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인도네시아에서 330만 명이 사용하며, 고지대, 저지대, 누사 페니다 발리어의 세 방언으로 나뉜다.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문법적으로 교착어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화자와 청자의 신분에 따라 어휘가 달라지는 사회언어학적 레지스터를 가지며, 십진법 숫자 체계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리주의 문화 - 발리인
    발리인은 자바와 보르네오에서 온 원말레이계 이주민을 기원으로 하며, 자바로부터의 추가 이주와 마자파힛 제국 붕괴 후 이주민들에 의해 형성되어, 발리 힌두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와 예술, 명명 시스템, 사회 구조, 푸푸탄과 같은 역사, 수박 관개 시스템, 다양한 종교 축제 등을 특징으로 한다.
  • 발리주의 문화 - 레공
    레공은 가믈란 반주에 맞춰 춤을 추는 발리 전통 무용 예술로, 왕실 오락으로 시작되어 다양한 설이 전해지며, 소년들이 여장을 하고 추는 궁정 무용에서 발전하여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 발리섬 - 덴파사르
    덴파사르는 발리주의 주도이자 최대 도시로, 시장 도시에서 바둥 왕국의 수도를 거쳐 경제 성장을 이루어 상업, 교육, 관광의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발리 전통 문화와 현대적인 모습이 공존하는 도시이다.
  • 발리섬 - 싱아라자
    싱아라자는 열대 사바나 기후 지역으로 건기와 우기가 뚜렷하며, 화가 이 켓웃 게데, 정치가 예로 와칙, 작가 판지 티스나와 푸투 오카 수칸타 등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고, 필리핀 바콜로드, 대한민국 안동, 말레이시아 수카이 페타니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자와어
    자와어는 인도네시아 자와섬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지방어로 인정받으며 특히 족자카르타에서는 공식 언어이고, 역사적으로 고대 자바어와 현대 자바어로 나뉘며 화법에 따라 다양한 레지스터가 존재하고, 전통적으로 자바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주로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발리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언어 이름발리어
고유 이름ᬪᬵᬱᬩᬮᬶ / ᬩᬲᬩᬮᬶ
고유 이름 (로마자 표기)Bhāṣa Bali / Basä bali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사용 지역발리, 누사페니다, 롬복
사용 민족발리인
발리 아가
나크 누세
롤로안 말레이인
사용자 수330만 명 (2000년 인구 조사)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말레이숨바와어군 (?)
하위 어군발리사삭숨바와어군
조상 언어고대 발리어
방언고지 발리어(Bahasa Bali Aga)
저지 발리어
누사페니다 발리어
문자라틴 문자
발리 문자
언어 기관Lembaga Bahasa, Aksara dan Sastra Bali
ISO 639-2ban
ISO 639-3ban
Glottologbali1278
Glottolog 이름Balinese
발리어 (일본어)
언어 이름 (일본어)バリ語
고유 이름 (일본어)Basä Bali
사용 지역 (일본어)バリ島、ペニダ島、ロンボク島、ジャワ島
사용자 수 (일본어)390만 명
어족 (일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 (일본어)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 (일본어)스다-술라웨시 어군(서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하위 어군 (일본어)말레이숨바와어군
하위 어군2 (일본어)발리사삭 어군
문자 (일본어)발리 문자, 라틴 문자
국가 (일본어)인도네시아
언어 기관 (일본어)Pusat Bahasa
ISO 639-1 (일본어)-
ISO 639-2 (일본어)ban
ISO 639-3 (일본어)ban
발리어 (한국어)
언어 이름 (한국어)발리어
고유 이름 (한국어)Basä Bali
사용 민족 (한국어)발리인
사용 지역 (한국어)발리섬, 롬복섬, 누사프니다섬, 자와섬
사용자 수 (한국어)약 330만 (2000년 통계)
어족 (한국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 (한국어)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 (한국어)말레이숨바와어군 (?)
하위 어군 (한국어)발리사삭숨바와어군
문자 (한국어)로마자
발리 문자
ISO 639-2 (한국어)ban
ISO 639-3 (한국어)ban
Glottolog (한국어)bali1278
Glottolog 이름 (한국어)Balinese
기타 정보
발리 문자

