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 대학 야구 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은 1964년 창설된 일본 대학 야구 연맹으로,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및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주요 5개 대학 리그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도카이 대학을 중심으로 창설되었으며, 현재는 1부 6개교, 2부 10개교로 구성되어 리그전을 운영한다. 2023년에는 일반 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와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통산 10회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대학 야구 - 간사이 6대학 야구 연맹
간사이 6대학 야구 연맹은 오사카 경제대학, 오사카 가쿠인 대학, 오사카 상업 대학, 교토 산업대학, 고베 가쿠인 대학, 류코쿠 대학으로 이루어진 간사이 지역 대학 야구 리그로서 승점제를 통해 순위를 결정하고 춘추 리그전을 운영하며, 류코쿠 대학과 오사카 상업대학이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 일본의 대학 야구 - 전일본 대학 야구 연맹
전일본 대학 야구 연맹은 일본 대학 야구 단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전국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와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를 후원하며 미일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등에 파견되는 전일본 대학 선발팀을 구성하고, 27개 지역 연맹, 374개 대학이 가맹되어 각 연맹의 운영은 자율적으로 이루어진다. - 수도권 (일본) - 도쿄
도쿄는 일본의 수도이자 세계적인 메가시티로, 도쿄 도심부, 도쿄도 전체, 또는 도쿄 대도시권 등 넓은 범위로 정의되며, 에도에서 도쿄로 개칭된 후 급속한 발전을 거쳐 세계 최대 도시 중 하나가 되었지만, 고밀도 인구, 높은 범죄율, 환경 문제 등 여러 도시 문제를 안고 있다. - 수도권 (일본) - 수도권 국전 폭동
1973년 4월 24일 일본 수도권 국철 노조의 준법 투쟁으로 인한 열차 지연과 혼잡으로 오미야, 아카바네, 우에노, 신주쿠 등 38개 역에서 3만 2천여 명이 참여한 대규모 폭동이 발생하여 시설 파손, 방화, 약탈 등의 행위로 천만 엔 이상의 재산 피해와 수천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으며, 수도권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다.
수도 대학 야구 연맹 | |
---|---|
기본 정보 | |
제목 | 수도 대학 야구 연맹 |
로마자 표기 | 수도 대학 야구 연맹 (Sudo Daehak Yagu Yeonmaeng) |
일본어 표기 | 首都大学野球連盟 (Shuto Daigaku Yakyu Renmei) |
종목 | 야구 |
창립 | 1964년 |
팀 수 | 15 |
웹사이트 | 수도 대학 야구 연맹 |
최근 시즌 정보 | |
1부 리그 우승팀 | 帝京대학 (5회 우승) |
2부 리그 우승팀 | 武蔵大学 (11회 우승) |
최다 우승팀 | |
1부 리그 | 도카이 대학 (75회 우승) |
2부 리그 | 다이토 문화 대학 (28회 우승) |
2. 역사
1964년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서 탈퇴한 도카이 대학을 중심으로 세이조 대학, 일본 체육대학, 도쿄 교육대학(현재의 쓰쿠바 대학), 무사시 대학의 5개 대학이 발족 교류 경기를 실시하였다. 같은 해 6월 13일 전일본 대학 야구 연맹의 승인을 받아, 메이지 가쿠인 대학과 도쿄 경제대학을 더해 7개 대학으로 가을부터 정식 리그를 시작했다.
1965년 2월,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의 출전권 획득이 결정되었다. 1966년에는 조사이 대학, 다이토 문화대학, 메이세이 대학이, 1967년에는 데이쿄 대학, 독쿄 대학이 가맹했다. 1968년 가을, 메이지 유신 100주년 기념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수도 대학 선발팀이 우승했다. 1969년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도카이 대학이 연맹 대표로 첫 우승을 차지했고, 1970년 메이지 신궁 진좌 50주년 봉헌 야구 대회(제1회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다시 도카이 대학이 우승했다. 1975년에는 다마가와 대학이 가맹했고, 하라 다쓰노리가 리그에 출전했다.
1980년 제11회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일본 체육대학이 첫 우승(연맹 대표 통산 2번째)을, 1987년 제18회 대회에서는 쓰쿠바 대학이 첫 우승(연맹 대표 통산 3번째)을 차지했다. 2004년에는 연맹 발족 40주년 기념 학생-OB·프로 대항전이 열렸다. 2006년에는 소조 가쿠인 대학이, 2008년에는 오비린 대학이, 2010년에는 아시카가 공업대학이 가맹했다. 참가 학교 증가로 2부는 A·B 2그룹으로 변경되었고, 2012년 소조 가쿠인 대학이 탈퇴했다.
