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셜 로봇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셜 로봇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목적으로 설계된 로봇으로, 인간과의 소통 및 사회적 반응을 유도한다. 초기에는 자율 로봇 형태로 개발되어 위험한 임무를 수행했지만, 기술 발전과 함께 인간 관련 환경에 투입되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소셜 로봇은 의료, 교육,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정신 건강 증진,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 지원, 인지 장애 환자 지원에 효과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소셜 로봇으로는 소피아, 페퍼, 파로 등이 있으며, 한국에서도 관련 연구 개발 및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소셜 로봇의 발전은 기술적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해 인간 사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속임수, 인간 소외, 프라이버시 침해, 안전 문제 등 윤리적 문제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셜 로봇 - QRIO
    소니에서 개발한 이족 보행 로봇 QRIO는 음성 및 얼굴 인식, 춤추는 기능 등을 갖춘 엔터테인먼트 로봇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나, 소니의 사업 구조조정으로 개발 및 생산이 중단되었다.
  • 소셜 로봇 - 소피아 (로봇)
    핸슨 로보틱스에서 개발되어 네페르티티와 오드리 헵번을 모델로 인간과 유사한 외모와 사회적 행동, 대화 능력을 갖춘 소피아는 헬스케어, 고객 서비스, 교육 분야 활용 가능성을 보이며 로봇의 권리와 윤리적 논쟁을 야기한 인간형 로봇이다.
소셜 로봇

2. 역사적 배경

1950년대 윌리엄 그레이 월터가 개발한 거북이처럼 로봇은 사회적 특성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기도 했지만, 소셜 로봇 공학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분야이다. 1990년대 초부터 인공 지능 및 로봇 공학 연구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는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했다.[1] 초기에는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자율 로봇이 주를 이루었으나, 점차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사회적 기능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자율 소셜 로봇은 사람들의 행동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반응해야 해서 설계가 어렵고, 현재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람들은 SF 영화 속 로봇의 모습을 기대하기 때문에, 실제 로봇의 능력에 대한 기대치가 높을 수 있다. 그래서 많은 소셜 로봇이 원격 제어를 통해 작동하며, 이를 기계적 터크 또는 오즈의 마법사라고 부른다.

2. 1. 초기 소셜 로봇

로봇은 종종 사회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지만(예: 1950년대 윌리엄 그레이 월터가 개발한 거북이 참조), 소셜 로봇 공학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로봇 공학의 한 분야이다. 1990년대 초부터 인공 지능 및 로봇 공학 연구자들은 사회적 수준에서 명시적으로 참여하는 로봇을 개발해 왔다.[1]

소셜 로봇의 진화는 인간과의 상호 작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도록 설계된 자율 로봇으로 시작되었다. 본질적으로, 그들은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기술적으로 진보된 로봇은 깊은 바다나 화성 표면을 탐사하는 등 위험한 상황과 인간을 잠재적으로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임무를 처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 이러한 원래 의도를 발전시켜, 로봇은 인간 관련 환경에 투입되어 사회적 측면을 확립하고 인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셜 로봇은 사회에서 자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

자율성 소셜 로봇을 설계하는 것은 특히 어려운데, 로봇은 사람들의 행동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적절하게 반응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아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셜 로봇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은 SF 속 로봇에 묘사된 진보된 소셜 로봇을 바탕으로 해당 로봇의 능력에 대한 매우 높은 기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소셜 로봇은 진보된 기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격 제어된다. 소셜 로봇을 (종종 은밀하게) 제어하는 이러한 방법은 기계적 터크 또는 오즈의 마법사라고 불리며, 이는 L. 프랭크 바움의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오즈의 마법사 연구는 사람들이 소셜 로봇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소셜 로봇 공학 연구에 유용합니다.

2. 2. 자율 로봇에서 소셜 로봇으로

로봇은 종종 사회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묘사되어 왔지만(예: 1950년대 윌리엄 그레이 월터가 개발한 거북이 참조), 소셜 로봇 공학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로봇 공학의 한 분야이다. 1990년대 초부터 인공 지능 및 로봇 공학 연구자들은 사회적 수준에서 명시적으로 참여하는 로봇을 개발해 왔다.