2. 분류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언어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내에서는 발리-사삭-숨바와어군에 속한다.[5] 발리어는 내부적으로 고지대 발리어, 저지대 발리어, 누사 펜이다 발리어의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4]

3. 사용 지역 및 인구

발리섬과 자바섬의 발리어 사용 지역 분포도(빨강)


200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발리어는 인도네시아에서 33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주로 발리섬과 그 주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6]

2011년 발리 문화 기관의 추산에 따르면, 발리섬에서 일상생활에서 발리어를 여전히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100만 명을 넘지 않는다. 도시 지역에서는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인도네시아어 또는 영어를 가르치는 경우가 많고, 기관이나 대중매체에서의 일상적인 대화에서 발리어는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발리어의 문어체는 점점 낯설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발리 사람들은 발리어를 구어 의사소통 수단으로만 사용하며,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종종 인도네시아어와 섞어 사용한다. 그러나 발리섬 외부의 이주 지역에서는 발리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언어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6]

4. 음운

4. 1. 홀소리 (모음)

발리어에는 /i/, /e/, /ə/, /a/, /o/, /u/ 6개의 홀소리가 있다.[7] /a/와 /ə/는 모두 철자 'a'로 표기되지만, 단어 끝에서는 보통 /ə/로 발음된다.[7] /ə/는 접두사 'ma-', 'pa-', 'da-'에도 나타난다.[7]


4. 2. 닿소리 (자음)

발리어에는 18개의 닿소리 음소가 있다.[3]


양순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ɲŋ
파열음p, bt, dk, g
마찰음sh
전설 마찰음c, ɟ
유성 마찰음
떨림음r
측음l
반모음wj



/m, n, ɲ̩, ŋ, p, t, k, b, d, g, c, ɟ, s, h, r, l, w, j/ 18개의 자음 음소는 어두에는 모두 나타나지만, /c, ɟ, ɲ, j, w/는 나타나지 않는다.[3] 방언에 따라, /t/는 치음 또는 설후음으로 발음될 수 있다.[3] 이는 표준 인도네시아어를 포함한 인도네시아 서부의 다른 대부분의 언어와 대조되는데, 이들 언어는 치경음 /t/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에는 치음 음소 계열을 갖는다.[3]

4. 3. 강세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온다.[7]

5. 문자

발리어는 두 가지 서로 다른 표기법으로 쓰여 왔다. 발리 문자와 현대에는 라틴 문자가 사용된다.

발리어 표기에는 브라흐미계 카위 문자를 기원으로 하는 독특한 발리 문자를 사용한다. 종교 관련이나 인도네시아어와 병기한 주택 표기, 도로 표기 등을 제외하면 현재는 거의 로마자로 표기되고 있다.

발리 문자(아크사라 발리/Aksara Baliban)는 하나차라카/Hanacarakaban) 순서로 배열되며, 아부기다로서 궁극적으로 인도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비문은 서기 9세기에 해당한다.[21]

발리 문자의 기본 부호
참고: 자바어 순서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발리 문자는 자바 문자와 거의 동일하며 종교적인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오늘날 발리 문자에 익숙한 사람은 많지 않다.[22]

현대 발리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학교 교육에서도 Tulisan Baliban라고 알려진 라틴 알파벳을 가르친다.[9]

5. 1. 발리 문자

발리 문자(아크사라 발리/Aksara Baliban)는 하나차라카/Hanacarakaban) 순서로 배열되며, 아부기다로서 궁극적으로 인도브라흐미 문자에서 유래되었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비문은 서기 9세기에 해당한다.[21]