2019년 일본 웰니스 스포츠 대학이 가맹했으며, 2023년 일반 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연도・학기 | 전체 팀 수 | 1부 | 2부 | 비고 |
---|---|---|---|---|
1964년 가을 학기 | 7 | 7 | - | 수도 대학 야구 연맹 발족 |
1966년 봄 학기 | 10 | 6 | 4 | 2부 리그 제도 이행 조사이 대학, 다이토 분카 대학, 메이세이 대학 가맹 |
1967년 봄 학기 | 11 | 6 | 5 | 도쿄 학원 대학 가맹 |
1967년 가을 학기 | 12 | 6 | 6 | 테이쿄 대학 가맹 |
1975년 가을 학기 | 13 | 6 | 7 | 다마가와 대학 가맹 |
2006년 봄 학기 | 14 | 6 | 8 | 소조 가쿠엔 대학 가맹 |
2008년 봄 학기 | 15 | 6 | 9 | 오비린 대학 가맹 |
2010년 봄 학기 | 16 | 6 | 10 | 아시카가 공업대학 가맹 |
2013년 봄 학기 | 15 | 6 | 9 | 소조 가쿠엔 대학 탈퇴 |
2014년 봄 학기 | 15 | 8 | 7 | 1부 8개교, 2부 7개교로 재편성 |
2016년 봄 학기 | 15 | 6 | 9 | 1부 6개교, 2부 9개교로 재편성 |
2019년 봄 학기 | 16 | 6 | 10 | 일본 웰니스 스포츠 대학 가맹 |
2. 1. 연맹 결성 (1964년)
1964년, 전일본 대학 야구 연맹이 이듬해부터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의 출전권을 확대하자, 당시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 준가맹 형태로 소속되어 있던 도카이 대학이 새로운 리그 결성을 제안했다. 도토 대학 야구 연맹의 3부 리그 및 준가맹 1, 2부 리그 학교들에 이 제안을 호소했다.이 호소에 세이조 대학, 일본 체육대학, 도쿄 교육대학(현재의 쓰쿠바 대학), 무사시 대학이 동참을 표명하며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서 탈퇴했다. 이후 메이지 가쿠인 대학과 도쿄 경제대학도 동참하여, 1964년 6월 22일에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이 정식으로 발족했다. 리그의 시작은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서 탈퇴를 표명한 지 2개월 후인 1964년 9월 9일 메이지 진구 구장에서 마쓰마에 시게요시의 시구로 시작되었다.
도토 대학 야구 연맹 하부에 소속되어 있던 대학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발족 당시에는 언론과 야구 관계자들 사이에서 그 실력이 무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리그 결성 5년 후인 1969년에 도카이 대학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당시 신흥 리그로서는 이례적인 쾌거를 이루었다. 1977년에는 고교 시절부터 유명했던 하라 다쓰노리가 도카이 대학에 입학하면서, 그의 활약을 보려는 팬들이 리그 개최지인 가나가와현 가와사키 구장(수도 대학 야구 본 개회식 회장)으로 연일 몰려드는 소란이 일기도 했다.
2. 2. 초기 리그 발전 (1965년 ~ 1970년대)
1964년,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의 출전권 확대에 따라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 준가맹 형식으로 소속되어 있던 도카이 대학이 새로운 리그 결성을 제안했다. 이 제안에 세이조 대학, 일본 체육대학, 도쿄 교육대학(현재의 쓰쿠바 대학), 무사시 대학이 동참 의사를 밝히며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서 탈퇴했다. 이후 메이지 가쿠인 대학과 도쿄 경제대학도 합류하여 1964년 6월 22일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이 정식으로 발족되었다.[1]리그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에서 탈퇴를 표명한 지 2개월 후인 1964년 9월 9일 메이지 진구 구장에서 마쓰마에 시게요시의 시구로 시작되었다.[1] 초기에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 하부 리그 출신 대학들로 구성되어 실력이 저평가되기도 했지만, 1969년 도카이 대학이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신흥 리그로서는 이례적인 성과를 거두었다.[1]
1977년에는 고교 시절부터 유명했던 하라 다쓰노리가 도카이 대학에 입학하면서 리그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그의 활약을 보기 위해 많은 팬들이 몰려들었으며, 호세이 대학의 투수 에가와 스구루와의 대결은 큰 화제를 모았다.[1]
주요 연혁:
연도 | 사건 |
---|---|
1964년 | 도토 대학 야구 연맹 탈퇴 대학들이 모여 발족, 교류 경기 실시. 6월 전일본 대학 야구 연맹 승인, 가을부터 정식 리그 시작.[1] |
1965년 | 2월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 출전권 획득.[1] |
1966년 | 조사이 대학, 다이토 문화대학, 메이세이 대학 가맹.[1] |
1967년 | 데이쿄 대학, 독쿄 대학 가맹.[1] |