소셜 로봇의 진화는 인간과의 상호 작용이 거의 또는 전혀 없도록 설계된 자율 로봇으로 시작되었다. 본질적으로, 그들은 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기술적으로 진보된 로봇은 깊은 바다나 화성 표면을 탐사하는 등 위험한 상황과 인간을 잠재적으로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임무를 처리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 이러한 원래 의도를 발전시켜, 로봇은 인간 관련 환경에 투입되어 사회적 측면을 확립하고 인간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셜 로봇은 사회에서 자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했다.

2. 3. 원격 조작과 오즈의 마법사 연구

로봇은 종종 사회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예: 1950년대 윌리엄 그레이 월터가 개발한 거북이 참조), 소셜 로봇 공학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한 로봇 공학의 한 분야이다. 1990년대 초부터 인공 지능 및 로봇 공학 연구자들은 사회적 수준에서 명시적으로 참여하는 로봇을 개발해 왔다.[1]

자율성 소셜 로봇을 설계하는 것은 특히 어렵다. 왜냐하면 로봇은 사람들의 행동을 올바르게 해석하고 적절하게 반응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아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소셜 로봇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은 SF 속 로봇에 묘사된 진보된 소셜 로봇을 바탕으로 해당 로봇의 능력에 대한 매우 높은 기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소셜 로봇은 진보된 기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원격 제어된다. 소셜 로봇을 (종종 은밀하게) 제어하는 이러한 방법은 기계적 터크 또는 오즈의 마법사라고 불리며, 이는 L. 프랭크 바움의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오즈의 마법사 연구는 사람들이 소셜 로봇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평가하기 위해 소셜 로봇 공학 연구에 유용하다.

3. 정의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로봇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가변적인 프로그래밍된 동작을 통해 재료, 부품, 도구 또는 특수 장치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재프로그래밍 가능하고 다기능적인 조작기로 정의한다. 소셜 로봇은 이러한 로봇의 하위 집합으로서, 인간과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하거나 인간으로부터 사회적 반응을 유발하는 등 사회적 상호작용을 수행한다.[2]

3. 1. 사회적 상호작용의 범위

소셜 로봇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작동하며, 그 범위는 단순한 지원 작업부터 복잡한 의사 소통 및 협업까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작업자에게 도구를 전달하는 것부터 보조 의료와 같이 복잡하고 표현적인 의사 소통 및 협업을 수행할 수 있다.[2] 소셜 로봇은 협업 작업 공간에서 인간과 함께 작업하며, 가정, 의료, 교육과 같은 개인적인 환경에서도 인간을 돕는다.[3]

사회적 상호 작용은 협력적일 수도 있지만, 비협조적인 행동도 사회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은 게임에서 경쟁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최소한의 의사 소통이나 의사 소통 없이도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주 정거장에서 우주 비행사에게 도구를 건네주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소셜 로봇의 궁극적인 요구 사항으로 로봇의 의사 소통 능력을 판단하는 튜링 테스트와 행동에 대한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이 제안되었다.[4] 그러나 이러한 요구 사항, 특히 아시모프의 법칙을 실제로 적용하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불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다른 로봇과만 상호 작용하는 로봇은 소셜 로봇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사회적이라는 것은 인간과 그 사회에 묶여 있으며, 사회가 필요한 사회적 가치, 규범 및 기준을 정의하기 때문이다.[5] 이는 사회적 가치, 규범 및 기준이 문화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셜 로봇의 문화적 종속성을 초래한다.

소셜 로봇은 해당 역할에 부여된 사회적 규칙 내에서 상호 작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간을 위한 로봇 집사는 좋은 서비스 규칙을 준수해야 하며, 예상하고, 신뢰할 수 있고, 신중해야 한다. 대부분의 소셜 로봇에서 인간 간 상호 작용의 복잡성은 안드로이드 기술의 발전과 인간과 유사한 의사 소통 기술 구현을 통해 점차적으로 접근될 것이다.[6]

3. 2. 튜링 테스트와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

소셜 로봇에 대한 두 가지 제안된[4] 궁극적인 요구 사항은 로봇의 의사 소통 능력을 결정하기 위한 튜링 테스트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 3원칙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실제 적용 분야, 특히 아시모프의 법칙의 경우에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전혀 불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의 결과는 다른 로봇과만 상호 작용하고 통신하는 로봇은 소셜 로봇으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회적이라는 것은 인간과 그 사회에 묶여 있으며, 사회가 필요한 사회적 가치, 규범 및 기준을 정의하기 때문이다.[5]

