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야바르만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리야바르만 2세는 1113년 크메르 제국의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롭부리 지역에서 성장하여 왕위 찬탈을 통해 권력을 잡았으며, 1119년 공식 즉위식을 거행했다. 수리야바르만 2세는 앙코르 와트 건설을 감독하고, 중국과의 외교 관계를 재개하는 등 통치 기간 동안 예술과 건축, 대외 관계에서 업적을 남겼다. 하지만, 잦은 전쟁과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인해 국내는 피폐해졌으며, 사후에는 반란과 왕위 찬탈이 일어났다. 그는 1150년 참파 원정 중 사망했으며, 사후에는 사촌 다라닌드라바르만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메르 국왕 - 자야바르만 7세
12세기 크메르 제국을 통치한 자야바르만 7세는 참파의 침략을 격퇴하고 제국을 재건, 앙코르 톰과 바이욘 사원 건설, 불교 숭상, 병원 및 역참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과도한 토목 공사로 국가 재정을 악화시켰다는 비판도 받는다. - 크메르 국왕 - 자야바르만 2세
자야바르만 2세는 앙코르 시대의 기초를 세운 크메르 제국의 건국왕으로, 802년 독립을 선포하고 힌두교 신앙과 데바라자 신앙을 확립하여 캄보디아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 - 몰년 미상 - 미와 와사부로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 관료로, 항일 운동가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이라 불렸으며 조선어에 능통했고, 해방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 몰년 미상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수리야바르만 2세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수리야바르만 2세 |
사후 칭호 | 파라마비슈누로카 |
재위 | 1113년–1150년 |
이전 |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 |
이후 | 다라닌드라바르만 2세 |
출생 | 11세기 (1094년 또는 1098년) |
출생지 | 앙코르, 크메르 제국 (현재 캄보디아 시엠레아프) |
사망 | 1150년 |
사망지 | 앙코르, 크메르 제국 (현재 시엠레아프, 캄보디아) |
매장지 | 앙코르 와트, 시엠레아프, 캄보디아 |
종교 | 힌두교 (비슈누파) |
통치 정보 | |
소속 | 크메르 제국 |
전투 | 크메르-참파 전쟁 대월-크메르 전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크시틴드라디티야 |
어머니 | 나렌드랄락슈미 |
2. 초창기
수리야바르만 2세는 크메르 제국의 중앙 권력이 약화된 12세기 초, 오늘날 태국의 롭부리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방 영지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1] 비문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크시틴드라디타(Ksitindraditya)이고 어머니는 나렌드랄악슈미(Narendralakshmi)이다. 젊은 시절부터 왕위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던 그는, 여러 경쟁자들과의 권력 다툼을 거쳐 마침내 1113년 당시 왕이었던 큰아버지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를 전쟁에서 제거하고 왕좌를 차지했다.[5][7] 그의 이름 '수리야바르만'은 산스크리트어로 "태양의 보호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2. 1. 출생과 성장
수리야바르만 2세는 1094년 또는 1098년경 크메르 제국의 중앙 권력이 약화된 시기에 오늘날 태국의 롭부리 지역으로 추정되는 지방 영지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1] 비문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크시틴드라디타(Ksitindraditya)이고 어머니는 나렌드랄악슈미(Narendralakshmi)이다. 젊은 왕자 시절, 그는 왕위 계승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며 권력을 추구했다. 한 비문에는 “그의 학업이 끝날 무렵, 그는 그의 가족의 왕족으로서의 염원을 승인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그는 왕위를 얻기 위해 남쪽을 지배했던 하르샤바르만 3세(Harshavarman III)의 계보를 잇는 경쟁자(아마도 니리파틴드라바르만(Nripatindravarman)일 가능성이 높음)와 대결했고, 이후에는 나이가 많고 힘이 약했던 자신의 큰아버지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Dharanindravarman I) 왕에게 도전했다. 비문에는 “그는 전장에서 그의 군대의 바다를 남겨두고, 끔찍한 전투를 벌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적왕의 코끼리 머리 위에 뛰어올라, 그는 산꼭대기의 가루다(Garuda)가 뱀을 죽이듯 그를 죽였다”[5]는 기록이 있는데, 학자들은 이 기록이 남쪽 경쟁자의 죽음을 의미하는지, 아니면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의 죽음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의견이 갈린다.
