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틀라나 보긴스카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베틀라나 보긴스카야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체조 선수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단체, 도마), 은메달 1개(마루 운동), 동메달 1개(개인 종합)를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1989년 세계 선수권 대회 3관왕, 1990년 유럽 선수권 5관왕을 차지했으며, 1991년 세계 선수권 단체전과 평균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독립 국가 연합 대표로 출전하여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 벨라루스 대표로 참가했다. 은퇴 후에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거주하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5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의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이반 리트비노비치
- 벨라루스의 올림픽 체조 참가 선수 - 멜리치나 스타뉴타
멜리치나 스타뉴타는 벨라루스 출신의 은퇴한 리듬 체조 선수로, 2010년과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종합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 코치로 활동하다가 2020년 시위 참여 후 망명했다. - 벨라루스의 체조 선수 - 이반 리트비노비치
- 벨라루스의 체조 선수 - 올가 코르부트
올가 코르부트는 혁신적인 기술과 매력적인 연기로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소비에트 연방의 체조 선수로, 그녀의 이름을 딴 '코르부트 플립' 기술로 체조 기술 혁신과 스포츠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은퇴 후 코치 및 미국 이민 후 명예의 전당 헌액, 성폭력 피해 폭로 등의 활동을 했다. - 벨라루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올가 코르부트
올가 코르부트는 혁신적인 기술과 매력적인 연기로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소비에트 연방의 체조 선수로, 그녀의 이름을 딴 '코르부트 플립' 기술로 체조 기술 혁신과 스포츠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올림픽에서 다수의 메달을 획득하고 은퇴 후 코치 및 미국 이민 후 명예의 전당 헌액, 성폭력 피해 폭로 등의 활동을 했다. - 벨라루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비탈리 셰르보
벨라루스 체조 선수 비탈리 셰르보는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 독립 국가 연합 대표로 6개의 금메달을 획득하며 대회 최다관왕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고, 2009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스베틀라나 보긴스카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베틀라나 레오니도브나 보긴스카야 |
별칭 | 벨라루스 백조, 체조의 여신 |
출생일 | 1973년 2월 9일 |
출생지 |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민스크 |
국적 | 벨라루스 |
과거 국적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독립 국가 연합(유럽 연합) |
키 | 158.5 cm |
종목 | 여자 기계체조 |
은퇴 | 1997년 |
코치 정보 | |
현재 코치 | 타티아나 그로소비치 |
이전 코치 | 류보프 미로마노바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 3, 은 1, 동 1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 5, 은 3, 동 1 |
유럽 선수권 대회 | 금 9, 은 1, 동 0 |
월드컵 파이널 | 금 1, 은 1, 동 1 |
굿윌 게임 | 금 2, 은 1, 동 1 |
아메리칸 컵 | 은 1 |
총합 | 금 21, 은 8, 동 4 |
올림픽 메달 (소련) | |
1988년 서울 |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도마 은메달: 마루 운동 동메달: 개인 종합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소련) | |
1989년 슈투트가르트 |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개인 종합 금메달: 마루 운동 |
1991년 인디애나폴리스 |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평균대 |
1987년 로테르담 | 은메달: 단체전 |
1991년 인디애나폴리스 | 은메달: 개인 종합 |
1987년 로테르담 | 동메달: 평균대 |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소련) | |
1989년 브뤼셀 | 금메달: 개인 종합 금메달: 도마 금메달: 마루 운동 |
1990년 아테네 | 금메달: 개인 종합 금메달: 도마 금메달: 이단 평행봉 금메달: 평균대 금메달: 마루 운동 |
월드컵 파이널 메달 (소련) | |
1990년 브뤼셀 | 금메달: 마루 운동 은메달: 개인 종합 동메달: 도마 |
굿윌 게임 메달 (소련) | |
1990년 시애틀 | 금메달: 단체전 금메달: 마루 운동 은메달: 개인 종합 동메달: 평균대 |
올림픽 메달 (독립 국가 연합) | |
1992년 바르셀로나 | 금메달: 단체전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독립 국가 연합) | |
1992년 파리 | 은메달: 도마 |
유럽 선수권 대회 메달 (벨라루스) | |
1992년 낭트 | 금메달: 평균대 |
1996년 버밍엄 | 은메달: 개인 종합 |
아메리칸 컵 메달 (벨라루스) | |
1996년 포트워스 | 은메달: 개인 종합 |
2. 경력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태어난 보긴스카야는 6세 때 체조를 시작했다. 14세 때 소련 국가 대표팀에 발탁되었고, 1987년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평균대 3위를 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
서울 올림픽에서는 단체전과 도마에서 금메달, 마루 운동에서 은메달, 개인 종합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스타로 떠올랐다. 그러나 올림픽 직후, 오랜 코치였던 류보프 미로마노바가 자살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새 코치와 함께 훈련한 보긴스카야는 1989년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 단체전, 마루 운동 3관왕에 올랐고, 1990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전 종목을 석권하였다. 1991년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킴 츠메스칼에게 개인 종합 우승을 내주었지만, 단체전과 평균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EUN 소속으로 출전하여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개인 종합에서는 5위에 그쳤다. 이후 은퇴했다가 1995년 복귀, 애틀랜타 올림픽에 벨라루스 대표로 참가했으나 전성기 기량에는 미치지 못했다.
