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조상 언어로 재구된 언어이다. 이 언어의 음운론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의 자음 체계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병합이 나타난다.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는 다양한 동물과 식물 이름이 재구되었으며, 로저 블렌치는 2016년 연구에서 단일 조어로서의 존재에 의문을 제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조어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 조어 - 데네예니세이어족
데네-예니세이어족은 예니세이어족과 나-데네어족을 묶어 제안된 가설적인 어족으로,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 간 언어적 연속성을 시사하지만,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에 대한 논쟁으로 가설의 타당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
---|
2. 음운론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음운 체계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 유사하지만, 자음과 모음에서 몇 가지 변화를 겪었다.
2. 1. 자음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는 다양한 자음이 재구되며, 이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자음 체계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합류 현상이 나타난다. 재구된 음소와 음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2. 1. 1. 자음 체계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이 재구된다.[9]입술소리 | 치경음 | 경구개음 | 권설음 | 전연구개음 | 후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무성 장애음 | *p | *t | *c /c͡ç/ | *k | *q | |||
유성 장애음 | *b | *d | *z /ɟ͡ʝ/ | *D /ɖ/ | *j /ɡʲ/ | *g | ||
비음 | *m | *n | *ñ /ɲ/ | *ŋ | ||||
마찰음 | *s | *h | ||||||
설측음 | *l | |||||||
탄음 또는 전동음 | *r | *R /ʀ/ | ||||||
접근음 | *w | *y /j/ |
재구된 음소 *p, *b, *w, *m, *t, *d, *n, *s, *l, *r, *k, *g, *ŋ, *q, *h의 음가는 철자와 동일하다. *ñ, *y, *z, *D, *j, *R는 Dyen (1947)에서 처음 도입된 표기 관행이다.[10] 각각에 해당하는 음가는 위 표에 병기했다.
이러한 자음 체계는 조상 언어인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체계와 꽤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합류 현상이 특징적이다.
- PAN *t/*C > PMP *t
- PAN *l/*N > PMP *l
- PAN *h/*S > PMP *h
2. 1. 2. 오스트로네시아조어와의 비교
오스트로네시아조어(PAN)의 체계와 꽤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합류 현상이 특징적이다.[10]- PAN *t/*C > PMP *t
- PAN *l/*N > PMP *l
- PAN *h/*S > PMP *h
2. 2. 모음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모음 체계는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모음 *a, *i, *u, *e (/ə/)와 하강이중모음 *ay, *aw, *uy, *iw가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었다.[9][2]3. 어휘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는 다양한 어휘가 재구되며, 특히 동물 이름과 식물 이름이 많이 재구된다.[5]
동물 이름으로는 자리돔, 바리, 숭어, 빨판상어 등의 물고기 이름 외에도, 푸른바다거북, 물총새, 타이완원숭이, 과일박쥐, 사향고양이, 대왕조개, 거미고둥, 야자게 등이 재구된다.
식물 이름으로는 구슬땀, 소철, 고사리, 경목, 백합과 식물, 야자 등이 재구된다.
3. 1. 동물 이름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는 물고기, 새, 포유류, 조개, 곤충 등 다양한 동물 이름이 재구된다.물고기로는 자리돔, 바리, 숭어, 빨판상어 등이 재구되며, 그 외에 푸른바다거북, 물총새, 타이완원숭이, 과일박쥐, 사향고양이, 대왕조개, 거미고둥, 야자게, 작은 벌, 정글 거머리, 백선, 피부 곰팡이 감염 등이 재구된다.
