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기야마 류이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기야마 류이치는 1941년 시즈오카현 출생의 일본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우라와 레즈에서 활약하며 1969년, 1973년 리그 우승, 1968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획득, 1966년 아시안 게임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1974년부터 1987년까지 주빌로 이와타의 감독을 맡아 팀을 이끌었으며, 1961년부터 1971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56경기 15골을 기록했다. 2005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빌로 이와타의 축구 감독 - 요코우치 아키노부
    요코우치 아키노부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산프레체 히로시마에서 선수로 활동 후 유소년 팀 코치, 일본 대표팀 코치를 거쳐 주빌로 이와타 감독으로 J2리그 우승 및 J1리그 승격을 이끌며 젊은 선수 육성에 능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 주빌로 이와타의 축구 감독 - 야마모토 마사쿠니
    야마모토 마사쿠니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로, 선수 시절에는 수비수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일본 대표팀 감독과 주빌로 이와타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디렉터로 활동하며 축구 관련 서적을 저술했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야마구치 요시타다
    야마구치 요시타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선수 시절 히타치 제작소에서 원 클럽 플레이어로 활약했고, 은퇴 후에는 지도자와 후지에다 MYFC의 명예 감독을 역임하며 2007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66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이세연 (축구인)
    이세연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며, 프로 선수 경력과 국가대표 경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박경화 (축구인)
    박경화는 축구인이며, 오빠는 박경호이고 남편은 민동진이다.
  • 196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호사카 쓰카사
    호사카 쓰카사는 일본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로, 골키퍼로서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후 고후 SC 감독을 역임했으며, 정계에도 진출하여 야마나시현 의회 의원 및 의장을 지내고 료칸 회장을 역임했다.
스기야마 류이치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스기야마 류이치와 데트마르 크라머 1964년
스기야마 류이치 (왼쪽, 오른쪽은 데트마르 크라머)
이름스기야마 류이치
본명杉山 隆一 (한자)
로마자 표기Sugiyama Ryuichi
출생일1941년 7월 4일
출생지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
사망일알 수 없음
신장169cm
체중67kg
포지션공격수, 미드필더
주발오른발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시즈오카현립 시미즈히가시 고등학교 (1957-1960)
메이지 대학 (1962-1965)
프로 클럽미쓰비시 중공업 축구부 (1966-1973)
출전 및 득점115경기 41골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국가대표팀 연도1961-1971
국가대표팀 출전 및 득점56경기 15골
지도자 경력
감독야마하 발동기 축구부 (1974-1983)
메달 기록
올림픽 축구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 동메달

2. 선수 시절

소데시 중학교 시절부터 축구를 시작하여, 시미즈히가시 고등학교 시절 도야마 국체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3년 연속 일본 유스 대표로 선발되어 AFC U-19 선수권에 참가하는 등 국제 무대에서도 활약했다.

1962년 메이지 대학에 진학하여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일본 대표팀을 8강으로 이끌었다. 남미 클럽으로부터 200000USD의 이적료를 제시받아 "'''20만 달러의 왼발'''"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오카노 슌이치로가 화제를 만들기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정보를 유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같은 해 대학생 신분으로 제4회 일본 연간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1966년 미쓰비시 중공업에 입사하여 1969년1973년 JSL 우승, 1971년과 1973년 천황배 우승 등에 기여했다. 1969년1973년에는 일본 연간 최우수 선수상을 수상했다.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는 5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동메달 획득에 공헌했다.

가마모토 구니시게와 비교되기도 했지만, 빠른 발을 이용한 드리블을 주로 하는 플레이 스타일 때문에 부상이 잦아 선수 생활은 가마모토보다 짧았다.

2. 1. 클럽

1966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당시 미쓰비시 중공업)에 입단하여 1973년 은퇴할 때까지 한 팀에서만 활약했다. 리그 2회 우승(1969년, 1973년), 리그 준우승 2회(1970년, 1971년), 천황배 2회 우승(1971년, 1973년) 및 2회 준우승을 이끌었다. 1966년부터 1973년까지 8시즌 연속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11에 선정되었고, 어시스트왕을 3번 수상했다. 일본 축구 올해의 선수상을 3번 수상했다.

