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큐스 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큐스 수는 소수 계량 함수 π(x)와 로그 적분 함수 li(x)의 관계에 대한 문제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π(x)가 li(x)보다 커지는 x 값에 대한 상한을 의미한다. 리틀우드는 π(x) - li(x)의 부호가 무한히 많이 바뀐다는 것을 증명했지만, 실제 x 값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스큐스는 리만 가설을 가정하여 이러한 x 값의 상한을 제시했으며, 이후 컴퓨터 계산을 통해 이 상한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었다. 소수 k-튜플에 대한 스큐스 수도 정의되며, 특정 k-튜플에 대한 스큐스 수가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큰 수 - 나유타
나유타는 불교 경전에서 큰 수를 비유하는 산스크리트어 유래 수의 단위로, 산학계몽에 처음 등장하여 시대에 따라 크기 정의가 변화했으며 현대에는 특정 수치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쓰인다. - 큰 수 - 구골플렉스
구골플렉스는 1 뒤에 구골(10100)개의 0이 붙는 매우 큰 수로, 1940년 밀튼 시로타가 명명했으며, 칼 세이건은 십진법으로 완전히 쓰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추정했다. - 수론 - 타원곡선
타원곡선은 체 위에서 정의되고 특이점이 없으며 종수가 1인 사영 대수 곡선으로, 유리점을 가지며, 특정 형태의 방정식으로 표현되고, 실수체 위에서는 연결 성분 개수가 판별식에 따라 달라지며, 복소수체 위에서는 원환면과 위상적으로 동형이고, 점들 간에 군 연산이 정의되어 암호학 및 정수론에 활용된다. - 수론 - 최소공배수
최소공배수는 둘 이상의 정수들의 공배수 중 가장 작은 양의 정수로서, 소인수분해나 최대공약수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으며, 분수 통분이나 기어 회전 수 계산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스큐스 수 | |
---|---|
스큐스 수 | |
정의 | '수론에서, π(x)가 li(x)를 초과하는 가장 작은 x' 'π(x) > li(x)인 x의 상한' |
역사 | |
이름의 유래 | 스탠리 스큐스의 이름에서 유래 |
발견 | '1933년, 존 이든저 리틀우드의 제자인 스탠리 스큐스가 증명' '리만 가설이 참이라고 가정했을 때' |
스큐스 수 | 10^10^10^34 (대략) |
더 작은 스큐스 수 발견 | '리만 가설이 거짓일 때: 1.397 × 10^316 (대략) (테오도르 에릭슨)' |
최소값 발견 | '2010년, 포르투갈의 수학자 토마스 올리베이라 에 실바, 세르히 코트니크, 데이브 리처드가 약 1.39822 × 10^316에서 π(x)가 li(x)보다 크다는 것을 증명' |
최초의 교차점 | '카터리스와 리틀우드는 최초의 교차점이 10^10^10^100 근처에 있을 것이라고 추측' '실제 최초의 교차점은 훨씬 더 작음'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Math. Comput. 69 (2000), 1607-1621' 'On the intervals where π(x) > li(x)' 'Explicit estimates for functions related to primes' 'New computations of intervals where π(x) > li(x)' |
2. 스큐스 수의 정의와 초기 연구
존 이든저 리틀우드는 가 커짐에 따라 의 부호가 무한히 많이 바뀜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당시 이용 가능했던 모든 수치적 증거는 가 항상 보다 작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처럼 보였다. 리틀우드는 항상 그렇지는 않으며, π(''x'') − li(''x'')가 0을 초과하는 수 ''x''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그런 수 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존 이든저 리틀우드는 가 커짐에 따라 의 부호가 무한히 많이 바뀜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모든 수치적 계산으로는 π(''x'') 가 항상 li(''x'')보다 작은 것처럼 보였다. 리틀우드는 항상 그렇지는 않으며, π(''x'') − li(''x'')가 0을 초과하는 수 ''x''가 있다고 주장했다.
1962년 Rosser와 Schoenfeld는 이하에서는 π(x) < li(x)임을 증명했다. 이 기록은 Brent (1975)에 의해 8 × 1010까지, Kotnik (2008)에 의해 1014까지 갱신되었다. π(x) > li(x)를 만족하는 구체적인 x 값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컴퓨터 계산을 통해 가능성이 높은 몇 가지 숫자가 제시되고 있다.
