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두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언어로, 바사 마투라라고도 불린다. 방갈란, 바웨안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2008년 표기법에 따라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의 특징을 가지며, 명사의 복수형은 첩어로 나타나고 SVO형 어순을 따른다. 어휘는 인도네시아어와 유사한 점이 있으며, 라틴 문자와 페곤 문자로 표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싱가포르의 언어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말레이시아의 언어 - 미낭카바우어
미낭카바우어는 서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일부 지역에서 약 550만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며, 여러 방언이 존재하고 아감-타나 다타르 방언이 표준어 역할을 한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자와어
자와어는 인도네시아 자와섬에서 약 1억 명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지방어로 인정받으며 특히 족자카르타에서는 공식 언어이고, 역사적으로 고대 자바어와 현대 자바어로 나뉘며 화법에 따라 다양한 레지스터가 존재하고, 전통적으로 자바 문자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주로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마두라어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사용 지역 | |
| 국가 | 인도네시아 |
| 지역 | 마두라섬, 사푸디 제도, 자와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보얀어) |
| 민족 | 마두라족 바웨안족 캉에안족 |
| 언어 정보 | |
| 사용자 수 | 1000만 ~ 1360만 명 (2008년)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 어군 | 말레이숨바와어군 (?) |
| 방언 | 바웨안어 방칼란 방언 파메카산 방언 삼팡 방언 사푸디 방언 수메네프 방언 캉에안 방언 |
| 문자 | 로마자 차라칸 문자 페곤 문자 |
| ISO 639-2 | mad |
| ISO 639-3 | mad |
| Glottolog | madu1247 |
| Glottolog 이름 | Madurese |
| 추가 정보 | |
| 공용어 | 동자와주 (자와어, 인도네시아어와 함께) |
2. 언어 명칭
마두라어는 바사 마투라라고도 불린다. 마두라 또는 마두라어 등으로 표기한다.
마두라어에는 방갈란, 바웨안, 파멕사산, 삼팡, 사푸디, 수메넵 방언 등이 있다.
2008년 표기법에 따라 라틴 문자를 제시한다.[2]
3. 사용 지역 및 화자 수
4. 방언
5. 음운론
=== 모음 ===
마두라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모음 a, ɛ, ə, ɔ 및 그보다 높은 대응 모음 ɤ, i, ɨ, u는 일반적으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마지막 네 개의 모음은 유성 및 유기음 뒤에 나타나고, 처음 네 개의 모음은 다른 곳에 나타난다. 자음 l, r, 및 s은 기본적으로 모음을 낮추지만, 높은 모음 뒤에서는 투명하다. 예를 들어, "사다"를 의미하는 ''belli'' /bɨlli/는 ''*bellè'' /bɨllɛ/가 아니다.[3]
=== 자음 ===
마두라어는 무성 유기음, 무성 무기음, 유성 유기음, 유성 무기음이 대립하기 때문에 이웃한 언어들보다 자음의 수가 많다. 자와어와 비슷하게 마두라어는 치음과 권설음을 구별한다.[9][10]colspan=2| 순음 치음/
치경음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비음 m/mid ꦩ n̪/n̪id ꦤ ɳ/ɳid ꦟ ɲ/ɲid ꦚ ŋ/ŋid ꦔ 파열음 p/pid ꦥ t̪/t̪id ꦠ ʈ/ʈid ꦛ c/cid ꦕ k/kid ꦏ 
b/bid ꦧ d̪/d̪id ꦢ ɖ/ɖid ꦣ ɟ/ɟid ꦗ ɡ/gid ꦒ pʰ/pʰid ꦧ t̪ʰ/t̪ʰid ꦢ ʈʰ/ʈʰid ꦣ cʰ/cʰid ꦗ kʰ/kʰid ꦒ bʱ/bʱid ꦥ d̪ʱ/d̪ʱid ꦠ ɖʱ/ɖʱid ꦛ ɟʱ/ɟʱid ꦕ ɡʱ/ɡʱid ꦏ 마찰음 s/sid ꦱ h/hid ꦲ 전동음 r/rid ꦫ 접근음 j/jid ꦪ w/wid ꦮ l/lid ꦭ
5. 1. 모음
마두라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모음 a, ɛ, ə, ɔ 및 그보다 높은 대응 모음 ɤ, i, ɨ, u는 일반적으로 상보적 분포를 이룬다. 마지막 네 개의 모음은 유성 및 유기음 뒤에 나타나고, 처음 네 개의 모음은 다른 곳에 나타난다. 자음 l, r, 및 s은 기본적으로 모음을 낮추지만, 높은 모음 뒤에서는 투명하다. 예를 들어, "사다"를 의미하는 ''belli'' /bɨlli/는 ''*bellè'' /bɨllɛ/가 아니다.[3]
5. 2. 자음
마두라어는 무성 유기음, 무성 무기음, 유성 유기음, 유성 무기음이 대립하기 때문에 이웃한 언어들보다 자음의 수가 많다. 자와어와 비슷하게 마두라어는 치음과 권설음을 구별한다.[9][10]| colspan=2| | 순음 | 치음/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 비음 | m/mid ꦩ | n̪/n̪id ꦤ | ɳ/ɳid ꦟ | ɲ/ɲid ꦚ | ŋ/ŋid ꦔ | ||
| 파열음 | p/pid ꦥ | t̪/t̪id ꦠ | ʈ/ʈid ꦛ | c/cid ꦕ | k/kid ꦏ | ||
| b/bid ꦧ | d̪/d̪id ꦢ | ɖ/ɖid ꦣ | ɟ/ɟid ꦗ | ɡ/gid ꦒ | |||
| pʰ/pʰid ꦧ | t̪ʰ/t̪ʰid ꦢ | ʈʰ/ʈʰid ꦣ | cʰ/cʰid ꦗ | kʰ/kʰid ꦒ | |||