3. 3. 문화적 종속성

소셜 로봇은 사회적 가치, 규범, 기준에 묶여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가치, 규범, 기준은 문화마다 다르기 때문에 소셜 로봇은 문화적 종속성을 가진다.[5] 예를 들어, 인간을 위한 로봇 집사는 확립된 좋은 서비스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즉, 예상하고, 신뢰할 수 있어야 하며, 무엇보다도 신중해야 한다.[6]

4. 사회적 상호작용

소셜 로봇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은 사용자 참여, 불안감, 정보 공유 등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들은 소셜 로봇과의 상호작용에 초기에는 주저함을 보이지만, 로봇에 노출되면서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상호작용 의지가 증가한다.[9]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소셜 로봇과 더 오래 이야기하고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한다.[10][11] 또한, 놀이와 같이 과제 완료보다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경험은 향후 로봇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12]

4. 1. 사용자 참여 모델링

연구자들은 로봇 동반자와의 사용자 참여에 대해 연구해왔다. 관련 문헌들은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한 예로 사용자의 비언어적 행동, 과제, 동반자의 정서적 반응과 관련된 특징을 모델링하여 어린이의 참여 수준을 예측하는 프레임워크가 있다.[7]

많은 사람들은 로봇과 사회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며, 일반적으로 큰 휴머노이드 로봇보다 작은 로봇을 선호한다. 또한, 로봇이 동반자 역할을 하는 것보다 집 청소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선호한다.[8] 언어적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 사람들은 로봇에게 사람보다 적은 정보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사회적 로봇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초기 주저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로봇에 노출되면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로봇과의 상호 작용 의지가 증가할 수 있다.[9] 연구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더 오랫동안 이야기하고 사회적 로봇과의 공개적인 대화에서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한다.[10][11] 사람들이 놀이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과제를 완료하거나 사회적인 것에 집중하는 것과 반대로) 사회적 로봇과의 상호 작용을 경험하는 경우, 향후 로봇과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12]

4. 2. 불안감과 선호도

많은 사람들은 소셜 로봇과 상호 작용하는 것에 대해 불안감을 느끼며, 일반적으로 큰 휴머노이드 로봇보다 작은 로봇을 선호한다.[8] 또한, 로봇이 동반자 역할을 하는 것보다 집 청소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선호한다.[8] 언어적 상호 작용에서 사람들은 로봇에게 사람보다 적은 정보를 공유한다. 사회적 로봇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초기 주저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로봇에 노출되면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로봇과의 상호 작용 의지가 증가할 수 있다.[9] 연구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더 오랫동안 이야기하고 사회적 로봇과의 공개적인 대화에서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한다.[10][11] 사람들이 놀이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과제를 완료하거나 사회적인 것에 집중하는 것과 반대로) 사회적 로봇과의 상호 작용을 경험하는 경우, 향후 로봇과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12]

4. 3. 정보 공유

사람들은 로봇에게 사람보다 적은 정보를 공유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적 로봇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초기 주저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로봇에 노출되면 불확실성이 감소하고 로봇과의 상호 작용 의지가 증가할 수 있다.[9] 연구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더 오랫동안 이야기하고 사회적 로봇과의 공개적인 대화에서 더 많은 정보를 공유한다.[10][11]

5. 사회적 영향

점점 더 널리 사용되는 더 발전된 소셜 로봇의 사용은 기술적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해 인간 사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여러 현상 중 하나이며, 이 과정에서 "사회는 어떤 식으로든 사회의 구조, 역학 또는 의미에 기여하는 '자연적인' 생물학적 인간이 아닌 구성원을 포함하게 된다."[13]

6. 활용 분야

소셜 로봇은 의료, 교육,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발맞춰 관련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소셜 로봇은 학생,[23] 공공 장소,[24] 직장에서 정신 건강 코치로 사용되기도 한다.[25] 로봇 정신 건강 코치는 긍정 심리학[23][25]마음챙김[24][26]과 같은 수련을 수행할 수 있다. 로봇 정신 건강 코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은 로봇의 외형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7]

6. 1. 의료 분야

소셜 로봇은 의료 환경에서 환자의 정신 건강 증진, 주의 분산, 사회적 기술 향상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한국에서는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나 인지 장애를 가진 노인들을 위한 소셜 로봇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알레르기가 있거나 면역력이 약한 아동의 경우 동물 보조 치료 대신 로봇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4] 의료 환경에서는 위생이 중요한 문제인데, 세탁 가능한 덮개를 사용하거나 표면을 살균 처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14] 소셜 로봇은 주사 등의 시술 시 아동의 주의를 분산시켜 스트레스와 고통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15] 암 치료를 받는 아동의 경우, 정신과 의사와 로봇 조수를 함께 활용하면 분노, 불안, 우울증 감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5]