보긴스카야는 3개의 올림픽에 참가하여 소련, 독립 국가 연합, 벨라루스 대표팀으로 활동한 특이한 경력을 가지고 있다.
2. 1. 초기 생애 ( ~ 1987년)
1973년 2월 9일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태어났다.[1] 어린 시절 피겨 스케이팅을 연습했으나, 6세 때 나디아 코마네치가 올림픽에서 경기하는 모습을 본 후 체조를 시작하였다.[2][3] 8세 때 모스크바의 원형호수 체조 센터로 옮겨 류보프 미로마노바 코치의 지도를 받으며 전임적으로 훈련하였다. 14세 때 소련 국가 대표팀에 발탁되었다.2. 2. 소련 국가대표 시절 (1987년 ~ 1991년)
1987년 세계 선수권 대회 평균대에서 3위를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하였다.[2]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금메달 2개(단체, 도마), 은메달 1개(마루 운동), 동메달 1개(개인 종합)를 획득하며 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하였다.[2]올림픽 3일 후, 보긴스카야의 오랜 코치였던 류보프 미로마노바가 자살로 사망했다. 미로마노바는 보긴스카야가 민스크에서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훈련을 시작한 후 그녀의 대리모 역할을 하였다. 이후 새 코치 류드밀라 포프코비치 아래에서 훈련한 보긴스카야는 1989년 세계 선수권 대회 3관왕(개인 종합, 단체전, 마루 운동)이 되었다.[2]
1990년에는 베라 차슬라프스카(1965, 1967), 류드밀라 투리셰바(1973)에 이어 모든 개인 종목을 우승하면서 유럽 선수권 대회를 휩쓴 세 번째 여자 선수가 되었다. 같은 해 국제 체조 연맹 월드컵에 출전하여 마루에서 1위를 차지했다.[2]
1991년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 종합전에서 미국의 킴 츠메스칼에게 밀려 은메달에 머물렀으나, 단체전과 평균대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2]
2. 3. 독립 국가 연합(EUN) 및 벨라루스 대표 시절 (1992년 ~ 1996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체조 팬들은 보긴스카야와 미국의 킴 츠메스칼 사이의 대결을 예상했다. 보긴스카야는 EUN 소속으로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3관왕이 되었다. 그러나 개인 종합 전에서는 이단평행봉에서 실수하여 5위에 그쳤고, 츠메스칼은 12위였다. 이들 대신 타티아나 구추와 섀넌 밀러가 올림픽 역사상 가장 드라마적인 경쟁을 펼쳤다.[2]바르셀로나 올림픽 이후 은퇴했던 보긴스카야는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 카타리나 비트의 복귀에 영감을 받아 1995년에 현역으로 복귀했다.[2] 1995년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후쿠이현 사바에시)에서는 개인 종합 16위에 그쳤지만, 1996년 유럽 선수권 개인 종합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애틀랜타 올림픽에 벨라루스 대표로 참가하여 단체전 6위, 개인 종합 14위, 도마 5위를 기록하며 전성기가 지났음을 보여주었다.[2]
3. 선수 경력 이후
은퇴 후 보긴스카야는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에 정착하여 온라인 체조 의류 소매업과 체조 선수들을 위한 여름 캠프를 포함한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3] 2005년 국제 체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
또한, 미국 및 국제 체조계에서 자문 게스트 코치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0년대 초반에는 전 팀 동료였던 옥사나 추소비티나의 코치로 경기장에 나타나기도 했다.