수리야바르만 2세는 경쟁자들을 제거하고 1113년에 왕위에 올랐다.[7] 왕위에 오른 직후인 1114년, 그는 남인도의 촐라 왕조(Chola dynasty)에 사절단을 보내 쿨로퉁가 촐라 1세(Kulothunga Chola I) 황제에게 귀중한 보석을 선물하기도 했다.[6]
1113년, 나이가 많은 브라만 성직자 디바카라판디타(Divakarapandita)가 그의 즉위 의식을 주관했는데, 이는 그가 세 번째로 왕의 즉위식을 집행한 것이었다. 비문에 따르면 새로운 왕은 신성한 의식을 연구하고 종교 축제를 기념했으며, 디바카라판디타에게 가마, 부채, 왕관, 양동이, 반지 등의 선물을 주었다. 디바카라판디타는 제국 내 사원들을 오랫동안 순회했으며, 산꼭대기에 위치한 프레아 비히어(Prasat Preah Vihear) 사원에는 춤추는 시바(Shiva) 신의 금상을 봉헌하기도 했다.[8] 수리야바르만 2세의 공식적인 즉위식은 1119년에 다시 디바카라판디타의 주관으로 거행되었다.
수리야바르만이라는 이름에서 앞 두 음절 '수리야'는 산스크리트어(Sanskrit language)로 "태양"을 의미한다. '바르만'(Varman)은 팔라바 왕조(Pallava dynasty)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왕족의 접미사로, 보통 "방패" 또는 "보호자"로 번역되며 크메르 왕족들이 채택하여 사용했다.
2. 2. 즉위
크메르 제국의 중앙 통제가 약화되던 시기에, 오늘날 태국의 롭부리 지역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1] 비문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크시틴드라디타(Ksitindraditya)이고 어머니는 나렌드랄악슈미(Narendralakshmi)이다. 젊은 왕자 시절부터 왕위 계승에 대한 정당한 권리를 주장하며 권력을 추구했다. 한 비문에는 "그의 학업이 끝날 무렵, 그는 그의 가족의 왕족의 염원을 승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남쪽 지역을 지배하던 하르샤바르만 3세의 후계자 중 한 명(아마도 니리파틴드라바르만(Nripatindravarman))과 경쟁했으며, 이후에는 연로하고 세력이 약했던 자신의 큰아버지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 왕에게 도전했다. 비문에는 "그는 전장에서 그의 군대의 바다를 남겨두고, 끔찍한 전투를 벌였다. 적왕의 코끼리 머리 위에 뛰어올라, 그는 산꼭대기의 가루다가 뱀을 죽이듯 그를 죽였다"고 묘사되어 있다.[5] 학자들은 이 기록이 남쪽의 경쟁자를 가리키는지, 아니면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를 가리키는지에 대해 의견이 나뉜다. 결국 그는 전쟁을 통해 1113년 다라닌드라바르만 1세를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1113년에 즉위한[7] 수리야바르만 2세의 즉위식은 연로한 브라만 성자 디바카라판디타(Divakarapandita)가 주관했는데, 이는 그가 세 번째로 왕의 즉위식을 집행한 것이었다. 기록에 따르면 새로운 왕은 신성한 의식을 연구하고 종교 축제를 기념했으며, 디바카라판디타에게 가마, 부채, 왕관, 양동이, 반지 등의 선물을 하사했다. 디바카라판디타는 제국 내 사원들을 오랫동안 순회했으며, 이때 산꼭대기에 위치한 프레아 비히어 사원에 춤추는 시바의 금상을 봉헌하기도 했다.[8] 왕의 공식적인 즉위식은 1119년에 다시 디바카라판디타의 주관 하에 거행되었다.
즉위 직후인 1114년에는 남인도의 촐라 왕조에 사절단을 보내 촐라 황제 쿨로퉁가 촐라 1세에게 귀중한 보석을 선물하며 외교 관계를 맺었다.[6]
수리야바르만 2세의 이름에서 '수리야'는 산스크리트어로 "태양"을 의미한다. '바르만'(Varman)은 팔라바 왕조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접미사로, 보통 "방패" 또는 "보호자"로 번역되며 크메르 왕족들이 채택하여 사용했다.
