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쇼니 가게스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니 가게스케는 원나라의 일본 원정 당시 규슈 지역의 고케닌을 지휘했으며, 1274년 하카타만 전투에서 활약했다. 아버지 사망 후 형 쇼니 쓰네스케와 가독 상속 분쟁 중, 1285년 시모쓰키 소동의 영향으로 아다치 야스모리 측에 가담하여 이와토 성에서 거병했으나, 형의 공격으로 패배하여 사망했다. 이와토 합전의 결과로 쇼니 씨의 세력은 쇠퇴하고, 진제이 단다이가 설치되어 호조 도쿠소의 규슈 지배가 강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46년 출생 - 추적 (고려)
    추적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문과 급제 후 좌사간을 지내며 환관의 비행을 탄핵하다 투옥되기도 했으나, 시랑 겸 국학 교수로 임명되어 안향과 함께 정주학 도입을 추진하고 《명심보감》 편찬에 기여했으며, 강직한 성품과 학문적 업적으로 조선 시대에 추앙받았다.
  • 1285년 사망 -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는 정략결혼 후 시동생과 사랑에 빠져 불륜을 저지르다 남편에게 살해당했으며, 단테의 《신곡》에 등장하여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285년 사망 - 예쿠노 암라크
    예쿠노 암라크는 1270년 자구에 왕조를 무너뜨리고 스스로 솔로몬 왕의 후손이라 주장하며 에티오피아 황제가 되어 솔로몬 왕조를 "복원"했으며, 무슬림 세력과의 협력, 동로마 제국 및 이슬람 세력과의 우호 관계 유지, 기독교 신앙 장려를 통해 왕조의 정통성을 확립하려 했다.
  • 쇼니씨 - 쇼니 요시요리
    쇼니 요시요리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아버지와 형의 전사 후 동생과 함께 쓰시마로 피신하여 가문 재건을 위해 노력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쇼니씨 - 쇼니 요리히사
    쇼니 요리히사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규슈를 관할한 쇼니 씨의 5대 당주 쇼니 사다쓰네의 아들로, 겐코의 난과 겐무 신정에서 활약하고 아시카가 다카우지를 지지했으나, 세력 다툼과 패배로 은거하여 사망했다.
쇼니 가게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쇼니씨
이름쇼니 가게스케
원어 이름少弐 景資
다른 이름가게스케 (景資 → 모리우지(盛氏)?)
무토 가게스케(武藤景資)
모리스케(盛資)?
통칭: 사부로(三郎)
사부로사에몬노이(三郎左衛門尉)
몽고습래회사에 그려져 있는 쇼니 가게스케
몽고습래회사』에 그려져 있는 쇼니 가게스케. 소수 병력을 거느리고 출정한 다케자키 스에나가(竹崎季長)의 알현을 대장의 자격으로 받고 있는 모습
생애
시대가마쿠라 시대 중기
출생간겐(寛元) 4년 (1246년)
사망고안(弘安) 8년 (1285년) 11월
묘소후쿠오카 현 나카가와 시 야마다 475, 사이키 JR 하카타미나미역 가와세미 버스 안토쿠다이
관직
관위사에몬노이(左衛門尉), 부젠노카미(豊前守)?
막부가마쿠라 막부
주군고레야스 친왕(惟康親王)
가계
아버지쇼니 스케요시(少弐資能)
형제쓰네스케(経資)
가게스케
무네스케(宗資)?

2. 생애

쇼니 가게스케는 원나라의 일본 원정에서 활약한 무장으로, 아버지 스케요시 사후 형 쓰네스케와 가독을 두고 다투었다. 다케자키 스케나가의 『몽고 습래 그림 두루마리』에는 소규모 병력으로 출진하는 스케나가를 배웅하는 가게스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2. 1. 원나라의 일본 원정 참전

원나라의 일본 원정 당시 대장군(大将軍)으로써 규슈(九州) 지역의 고케닌들을 지휘하였으며, 아버지 스케요시나 형 쓰네스케와 함께 몽골군과 싸웠다. 『하치만구도훈(八幡愚童訓)』에 따르면 분에이(文永) 11년(1274년) 제1차 일본 원정(일본명 : 분에이의 역文永の役)에서 가게스케는 10월 20일 하카타 만(博多湾) 연안에서의 전투에서 「작금의 대장군」(日の大将軍)이라 칭송되었으며, 그의 노토(郎党)가 몽골군 부사령관의 한 사람이었던 정동좌부도원수(征東左副都元帥) 유복형(劉復亨)으로 추정되는 유장공(流将公)이라는 인물을 화살로 쏘아 쓰러뜨리는 큰 공을 세웠다고 한다.[1] 고안(弘安) 4년(1281년) 제2차 일본 원정(일본명: 고안의 역弘安の役)에도 가게스케가 참전해 분전하였다.