소셜 로봇 활용에는 윤리적인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로봇이 실제로는 불가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고 오해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를 속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19] 또한, 로봇이 인간과의 상호 작용을 대체하여 노인들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킬 위험도 있다.[19] 로봇과 상호 작용하는 사람들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며, 유아적이라고 느낄 수 있는 로봇 디자인은 지양해야 한다.[19]

소셜 로봇의 비디오 데이터나 센서 데이터 수집 및 저장은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저장된 데이터는 도난당하거나 해킹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19] 또한, 로봇이 사람과 부딪혀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19]

6. 1. 1. 정신 건강 증진

소셜 로봇은 의료 환경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소셜 로봇을 아동의 정신 건강 중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탐구하고 있다.[14] 한 범위 검토에서는 나오(Nao), 파로(Paro), 허거블, 테가, 플레오와 같은 로봇이 다양한 중재 환경에서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14]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셜 로봇과 함께 작업하는 아동의 우울증과 분노는 감소할 수 있지만, 불안과 고통에 대한 결과는 혼조세를 보였다.[14] 로봇과 상호 작용한 아동의 고통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또한, 로봇과의 상호 작용이 아동의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아동이 더 오래 웃고 게임을 할 때 성장형 사고방식을 보여주었다.[14]

6. 1. 2. 자폐 스펙트럼 장애 (ASD) 아동 지원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가 있는 아동은 예측 가능한 상호 작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로봇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다.[16] ASD 아동과 로봇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전 연구는 공유된 주의, 증가된 눈 맞춤, 대인 동기화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16]

KASPAR와 같은 휴머노이드 로봇, 티토와 같은 만화 캐릭터 로봇, 프로보와 같은 동물형 로봇, 나오와 같은 기계형 로봇 등 다양한 유형의 로봇이 ASD 아동에게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16]

하지만 소셜 로봇을 ASD 아동을 위한 사회적 상호 작용 도구로 활용할 때 언캐니 밸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로봇이 너무 사람처럼 생겨서 오히려 거부감을 주거나 과도한 자극과 불안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16]

종합적으로 볼 때, 소셜 로봇은 ASD 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6. 1. 3. 인지 장애 환자 지원

치매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인지 장애가 있는 개인도 소셜 로봇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17][18] Moro et al.(2018)의 연구에서는 인지 기능 경도 손상(Mild Cognitive Impairment)을 가진 6명의 개인을 돕기 위해 인간형 로봇인 캐스퍼, 캐릭터형 로봇인 에드 로봇, 태블릿의 3가지 소셜 로봇 유형을 활용했다.[17] 그 결과, 인간형 로봇이 인지 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가장 매력적이었다. 이는 에드와 태블릿의 최소한의 표현에 비해 얼굴의 표현력이 풍부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7] 참가자들은 또한 인간형 로봇과 캐릭터형 로봇에게 말을 걸고 질문을 함으로써 태블릿보다 더 의인화했는데, 이는 소셜 로봇에 대한 선호도를 더욱 나타낸다.[17] 또한 참가자들은 인간형 로봇이 사회적 상황과 일상 생활 활동을 완료하는 데 모두 유용하다고 인식한 반면, 캐릭터형 로봇과 태블릿은 일상 생활 활동에만 유용하다고 여겼다.[17]

Moyle et al.(2019)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에게 로봇 장난감인 파로를 제공하는 것과 봉제 장난감을 제공하는 것이 간병인과 가족 구성원의 개인 복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18] 이 연구는 일부 장기 요양 시설이 치매 환자에게 최소한의 자극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지루함과 흥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했다.[18] 실험을 완료한 후 간병인과 가족 구성원은 치매 환자의 복지를 평가하도록 요청받았으며, 전반적으로 파로와 상호 작용한 그룹이 더 행복하고, 더 적극적이며, 흥분이 덜한 것으로 인식되었다.[18] 파로를 활용하는 데 있어 인지되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주요 문제 중 하나는 비용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 간호에 대한 보다 비용 효율적인 옵션을 조사해야 한다.[18]