존 이든저 리틀우드는 가 커짐에 따라 의 부호가 무한히 많이 바뀜을 증명하였다.[1] 그러나 모든 수치적 계산으로는 π(''x'') 가 항상 li(''x'')보다 작은 것처럼 보였다. 리틀우드는 항상 그렇지는 않으며, π(''x'') − li(''x'')가 0을 초과하는 수 ''x''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수 k-튜플에 대한 스큐스 수도 정의될 수 있다. 를 소수 (''k'' + 1)-튜플, 를 가 모두 소수인 미만의 소수 의 개수, , 를 제1 하디-리틀우드 추측의 하디-리틀우드 상수로 정의한다. (''k'' + 1)-튜플 에 대한 하디-리틀우드 부등식을 위반하는 첫 번째 소수 , 즉 를 만족하는 (그러한 소수가 존재한다면) 첫 번째 소수 는 ''에 대한 스큐스 수''이다.
소수 정리에 따르면, 는 점근적으로 와 같다. 실제 값을 비교해 보면, 현실적으로 계산이 실행 가능한 정도로 가 작은 동안은 항상 가 더 큰 것처럼 보인다. 이로부터, 가 되는 가 존재하는가 하는 문제가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가우스와 리만은 그러한 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예상했다.
스큐스는 1933년에 리만 가설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 를 위반하는 수 가 존재하며, 그 값은
:
보다 작다고 증명했다. 이를 '''제1 스큐스 수'''라고 부른다.
또한 스큐스는 1955년에 리만 가설을 가정하지 않고, 의 값이
:
이하임을 증명하였다. 이를 '''제2 스큐스 수'''라고 부른다.
스큐스의 과제는 리틀우드의 존재성 증명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즉, 첫 번째 부호 변경에 대한 구체적인 상한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게오르크 크라이젤에 따르면, 당시에는 이것이 원리적으로도 명확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3. 스큐스 수의 상한 개선
스큐스는 1933년에 리만 가설이 참이라는 가정 하에, 이하의 수에서 의 값이 의 값보다 커지는 순간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이는 대략 에 근접한다. 또한 스큐스는 1956년에 리만 가설이 참이라는 가정을 쓰지 않고 그 값이 이하임을 증명하였다. 스큐스의 작업은 리틀우드의 존재성 증명을 효과적으로 개선한 것이었다.
이러한 상한은 이후 영점의 대규모 컴퓨터 계산을 사용하여 상당히 감소했다. 리만 제타 함수. 교차점의 실제 값에 대한 첫 번째 추정치는 레만(Lehman)에 의해 주어졌으며, 그는 와 사이 어딘가에 인 개 이상의 연속적인 정수 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리만 가설을 가정하지 않고, H. J. J. te Riele는 1987년에 의 상한을 증명했다. 더 나은 추정치는 Bays와 Hudson에 의해 발견된 였으며, 그들은 이 값 근처 어딘가에 인 최소 개의 연속적인 정수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Bays와 Hudson은 가 에 가까워지는 몇 가지 훨씬 더 작은 값의 를 발견했다. 이러한 값 근처에 교차점이 존재할 가능성은 아직 확실히 배제되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컴퓨터 계산에 따르면 존재할 가능성은 낮다. Chao와 Plymen은 Bays와 Hudson의 결과에 약간의 개선과 수정을 가했다. Saouter와 Demichel은 교차점에 대한 더 작은 간격을 발견했으며, 이는 Zegowitz에 의해 약간 개선되었다. 동일한 출처는 를 위반하는 숫자 가 아래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것은 리만 가설을 가정하면 로 줄일 수 있다. Stoll과 Demichel은 을 제공했다.년도 근처 x 사용된 복소
영점 수에 의해 2000 1.39822 1 Bays와 Hudson 2010 1.39801 1 Chao와 Plymen 2010 1.397166 2.2 Saouter와 Demichel 2011 1.397162 2.0 Stoll과 Demichel
엄밀하게, Rosser와 Schoenfeld는 아래에 교차점이 없음을 증명했으며, Brent에 의해 으로, Kotnik에 의해 으로, Platt와 Trudgian에 의해 으로, Büthe에 의해 으로 개선되었다.
속성을 갖는 것으로 확실히 알려진 명시적인 값 는 없지만, 컴퓨터 계산에 따르면 이를 만족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몇 가지 명시적인 숫자가 있다.