4. 기술적 특징 및 평가
보긴스카야는 160cm가 넘는 큰 키에도 불구하고 우아하고 섬세한 연기로 유명했다. 특히 1988년 서울 올림픽 마루 운동에서 조르주 비제의 ''카르멘''에 맞춰 선보인 연기는 그녀의 대표적인 연기 중 하나로 꼽힌다.[6] 볼쇼이 발레단에서 안무한 마루 운동 루틴(1990-1991)과 이단평행봉에서 선보인 180도 다리 찢기 기술은 그녀의 트레이드마크였다. 해설자와 기자들은 그녀의 키와 날씬한 체형을 자세와 신체 정렬에 주의를 기울여 유리하게 활용하는 요소로 언급했다. 난이도보다는 기술 완성도와 표현력에 더 의존한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대개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10.0점의 시작 점수를 받았다. 그녀는 종종 착지 시 오른발을 왼발보다 약간 앞으로 내딛었는데, 이는 의도적인 예술적 표현이었으며 착지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5. 대중 문화
1992년 올림픽 이후, 보긴스카야는 동료 선수인 비탈리 셰르보와 함께 B-52's의 "Revolution Earth" 뮤직 비디오에 출연했다.
6. 주요 국제 대회 성적
연도 | 대회 | 팀 | 개인 종합 | 도마 | 평행봉 | 평균대 | 마루 |
---|---|---|---|---|---|---|---|
1987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3위 | ||||
1988 | 올림픽 | 1위 | 3위 | 1위 | 2위 | ||
1989 |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 1위 | 4위 | 4위 | 1위 |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1위 | 8위 | 1위 | |||
1990 | 유럽 선수권 대회 | 1위 | 1위 | 1위 | 1위 | 1위 | |
굿윌 게임 | 1위 | 2위 | 3위 | 1위 | |||
월드컵 파이널 | 2위 | 3위 | 4위 | 4위 | 1위 | ||
1991 | 세계 선수권 대회 | 1위 | 2위 | 5위 | 1위 | 7위 | |
1992 | 유럽 선수권 대회 | 5위 | 8위 | 4위 | 1위 | ||
세계 선수권 대회 | 2위 | 6위 | |||||
올림픽 | 1위 | 5위 | 4위 | 5위 | |||
1995 | 세계 선수권 대회 | 8위 | 16위 | ||||
1996 | 아메리칸 컵 | 2위 | 1위 | 1위 | 1위 | ||
유럽 선수권 대회 | 4위 | 2위 | 6위 | 6위 | 4위 | 6위 | |
올림픽 | 6위 | 15위 | 5위 |
참조
[1]
웹사이트
Class of 2005 - Svetlana Boguinskaia
https://www.ighof.co[...]
International Gymnastics Hall of Fame.
[2]
웹사이트
Svetlana BOGINSKAYA
https://olympics.com[...]
2024-04-13
[3]
웹사이트
Olympic Champion Svetlana Boginskaya
https://web.archive.[...]
2008-10-14
[4]
웹사이트
SVETLANA BOGINSKAYA
http://www.ighof.com[...]
2007-05-12
[5]
뉴스
元女王も嘆く体操の“曲芸化”
朝日新聞
1992-08-03
[6]
뉴스
人形 氷のような女王に笑顔
朝日新聞
1996-07-26
[7]
문서
1984年ロサンゼルスオリンピックの体操競技
[8]
문서
一カ国3人まで出場できた。予選でチーム内3位のロザリア・ガリエワが欠場し、4位だったグツーが急遽出場することになった。グツーはボギンスカヤの後継者として期待されていた。
[9]
뉴스
期待と興奮 アトランタ対決 世界のライバル、栄光へ闘志激突
読売新聞
1996-07-10
[10]
웹사이트
Svetlana Boguinskaia - The International Gymnastics Hall of Fame
http://www.ighof.com[...]
국제体操殿堂
2017-1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