2. 2. 국가대표팀

1959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1960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2회 연속 3위를 차지한 후, 1961년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1] 1963년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에서 A매치 데뷔골을 기록했다.

1964년 하계 올림픽1968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2개 대회 통산 9경기 7골을 기록하며 일본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1968년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아시안 게임에도 3회 연속(1962, 1966, 1970) 출전하여 1966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대한민국과의 197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경기를 끝으로 대표팀에서 은퇴했다. 2018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No.개최일개최 도시경기장상대팀결과감독대회
11961년 5월 28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3-2다카하시 히데토시국제 친선 경기
21961년 6월 11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0-2월드컵 예선
31961년 8월 15일 싱가포르● 0-2국제 친선 경기
41962년 8월 25일 인도네시아○ 3-1아시안 게임
51962년 8월 29일 인도네시아● 0-2아시안 게임
61962년 9월 8일 쿠알라룸푸르△ 2-2머데카컵
71962년 9월 12일 쿠알라룸푸르△ 1-1머데카컵
81962년 9월 15일 쿠알라룸푸르● 1-3머데카컵
91962년 9월 21일 싱가포르● 1-2국제 친선 경기
101963년 8월 8일 쿠알라룸푸르○ 4-3나가누마 겐머데카컵
111963년 8월 10일 쿠알라룸푸르○ 4-1머데카컵
121963년 8월 12일 쿠알라룸푸르○ 5-1머데카컵
131963년 8월 13일 쿠알라룸푸르△ 1-1머데카컵
141963년 8월 15일 쿠알라룸푸르● 0-2머데카컵
151964년 3월 3일 싱가포르○ 2-1국제 친선 경기
161964년 10월 16일 도쿄도고마자와 올림픽 공원 종합 운동장 육상 경기장● 2-3올림픽
171965년 3월 14일 홍콩○ 2-1국제 친선 경기
181965년 3월 22일 양곤△ 1-1국제 친선 경기
191965년 3월 25일 싱가포르○ 4-1국제 친선 경기
201965년 3월 27일 쿠알라룸푸르△ 1-1국제 친선 경기
211966년 12월 10일 방콕○ 2-1아시안 게임
221966년 12월 11일 방콕○ 3-1아시안 게임
231966년 12월 14일 방콕○ 1-0아시안 게임
241966년 12월 16일 방콕○ 5-1아시안 게임
251966년 12월 18일 방콕● 0-1아시안 게임
261966년 12월 19일 방콕○ 2-0아시안 게임
271967년 9월 27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15-0올림픽 예선
281967년 9월 30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4-0올림픽 예선
291967년 10월 3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3-1올림픽 예선
301967년 10월 7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3-3올림픽 예선
311967년 10월 10일 도쿄도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1-0올림픽 예선
321968년 3월 30일 시드니△ 2-2국제 친선 경기
331968년 3월 31일 멜버른● 1-3국제 친선 경기
341968년 4월 4일 애들레이드○ 3-1국제 친선 경기
351968년 10월 14일 푸에블라○ 3-1올림픽
361969년 10월 10일 서울● 1-3월드컵 예선
371969년 10월 12일 서울△ 2-2월드컵 예선
381969년 10월 16일 서울△ 1-1월드컵 예선
391969년 10월 18일 서울● 0-2월드컵 예선
401970년 7월 31일 쿠알라룸푸르● 1-2오카노 슈이치로머데카컵
411970년 8월 2일 쿠알라룸푸르△ 1-1머데카컵
421970년 8월 4일 쿠알라룸푸르△ 0-0머데카컵
431970년 8월 8일 쿠알라룸푸르○ 4-3머데카컵
441970년 8월 10일 쿠알라룸푸르○ 4-0머데카컵
451970년 8월 16일 쿠알라룸푸르○ 3-2머데카컵
461970년 12월 10일 방콕○ 1-0아시안 게임
471970년 12월 12일 방콕○ 1-0아시안 게임
481970년 12월 16일 방콕○ 2-1아시안 게임
491970년 12월 18일 방콕● 1-2(연장)아시안 게임
501970년 12월 19일 방콕● 0-1아시안 게임
511971년 7월 28일 코펜하겐● 2-3국제 친선 경기
521971년 8월 13일 레이캬비크○ 2-0국제 친선 경기
531971년 9월 23일 서울● 0-3올림픽 예선
541971년 9월 27일 서울○ 8-1올림픽 예선
551971년 9월 29일 서울○ 5-1올림픽 예선
561971년 10월 2일 서울● 1-2올림픽 예선