발리 문자는 자바 문자와 거의 동일하며 종교적인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발리어 표기에는 브라흐미계 카위 문자를 기원으로 하는 독특한 발리 문자를 사용한다. 종교 관련이나 인도네시아어와 병기한 주택 표기, 도로 표기 등을 제외하면 현재는 거의 로마자로 표기되고 있다. 오늘날 발리 문자에 익숙한 사람은 많지 않다.[22]

5. 2. 라틴 문자 표기

현대 발리어는 로마자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학교 교육에서도 Tulisan Baliban라고 알려진 라틴 알파벳을 가르친다.[9] 발리어는 브라흐미계 카위 문자를 기원으로 하는 독특한 발리 문자를 사용하지만, 종교 관련이나 인도네시아어와 병기한 주택 표기, 도로 표기 등을 제외하면 현재는 거의 로마자로 표기된다.

6. 문법

발리어는 교착어이다.[12] 동사와 명사의 형태론적 굴절인도네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최소화되어 있지만, 파생적 형태론은 광범위하다.[7]

6. 1. 기본 어순

발리어의 기본 어순은 목적어-동사-주어(OVS)이다.[16] 주어가 3인칭 대명사인 경우, 클리틱 접미사 '-a'를 동사에 붙인다.[16] 동사에 비음 접두사를 붙여 주어-동사-목적어(SVO) 순서로 바꿀 수도 있다.[16] 비음으로 표시된 어순은 능동태 구성이 될 수 없으며, 목적어를 생략할 수 없기 때문에 반의존도 될 수 없다.[16]

자바어에서 차용된 수동태(OVS)는 동사 접두사 'ka-'로 표시되며, 주로 높은 레지스터에서 사용된다.[16] 이 수동태 구성의 주어가 3인칭인 경우, 전치사가 앞에 와야 한다.[16] 3인칭이 아닌 경우에는 전치사가 앞에 올 수 없다.[16] 동사 접두사 'ma-'로 표시되는 수동태(목적어 동사)는 항상 주어를 생략하며, 완전한 사건을 의미하고 일부 동사에만 사용할 수 있다.[16]

원칙적으로 SVO이며, 수식어는 기본적으로 명사 뒤에 놓는다.[7] 주어는 생략될 수 있다.[7]

6. 2. 시제

발리어는 시제에 따라 동사가 변화하지 않고, 시간 부사를 사용하여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낸다. 'ibi'(어제), 'buin mani'(내일) 등의 시간 부사를 사용한다.[23]

과거 시제의 시간 부사
부사
mare방금, 몇 분 전
tuni몇 시간 전
(di) ibi어제, 하루 전
(di) puan이틀 전
(di) telun사흘 전



현재 시제의 경우, 부사 'jani'("지금")는 문맥에 따라 명확하거나 모호할 수 있다. 보다 강조된 형태인 'jani san'("바로 지금")은 명확하다.

미래 시제의 시간 부사
부사
(buin/bin) nyanan나중에
(buin/bin) mani내일
buin/bin puan모레
buin/bin telun사흘 후



''buin/bin''("다시")이라는 단어는 ''puan''과 ''telun''에 과거 시제 의미로 사용되지 않도록 명확히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완료, 미완료, 미래/의지, 진행, 계속 등의 동작이나 상태는 동사 앞에 특정 어휘를 붙여 표현한다.[23]


  • 완료: Tiang '''suba''' mandus. (나는 '''이미''' 목욕을 했다.)
  • 미완료: Tiang '''konden''' mandus. (나는 '''아직''' 목욕을 '''하지 않았다''.)
  • 미래/의지: Tiang '''lakar''' mandus. (나는 목욕을 '''할 것이다''.)
  • 진행: Tiang '''sedeng''' mandus. (나는 '''(지금)''' 목욕을 '''하고 있다''.)
  • 계속: Tiang '''enu''' mandus. (나는 '''아직도''' 목욕을 '''하고 있다''.)