3. 통치
수리야바르만 2세는 수십 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분열되었던 크메르 제국을 재통합하고 봉신들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이 시기 제국은 드바라바티 등 주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장하려 시도했다. 그는 동쪽의 참파와 북쪽의 대월에 대해 여러 차례 대규모 군사 작전을 감행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6][9][10][11][7][12] 외교적으로는 1116년 중국과의 공식 관계를 재개하고 여러 차례 사절단을 파견하여 교류했으며, 중국 황제로부터 "제국의 위대한 봉신"으로 인정받기도 했다.[7][13]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예술과 건축에서 큰 혁신이 이루어졌는데, 일각에서는 촐라 왕조의 영향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가장 중요한 업적은 크메르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앙코르 와트의 건설이다.[14] 이 외에도 반테아이 삼레(Banteay Samre), 톰마논(Thommanon), 차우사이테보다(Chau Say Tevoda), 왓 아트베아(Wat Athvea), 벵밀레아(Beng Mealea) 등 여러 사원을 건설했으며, 부왕(우파라자) 시절에는 현재 태국에 있는 피마이 유적 건설에도 참여했다. 그는 자야바르만 7세의 조카[17]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치세에 왕조의 영토는 최대에 달했다.[18]
종교적으로는 이전 크메르 왕들과 달리 시바 대신 비슈누를 궁정 종교의 중심으로 삼은 점이 특징적이다. 수리야바르만 2세는 결혼했지만 그의 아내들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한편, 계속된 전쟁과 대규모 건축 사업은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어 국내를 피폐하게 만들었고, 이는 그의 사후 반란과 왕위 찬탈이 일어나는 배경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19] 그의 사후 왕위는 사촌인 자야바르만 8세[20]가 계승했다.
3. 1. 대외 관계
수리야바르만 2세는 수십 년간의 통치 기간 동안 분열되었던 제국을 재통합하고 봉신들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이 시기 크메르 제국은 주변국에 대한 군사적 확장을 시도했으며, 드바라바티는 크메르의 영향권 아래 놓이기 시작했다.그는 동쪽의 이웃 국가인 참파에 대해 여러 차례 대규모 군사 작전을 벌였으나, 대부분 성공적이지 못했다.[16] 또한 베트남의 전신 국가인 대월에 대해서도 때로는 참파의 지원을 받아 응에안과 꽝빈 지역을 세 차례 공격했지만 실패했다. 1128년에는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대월을 공격했으나 패배하여 물러났고,[9] 이듬해에는 700척이 넘는 함대를 보내 해안을 공격했다. 1132년과 1137년에도 크메르와 참파 연합군이 대월을 침공했지만 실질적인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9] 이후 참파의 왕 자야 인드라바르만 3세는 대월과 평화 관계를 맺고 더 이상의 공격을 지원하지 않았다.
1145년, 수리야바르만 2세는 다시 참파를 침략하여 왕 자야 인드라바르만 3세를 패배시키고 수도 비자야를 약탈했다.[10] 그는 크메르 왕족과 관련된 하리데바(Harideva)를 새로운 참파 왕으로 앉혔다. 그러나 이후 자야 하리바르만 1세가 이끄는 참파 군대가 수도를 되찾고 하리데바를 살해했다.[11] 1150년에 시도된 마지막 참파 원정은 참담한 실패로 끝났다.[7]
베트남 역사서에 따르면, 크메르는 1150년에 대월을 다시 침공할 계획이었으나, 군대가 응에안 지역에 집결하는 동안 질병이 퍼져 침공 직전에 후퇴해야 했다.[12]
3. 1. 1. 촐라 왕조와의 관계
1145년, 수리야바르만 2세는 참파를 침략하는 과정에서 남인도의 촐라 왕조 왕 쿨로퉁가 콜라 2세의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공격으로 참파의 왕 자야 인드라바르만 3세를 패배시키고 수도 비자야를 약탈하였다.[10]또한, 수리야바르만 2세 통치 시기에 나타난 크메르 건축과 예술의 급격한 혁신에 대해, 일부에서는 촐라 왕조의 영향력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14] 이 시기에는 앙코르 와트와 같은 중요한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3. 1. 2. 중국과의 관계
수리야바르만 2세는 군사 활동 외에도 외교를 통해 국제 관계를 관리했다. 특히 1116년에는 중국과의 공식적인 관계를 재개했다.[7] 13세기 중국 기록에 따르면, 당시 크메르 제국에서 파견된 사절단은 14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이 중국 땅에 도착하자 송나라 황실은 특별한 궁중 의복을 하사하며 환대했다. 사절단의 대표는 중국 황제에게 "우리가 당신의 영광을 숙고하기 위해 도착하자마자 이미 당신의 은혜로 가득 차 있습니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사절단은 다음 해인 1117년에 귀국했다.[7][13]이후 1120년에 또 다른 크메르 사절단이 중국을 방문했고, 1128년에는 중국 황제가 수리야바르만 2세에게 높은 품계를 수여하며 그를 "제국의 위대한 봉신"으로 인정했다. 이러한 외교 관계를 바탕으로 양국 간 상업 문제에 대한 검토와 규제도 이루어졌다.[7][13]
