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조류는 조류의 계통 분류 중 하나로, 분자생물학적 연구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2021년 브라운과 킴볼 등의 연구에 따르면, 아비목, 슴새목, 펭귄목, 황새목, 가다랭이잡이목, 사다새목, 저어새과, 왜가리과, 사다새과, 넓적부리황새과, 망치머리황새과 등으로 분류된다. 또한, 가비목을 제외하고 Procellariimorphae와 Pelecanimorphae를 포함하는 Feraequornithes라는 분지군으로도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류별 새 - 수좌류
수좌류는 벌새, 칼새, 밤나방류 등을 포함하는 조류 분류군으로, 분자 계통유전학 연구를 통해 범위와 계통 관계가 재정립되었으며, 바늘꼬리새목의 측계통군임이 밝혀짐에 따라 새로운 의미로 부활하여 다양한 분류 체계가 제안되고 있다. - 신악하강 - 신악류
신악류는 고악류와 자매군을 이루는 조류 분류군으로, 닭기러기류와 신조류의 두 주요 계통으로 나뉘며, 신조류 내부 계통 분류는 아직 논쟁 중이다. - 신악하강 - 신조류
신조류는 현생 조류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큰 분류군으로 미란도르니테스류, 비둘기류, Passerea의 세 가지 주요 분류군으로 나뉘며, 계통 발생은 논쟁의 여지가 많고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을 보호하고 인간과의 지속 가능한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
| 수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분류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조강 |
| 하강 | 신악류 |
| 상목 | 신조류 |
| 미분류 | 수조류 (Aequornithes) |
| 명명자 | Mayr, 2010 |
| 하위 분류군 | |
| 계통군 | 아비목 (Gaviiformes) |
| 학술적 정보 | |
| 학명 | Aequornithes |
| 명명자 | Mayr, 2010 |
| 화석 범위 | 전기 팔레오세 - 홀세 [http://mbe.oxfordjournals.org/cgi/content/full/msj124/DC1 Supplementary Material] }} |
| 추가 정보 | 분자 시계에 기반한 초기 기원 가능성 |
| 이미지 | |
![]() | |
2. 계통 분류
조류의 계통 분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의 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수조류(Aequornithes)는 신조류에 속하는 주요 그룹 중 하나이며, 그 분류 체계 역시 여러 연구를 통해 제안되고 수정되어 왔다.
예를 들어,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는 신조류 내에서 수조류의 위치와 수조류 내부의 상세한 계통 관계를 제시했다.[15][16] 또한 Burleigh 등(2015)의 연구[13]와 Sangster & Mayr(2021)의 연구[4]는 다른 관점에서 수조류의 계통을 분석하고 Feraequornithes와 같은 새로운 분류군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러한 연구들은 아비목, 슴새목, 펭귄목, 황새목, 가다랭이잡이목, 사다새목 등 다양한 목(目) 수준 분류군들의 상호 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각 연구에서 제시된 구체적인 계통 분류 체계와 주요 분류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신조류 계통 분류 (2021)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따른 신조류 내에서의 수조류 위치 및 수조류 내부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5][16]신조류는 크게 미란도르니테스류(Mirandornithes)와 파세레아(Passerea)로 나뉜다. 파세레아 내에서 수조류(Aequornithes)는 뱀눈새류(Eurypygimorphae)와 함께 왜가리류를 형성하며, 이는 육조류(Telluraves)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수조류 내부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 아비목 (Gaviiformes)
- 나머지 수조류 그룹
- * 슴새목 (Procellariiformes)과 펭귄목 (Sphenisciformes) 그룹
- * 황새목 (Ciconiiformes)과 그 자매 그룹
- ** 가다랭이잡이목 (Suliformes)
- ** 사다새목 (Pelecaniformes)
저어새과 (Threskiornithidae)와 왜가리과 (Ardeidae) 그룹
사다새과 (Pelecanidae)와 넓적부리황새과 (Balaenicipitidae)/망치머리황새과 (Scopidae) 그룹
아래는 Burleigh, J.G. 등(2015)의 연구[13]를 기반으로 하고, Sangster, G. & Mayr, G. (2021)의 일부 명칭을 사용한[4] 수조류(Aequornithes)의 분기도이다.
- '''수조류''' (Aequornithes)
- * 아비목 (Gaviiformes) - 아비
- * 페라이쿠오르니테스 (Feraequornithes)
- ** 프로켈라리이모르파이 (Procellariimorphae) 또는 아우스트로딥토르니테스 (Austrodyptornithes)
슴새목 (Procellariiformes) - 알바트로스, 슴새 등
펭귄목 (Sphenisciformes) - 펭귄

- ** 펠레카니모르파이 (Pelecanimorphae)
황새목 (Ciconiiformes) - 황새

펠레카네스 (Pelecanes)
* 가다랭이잡이목 (Suliformes) - 얼가니새, 가마우지 등
* 사다새목 (Pelecaniformes) - 왜가리, 따오기, 펠리컨, 넓적부리황새, 망치머리황새 등