6. 2. 1. 과거 시제 부사

wikitable

과거 시제의 시간 부사
부사
mare방금, 몇 분 전
tuni몇 시간 전
(di) ibi어제, 하루 전
(di) puan이틀 전
(di) telun사흘 전


6. 2. 2. 현재 시제 부사

현재 시제의 경우, 부사 ''jani''('지금')는 문맥에 따라 명확하거나 모호할 수 있다. 보다 강조된 형태인 ''jani san''('바로 지금')은 명확하다.[11]

6. 2. 3. 미래 시제 부사

wikitable

미래 시제의 시간 부사
부사
(buin/bin) nyanan나중에
(buin/bin) mani내일
buin/bin puan모레
buin/bin telun사흘 후



```

''buin/bin''(''다시'')이라는 단어는 ''puan''과 ''telun''에 과거 시제 의미로 사용되지 않도록 명확히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Mani'', ''manian'', 그리고 ''puan''은 모두 미래 시제를 나타내기 위해 ''mani''를 접두사로 붙일 수 있다.[11] 발리어는 시제에 따라 동사가 변화하지 않고 ibi(어제)나 buin mani(내일)와 같은 시간을 나타내는 어구를 덧붙여 “과거”나 “미래”를 표현한다.

6. 3. 접사

접두사 'ma-'는 동사를 파생시킨다.[24] (예: jalan(길) → ma-jalan(걷다)).[24] 접미사 '-ang'은 동사의 타동성을 변화시킨다.[24] (예: ageng(큰) → ageng-ang(크게 하다)).[24] 접미사 '-né / -é'는 명사에 정성과 소유를 모두 표시한다.[12] 두 개의 여격 접미사 '-ang'과 '-in' 중[1] '-in'은 목적어가 생물인 경우에 사용되어야 한다.[13]

6. 4. 대명사

친족 호칭어는 대명사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명사가 주어로 사용될 경우, 문맥에 따라 화자 또는 청자를 가리킨다.[1] 1인칭과 2인칭 대명사는 이해하기 위해 선행사가 필요 없지만, 3인칭 대명사는 선행사가 필요하다.

6. 5. 연쇄 동사 구문

발리어에는 두 가지 유형의 연쇄 동사 구문이 나타난다. 두 동사 모두 항상 완전히 활용되지만, 첫 번째 유형에서는 두 동사가 동일한 주어를 가지는 반면, 두 번째 유형에서는 첫 번째 동사의 목적어가 두 번째 동사의 주어가 된다.[15]

6. 6. 능동태와 수동태

발리어의 기본 어순은 목적어-동사-주어이다. 주어가 3인칭 대명사인 경우, 클리틱 접미사 '-a'를 동사에 붙인다.[16]

이 기본 어순은 동사에 비음 접두사를 붙여 주어-동사-목적어로 바꿀 수 있다. 비음으로 표시된 어순은 표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능동태 구성이 될 수 없으며, 목적어를 생략할 수 없기 때문에 반의존도 될 수 없다. 이것은 두 번째 유형의 타동태로 간주된다.[16]

자바어에서 차용한 수동태 (목적어-동사-주어)는 동사 접두사 'ka-'로 표시된다. 주로 높은 레지스터에서 사용된다. 이 수동태 구성의 주어가 3인칭인 경우, 전치사가 앞에 와야 한다. 3인칭이 아닌 경우에는 전치사가 앞에 올 수 없다.[16]

동사 접두사 'ma-'로 표시되는 두 번째 수동태 (목적어-동사)는 항상 주어를 생략한다. 완전한 사건을 의미하며 일부 동사에만 사용할 수 있다.[16]

7. 어휘

발리어는 바사 케타(basa ketah, 저), 바사 마디아(basa madia, 중), 바사 싱기(basa singgih, 고)의 세 종류(또는 네 가지) 레지스터로 나뉘며, 상대방과의 신분 차이에 따라 각각 사용한다.[1] 높은 발리어(basa singgih)는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자바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10] 페단다에게 말할 때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아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9]

발리어의 레지스터에 따른 어휘 비교
낮은 발리어 (basa ketah)높은 발리어 (basa singgih)인도네시아어고대 자바어자바어
manusâban, jelemâbanjadmâbanmanusiaidjadmakawmanungsa
bõkbanrambutbanrambutidrambutrambut
apibangnibanapiidgĕnikawgeni
panakbanpianakban, okâbananakid
idupbanuripbanhidupiduripkawurip