1968년 | 메이지 유신 100주년 기념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수도 대학 선발팀 우승.[1] |
1969년 |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도카이 대학 첫 우승.[1] |
1970년 | 메이지 신궁 진좌 50주년 봉헌 야구 대회(제1회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도카이 대학 첫 우승.[1] |
1975년 | 다마가와 대학 가맹, 하라 다쓰노리 리그 출전.[1] |
2. 3. 도카이 대학 중심 시대와 경쟁 심화 (1980년대 ~ 2000년대)
1980년 제11회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일본 체육대학이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이는 연맹 대표로는 통산 2번째 우승이었다.[3] 1987년 제18회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는 쓰쿠바 대학이 첫 우승을 차지하며 연맹 대표 통산 3번째 우승을 기록했다.[3]2004년에는 연맹 발족 40주년을 기념하여 학생과 OB·프로 선수 간의 대항전을 실시했다.[3] 2006년에는 소조 가쿠인 대학이, 2008년에는 오비린 대학이 연맹에 가입했다.[3]
2. 4. 리그 확장 및 운영 개선 (2000년대 후반 ~ 현재)
2000년대 후반,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은 참가 학교 수가 늘어나면서 리그 운영 방식에 변화를 겪었다. 2006년 소조 가쿠인 대학이 가맹하였고, 2008년에는 오비린 대학이 새롭게 합류하였다.[1] 2010년에는 아시카가 공업대학이 가맹하면서 참가 학교 수가 더욱 증가했다.[1] 이에 따라 연맹은 2부 리그를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운영하기 시작했다.[1] 하지만 2012년 소조 가쿠인 대학이 연맹에서 탈퇴하면서[1] 현재의 리그 구성을 갖추게 되었다.3. 특징
전일본 대학 야구 선수권 대회와 메이지 진구 야구 대회에서 연맹으로 통산 10회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전후 발족한 다른 신흥 대학 야구 연맹 중에서도 뛰어난 성적이며, 각 소속 학교들의 노력과 실적, OB들의 활약 등이 언론에 평가를 받기도 하여, 현재는 주요 5개 대학 리그(도쿄 6대학, 도토 대학, 수도 대학, 간사이 6대학, 간사이 학생)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설립 당시 도카이 대학을 중심으로 리그가 운영되었으며, 현재도 연맹 사무국은 도카이 대학 내부에 있고 연맹 회장은 대대로 도카이 대학 총장이 맡고 있다.
도카이 대학만이 두드러진다는 인상이 강하지만, 메이지 신궁 야구 대회에서는 1980년과 2017년에 일본 체육 대학이 우승, 1987년에는 쓰쿠바 대학이 우승, 조세이 대학이 2001년에 준우승, 2016년에는 오비린 대학이 준우승하는 등, 점차 군웅할거의 양상을 띠고 있다.
리그 창립 40주년을 맞이할 무렵부터 적극적으로 문호를 개방하여, 북간토 지역의 대학을 포함하여 소속교가 증가하였다. 이를 받아, 2부에서는 리그전, 승강전 출장교 결정 형태를 단계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1부 리그를 포함하여 학업 우선을 위해, 수업 기간 내에는 원칙적으로 평일에 리그전을 치르지 않는 방침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리그전 및 승강전의 웹 중계 등 새로운 시도도 실시하고 있다.
4. 운영 방법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은 1부와 2부 리그로 나뉘어 운영된다. 2010년부터 2013년 춘계까지 1부는 6개 대학, 2부는 2개 그룹으로 운영되었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1부 8개 대학, 2부 7개 대학으로 개편되었다.[1][2] 춘계와 추계에 각각 리그전을 실시하며, 각 시즌이 끝난 후에는 리그 사이에 승강전을 실시한다.
3시간이 지나거나 12회를 마쳐도 동점일 경우에는 승부치기를 적용한다. 승부치기는 1사 만루 상황에서 공격을 시작하며, 팀의 승패와 책임 투수를 제외한, 승부치기 적용 시 개인 기록은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4. 1. 리그 구성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은 최상위 리그를 1부 리그, 하위 리그를 2부라고 부른다. 이전 시즌 성적을 바탕으로 1부 6개 학교, 2부 10개 학교로 나누는 블록 운영을 하고 있다.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1부 8개 대학, 2부 7개 대학으로 개편되었다.[1][2]4. 2. 경기 방식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은 춘계와 추계에 각각 리그전을 실시하며, 각 시즌 종료 후에는 각 부 간의 승강전을 실시한다.[1][2]2009년까지는 총력전, 2전 선승제, 승점제, 2회전 총력전, 승률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기본적으로 먼저 2승을 거둔 팀이 상대 학교와의 대결에서 승리한다. (1승 1패의 경우 3차전을 치러 승부를 결정한다.)