'''페라이쿠오르니테스'''(Feraequornithes)는 2021년 상스터(Sangster)와 마이어(Mayr)가 명명한 분류군이다. 이 분류군은 아비목을 제외한 수조류, 즉 펠레카니모르파이(Pelecanimorphae)와 프로켈라리이모르파이(Procellariimorphae, 또는 아우스트로딥토르니테스)를 포함한다. 이들은 해당 분류군을 계통 정의 코드(''PhyloCode'')에서 "''Pelecanus onocrotalus''와 ''Procellaria aequinoctialis''를 포함하는 가장 덜 포괄적인 분지군"으로 정의했다.[4]
2. 2. 수조류 계통 분류
2021년 브라운(Braun)과 킴볼(Kimball) 등의 연구에 따른 수조류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6] 수조류는 크게 아비목과 나머지 그룹으로 나뉜다. 나머지 그룹은 다시 여러 목으로 분기된다.- 아비목 (Gaviiformes)
- (이름 없는 분기군)
- (이름 없는 분기군)
- 슴새목 (Procellariiformes)
- 펭귄목 (Sphenisciformes)
- (이름 없는 분기군)
- 황새목 (Ciconiiformes)
- (이름 없는 분기군)
- 가다랭이잡이목 (Suliformes)
- 사다새목 (Pelecaniformes)
- (이름 없는 분기군)
- 저어새과 (Threskiornithidae)
- 왜가리과 (Ardeidae)
- (이름 없는 분기군)
- 사다새과 (Pelecanidae)
- (이름 없는 분기군)
- 넓적부리황새과 (Balaenicipitidae)
- 망치머리황새과 (Scopidae)
Burleigh 등(2015)[13]과 Sangster & Mayr (2021)[4]의 연구를 기반으로 한 또 다른 수조류(Aequornithes)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 Aequornithes
- 아비목 (바다오리류)
- Feraequornithes
- Procellariimorphae
- 슴새목 (알바트로스 및 바다제비)
- 펭귄목 (Sphenisciformes)
- Pelecanimorphae
- 황새목 (Ciconiiformes)
- Pelecanes
- 가다랭이잡이목 (얼가니새, 가마우지 등)
- 사다새목 (왜가리, 따오기, 펠리컨, 슈빌 및 망치머리황새)
Feraequornithes는 Sangster & Mayr (2021)에 의해 명명된 분지군으로, 아비목을 제외하고 Pelecanimorphae와 Procellariimorphae를 포함한다. 이들은 이 분지군을 ''PhyloCode''에서 "''Pelecanus onocrotalus''와 ''Procellaria aequinoctialis''를 포함하는 가장 덜 포괄적인 분지군"으로 정의했다.[4]
2. 3. Feraequornithes
'''Feraequornithes'''는 Sangster & Mayr (2021)에 의해 명명된 분지군으로, 가비목을 제외하고 '''Pelecanimorphae'''와 '''Procellariimorphae'''를 포함한다. 이들은 이 분지군을 ''PhyloCode''에서 "''Pelecanus onocrotalus''와 ''Procellaria aequinoctialis''를 포함하는 가장 덜 포괄적인 분지군"으로 정의했다.[4]참조
[1]
논문
Early Penguin Fossils, plus Mitochondrial Genomes, Calibrate Avian Evolution
http://mbe.oxfordjou[...]
[2]
논문
An unbiased molecular approach using 3'-UTRs resolves the avian family-level tree of life
[3]
논문
Phylogenetic definitions for 25 higher-level clade names of birds
2022
[4]
논문
Feraequornithes: a name for the clade formed by Procellariiformes, Sphenisciformes, Ciconiiformes, Suliformes and Pelecaniformes (Aves)
2021
[5]
논문
Metaves, Mirandornithes, Strisores and other novelties – a critical review of the higher-level phylogeny of neornithine birds
2011
[6]
논문
Phylogenetic definitions for 25 higher-level clade names of birds
https://ueaeprints.u[...]
2022-01-01
[7]
논문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2008-06-27
[8]
논문
Parsimony and model-based analyses of indels in avian nuclear genes reveal congruent and incongruent phylogenetic signals
[9]
논문
Identifying localized biases in large datasets: A case study using the Avian Tree of Life
2013-12
[10]
논문
Determining the Position of Storks on the Phylogenetic Tree of Waterbirds by Retroposon Insertion Analysis
[11]
논문
Whole-genome analyses resolve early branches in the tree of life of modern birds
2014-12-12
[12]
논문
Phylogenetic definitions for 25 higher-level clade names of birds
[13]
논문
Building the avian tree of life using a large-scale, sparse supermatrix
2015-03
[14]
논문
Metaves, Mirandornithes, Strisores and other novelties – a critical review of the higher-level phylogeny of neornithine birds
http://onlinelibrary[...]
2010
[15]
간행물
Data types and the phylogeny of Neoaves
https://doi.org/10.3[...]
2021
[16]
웹인용
A Phylogenomic Study of Birds Reveals Their Evolutionary History
http://www26.atwiki.[...]
2013-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