3. 2. 앙코르 와트 건설

수리아바르만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예술과 건축 분야에서 큰 혁신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콜라 왕조의 영향 때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그는 수도에 앙코르 와트[14]라는 거대한 사원 건설을 감독했으며, 이는 오늘날 크메르 건축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앙코르 와트의 5개 중앙 탑은 힌두교 신들의 고향인 메루산(Mount Meru)의 봉우리를 상징한다. 사원은 1,860개가 넘는 천상의 무희 압사라 조각과 힌두교 전설 및 당시 생활상을 묘사한 수백 미터 길이의 정교한 부조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수리아바르만 2세는 이전 크메르 왕들과는 달리 시바가 아닌 비슈누를 궁정 종교 생활의 중심으로 삼았다. 이러한 결정의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학자들은 이것이 앙코르 와트가 일반적인 크메르 사원과 달리 동쪽이 아닌 서쪽을 향하게 된 이유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서쪽은 비슈누와 관련된 방향으로 여겨진다.
수리아바르만 2세는 예술 작품에 묘사된 최초의 크메르 왕이기도 하다. 앙코르 와트 남쪽 회랑의 부조에는 정교한 단상에 앉아 있는 왕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왕은 뾰족한 왕관과 장신구를 착용하고 있으며, 주변에는 시종들과 브라만 사제들, 행렬 등이 묘사되어 당시 궁정 생활을 엿볼 수 있다. 회랑의 다른 부분에는 코끼리를 탄 사령관들과 보병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어 수리아바르만 2세의 군사력을 보여준다. 왕 자신도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든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시대에는 앙코르 와트 외에도 반테아이 삼레(Banteay Samre), 톰마논(Thommanon), 차우사이테보다(Chau Say Tevoda), 왓 아트베아(Wat Athvea), 그리고 수도 동쪽의 거대한 벵밀레아(Beng Mealea) 단지 등 여러 사원이 건설되었다. 또한 그는 왕위에 오르기 전 부왕(우파라자) 시절에 현재 태국 지역에 있는 피마이 유적 건설에도 관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건축 사업은 계속된 전쟁과 더불어 국가 재정에 상당한 부담을 주었으며, 그의 사후 왕국이 혼란에 빠지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는 평가도 있다.[19]
3. 3. 종교 정책
수리야바르만 2세는 이전 크메르 왕들과 달리 시바가 아닌 비슈누를 궁정 종교 생활의 중심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독특한 면모를 보였다. 그가 왜 이러한 결정을 내렸는지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학자들은 비슈누 신앙이 앙코르 와트가 일반적인 크메르 사원 방향인 동쪽이 아닌, 비슈누와 관련된 서쪽을 향하게 된 이유와 관련이 있는지 오랫동안 논쟁해 왔다.그는 앙코르 와트 건설을 감독했는데,[14] 이 사원은 수도에 세워진 가장 큰 사원이자 크메르 건축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앙코르 와트의 다섯 개 중앙 탑은 힌두교 신들의 고향인 메루산의 봉우리를 상징한다. 사원은 천상의 무희인 압사라 1,860여 개와 힌두교 신화 및 당시 생활상을 묘사한 수백 미터 길이의 정교한 부조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4. 사망과 계승
비문의 증거에 따르면 수리야바르만 2세는 1150년경, 아마도 참파(Champa)에 대한 군사 원정 중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 그는 이전에 토 헌 성(Tô Hiến Thành)이 이끄는 베트남 군대에게 패배하기도 했다.[2] 다른 자료에서는 그의 기록이 이 무렵 중단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1150년경 앙코르에서 사망했다고 보기도 한다.[15][1]
사후 그는 '비슈누의 천상 세계에 들어간 자'라는 의미의 파라마비슈누로카(Paramavishnuloka|파라마비슈누로카km)라는 시호를 받았다.[16] 그가 건설을 시작한 앙코르 와트는 그의 사후에 완공된 것으로 보인다.[16] 왕위는 그의 사촌인 다라닌드라바르만 2세(Dharanindravarman II)에게 계승되었다.[16]
그러나 그의 사후 크메르 제국은 약한 통치와 내분이 이어지는 혼란기를 맞이했다.[16] 잦은 전쟁과 앙코르 와트와 같은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국력이 소모되어 국내가 피폐해졌고, 이는 반란과 왕위 찬탈의 배경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19]
5. 평가
수리야바르만 2세는 크메르 제국의 영토를 최대로 확장시키고[18] 앙코르 와트와 같은 불멸의 건축물을 남긴 왕으로 높이 평가받는다.[18] 그는 참파 왕국을 공격하여 수도 비자야를 함락시키는 등 군사적인 성공을 거두었으며[18], 부왕 시절에는 현재 태국의 피마이 유적 건설에도 참여했다.