4. 2. 1. 1부 리그
춘계와 추계 모두 2전 전승 방식의 승점제를 사용하며 무승부 시에는 재경기를 치른다.[1][2] 2010년부터 2013년 춘계까지 1부 6개 대학, 2부는 2개 그룹으로 운영하였으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는 1부 8개 대학, 2부 7개 대학으로 개편되었다. 6개 대학이 2전 선승 방식의 풀 리그로 승점제를 채택한다.2016년 춘계 리그부터는 3차전 및 우천 등으로 중지되거나 연기된 경기를 예비 주간에 실시한다. (월요일 등 평일에는 원칙적으로 경기를 치르지 않는다.)
2014년 춘계 리그부터 2015년 추계 리그까지는 8개 대학이 2회전 풀 리그(총 14경기)를 진행했다. 승률에 따라 순위를 결정했다. 3시간 경과 또는 12회를 종료하여 동점인 경우에는 승부치기를 적용한다. 1사 만루에서 공격을 시작하며, 팀의 승패와 책임 투수 이외의 승부치기 적용 시 개인 기록은 공식 기록에 포함하지 않는다.
4. 2. 2. 2부 리그
2010년부터 2013년 춘계까지 10개 학교를 A, B 두 그룹으로 나누어 리그를 진행했다. 각 그룹 내에서 팀당 2경기씩(총 8경기, 2013년 춘계는 A조 4개교, B조 5개교로 A조는 6경기)을 치러 승률로 순위를 정했다. 각 그룹 1위 학교는 우승 결정전(승점제)을 치르고, 승리 학교가 교체전에 진출했다.[1][2]2013년 추계에는 9개 학교가 팀당 2경기씩 총 16경기를 치르는 승률제로 리그를 진행했다. 다음 해부터 1부 리그가 8개 학교로 개편됨에 따라 1위와 2위 학교가 자동 승격되었다.
2014년 춘계부터 2015년 추계까지는 7개 학교가 팀당 2경기씩 총 14경기를 치르는 승률제로 리그를 진행했다. 1위와 2위 학교는 교체전에 진출했다.
2016년 춘계부터는 1차 리그(팀당 1경기, 총력전)를 통해 1~9위까지 순위를 정했다. 이 순위를 바탕으로 2차 리그(1~4위 그룹, 5~9위 그룹)에서 총력전을 진행했다. 1차 리그와 2차 리그의 합계 승률을 기준으로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1차 리그 1~4위 그룹은 최종 순위 1~4위를, 5~9위 그룹은 최종 순위 5~9위를 결정했다.
3시간이 지나거나 12회를 마쳐도 동점일 경우 승부치기를 적용했다. 승부치기는 1사 만루 상황에서 공격을 시작한다. 팀의 승패와 책임 투수를 제외한, 승부치기 적용 시 개인 기록은 공식 기록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4. 3. 승강전
각 부의 리그 종료 후 상위 리그 최하위 학교와 하위 리그 우승 학교 간의 대전을 짜고, 이기는 팀은 승격하고 지는 팀은 강등된다(상위 리그 학교가 승리하거나 하위 리그 학교가 패배 시 잔류). 대전 방법은 2전 전승 방식이다.[1][2] 춘계와 추계에 각각 리그전을 실시하며, 각 시즌 종료 후 각 부 간의 승강전을 실시한다.5. 경기 구장
설립 초기에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의 경기가 없는 날에 메이지 진구 야구장을 사용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학업을 고려하여 주말 개최를 목표로 메이지 진구 구장에서 철수하고, 이후 가와사키 구장(롯데 오리온스 홈구장)을 중심으로 운영했다. 그러나 가와사키 구장은 2000년에 노후화로 해체 및 개수되어 경식 야구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현재는 히라쓰카 구장, 사가미하라 구장, 가와사키 도도로키 경기장, 오타 스타디움을 중심으로 각 가맹 대학의 소유 구장을 이용하여 경기를 진행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가나가와를 중심으로 하는 구장에서 열렸으나 편의, 집객 효과, 공정성 등을 고려하여 사이타마 구장도 사용하게 되었다. 2006년에는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와 같이 수도권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경기를 치르는 획기적인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6. 가맹 대학 (2024년 봄 리그 기준)
2024년 봄 리그전 기준으로 수도 대학 야구 연맹에는 다음과 같은 대학들이 가맹되어 있다.
