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탠딩낮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탠딩낮도마뱀붙이(Phelsuma standingi)는 마다가스카르 남서부의 건조 지역에 서식하는 낮도마뱀붙이류의 일종이다. 몸길이는 꼬리까지 최대 28cm에 달하며, 회갈색, 연두색, 청록색 바탕에 회색이나 청색 그물무늬를 띈다. 곤충, 과일, 꽃꿀 등을 먹는 잡식성이며, 난생을 한다. 수컷은 영역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암컷은 다른 암컷에게 공격성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휴잇 (양서파충류학자)이 명명한 분류군 - 트란스발납작도마뱀붙이
    트란스발납작도마뱀붙이(림포포 납작도마뱀붙이, 짐바브웨 납작도마뱀붙이)는 짐바브웨가 주요 서식지인 야행성 도마뱀의 일종으로, 1925년 존 휴이트에 의해 새로운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중습성 사바나 지역에서 발견되고, 사회적인 습성을 보이며, 곤충을 먹고, 암컷은 껍질이 단단한 한 쌍의 알을 낳는다.
  • 존 휴잇 (양서파충류학자)이 명명한 분류군 - 휴이트붉은바위토끼
    휴이트붉은바위토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 서식하는 야행성 초식 동물로, 붉은 갈색 털과 큰 귀를 가지며 맹금류와 육식동물에게 포식당하고, 서식지 파괴 위협으로 보존 노력이 필요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되었다.
  • 1913년 기재된 파충류 - 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
    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며 넓고 납작한 꼬리와 뛰어난 위장술을 가진 야행성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 거래가 규제되고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913년 기재된 파충류 - 동쪽검은머리비늘발도마뱀
    동쪽검은머리비늘발도마뱀은 호주 동부에 분포하는 야행성 도마뱀으로, 꼬리를 자르는 능력이 있으며 절지동물을 사냥하고 맹금류 등에게 포식당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스탠딩낮도마뱀붙이
지도 정보
Phelsuma standingi 분포
Phelsuma standingi 분포
기본 정보
Phelsuma standingi 암컷, 뚜렷한 내림프 칼슘 주머니
뚜렷한 내림프 칼슘 주머니를 가진 Phelsuma standingi 암컷
학명Phelsuma standingi
명명메수엔 & 휴잇, 1913
한국어 이름스탠딩힐야모리
영어 이름Standing's day gecko
분류
동물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아목도마뱀아목
하목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아과도마뱀붙이아과
힐야모리속 (Phelsuma)
스탠딩힐야모리 (P. standingi)
보전 상태
IUCNVU
인용Raxworthy, C.J. & Vences, M. 2010. Phelsuma standing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0: e.T16947A6635765.
사이테스2
사이테스_출처CBD-CHM KOREA CITES

2. 어원

속명 ''Phelsuma''는 네덜란드의 내과의였던 무크 반 펠숨(:en:Murk van Phelsum)의 성씨를 라틴어화(:en:Latinization)한 것이다.[11][3] 종명 ''standingi''는 마다가스카르 안타나나리보의 내과의 허버트 폭스 스탠딩(:en:Herbert F. Standing)을 기린 것이다.[12][4]

3. 형태

스탠딩낮은 현존하는 제일 거대한 낮도마뱀붙이류 중 하나이며 꼬리까지 최대 28cm에 달한다.[13] 몸은 다양한 색을 띄는데, 주로 명도에 따라 갈린다. 회갈색, 연두색이나 청록색 바탕에, 몸과 머리에 회색, 청색 그물모양 무늬가 나있다. 머리와 꼬리는 보통 청록색이다. [13]

스탠딩낮은 성적 이형성을 띈다. 수컷의 배설강 부위는 항문전공과 불룩한 반음경이 도드라져있다. 대부분의 암컷은 목 양 옆에 내림프칼슘낭이 크게 자라나있으며, 수컷은 거의 티가 나지 않는다. 저장된 칼슘은 알껍데기를 만드는 데 쓰인다.[13]

4. 분포 및 서식지

스탠딩낮도마뱀붙이는 마다가스카르 남서부의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는 고유종이다.[14][6] 특히 안드라놀라호(:en:Andranolaho), 사카라하(:en:Sakaraha), 좀비체-보히바시아 국립공원(:en:Zombitse-Vohibasia National Park) 주변부에서 발견된다.[14] 이 지역은 독특한 가시나무 식생이 자라나는 곳이다. 낮에는 기온이 20°C 밑으로 떨어지는 법이 없고, 그늘에서도 40°C까지 치솟는다. 7, 8월에는 밤에 기온이 13°C까지 떨어진다.[14]

5. 생태

스탠딩낮은 다양한 곤충 따위의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부드럽고 달달한 과일, 꽃가루, 꽃꿀도 먹는다.[15]

스탠딩낮은 나무 위에서만 살아가며, 짝을 이뤄 지내고, 전망이 탁 트인 높은 나뭇가지 위에서 햇볕을 쬐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 수컷은 영역에 대한 집착이 강하며, 다른 수컷이 보이면 싸운다; 암컷은 다른 암컷한테 공격성을 보이는데, 도마뱀붙이류에서는 드문 특성이다.[13]