3. 1. 1. 물고기 이름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재구되는 물고기 이름은 다음과 같다.일반적인 이름 | 학명 |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
---|---|---|
자리돔 | 자리돔과 sp. | *suligpoz |
바리, 거대한 바리, 자이언트 그루퍼 | 바리과 spp. | *kuRapupoz |
숭어 sp. | Neomyxus chaptalli | *qawaspoz |
빨판상어, 빨판상어; 물어뜯어서 붙잡다 | Echeneis naucrates | *kemipoz |
빨판상어, 빨판상어; 물어뜯어서 붙잡다 | Echeneis naucrates | *gemipoz |
3. 1. 2. 기타 동물 이름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재구되는 기타 동물 이름은 다음과 같다.일반적인 이름 | 학명 |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
---|---|---|
푸른바다거북 | Chelonia mydas | *peñu |
물총새 | 알키오네 spp. | *sikek |
타이완원숭이 | Macaca cyclopis | *luCuŋ |
과일박쥐, 날여우박쥐 | Pteropus spp. | *paniki |
사향고양이 및 사향고양이과의 유사한 소형 포식 포유류 | 사향고양이과 | *musaŋ |
대왕조개 | Tridacna gigas | *kima |
거미고둥 | Lambis lambis | *Raŋa, *Raŋak, *RaŋaR |
야자게 | Birgus latro | *qayuyu |
작은 벌 | Apis indica | *qani-Ruan, *qari-ñuan |
정글 거머리 | Haemadipsa spp. | *-matek, *qala-matek |
백선 | Tinea imbricata | *buqeni |
피부에 옅은 반점을 생성하는 곰팡이 감염 | Tinea flava 또는 잔비늘증 | *panaw₁ |
3. 2. 식물 이름
일반 명칭 | 학명 |
---|---|
구슬땀 | Coix lacryma-jobi |
덩굴 식물 | Wedelia biflora |
소철 | Cycas rumphii |
고사리 | Lygodium spp. |
털이 많은 덩굴 | Pueraria hirsuta |
경목 | Intsia bijuga, Afzelia bijuga |
백합과 식물 | Crinum asiaticum |
야자 | Oncosperma sp.? |
식물 (Leea 속) | Leea spp. |
식물 (Phragmites 속) | Phragmites spp. |
식물 (Pipturus argenteus) | Pipturus argenteus |
식물, 가지 | Solanum nigrum |
식물 (Urena lobata) | Urena lobata |
물고기를 기절시키는 데 사용되는 식물 | Derris elliptica |
유용한 섬유를 생산하는 식물 | Thespesia populnea |
해안 나무 (Barringtonia 속) | Barringtonia spp. |
해안 나무 | Calophyllum inophyllum |
해안 나무 | Casuarina equisetifolia |
식용 견과류가 있는 해안 나무 | Terminalia catappa |
관목 (Cordyline, Dracaena 속) | Cordyline, Dracaena |
작은 해안 나무 | Hibiscus tiliaceus |
둥근 녹색 열매가 열리는 작은 나무 | Ehretia spp. |
늪 야자 | Nipa fruticans |
불쾌한 냄새를 내는 키 큰 숲 나무 | Sterculia foetida |
가시 나무 (Caesalpinia 속) | Caesalpinia spp. |
가시 덩굴 (Smilax 속) | Smilax spp. |
나무 (Alstonia scholaris) | Alstonia scholaris |
나무 (Artocarpus 속) | Artocarpus sp. |
나무 (Bischofia javanica) | Bischofia javanica |
나무 (Cordia dichotoma) | Cordia dichotoma |
나무 (Cordia 속) | Cordia spp. |
나무 (Cynometra 속) | Cynometra spp. |
나무 (Dolichandrone spathacea) | Dolichandrone spathacea |
나무 (Dracontomelon edule) | Dracontomelon edule |
나무 (Erythrina 속) | Erythrina spp. |
나무 (Ficus 속) | Ficus spp. |
나무 (Gnetum gnemon) | Gnetum gnemon |
나무 (Grewia 속) | Grewia spp. |
나무 (Inocarpus 속, 타히티 밤나무) | Inocarpus spp., Inocarpus edulis |
나무 (Murraya 속) | Murraya sp. |
나무 (Nauclea 속) | Nauclea sp. |
나무 (Ochrosia oppositifolia) | Ochrosia oppositifolia |
나무 (Pterocarpus indica) | Pterocarpus indica |
나무 (Pterospermum 속) | Pterospermum sp. |
나무 (Schleichera trijuga) | Schleichera trijuga |
나무 (Sterculia foetida) | Sterculia foetida |
나무 (Trema orientalis) | Trema orientalis |
나무 (Vitex pubescens) | Vitex pubescens |
인도 산호 나무 | Erythrina indica |
식용 열매와 약용으로 사용되는 나무 (Buchanania arborescens) | Buchanania arborescens? |
향기로운 꽃이 있는 나무 | Cananga odorata |
중국 마호가니 또는 필리핀 마호가니 | Shorea albus |
덩굴 (Flagellaria indica) | Flagellaria indica |