| bʱ/bʱid ꦥ | d̪ʱ/d̪ʱid ꦠ | ɖʱ/ɖʱid ꦛ | ɟʱ/ɟʱid ꦕ | ɡʱ/ɡʱid ꦏ | |||
| 마찰음 | s/sid ꦱ | h/hid ꦲ | |||||
| 전동음 | r/rid ꦫ | ||||||
| 접근음 | j/jid ꦪ | w/wid ꦮ | |||||
| l/lid ꦭ | |||||||
6. 형태론
마두라어는 명사의 복수형을 첩어로 나타낸다.[7] 기본 어순은 SVO형이다.[7] 부정은 동사, 형용사, 또는 명사구 앞에 부정 불변화사를 두어 나타낸다.[7] 다른 비슷한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부정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불변화사를 사용한다.[7]
7. 문자
8. 어휘
wikitable
| 마두라어 | 인도네시아어 | 한국어 |
|---|---|---|
| lalake | laki-laki | 남자 |
| babine | perempuan | 여자 |
| iya | iya | 예 |
| enja | tidak | 아니오 |
| aeng | air | 물 |
| are | matahari | 해 |
| matah | mata | 눈 |
| engko | aku/saya | 나 |
| be'na | kamu/engkau | 너 |
| 마두라어 | 인도네시아어 | 한국어 | |
|---|---|---|---|
| 라틴 문자 | 페곤 문자 | ||
| lakè’mad | 라케/لاكَيءmad | laki-lakiid | 남자 |
| binè’mad | 비네/بِينَيءmad | perempuanid | 여자 |
| iyâmad | 이야/إيۤاmad | iyaid | 예 |
| enja′mad | 엔자/أٓنجاْءmad | tidakid | 아니오 |
| aèngmad | 아엥/أئَيڠmad | airid | 물 |
| arèmad | 아레/أرَيmad | matahariid | 태양 |
| matamad | 마타/ماتاmad | mataid | 눈 |
| sengko'mad | 셍코/سَيڠكَوءmad | aku/sayaid | 나/저 |
| bâ'namad | 바나/بۤاءناmad | kamu/engkauid | 너/당신 |
8. 1. 어휘 비교
| 마두라어 | 인도네시아어 | 한국어 |
|---|---|---|
| lalake | laki-laki | 남자 |
| babine | perempuan | 여자 |
| iya | iya | 예 |
| enja | tidak | 아니오 |
| aeng | air | 물 |
| are | matahari | 해 |
| matah | mata | 눈 |
| engko | aku/saya | 나 |
| be'na | kamu/engkau | 너 |
마두라어는 라틴 문자와 페곤 문자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남자'는 라틴 문자로 lakè’mad, 페곤 문자로 라케/لاكَيءmad로 표기하며, 인도네시아어로는 laki-lakiid이다. '여자'는 라틴 문자로 binè’mad, 페곤 문자로 비네/بِينَيءmad로 표기하며, 인도네시아어로는 perempuanid이다.
8. 2. 수사
wikitable| 마두라어 | 인도네시아어 | 한국어 |
|---|---|---|
| settong | satu | 하나 |
| dhue' | dua | 둘 |
| tello | tiga | 셋 |
| empa' | empat | 넷 |
| lema' | lima | 다섯 |
| enem | enam | 여섯 |
| petto' | tujuh | 일곱 |
| bellu' | delapan | 여덟 |
| sanga' | sembilan | 아홉 |
| sapolo | sepuluh | 열 |
9. 예문
다음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조의 내용이다.
''Sadajana oreng lahir mardika e sarenge drajat klaban hak-hak se dha-padha. Sadajana eparenge akal sareng nurani ban kodu areng-sareng akanca kadi taretan.''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1948년 세계인권선언 제1조에서 발췌.
;라틴어: Sâdhâjâna orèng lahèr mardhika èsarengè dhrâjhât klabân ha'-ha' sè padâ. Sâdhâjâna èparèngè akal sareng nurani bân kodhu areng-sareng akanca kadhi tarètan.
;페곤 문자: ساڊۤاجۤانا عَورَيڠ لاهَير مارڊيكا عَيسارۤڠَي ڊرۤاجۤات کلابۤان هاء۲ سَي پادۤا. ساڊۤاجۤانا عَيڤارَيڠَي أکال سارۤڠ نوراني كَوڊو أرۤڠ-سارۤڠ أكانچا كاڊي تارَيتان.
;번역: "모든 사람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게 태어난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10.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Perilaku Bahasa Orang Madura
https://repositori.k[...]
2024-03-07
[2]
harvp
[3]
harvnb
[4]
harvp
[5]
서적
Facts About the World's Languages
H. W. Wilson
2001
[6]
서적
Ejaan Bahasa Madura yang Disempurnakan
Departemen Pendidikan Nasional, Pusat Bahasa, Balai Bahasa Surabaya
2008
[7]
harvp
[8]
웹사이트
Madurese Proper
https://www.ethnolog[...]
2016
[9]
서적
Madurese
H. W. Wilson
2001
[10]
서적
A Grammar of Madurese
De Gruyter Mout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