그러나 이러한 빛나는 업적의 이면에는 잦은 전쟁과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인한 국가적 피폐라는 어두운 그림자도 존재한다. 그의 사후 크메르 제국은 반란과 왕위 찬탈이 이어지는 혼란기를 겪게 되었다.[19]
5. 1. 업적
수리야바르만 2세는 크메르 제국의 영토를 크게 확장시킨 왕으로 평가받는다. 1145년에는 참파 왕국의 수도인 비자야를 함락시키는 등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왕조의 영토는 역대 최대로 넓어졌다.[18]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앙코르 와트의 건설이다.[18] 이 거대한 사원은 힌두교의 비슈누 신에게 봉헌되었으며, 오늘날까지도 캄보디아를 상징하는 중요한 건축물로 남아있다. 앙코르 와트는 그의 사후에 완공된 것으로 추정된다.[16] 또한 부왕(우파라자) 시절에는 현재 태국에 위치한 피마이 유적 건설에도 관여했다.
그러나 그의 치세는 군사 활동과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점철되었다. 말년에는 참파 왕국에 대한 군사 원정을 시도했으나[2], 토 헌 성(Tô Hiến Thành)이 이끄는 베트남 군대에게 패배하기도 했다. 이러한 잦은 전쟁과 대규모 토목 공사는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을 주었고, 결국 그의 사후 왕국은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19]
수리야바르만 2세는 1150년경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2][15][1], 사후에는 '비슈누의 천상 세계에 들어간 자'라는 의미의 Paramavishnuloka|파라마비슈누로카san라는 시호를 받았다.[16] 오늘날 씨엠립 공항에는 앙코르 와트 부조에 묘사된 그의 모습을 본뜬 조각상이 세워져 방문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5. 2. 한계
전쟁과 앙코르 와트 건설과 같은 대규모 건축 사업으로 인해 국내는 피폐해졌고, 수리야바르만 2세 사후에는 반란과 왕위 찬탈이 일어나는 결과로 이어졌다[19].참조
[1]
서적
Government Leaders, Military Rulers and Political Activists
2014
[2]
웹사이트
Suryavarman II | Biogra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3]
서적
Study and Teaching Guide: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A curriculum guide to accompany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https://books.google[...]
Peace Hill Press
2016-11-22
[4]
웹사이트
Suryavarman II Biography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7-19
[5]
서적
The Ancient Khmer Empire
[6]
서적
A History of India
[7]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8]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9]
웹사이트
Thánh Tông Hoàng Đế
https://www.informat[...]
[10]
서적
The Champa Kingdom
White Lotus Co., Ltd.
2002
[11]
서적
The Ancient Khmer Empire
[12]
웹사이트
Anh Tông Hoàng Đế
https://www.informat[...]
[13]
서적
The Ancient Khmer Empire
[14]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River Books Co., Ltd.
2014
[15]
서적
Study and Teaching Guide: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A curriculum guide to accompany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https://books.google[...]
Peace Hill Press
2016-11-22
[16]
서적
The Civilization of Angkor
Weidenfeld & Nicolson
2001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