장식용 꽃이 있는 상록수 | Cynometra ramiflora |
매우 큰 직경의 대나무 (Dendrocalamus 속) | Dendrocalamus sp.? |
대나무 (Bambusa spinosa 속) | Bambusa spinosa? |
빈랑 | Piper betle |
버섯 (Polyporus 속) | Polyporus spp. |
박 (Crescentia 속) | Crescentia spp. |
갈대 (Miscanthus 속) | Miscanthus sp. |
피마자 | Ricinus communis |
오이 | Cucumis sativus |
억새 | Themeda gigantea |
부채 야자 | Licuala rumphii |
식용 열매와 귀중한 목재가 있는 경목 (Palaquium 속) | Palaquium spp. |
쪽 식물 및 염료 | Indigofera suffruticosa 및 Indigofera tinctoria |
일종의 과일 나무 (Pometia pinnata) | Pometia pinnata |
일종의 맹그로브, 염색에 사용되는 나무 껍질 (Ceriops 속) | Ceriops spp. |
망고 나무와 그 열매 | Mangifera altissima? |
조 (Setaria italica 속) | Setaria italica (?) |
뽕나무와 열매 | Morus formosensis |
새피의 새싹 | Imperata cylindrica |
야자 (Corypha elata) | Corypha elata |
식물 (Diospyros discolor) | Diospyros discolor |
바구니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식물 (Donax canniformis) | Donax canniformis |
등나무 (Calamus 속) | Calamus sp. |
쐐기풀 (Laportea 속) | Laportea spp. |
설탕 야자 | Arenga spp. |
사탕수수 | Saccharum officinarum |
검초 | Imperata cylindrica |
토란 | Colocasia esculenta |
촉규 나무 | Aleurites moluccanus |
인도 코르크 나무 | Millingtonia hortensis |
인도 튤립 나무 | Thespesia populnea |
카폭 나무 | Bombax ceiba |
나무 (Schoutenia ovata) | Schoutenia ovata |
나무 (Sesbania grandiflora) | Sesbania grandiflora |
Canarium 아몬드 (또는 갈립 또는 응아리 견과) | Canarium indicum |
사포와 같은 잎이 있는 나무 (Ficus 속) | Ficus spp. |
독성 수액이 있는 나무 (Antiaris toxicaria) | Antiaris toxicaria? |
끈적한 열매가 있는 나무 (Cordia 속) | Cordia spp. |
나무 (Barringtonia 속) | Barringtonia spp. |
강황 | Curcuma longa |
가는 대나무의 종류 (Schizostachyum 속) | Schizostachyum spp. |
야생 토란, 알로카시아 또는 가려움 토란 (Alocasia 속) | Alocasia spp. |
마 (Dioscorea alata) | Dioscorea alata |
4. 다른 관점
최근 연구인 로저 블렌치 (2016)에서는 단일한 개체로서의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가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11] 루손 해협을 건넌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확장은, 고고학과 언어학의 증거가 가리키듯,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이주 집단이 다양한 지역에 빠르게 퍼져나가 정착한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는 하이난섬으로도 이주했는데, 블렌치 (2016)에서는 흘라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인들 모두 발버팀식 등바지 베틀을 사용한다는 점을 언급한다.[4]
참조
[1]
서적
Vergleichende Lautlehre des austronesischen Wortschatzes.
Dietrich Reimer
1934-37
[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9
[3]
논문
Proto-Malayo-Polynesian *Z.
1951
[4]
간행물
The boiling pot: 4000 years ago in the Luzon straits
https://www.academia[...]
2016
[5]
웹사이트
Austronesian Comparative Dictionary, web edition
https://www.trussel2[...]
2020-04-25
[6]
웹사이트
Canarium commune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01-27
[7]
웹사이트
Canarium indicum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01-27
[8]
서적
Vergleichende Lautlehre des austronesischen Wortschatzes.
Dietrich Reimer
1934-37
[9]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Pacific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09
[10]
논문
Proto-Malayo-Polynesian *Z.
1951
[11]
간행물
The boiling pot: 4000 years ago in the Luzon straits
https://www.academia[...]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