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 허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허씨는 조선 광해군의 후궁으로, 간택을 통해 궁에 들어왔다. 1613년 숙의로 간택되어 입궁한 후, 수빈으로 봉해졌다. 광해군 폐위 후 유배되었으며,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조반정 - 오윤겸
오윤겸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외교관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시대에 내외직을 역임하며 임진왜란 군량미 확보, 대동법 시행 건의, 조선-일본 외교 관계 회복에 기여했고, 인조반정 이후에는 서인의 영수로서 당쟁 해소와 민심 수습에 힘썼다. - 인조반정 - 숙의 권씨 (광해군)
광해군의 후궁인 숙의 권씨는 안동 권씨로, 간택되어 입궁 후 1618년 숙의에 봉해졌으나, 인조반정 이후 연산으로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으며,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 조선 광해군 - 인조반정
인조반정은 1623년 서인 세력이 광해군의 폭정을 명분으로 일으킨 쿠데타이며, 광해군 폐위 후 인조가 즉위했으나 서인 세력 간의 갈등과 외침으로 조선 사회에 혼란을 가져왔다. - 조선 광해군 - 별에서 온 그대
1609년 조선에 떨어진 외계인 도민준과 톱스타 천송이의 로맨스를 그린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는 초능력, 미스터리, 갈등, 그리고 한류 확산과 사회문화적 현상까지 일으킨 작품이다. - 양천 허씨 - 허균
허균은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정치가로서, 홍길동전, 교산시화, 도문대작 등 다양한 저서를 남겼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정치적 사건에 연루되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양천 허씨 - 허태정
허태정은 충청남도 예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충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노무현 정부 청와대 근무 후 대전 유성구청장 재선 및 대전광역시장을 역임했다.
| 숙의 허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작위 | 후궁 (수빈) |
| 별칭 | 허희(許姬) |
| 휘 | 정순(貞純) |
| 배우자 | 광해군 |
| 자녀 | 없음 |
| 왕조 | 조선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허경 |
| 어머니 | 평산 신씨 |
| 친척 | 허직(오빠) 등 |
| 생애 | |
| 출생일 | 1595년 |
| 출생지 | 조선 |
| 사망지 | 조선 |
| 사망일 | 1623년 이후 |
2. 생애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의 후궁으로, 정식으로 간택을 받은 간택후궁이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 수 없으며, 아버지는 양천 허씨 허경이고[1] 어머니는 평산 신씨이다.[2]
1613년(광해군 5년) 음력 12월 30일 종2품 숙의에 선발되어 후궁이 되었다. 이때 허씨의 아버지는 의금부 도사였는데, 허씨가 후궁이 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담양부사가 되었다가 광해군의 밀지로 사헌부 지평이 되었다. 그 외에도 허씨 일족이 높은 관직에 제수되고 뇌물이 폭주하였으며, 이는 허씨 뿐 아니라 광해군의 다른 후궁들의 일족들도 마찬가지였다고 기록되어 있다.[3] 한편 이후에도 허경은 풍저창 주부,[4] 지평[5] 등에 제수되었는데, 이를 두고 《광해군일기》의 사관은 그가 허씨의 아버지라는 이유로 순서를 무시하고 관직을 제수받았다고 비판하였다. 이후 정1품 빈으로 승격되어 수빈(粹嬪)에 봉해졌다.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이 일어나 광해군이 폐위되자, 허씨는 그 해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6] 이후 사가에서 지냈으며, 허씨가 사망할 때까지 조씨 성의 상궁이 돌보았던 것으로 전해진다.[2]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소생은 없었다. 한편 《광해군일기》에 그녀를 종4품 숙원으로 칭한 기록이 나타나는데,[4] 날짜가 숙의로 입궁한 후인 것으로 보아 단순한 오기로 보인다.
2. 1. 입궁과 후궁 생활
양천 허씨 허경의 딸로, 어머니는 평산 신씨이다.[2] 1613년(광해군 5년) 음력 12월 30일 종2품 숙의로 간택되어 후궁이 되었다.[3]허씨가 후궁이 되면서, 아버지 허경은 의금부 도사에서 담양부사, 사헌부 지평 등으로 빠르게 승진하였다.[3] 허씨 일족뿐 아니라 다른 후궁들의 일족들도 높은 관직에 제수되고 뇌물이 폭주하였다는 기록이 있다.[3] 《광해군일기》의 사관은 허경이 허씨의 아버지라는 이유로 순서를 무시하고 관직을 제수받았다고 비판하였다.[4][5] 이후 정1품 빈으로 승격되어 수빈(粹嬪)에 봉해졌다.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허씨는 1623년(인조 원년)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6] 이후 사가에서 조씨 성을 가진 상궁의 보살핌을 받으며 여생을 보냈다.[2]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2. 2. 인조반정 이후
1623년(인조 원년)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폐위되자, 허씨는 그 해 음력 9월 14일 중도부처되었다. 이후 사가에서 지냈으며, 허씨가 사망할 때까지 조씨 성의 상궁이 돌보았다.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소생은 없었다. 한편 《광해군일기》에 그녀를 종4품 숙원으로 칭한 기록이 나타나는데, 날짜가 종2품 숙의로 입궁한 후인 것으로 보아 단순한 오기로 보인다.3. 가족 관계
숙의 허씨의 가계는 양천 허씨이며, 조부는 허잠이고, 조모는 민연향(1540 ~ ?)이다. 민연향은 민희열의 3녀로, 경숙옹주의 손녀이다.[7] 아버지는 허경(1566 ~ 1617?)이고, 어머니는 평산 신씨로 신수일의 딸이다.[7] 오빠는 허자(1588 ~ ?),[8] 허직(1590 ~ ?)이며, 남동생은 허익(1598 ~ ?), 허륙(1603 ~ ?)이다. 여동생은 허예순(1604 ~ ?), 허애순(1608 ~ ?), 허종순(1610 ~ ?), 허말순(1615 ~ ?)이다. 서모에게서 태어난 이복 남매로 허충이 있다. 남편은 제15대 광해군(1575~1641, 재위:1608 ~ 1623)이다.
4. 평가
4. 1. 긍정적 평가
4. 2. 부정적 평가
5. 기타
참조
[1]
백과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허경〉항목
https://terms.naver.[...]
[2]
서적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https://web.archive.[...]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11-18
[3]
역사기록
광해군일기 중초본 73권, 광해 5년 12월 30일 계축 2번째기사
[4]
역사기록
광해군일기 중초본 79권, 광해 6년 6월 5일 병술 2번째기사
[5]
역사기록
광해군일기 중초본 118권, 광해 9년 8월 12일 갑진 4번째기사
[6]
역사기록
인조실록 3권, 인조 1년 9월 14일 신축 1번째기사
[7]
역사기록
광해군일기 중초본 122권, 광해 9년 12월 15일 병오 7번째기사
[8]
웹사이트
한국학자료센터 양천허씨 허경 가계도
http://kostma.net/F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