롯의 후손으로 알려진 모압인들이 세웠으며, 이스라엘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고, 케모스를 주신으로 섬겼으나, 로마 제국에 정복된 후 쇠퇴하여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이스라엘의 역사적 지역 - 거룩한 땅
거룩한 땅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바하이 신앙에서 각각 이스라엘 땅, 예수 그리스도 관련 장소, 예루살렘, 아크와 하이파를 특별한 의미를 지닌 장소로 여기는 곳을 말한다. - 이스라엘의 역사적 지역 - 갈릴래아
갈릴래아는 이스라엘 북부에 위치하며 상갈릴래아, 하갈릴래아 등으로 나뉘고, 철기 시대 이스라엘 왕국의 일부였으며,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의 성지로 여겨지는 관광지이다. - 암몬 - 암만
암만은 요르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랍밧 암몬에서 시작된 오랜 역사를 지니며, 헬레니즘 시대에 필라델피아로 개명, 이슬람 시대를 거쳐 요르단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적 인프라가 공존한다. - 암몬 - 롯 (성경 인물)
롯은 아브라함의 조카로서 소돔과 고모라의 멸망 이야기와 관련되어 있으며, 천사들의 도움으로 탈출했으나 아내가 소금 기둥이 되었고, 이후 딸들과의 근친상간을 통해 모압과 암몬 족속의 조상이 되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다.
암몬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암몬 |
현지 이름 | 암몬 |
다른 표기 | 𐤏𐤌𐤍 |
존속 기간 | 기원전 10세기 ~ 기원전 332년 |
수도 | 암만 |
공용어 | 암몬어 |
데모님 | 암몬인 |
종교 | 가나안 종교 |
주신 | 몰레크 |
정부 형태 | 군주제 |
지도 | |
![]() |
2. 역사
암몬인들은 트란스요르단의 고원 지역을 기원전 2천년대부터 기원전 2세기까지 지배했다.
성경에서 암몬인은 모압인의 형제 민족으로, 조상이 롯이기에 아브라함의 자손인 이스라엘과는 사촌 격인 민족으로 여겨진다. 이들은 요르단 강 동쪽 기슭의 길르앗 지방에 국가를 세웠으며, 이스라엘과는 적대적인 관계였다. 후에 다윗 왕에 의해 정복되어 이스라엘의 속국이 되었고 유대인에게 흡수되었다. 수도는 라바(Rabbah)였으며, 히브리어로 라바트 암몬(Rabbath Ammon)이라고 불렸다. 현재는 요르단의 수도 암만이 되었다.
2. 1. 신아시리아 제국 시대
암몬인들은 신아시리아 제국이 인접국들을 점령하는 동안, 아시리아 제국에 공물을 바치며 독립을 유지했다.[3] 쿠르크 석비에는 기원전 853년 암몬 왕 바샤 벤 루후비가 이스라엘 왕 아합, 시리아와 동맹을 맺어 샬마네세르 3세에 대항해 카르카르 전투를 벌였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는데, 아람 다마스쿠스의 왕 벤하닷 2세의 가신으로 참전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734년에는 암몬 왕 사니푸가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가신으로 있었으며, 사니푸의 후임인 푸두-일루 역시 센나케립과 에사르하돈의 가신으로 있었다.[4] 이 때 암몬은 유다의 5분의 1에 해당하는 공물만 바쳤다.[5]
그로부터 조금 뒤, 암몬 왕 암미나답 1세는 아슈르바니팔의 아라비아 정벌을 지원하느라 많은 피해를 보았다.[4]
2. 2. 신바빌로니아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 시대
최근 학계에서는 암몬이 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부터 페르시아 제국 시대까지 번성하였다고 본다.[6] 이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해 트란스요르단 지역이 황폐화되었거나,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의한 유다 왕국의 멸망(기원전 586년경) 이후 급격히 쇠퇴하였다는 기존의 해석과 대치된다. 기존 해석은 주로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에 근거한 것이지만, 현재 학계에서는 고고학적 발굴에 근거하여 암몬이 신바빌로니아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 걸쳐 연속적으로 번성하였다고 본다.[6]
페르시아 제국에서 헬레니즘 제국으로 넘어가는 시기의 암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2. 3. 헬레니즘 제국 시대 이후
페르시아 제국에서 헬레니즘 제국까지의 암몬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 기간의 암몬에 대한 기록은 마카베오서에서 등장한다. 암몬인들은 인근 다른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유다 마카베오에 의해 유다 왕국이 재건되고 부흥하자 이를 막으려 했다.[4][7]암몬인들에 대한 마지막 언급은 유스티노 순교자의 기록이다. 이 2세기의 기록에 따를 때 당시에도 여전히 암몬인들의 수가 상당했다.[4][8]
3. 성경에서의 묘사
암몬의 시조는 아브라함의 조카 롯의 두 딸 중 한 명으로, 성경에 따르면 롯의 두 딸 중 한 명은 암몬의 시조가 되고, 또 한 명은 모압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암몬족들의 중심지는 랍바(רַבָּהhe)였는데, 현재 요르단의 수도인 암만이다.[9]
암몬인은 성경에서 모압인의 형제 민족으로, 조상이 롯이기에 아브라함의 자손인 이스라엘과는 사촌 격인 민족으로 여겨진다. 요르단 강 동쪽 기슭의 길르앗 지방에 국가를 세웠으며, 이스라엘과는 적대적인 관계였다. 후에 다윗 왕에 의해 정복되어 이스라엘의 속국이 되었고 유대인에게 흡수되었다. 그 수도는 라바(Rabbah)라고 불렸다. 후에 히브리어로 라바트 암몬(Rabbath Ammon)이라고 불렸으며, 현재는 요르단의 수도 암만이 되었다.