gédébanagéngbanbesarid, gedeidgĕḍegedhé
waibanrahinâbanhariidrahinakawdina, dinten
matan aibansuryâbanmatahariidsuryakawari



발리어의 큰 특징은 경어 표현의 존재이다. 이는 자와어 등 다른 순다계 언어에도 보이는 특징이지만, 같은 순다계 언어이면서 인도네시아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는 특징이다. 인도네시아어가 20세기에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간편하게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이다.

발리어의 경어 표현은 현대 일본어의 존경어와 겸양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발리어에는 각각 여러 단계가 있으며, 주로 동사에 나타나고 명사는 적다.

발리어는 발리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를 바탕으로 화자와 듣는 이의 신분에 따라 다른 경어 표현이 존재한다. 동사뿐만 아니라 명사에도 완전히 다른 단어가 많아 그것들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게다가 그것을 잘못 사용하면 엄청난 실례가 된다. 이 때문에 발리 사람이라도 평소 접하지 않는 신분의 상대와는 발리어로 말하는 것을 피하고, 일부러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어 표현의 복잡성 때문에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발리어가 멀어지고 있으며, 그 대책이 주 정부 등에 의해 정책적으로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발리어는 십진법 숫자 체계를 사용하지만, 45, 175, 1600과 같은 중간 수량에 대한 많은 단어들 때문에 복잡해진다.

7. 1. 레지스터 (언어 층위)

발리어에는 화자와 청자의 신분 차이에 따라 사용되는 바사 케타(basa ketah, 저), 바사 마디아(basa madia, 중), 바사 싱기(basa singgih, 고)의 세 가지(또는 네 가지) 레지스터가 있다.[1] 높은 발리어(basa singgih)는 산스크리트어와 고대 자바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10] 페단다에게 말할 때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아 유창하게 구사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9]

발리어의 레지스터에 따른 어휘 비교
낮은 발리어 (basa ketah)높은 발리어 (basa singgih)인도네시아어고대 자바어자바어
manusâban, jelemâbanjadmâbanmanusiaidjadmakawmanungsa
bõkbanrambutbanrambutidrambutrambut
apibangnibanapiidgĕnikawgeni
panakbanpianakban, okâbananakid
idupbanuripbanhidupiduripkawurip
gédébanagéngbanbesarid, gedeidgĕḍegedhé
waibanrahinâbanhariidrahinakawdina, dinten
matan aibansuryâbanmatahariidsuryakawari


7. 2. 경어 표현

발리어의 큰 특징은 경어 표현의 존재이다. 이는 자와어 등 다른 순다계 언어에도 보이는 특징이지만, 같은 순다계 언어이면서 인도네시아 공용어인 인도네시아어에는 없는 특징이다. 인도네시아어가 20세기에 인도네시아의 국어로 간편하게 만들어진 언어이기 때문이다.

발리어의 경어 표현은 현대 일본어의 존경어와 겸양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발리어에는 각각 여러 단계가 있으며, 주로 동사에 나타나고 명사는 적다.

발리어는 발리 힌두교의 카스트 제도를 바탕으로 화자와 듣는 이의 신분에 따라 다른 경어 표현이 존재한다. 동사뿐만 아니라 명사에도 완전히 다른 단어가 많아 그것들을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 게다가 그것을 잘못 사용하면 엄청난 실례가 된다. 이 때문에 발리 사람이라도 평소 접하지 않는 신분의 상대와는 발리어로 말하는 것을 피하고, 일부러 인도네시아어를 사용한다.