스탠딩낮은 난생한다. 알은 온도가 28°C일 때 60–70 일 후에 부화한다. 신생아는 꼬리까지 80 mm에 달하고, 1년 후에 성숙한다.[13]

건조한 초원에 서식한다. 수목 생활을 한다. 한 그루의 나무에 암수 한 쌍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식성은 동물성 먹이를 선호하는 잡식성으로, 곤충류, 과실, 의 꿀 등을 먹는다.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사육 하에서는 한 번에 2개의 알을 4-6회에 걸쳐 낳은 예가 있다. 산란 간격은 1-3개월. 알은 70-90일 만에 부화한다.

5. 1. 먹이

스탠딩낮도마뱀붙이는 다양한 곤충 따위의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부드럽고 달달한 과일, 꽃가루, 꽃꿀도 먹는다.[15] 더 작은 도마뱀까지 먹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먹이 외에 과실, 의 꿀을 먹기도 하는 잡식성이다.[7]

5. 2. 행동

스탠딩낮도마뱀붙이는 다양한 곤충 따위의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부드럽고 달달한 과일, 꽃가루, 꽃꿀도 먹는다.[15] 나무 위에서만 살아가며, 짝을 이뤄 지내고, 전망이 탁 트인 높은 나뭇가지 위에서 햇볕을 쬐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13] 수컷은 영역에 대한 집착이 강하며, 다른 수컷이 보이면 싸운다; 암컷은 다른 암컷한테 공격성을 보이는데, 도마뱀붙이류에서는 드문 특성이다.[13][5]

스탠딩낮도마뱀붙이는 난생한다. 알은 온도가 28°C일 때 60–70 일 후에 부화한다. 갓 태어난 새끼는 꼬리까지 80 mm에 달하고, 1년 후에 성숙한다.[13]

5. 3. 번식

스탠딩낮도마뱀붙이는 난생을 한다.[13][5] 온도가 28 °C일 때 60–70 일 후에 부화하며, 새끼는 꼬리까지 80 mm에 달하고 1년 후에 성숙한다.[13] 사육 상태에서는 한 번에 2개의 알을 4-6회에 걸쳐 낳으며, 산란 간격은 1-3개월이고 알은 70-90일 만에 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6. 인간과의 관계

스탠딩낮도마뱀붙이는 개발에 따른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주로 사육 개체가 유통되며, 유통량은 적다. 테라리움에서 사육된다. 대형종인 데다가 좁은 곳에서는 스트레스로 인해 거식증을 보이기도 하므로, 가능하다면 사육 시 대형 케이지를 준비한다. 또한 수목 서식종이기 때문에 높이가 있는 케이지에서 사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지나 유목, 관엽 식물 등을 조합하여 활동 공간이나 은신처로 삼는다. 극심한 저온에 약하므로, 동절기에는 야간에도 빛이 나오지 않는 조명 기구를 조사하거나 케이지를 방 전체를 에어컨 등으로 보온한다. 주행성이기 때문에 자외선이 나오는 풀 스펙트럼 조명 등의 조명 기구로 케이지 내부를 조사한다. 물은 아침이나 조명을 켤 때 벽면에 분무기로 뿌려준다. 먹이로는 귀뚜라미, 으깬 과일, 곤충 젤리, 과실 베이비 푸드 등을 제공한다. 먹이에는 칼슘제 등의 파충류 전용 보충제를 뿌려준 후 제공한다. 또한 과일은 케이지나 바닥재에 직접 놓으면 벌레가 생길 수 있으므로, 먹이 용기에 넣어 주는 것이 좋다. 움직임이 빠르고 잡으면 피부가 벗겨지므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협조성이 나빠 수컷끼리뿐만 아니라 암컷끼리도 격렬하게 싸울 수 있으므로, 단독 사육 또는 페어로 사육한다.

참조

[1] 간행물 "''Phelsuma standingi''" 2010
[2] 문서 "On a collection of reptiles from Madagascar made during the year 1911" https://www.biodiver[...] 1913
[3]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 논문 Notes on Standing's Day Gecko (''Phelsuma standingi'' ) T.F.H. Publications
[6] 서적 Madagascar Wildlife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4-11-10
[7] 서적 Keeping & Breeding Lizards https://archive.org/[...] T.F.H. Publications
[8] 간행물 "''Phelsuma standingi''"
[9] 문서 "''Phelsuma standingi'' Methuen & Hewitt, 1913" CBD-CHM KOREA CITES
[10] 문서 "On a collection of reptiles from Madagascar made during the year 1911" http://content.ajarc[...] 1913
[11]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3] 저널 Notes on Standing's Day Gecko (''Phelsuma standingi'' ) T.F.H. Publications
[14] 서적 Madagascar Wildlife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14-11-10
[15] 서적 Keeping & Breeding Lizards https://archive.org/[...] T.F.H.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