2. 2. 이와토 합전

1285년 가마쿠라(鎌倉)에서 당시 막부 정치를 주도하고 있던 유력 고케닌 아다치 야스모리(安達泰盛)와 호조 도쿠소케(得宗家)의 측근이었던 나이간레이(内管領) 다이라노 요리쓰나(平頼綱)가 대립했던 시모쓰키 소동(霜月騒動)으로 아다치 야스모리가 다이라노 요리쓰나에게 멸망당했고, 난의 영향은 규슈로까지 번졌다. 가게스케는 야스모리측에 가담해 야스모리의 둘째 아들로 앞서 몽골 침공 당시 규슈로 낙향해 있던 히고국(肥後国)의 슈고다이(守護代) ・ 아다치 모리무네(安達盛宗)에 내응하여 지쿠젠국(筑前国)의 거성(居城) 이와토 성(岩門城)에서 거병하였고, 요리쓰나측에 가담했던 형 쓰네스케의 공격으로 이와토 성에서 패하고 전사하였다(이와토 합전岩門合戦).[5] 향년 40세.

이와토 성터로 가는 표식


쇼니 가게스케의 무덤.


이와토 합전은 시모쓰키 소동이 지방으로까지 미친 파급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규슈 지역을 지배하던 쇼니 씨 내부의 대립이기도 하였다. 당시 지쿠젠의 미즈키 씨(水城氏)、하코자키 사(箱崎社)의 집행(執行)이었던 나리나오(成直), 부젠(豊前)의 다카나미 씨(高並氏) 그리고 가네다(金田) ・ 나가토시 씨(永利氏), 간 씨(筧氏) 등이 가게스케-모리무네를 지지했던 것과 달리, 무토 씨(武藤氏) 일족 외에도 지쿠넨의 노스케 씨(野介氏)、아오키 씨(青木氏), 사에키 씨(佐伯氏), 부젠(豊前)의 우쓰노미야 씨(宇都宮氏), 히젠의 시라이시 씨(白石氏) ・ 도토로키 씨(土々呂木氏)、마다라 씨(斑島氏)、마쓰라 씨(松浦氏) 등이 쓰네스케를 지지했다. 히젠의 슈고를 맡고 있던 것은 호조 도쿠소케의 호조 도키사다(北条時定)로 현지로 낙향하여 쓰네스케 및 그에 가담한 규슈 지역 고케닌들을 지휘하였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역대진서기』(歴代鎮西志)에는 「고안 8년 을유(1285년)에 '''다자이 부젠노카미(太宰豊前守) 모리우지(盛氏)쇼니 집안의 사제(舎弟, 동생)로 처음 이름을 사부로 사에몬노이 가게스케(三郎左衛門景資)라 한다''', 이와토 성에 살고 있어 몽고 합전의 공을 믿고 적통을 찬탈하려는 뜻이 있어 병사를 모아 성을 수리하였다. 도독부사(都督府司)、관내의 무사를 보내 이와토를 쳐서 성주가 사망하기에 이르렀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만년에 아다치 야스모리의 이름자 「모리」(盛)를 받아서 모리우지(盛氏)로 이름을 바꾸었다는 설도 있다.[5][6]

전투가 있고 이듬해 쇼니 가게스케와 그 노토들이 소유하던 영지가 요리쓰나측 무사들에게 멸망한 은상으로 하사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4년 전 제2차 일본 원정(고안의 역)에서의 은상 명목으로 25명의 무사들에게도 똑같이 지급이 이루어졌다. 몽골과의 전투에서 공적을 세운 무사들에게 은상으로 지급할 땅이 부족한 것에 고민하고 있었고 아울러 규슈 지배를 강화하려 했던 막부로써는 이와토 합전은 절호의 사건이기도 하였다.

또한 이 전투의 결과로 쇼니 씨의 세력은 쇠퇴하였으며, 진제이 단다이(鎮西探題)가 설치되어 호조 도쿠소의 규슈 지배가 강화되었다.

2. 3. 이와토 합전의 영향

1285년 시모쓰키 소동으로 아다치 야스모리가 다이라노 요리쓰나에게 멸망당했고, 그 여파는 규슈까지 번졌다. 가게스케는 야스모리 편에 가담하여 야스모리의 둘째 아들 아다치 모리무네와 함께 지쿠젠국 이와토 성(岩門城)에서 거병하였으나, 요리쓰나 편에 섰던 형 쓰네스케에게 패배하여 전사하였다(이와토 합전).[5]

이와토 합전은 시모쓰키 소동이 지방으로까지 확산되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규슈 지역을 지배하던 쇼니 씨 내부의 갈등을 드러낸 사건이었다. 당시 지쿠젠의 미즈키 씨(水城氏), 하코자키 사(箱崎社)의 집행(執行)이었던 나리나오(成直), 부젠의 다카나미 씨(高並氏), 가네다(金田) ・ 나가토시 씨(永利氏), 간 씨(筧氏) 등이 가게스케와 모리무네를 지지한 반면, 무토 씨(武藤氏) 일족 외에도 지쿠젠의 노스케 씨(野介氏), 아오키 씨(青木氏), 사에키 씨(佐伯氏), 부젠의 우쓰노미야 씨(宇都宮氏), 히젠의 시라이시 씨(白石氏) ・ 도토로키 씨(土々呂木氏), 마다라 씨(斑島氏), 마쓰라 씨(松浦氏) 등은 쓰네스케를 지지했다.