이러한 경어 표현의 복잡성 때문에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발리어가 멀어지고 있으며, 그 대책이 주 정부 등에 의해 정책적으로 시행되고 있기도 하다.

7. 3. 수사

발리어는 십진법 숫자 체계를 사용하지만, 45, 175, 1600과 같은 중간 수량에 대한 많은 단어들 때문에 복잡해진다.

8. 방언

발리어는 크게 고지대 방언과 저지대 방언으로 나뉜다. 두 방언의 차이는 어휘, 음운론, 그리고 레지스터(예: 높은 레지스터 대 낮은 레지스터)의 사용의 다양성에 있다. 고지대 방언은 높은 레지스터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지만, 저지대 방언은 높은 레지스터와 낮은 레지스터 모두를 인식한다.[17][18]
고지대 방언 (발리 아가 방언)발리 아가 사람들이 발리의 산악 지대와 북부 지역, 특히 킨타마니 산맥과 그 주변의 방글리, 불릉, 카랑아셈 등의 군, 그리고 누사 페니다에서 사용하는 발리어의 방언이다.[17] 바와(Bawa, 1983:394)에 따르면, 고지대 방언은 동부, 북부, 서부의 세 가지 주요 사용 지역으로 나뉜다.


  • 발리 섬의 동부 지역: 카랑아셈 군, 킨타마니 구역(바투르 호수 주변), 클룽쿵 군, 동부 불릉 군의 일부, 누사 페니다 포함
  • 북부 바둥 군 산악 지역
  • 발리 섬의 서부 지역: 푸푸안 읍, 페네벨(정확히는 웡가야 게데 마을), 서부 불릉 군의 일부(정확히는 반티란, 세팡, 파다와 마을) [18]


전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과는 구별되는 두 가지 고지대 하위 방언이 있다. 이 하위 방언은 누사 페니다 방언(주로 누사 페니다에서 사용)과 카파라 방언(Bali Kapara라고도 함)으로, 셈비란 마을, 테자쿨라 구역, 불릉 군(Buleleng Regency)에서 약 4,883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7] 한편, 누사 페니다 방언은 다른 방언으로 여겨졌지만, 누사 페니다 방언이 고지대 방언의 하위 방언일 가능성을 시사하는 몇 가지 징후가 있다. 젠드라(Jendra) 등(1997)에 따르면, 누사 페니다 방언과 고지대 방언은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 동일한 음운론적 패턴을 공유한다.[19]

  • 단어 중간에 hipa가 존재하는 경우, 예: bəhasipa[20]
  • ɲ-ñəipa 및 c-cəipa 접사 또는 어말 위치에서 ə-əipa의 동소현상으로 존재
  • 화자의 말투는 빠른 속도와 강한 강세를 갖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두 방언 사이에는 다른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어말 위치에서의 음소 aipa의 분포가 없거나 축약되는 것이다.
누사 페니다 방언현재 누사페니다 방언은 클룽쿵 군의 누사페니다 섬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누사페니다 섬의 모든 지역 사회가 누사페니다 방언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여러 집단이 있다. 누사페니다 섬 옆에 위치한 누사렘봉안과 누사체닝안 섬들, 그리고 이 섬들과 가까운 누사페니다의 일부 지역에서는 누사페니다 방언과 상당히 다른 독특한 방언이 사용된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는 누사페니다 방언의 'eda'(너)와 'kola'(나)와 같은 단어이다. 누사렘봉안 방언 사용자는 'cai' 또는 'ci'(너)와 'cang'(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또 다른 예로는 'əndək'(누사페니다 방언)과 'tusing'(누사렘봉안 방언), 'geleng-cenik', 'hangken-kenken' 등이 있다.[19] 누사페니다의 16개 마을 중 13개 마을에서만 누사페니다 방언을 사용한다. 나머지 마을에서는 누사렘봉안 방언 또는 본토 클룽쿵 군 발리어와 유사한 방언을 사용한다.[19]

누사페니다 방언은 1963년 아궁산 분화 이후 화자들의 이주로 인해 누사페니다 섬 외부에서도 사용된다. 상당수의 화자들이 수마트라 남부, 특히 반다르람풍, 팔렘방, 메수지, 동람풍으로 이주했다.
저지대 방언발리어는 발리 섬의 저지대에서 사용되며, 높은 레지스터와 낮은 레지스터를 모두 포함한다.

8. 1. 고지대 방언 (발리 아가 방언)