1부 리그 | 2부 리그 |
---|---|
과거에는 소조 학원 대학도 가맹되어 있었으나, 2012년 가을에 탈퇴했다.
6. 1. 1부 리그
도카이 대학, 데이쿄 대학, 쓰쿠바 대학, 일본 체육대학, 다이토 문화대학, 조사이 대학이 수도 대학 야구 연맹 1부 리그에 속해 있다.창립 초기에는 도토 대학 야구 연맹의 경기가 없는 날에 메이지진구 제2구장을 사용했지만, 학업과의 조화를 위해 주말 개최를 목표로 해당 구장에서 철수하여 이후에는 가와사키 구장(당시 롯데 오리온즈 본거지)을 중심으로 운영을 변경했다. 그러나 가와사키 구장은 스탠드의 노후화로 인해 2000년에 해체 및 개수되어, 경식 야구에서의 이용이 불가능해졌다.
그 후에는 히라츠카 구장, 사가미하라 구장, 가와사키 시 토도로키 구장, 오타 스타디움, 우라야스시 운동공원 야구장을 중심으로 가맹 각 대학의 소유 구장(일본체육대학 요코하마 켄시다이 구장·메이지가쿠인 대학 그라운드) 등도 활용하면서 경기를 개최하고 있다. 지금까지는 가나가와 주변을 중심으로 한 구장에서 경기가 열렸지만, 편리성·집객력·공평성 등을 검토하여 가맹 각 학교 부근의 쓰치우라 시영 구장, 가시와노하와 사이타마(시영 오미야 등)의 구장도 사용하게 되었다. 2006년 봄에는 이와테현하나마키시라는 수도권에서 떨어진 원격지에서 개최하는 시도도 이루어졌다[3]。
1부 리그전에서는 입장료를 징수하며, 일반 1000JPY, 학생 500JPY이다(과거 평일 3차전은 무료였던 시대도 있었다).
2024년 현재 1부 리그는 다음과 같다.
- 테이쿄 대학(우승)
- 도카이 대학(2위)
- 오비린 대학(3위)
- 쓰쿠바 대학(4위)
- 니혼 스포츠 과학 대학(5위)
- 조사이 대학(6위)
6. 2. 2부 리그
수도 대학 야구 연맹의 2부 리그는 1966년 봄에 창설되었다. 2부 리그 우승 팀은 1부 리그 최하위 팀과의 승강전을 통해 1부 리그로 승격할 기회를 얻는다.[3]2부 리그는 리그 초창기(1964년 가을 ~ 1965년)에는 1부 리그의 하위 리그가 아니었다. 1966년 봄부터 2부 리그가 창설되면서 1965년 가을 1부 리그에서 최하위를 기록한 도쿄 교육 대학(현 쓰쿠바 대학)이 자동 강등되었다.[3]
2010년대 초반에는 2부 리그를 A, B조로 나누어 운영하기도 했다. 각 조 1위 팀끼리 우승 결정전을 치러 2부 리그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2014년 봄부터 1부 리그 참가 팀이 6팀에서 8팀으로 증가하면서 2부 리그 강등은 없어졌고, 2부 리그 우승팀과 2위팀이 자동 승격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6년 봄부터 1부 리그 참가팀이 다시 6팀으로 줄면서, 1부 리그 하위 3팀과 2부 리그 상위 2팀이 승강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
2020년 봄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리그가 중단되기도 했다.[3]
2024년 춘계 리그전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2부 리그 최다 우승 대학은 다이토 분카 대학으로 총 28회 우승을 차지했다.
우승 횟수 | 대학 |
---|---|
28 | 다이토 분카 대학 |
18 | 도쿄 경제 대학 |
16 | 조사이 대학 |
12 | 쓰쿠바 대학(구: 도쿄 교육 대학) |
11 | 무사시 대학 |
8 | 묘조 대학 |
5 | 다마가와 대학 돗쿄 대학 메이지가쿠인 대학 오비린 대학 |
4 | 테이쿄 대학 |
1 | 세이조 대학 |
2024년 춘계 리그전 참가 대학은 다음과 같다.
6. 2. 1. A조
- 메이세이 대학
- 도쿄 경제대학
- 독쿄 대학
- 아시카가 공업대학
6. 2. 2. B조
7. 과거 소속 대학
참조
[1]
웹사이트
2014年度リーグ戦の試合方法についてのご報告
http://sbbl.meisei-u[...]
[2]
기타
[3]
기타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