유다 왕국 여호야김 시대에 다른 이민족들과 동맹을 맺고 이스라엘을 공격했으며, 기원전 259년에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정복되어 '필라델피아'라는 지명이 붙여졌다. 바빌론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민족이 성전 재건을 방해하다가 헬레니즘 시대 유다 마카베오에 의해 희석되었다.
3. 1. 판관기 시대
암몬족들은 성격이 잔인무도하고 싸움을 좋아했으며 일곱 신을 숭배하였다. 이들은 왕국을 설립해 판관기 시기 모압 왕 에글론과 동맹을 맺고 이스라엘을 공격했으며, 예리코를 18년 동안 점령하고 있다가 판관 에훗의 공격으로 퇴각하기도 했다. 판관 입다 시기에도 쳐들어왔다가 길르앗 군대에 의해 격파되었다.[9]
3. 2. 연합 이스라엘 왕국 시대
연합 이스라엘 왕국 사울 왕 때 암몬의 왕 나하스가 요르단강 서편 지역의 야베스 길앗까지 쳐들어갔다가 사울의 33만 대군에게 정벌당했다. 이후 다윗이 대대적으로 이민족을 정벌하여 암몬인들은 크게 패했고, 후에 아람인들과 동맹을 맺고 다윗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다시 정벌당했다.[9]
솔로몬 시대에는 외교적 통혼정책으로 후비를 맞이하게 되는데, 솔로몬의 뒤를 잇는 르호보암의 어머니인 암몬 여인 나아마가 대표적인 예이다.
3. 3. 분열 왕국 시대
연합 이스라엘 왕국의 사울 왕 때 암몬의 왕 나하스가 요르단강 서편 지역의 야베스 길앗까지 쳐들어갔다가 사울의 33만 대군에게 정벌당했다.[9] 뒤를 이은 다윗이 대대적으로 이민족을 정벌하여 암몬인들은 크게 패했고, 후에 아람인들과 동맹을 맺고 다윗에게 반란을 일으켰으나 도리어 다시 정벌당했다.[9]
이후 솔로몬 시대 때 외교적 통혼정책이 시행되면서 후비를 얻게 되는데, 솔로몬의 뒤를 잇는 르호보암의 어머니인 암몬 여인 나아마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9]
다윗 시대 이후로 암몬은 대대로 이스라엘의 조공 국가가 되었고, 유다 왕국의 여호사밧 왕 때 에돔, 모압과 동맹을 맺어 반기를 들었다가 정벌당했고, 웃시야 왕 때부터 다시 조공을 바쳤다가 요담 왕 때 다시 정벌당하기를 반복했다.[9]
4. 언어
가나안어파에 속하며, 고대 히브리어와 모압어|모압어영어와 매우 근연 관계에 있는 암몬어|암몬어영어라는 언어를 사용했다.
5. 종교
몰렉을 숭배했다.
참조
[1]
웹인용
Ancient Texts Relating to the Bible: Amman Citadel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1-01-11
[2]
서적
The Archaeology of Society in the Holy Land
A&C Black
[3]
웹인용
The Old Testament Kingdoms of Jordan
http://www.kinghusse[...]
2009-05-12
[4]
EB1911
[5]
문서
[6]
서적
By the Irrigation Canals of Babylon: Approaches to the Study of the Exile
Bloomsbury Publishing
2012-02-18
[7]
문서
[8]
웹인용
Dialogue with Trypho
http://www.earlychri[...]
Peter Kirby
2016-06-27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