발리 아가 사람들이 발리의 산악 지대와 북부 지역, 특히 킨타마니 산맥과 그 주변의 방글리, 불릉, 카랑아셈 등의 군, 그리고 누사 페니다에서 사용하는 발리어의 방언이다.[17] 바와(Bawa, 1983:394)에 따르면, 고지대 방언은 동부, 북부, 서부의 세 가지 주요 사용 지역으로 나뉜다.

  • 발리 섬의 동부 지역: 카랑아셈 군, 킨타마니 구역(바투르 호수 주변), 클룽쿵 군, 동부 불릉 군의 일부, 누사 페니다 포함
  • 북부 바둥 군 산악 지역
  • 발리 섬의 서부 지역: 푸푸안 읍, 페네벨(정확히는 웡가야 게데 마을), 서부 불릉 군의 일부(정확히는 반티란, 세팡, 파다와 마을) [18]


전반적으로, 앞서 언급된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과는 구별되는 두 가지 고지대 하위 방언이 있다. 이 하위 방언은 누사 페니다 방언(주로 누사 페니다에서 사용)과 카파라 방언(Bali Kapara라고도 함)으로, 셈비란 마을, 테자쿨라 구역, 불릉 군(Buleleng Regency)에서 약 4,883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산된다.[17] 한편, 누사 페니다 방언은 다른 방언으로 여겨졌지만, 누사 페니다 방언이 고지대 방언의 하위 방언일 가능성을 시사하는 몇 가지 징후가 있다. 젠드라(Jendra) 등(1997)에 따르면, 누사 페니다 방언과 고지대 방언은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 동일한 음운론적 패턴을 공유한다.[19]

  • 단어 중간에 hipa가 존재하는 경우, 예: bəhasipa[20]
  • ɲ-ñəipa 및 c-cəipa 접사 또는 어말 위치에서 ə-əipa의 동소현상으로 존재
  • 화자의 말투는 빠른 속도와 강한 강세를 갖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두 방언 사이에는 다른 주목할 만한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어말 위치에서의 음소 aipa의 분포가 없거나 축약되는 것이다.

현재 누사페니다 방언은 클룽쿵 군의 누사페니다 섬에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누사페니다 섬의 모든 지역 사회가 누사페니다 방언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여러 집단이 있다. 누사페니다 섬 옆에 위치한 누사렘봉안과 누사체닝안 섬들, 그리고 이 섬들과 가까운 누사페니다의 일부 지역에서는 누사페니다 방언과 상당히 다른 독특한 방언이 사용된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는 누사페니다 방언의 'eda'(너)와 'kola'(나)와 같은 단어이다. 누사렘봉안 방언 사용자는 'cai' 또는 'ci'(너)와 'cang'(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한다. 또 다른 예로는 'əndək'(누사페니다 방언)과 'tusing'(누사렘봉안 방언), 'geleng-cenik', 'hangken-kenken' 등이 있다.[19] 누사페니다의 16개 마을 중 13개 마을에서만 누사페니다 방언을 사용한다. 나머지 마을에서는 누사렘봉안 방언 또는 본토 클룽쿵 군 발리어와 유사한 방언을 사용한다.[19]

누사페니다 방언은 1963년 아궁산 분화 이후 화자들의 이주로 인해 누사페니다 섬 외부에서도 사용된다. 상당수의 화자들이 수마트라 남부, 특히 반다르람풍, 팔렘방, 메수지, 동람풍으로 이주했다.

8. 1. 1. 누사 페니다 방언

현재 누사페니다 방언은 클룽쿵 군의 누사페니다 섬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누사페니다 섬의 모든 지역 사회가 누사페니다 방언을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서로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여러 집단이 있습니다. 누사페니다 섬 옆에 위치한 누사렘봉안과 누사체닝안 섬들, 그리고 이 섬들과 가까운 누사페니다의 일부 지역에서는 누사페니다 방언과 상당히 다른 독특한 방언이 사용됩니다. 가장 두드러진 차이점 중 하나는 누사페니다 방언의 'eda'(너)와 'kola'(나)와 같은 단어입니다. 누사렘봉안 방언 사용자는 'cai' 또는 'ci'(너)와 'cang'(나)와 같은 단어를 사용합니다. 또 다른 예로는 'əndək'(누사페니다 방언)과 'tusing'(누사렘봉안 방언), 'geleng-cenik', 'hangken-kenken' 등이 있습니다.[19] 누사페니다의 16개 마을 중 13개 마을에서만 누사페니다 방언을 사용합니다. 나머지 마을에서는 누사렘봉안 방언 또는 본토 클룽쿵 발리어와 유사한 방언을 사용합니다.[19]