『역대진서기』(歴代鎮西志)에는 "고안 8년 을유(1285년)에 '''다자이 부젠노카미(太宰豊前守) 모리우지(盛氏)쇼니 집안의 동생으로, 처음 이름은 사부로 사에몬노이 가게스케(三郎左衛門景資)이다'''가 이와토 성에 살면서 몽고 합전에서의 공을 믿고 적통을 찬탈하려는 뜻으로 병사를 모아 성을 수리하였다. 도독부사(都督府司)가 관내 무사를 보내 이와토를 공격하여 성주가 사망하기에 이르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만년에 아다치 야스모리의 이름자 '모리'(盛)를 받아 모리우지(盛氏)로 이름을 바꾸었다는 설도 있다.[5][6]

이 전투 이후, 쇼니 가게스케와 그 가신들이 소유했던 영지는 요리쓰나 측 무사들에게 몰수되어 상으로 주어졌으며, 이와 동시에 4년 전 제2차 일본 원정(고안의 역)에서 공을 세운 무사 25명에게도 같은 방식으로 영지가 지급되었다. 몽골과의 전투에서 공을 세운 무사들에게 줄 상이 부족하여 고심하던 막부에게 이와토 합전은 규슈 지배를 강화할 좋은 기회였다.

이 전투의 결과로 쇼니 씨의 세력은 약화되었고, 진제이 단다이가 설치되어 호조 도쿠소의 규슈 지배가 강화되었다.

3. 평가


  • 다케자키 스케나가의 『몽고 습래 그림 두루마리』에는 소규모 병력으로 출진하는 스케나가를 대장으로 보고 배웅하는 가게스케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이미지 참조).
  • 전술한 이와토 전투에 관해 『역대 진서지』에는 "홍안 8년 을유, '''다자이 부젠노카미 모리우지소니의 아우, 시명은 사부로자에몬 가게스케''' 이와토성에 머물며 몽골과의 전투 공적을 모으고 찬탈의 뜻을 품어 군사를 일으켜 성을 수리했다. 도독부사가 관내 무사를 보내 이와토를 정벌했다. 성주가 죽음을 맞이했다."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만년에 아다치 야스모리의 편휘 "모리"를 받아 '''모리우지'''(盛氏)로 개명했다는 설도 있다[2][3](『존비분맥』에는 가게스케의 동생으로 '''부젠노카미 모리스케'''(盛資)를 싣고 있지만, 동일인물인지 불분명하다). 『역대 진서지』만 보면 형인 가게스케로부터 소료(惣領)의 자리를 빼앗으려 했던 것으로 읽히지만, 계도류에서는 "성전 일소에 이와토성에서 할복"(『무토 계도』 가게스케 전) "이와토성에서 소료에 반역하여 성씨도 함께 죽음"(『쓰쿠시 계도』)이라고 하여, 앞서 언급한 대로 아다치 모리무네(통칭: 조지로)와의 관계에서 주살되었음을 시사하고 있다[2]

4. 묘소 및 유적



5. 등장 작품


  • 고쿠난(国難) - 1920년, 영화, 역 : 기쿠치 다케나리(菊地武成)
  • 호조 도키무네 - 2001년, NHK 대하드라마, 역 : 가와노 타로(川野太郎)
  • 앙골모아 원구전투기(アンゴルモア 元寇合戦記) - 2018년, TV 애니메이션, 역 : 다치바나 신노스케

참조

[1] 뉴스 元寇・文永の役(中) 赤ん坊を股裂き、子供を奴隷として拉致、女性は手に穴開け数珠つなぎ…博多を血と炎で染めた蒙古・朝鮮軍の残虐・非人道行為 https://web.archive.[...] 2014-06-14
[2] 서적 豊津町史 古代~近代初頭編
[3] 서적 朝日日本歴史人物事典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1994
[4] 서적 尊卑分脈
[5] 서적 부쓰 정사(豊津町史) 고대 ~ 근대 초두편
[6] 서적 손피빈먀쿠(尊卑分脈)
[7] 서적 무토 계도(武藤系図) 가게스케전(景資伝)
[8] 서적 지쿠쓰 계도(筑紫系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