인지 장애가 있는 개인과 소셜 로봇 간의 연구를 수행하는 또 다른 문제는 동의 능력이다.[19] 경우에 따라 대리인에 의한 사전 동의를 활용할 수 있지만, 모든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이점과 위험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19]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요양원 거주자가 인간형 로봇과 상호 작용하고 로봇 페퍼가 주도하는 인지 및 신체 활성화의 혜택을 기꺼이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20] 페퍼는 또한 로봇이 노인에게 제공하는 안전과 보안에 대한 감정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개인에게 보안은 대인 관계를 통해 개발된 신뢰와 자신감과 관련이 있다. 비디오와 설문지를 사용하여 안전과 보안 모두 참가자들의 긍정적인 면과 그들이 느끼는 방식에 도달했다.[29] 요양원에서 수행된 또 다른 장기 연구를 통해 간호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요양원 거주자와의 일상적인 작업에 로봇을 기꺼이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줄 수 있다.[21] 그러나 로봇을 사용할 준비가 되었더라도 인간 조수가 필요하며, 인간 노동력을 대체할 수는 없지만 이들을 지원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21]

6. 1. 4. 원격 의료

일부 소셜 로봇은 원격 존재 기능을 내장하여 환자가 가족, 간병인, 의료진과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외로움과 고립감을 줄여주고, 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28] 특히, 일부 로봇의 비디오 기능은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잠재적 수단이 될 수 있다.[28]

7. 직장에서의 역할

소셜 로봇은 직장에서 직원의 업무를 지원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소셜 로봇은 인간이 특정 과제를 수행할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직원들이 직장 내 사고 및 건강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29]

7. 1. 업무 지원 및 생산성 향상

소셜 로봇은 직장 내에서 직원의 일상 업무를 지원하고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로봇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업무 완수를 돕고, 업무의 다양성을 높이며, 직원들의 업무량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29]

특히, 직원들이 업무 과다, 질병, 또는 기타 장애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때, 소셜 로봇은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이는 과로로 인한 스트레스와 우울증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29] 소셜 로봇은 개별 직원의 업무 부담을 덜어주고, 전반적인 업무 수요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럽과 같이 서비스 산업에서 노동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상황에서, 소셜 로봇은 비교적 정상적인 직장 기능의 시작과 회복을 돕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29]

7. 2. 스트레스 감소 및 안전 확보

소셜 로봇은 직원의 일상 업무에 변화를 가져오며, 첨단 기술 지식을 바탕으로 업무 완료를 돕고 전반적인 업무 다양성에 기여한다. 또한 직원들의 업무량과 스트레스를 완화하며, 특히 과로로 인한 스트레스와 우울증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9]

소셜 로봇은 인간이 특정 과제를 수행할 지식이나 기술이 부족할 때 지원하며, 직장 내 사고 및 건강 위험 노출을 줄인다. 질병, 과도한 업무량 등으로 직원의 생산성과 업무 품질이 저하될 위기에 처했을 때, 소셜 로봇은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 유럽이 서비스 산업에서 노동력 부족을 겪는 상황에서 소셜 로봇은 비교적 정상적인 직장 기능 복원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9]

8. 윤리적 문제

소셜 로봇의 활용에는 속임수, 인간 소외, 프라이버시 침해, 안전 문제 등 여러 윤리적 문제가 존재한다.

9. 대표적인 소셜 로봇

핸슨 로보틱스의 소피아는 현재 개발 중인 대표적인 소셜 로봇 중 하나이다. 소프트뱅크 로보틱스는 페퍼와 나오 등 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여러 소셜 로봇을 개발했다.

이 외에도 주목할 만한 소셜 로봇으로는 혼다의 아시모(ASIMO), 지보(Jibo), 목시(Moxi), 그리고 허트퍼드셔 대학교의 카스파가 있다.[31] 카스파는 자폐증을 앓는 아이들이 게임과 상호작용하며 로봇으로부터 반응을 배우도록 설계되었다.[31] 앤키의 코즈모(Cozmo)와 벡터(Vector)도 소셜 로봇에 속했지만, 2018년과 2019년 사이에 모두 단종되었다.

소셜 로봇이 반드시 휴머노이드 형태일 필요는 없다. 비(非)휴머노이드 소셜 로봇의 대표적인 예로는 파로가 있다.