3. 지도자 시절

1974년 주빌로 이와타(당시 야마하 발동기)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1987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1977년, 1978년 일본 지역 리그 2회 연속 우승, 1982년 천황배 우승, 1982년 일본 사커 2부 리그 우승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1] 2005년 가마모토 구니시게와 함께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연도소속클럽리그전컵 대회
순위경기승점승리무승부패배JSL컵천황배
1974시즈오카현 2부야마하우승917810-예선 탈락
1975시즈오카현 1부우승15291410-2회전
1976우승16301420-2회전
1977도카이우승13231111-2회전
1978우승13261300-예선 탈락
1979JSL 2부준우승1847102PK승 3PK패3베스트 8예선 탈락
1980JSL 1부9위181353101회전2회전
198110위181026102회전1회전
1982JSL 2부우승18291251베스트 4우승
1983JSL 1부4위18197562회전2회전
19843위182410442회전베스트 8
19856위2223958베스트 8베스트 8
1986-8710위221731182회전베스트 4


4. 기타

"황금의 왼발", "20만 달러의 왼발"이라고 불렸지만, 실제로는 오른발잡이였다.[1] 멕시코 올림픽 동메달 결정전에서 두 개의 어시스트도 오른발로 기록했다.[1]

5. 통계

연도출전
196130
196260
196351
196421
196543
196662
196754
196841
196940
1970111
197162
합계5615



일본리그전JSL컵천황배기간 통산
1966미쓰비시JSL1411-
1967148-
1968144-
1969141-
1970134-
1971144-
1972JSL 1부143-
1973186
통산11541


  • 국제 A매치 56경기 15득점 (1961-1971)

5. 1. 국가대표팀

메이지 대학 2학년이던 1961년 말레이시아와의 친선 경기에서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으며, 1963년 8월 말레이시아와의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에서 A매치 데뷔골을 신고했다.

이후 자국에서 열린 1964년 하계 올림픽과 멕시코 시티에서 열린 1968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2대회 통산 9경기 7골을 터뜨리며 일본 축구 역사상 올림픽 첫 메달(1968년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아시안 게임에도 3회 연속(1962, 1966, 1970) 출전하여 1951년 초대 대회 이후 15년만의 아시안 게임 동메달 획득(1966년 아시안 게임)에도 일조했다.

대한민국과의 1972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 A조 4차전을 마친 뒤 대표팀 은퇴를 선언했다.

colspan=3|
연도출전
196130
196260
196351
196421
196543
196662
196754
196841
196940
1970111
197162
합계5615



No.연월일개최지대전 상대스코어결과경기 개요
11963년 8월 8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4-3승리메르데카컵
21964년 10월 16일일본, 도쿄가나3-2승리도쿄 올림픽
31965년 3월 25일싱가포르인도4-1승리친선 경기
44-1승리
54-1승리
61966년 12월 11일태국, 방콕이란3-1승리아시안 게임
71966년 12월 16일말레이시아5-1승리
81967년 9월 27일일본, 도쿄필리핀15-0승리멕시코 올림픽 예선
915-0승리
101967년 10월 7일대한민국3-3무승부
111967년 10월 10일남베트남1-0승리
121968년 4월 4일오스트레일리아, 애들레이드호주3-1승리친선 경기
131970년 8월 10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말레이시아4-0승리메르데카컵
141971년 8월 13일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아이슬란드2-0승리친선 경기
152-0승리


참조

[1] 서적 日本サッカー狂会 국서간행회
[2] 웹사이트 サッカー中継・小史~岩佐徹的アナウンス論70~12/09/02 https://toruiwa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