인 양의 정수의 자연 밀도는 존재하지 않지만, Wintner는 이러한 양의 정수의 로그 밀도가 존재하고 양수임을 보여주었다. Rubinstein와 Sarnak는 이 비율이 약 0.00000026으로, 첫 번째 예를 찾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가야 하는지를 고려할 때 놀랍도록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 하한에 대한 연구
5. 스큐스 수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
리만은 에 대한 명시적 공식을 제시했는데, 주요 항은 다음과 같다(미묘한 수렴 문제는 무시).
:
여기서 합은 리만 제타 함수의 비자명 영점 집합에 있는 모든 에 대한 것이다.
근사식 에서 가장 큰 오차 항은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음의 이며, 이는 가 보통 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의 다른 항들은 다소 작으며, 게다가 서로 다른, 겉보기에 무작위적인 복소수 인수를 갖는 경향이 있어 대부분 상쇄된다. 하지만 때때로 몇 개의 더 큰 항들이 대략 같은 복소수 인수를 갖게 되면, 상쇄되는 대신 서로 강화되어 항을 압도하게 된다.
스큐스 수가 매우 큰 이유는 이러한 작은 항들이 주요 오차 항보다 상당히 "훨씬" 작기 때문인데, 주로 제타 함수의 첫 번째 복소수 영점이 상당히 큰 허수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배적인 항을 압도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수(수백 개)의 항들이 대략 같은 인수를 가져야 한다. 개의 무작위 복소수가 대략 같은 인수를 가질 확률은 약 1/ 이다.
이것은 가 때때로 보다 큰 이유와 이러한 현상이 드물게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지점을 찾는 것이 리만 제타 함수의 수백만 개의 고정밀 영점에 대한 대규모 계산에 의존하는 이유를 보여준다.
위의 논증은 증명이 아닌데, 이는 리만 제타 함수의 영점이 무작위적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실이 아니다. 대략적으로 말하면, 리틀우드의 증명은 때때로 많은 항들이 대략 같은 인수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디리클레 근사 정리를 사용한다.
만약 리만 가설이 거짓이라면, 논증은 훨씬 간단해지는데, 본질적으로 리만 가설을 위반하는 영점(실수부가 보다 큰)에 대한 항이 결국 보다 커지기 때문이다.
항이 나타나는 이유는, 대략적으로 말해, 는 실제로 소수 자체보다는 소수의 거듭제곱을 세는 것이며, 은 으로 가중된다. 항은 대략적으로 소수의 제곱을 설명하는 2차 보정과 유사하다.
1941년 Wintner는 π(x) > li(x)인 양의 정수의 로그 밀도가 존재하고 양수임을 보였다. 1994년 Rubinstein과 Sarnak은 이 비율이 약 0.00000026으로, 첫 번째 예를 찾기 위해 얼마나 멀리 가야 하는지를 고려할 때 놀랍도록 크다는 것을 보였다.
6. 소수 k-튜플에 대한 스큐스 수
현재 알려진 소수 ''k''-튜플에 대한 스큐스 수는 다음과 같다.소수 k-튜플 스큐스 수 발견자 (p, p+2) 1369391 울프/Wolf영어 (2011) (p, p+4) 5206837 토트/Tóth영어 (2019) (p, p+2, p+6) 87613571 토트 (2019) (p, p+4, p+6) 337867 토트 (2019) (p, p+2, p+6, p+8) 1172531 토트 (2019) (p, p+4, p+6, p+10) 827929093 토트 (2019) (p, p+2, p+6, p+8, p+12) 21432401 토트 (2019) (p, p+4, p+6, p+10, p+12) 216646267 토트 (2019) (p, p+4, p+6, p+10, p+12, p+16) 251331775687 토트 (2019) (p, p+2, p+6, p+8, p+12, p+18, p+20) 7572964186421 푀르트너/Pfoertnerde (2020) (p, p+2, p+8, p+12, p+14, p+18, p+20) 214159878489239 푀르트너 (2020) (p, p+2, p+6, p+8, p+12, p+18, p+20, p+26) 1203255673037261 푀르트너 / 룬/Luhn영어 (2021) (p, p+2, p+6, p+12, p+14, p+20, p+24, p+26) 523250002674163757 룬 / 푀르트너 (2021) (p, p+6, p+8, p+14, p+18, p+20, p+24, p+26) 750247439134737983 푀르트너 / 룬 (2021)
섹시 소수 에 대한 스큐스 수는 (존재한다면)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모든 허용 가능한 ''k''-튜플이 해당 스큐스 수를 갖는지 여부도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