9. 1. 소피아 (Sophia)

핸슨 로보틱스에서 개발한 소피아는 현재 개발 중인 가장 잘 알려진 소셜 로봇 중 하나이다. 소피아는 50가지 이상의 표정을 지을 수 있는 소셜 휴머노이드 로봇이며, 유엔 타이틀을 받은 최초의 비인간이다.[30]

9. 2. 페퍼 (Pepper) 와 나오 (Nao)

소프트뱅크 로보틱스는 페퍼와 나오를 포함하여 연구에 자주 사용되는 여러 소셜 반(半)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했다. 페퍼는 상업 및 학술적으로 사용되며, 일본의 1,000 가구 이상의 소비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9. 3. 파로 (Paro)

파로는 비(非)휴머노이드 소셜 로봇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10. 한국의 소셜 로봇 현황

주어진 요약에 따르면, 한국은 소셜 로봇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국가 중 하나이며, 정부 주도의 연구 개발 및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해당 내용이 전혀 없으므로,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The dawn of social robots https://www.apa.org/[...] Monitor on Psychology 2018-01-01
[2] 학술지 Social Robots for Long-Term Interaction: A Survey http://link.springer[...] 2013-04
[3] 학술지 Parental Acceptance of Children's Storytelling Robots: A Projection of the Uncanny Valley of AI 2021
[4] 논문 Benchmarks for evaluating socially assistive robotics https://web.archive.[...] Interaction Studies: Psychological Benchmarks of Human-Robot Inteaction [sic] 2007-10
[5] 서적 Introduction: Situating the Human in Social Robots Springer 2015
[6] 웹사이트 Implication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research on the design of artificial behavioral systems that interact with humans https://www.research[...] 2017-03-03
[7] 서적 Proceedings of the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odal interfaces ACM Press 2009
[8] 서적 2008 IEEE/RSJ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Robots and Systems 2008-09
[9] 학술지 Of robots and robotkind: Extending intergroup contact theory to social machines 2021-04-07
[10] 서적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Extended Abstract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22-04-28
[11] 학술지 Building Long-Term Human–Robot Relationships: Examining Disclosure, Perception and Well-Being Across Time 2023-11-30
[12] 학술지 Forms and Frames: Mind, Morality, and Trust in Robots across Prototypical Interactions 2021-04-15
[13] 서적 Sapient Circuits and Digitalized Flesh: The Organization as Locus of Technological Posthumanization Defragmenter Media 2018
[14] 학술지 Socially Assistive Robots as Mental Health Interventions for Children: A Scoping Review http://dx.doi.org/10[...] 2020-07-27
[15] 학술지 Social robots to support children's well-being under medical treatment: A systematic state-of-the-art review http://journals.sage[...] 2019-12
[16] 학술지 Improving therapeutic outcomes in autism-spectrum disorders: Enhancing social communication and sensory processing through the use of interactive robots https://linkinghub.e[...] 2017-07
[17] 학술지 Social Robots and Seniors: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Dynamic Social Features on Human–Robot Interaction https://doi.org/10.1[...] 2019-01-01
[18] 학술지 "She Had a Smile on Her Face as Wide as the Great Australian Bite":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Family Perceptions of a Therapeutic Robot and a Plush Toy https://doi.org/10.1[...] 2017-11-19
[19] 학술지 Ethical challenges in the use of social service robots for elderly people http://link.springer[...] 2016-06
[20] 서적 Proceedings of the 2020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20-04-21
[21] 서적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2022-05
[22] 서적 Companion of the 2023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ACM 2023-03-13
[23] 서적 2020 29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 IEEE 2020-08
[24] 서적 Companion of the 2023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23-03-13
[25] 서적 Proceedings of the 2023 ACM/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ACM 2023-03-13
[26] 서적 2019 28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RO-MAN) https://aaltodoc.aal[...] IEEE 2019-10
[27] 웹사이트 Robots may improve mental health at work if they look right, scientists say https://www.independ[...] 2023-04-06
[28] 학술지 Potential of telepresence robots to enhance social connectednes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an integrative review of feasibility https://www.cambridg[...] 2017-12
[29] 서적 Social Robots: Technological, Societal and Ethical Aspects of Human-Robot Interac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30] 웹사이트 At UN, robot Sophia joins meeting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www.un.org/e[...] 2024-02-29
[31] 뉴스 Robot at Hertfordshire University aids autistic children https://www.bbc.co.u[...] 2011-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