누사페니다 방언은 1963년 아궁산 분화 이후 화자들의 이주로 인해 누사페니다 섬 외부에서도 사용됩니다. 상당수의 화자들이 수마트라 남부, 특히 반다르람풍, 팔렘방, 메수지, 동람풍으로 이주했습니다.

8. 2. 저지대 방언

발리어는 발리 섬의 저지대에서 사용되며, 높은 레지스터와 낮은 레지스터를 모두 포함한다.

9. 각주

참조

[1] 법규 Peraturan Daerah Provinsi Bali No 1 Tahun 2018 Tentang Bahasa, Aksara, Dan Sastra Bali https://jdih.balipro[...]
[2] 기타 Ethnologue
[3] 논문 Topics in the Phonology and Morphosyntax of Balines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5
[4] 웹사이트 Glottolog 4.3 - Balinese https://glottolog.or[...] 2021-04-27
[5]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6] 뉴스 Balinese Language 'Will Never Die' http://www.thejakart[...] 2012-03-30
[7] 서적 Practical Balinese: Phrasebook and Dictionary Tuttle Publishing
[8] 웹사이트 √ Kamus Bahasa Bali Lengkap https://curcol.co/ka[...] 2019-04-30
[9] 웹사이트 The Balinese Languages http://www.balivisio[...]
[10] 서적 Old Javanese influence in Balinese: Balinese speech style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1994-01-31
[11] 학술지 Temporal Deixis in Balinese Language 2019-02-28
[12] 학술지 The Grammatical Behaviour of Balinese Adjectives on Phrases and Clauses
[13] 학술지 The Ka- Passive Form in Balinese
[14] 학술지 The Basic Verb Construction in Balinese https://core.ac.uk/d[...]
[15] 학술지 The Balinese Serial Verb Construction and Their Equivalences in English
[16] 학회발표 Grammatical Relations and Voice System in Balinese https://lingdy.aa-ke[...] 2010-07-17
[17] 학술지 Morfologi Bahasa Bali Aga Dialek Sembiran, di Kecamatan Tejakula, Kabupaten Buleleng https://ojs.unud.ac.[...] Universitas Udayana 2019-09
[18] 서적 Bahasa Bali di Daerah Bali: Sebuah Pemerian Geografi Dialek Disertasi Fakultas Sastra UI 1983
[19] 웹사이트 "Basa Nosa", Bahasa Bali Dialek Nusa Penida yang Mirip Dialek Bali Aga? https://tatkala.co/2[...] 2020-05-17
[20] 서적 Comparative Austronesian Dictionary: An Introduction to Austronesian Studies De Gruyter 2011-06
[21] 논문 Evolution of Verbal Morphology in Balines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92
[22] 웹사이트 Balinese (Basa Bali) https://omniglot.com[...] 2021-01-30
[23] 서적 クタ・アルダナのバリ語会話 めこん
[24] 서적 バリ文法・会話 バリ語研修テキスト1 東京外国語大学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研究所
[25] 웹인용 에스놀로그 발리어 https://www.webcitat[...] 2012-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