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티븐 월트는 미국의 외교 정책, 특히 중동 정책과 이스라엘 로비의 영향력을 비판하는 미국의 국제 정치학자이다. 그는 동맹 형성에 있어 세력 균형보다 위협 균형이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미국의 군사적 개입주의를 비판하고 '해양 균형자' 역할을 강조한다. 주요 저서로는 《동맹의 기원》, 《미국의 힘 길들이기》 등이 있으며, 하버드 케네디 스쿨 교수로 재직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정치 작가 - 폴 라이언
폴 라이언은 위스콘신주 제1선거구 공화당 하원의원과 제54대 하원 의장을 지낸 미국의 정치인으로, 재정 정책 및 보수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012년 공화당 부통령 후보로 낙선 후 하원 의장 재임 중 세금 개혁 법안을 통과시키고 2018년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 미국의 정치 작가 - 월터 리프먼
월터 리프먼은 미국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 정치 평론가로서 《더 뉴 리퍼블릭》의 창립 편집자였으며, "냉전" 용어 대중화, 언론인의 고정관념 개념 도입, 그리고 《여론》, 《공공 철학》 등의 저서를 통해 여론과 민주주의에 대한 분석을 제시했다. - 불간섭주의 - 노엄 촘스키
노엄 촘스키는 변형생성문법 이론으로 언어학에 혁명을 일으키고 인지 과학 등 여러 학문에 영향을 미쳤으며, 미국 외교 정책과 자본주의를 비판하는 저명한 지식인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불간섭주의 - 찰스 린드버그
찰스 린드버그는 1927년 단독 무착륙 대서양 횡단 비행에 성공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나, 아들 유괴 사건, 나치 독일과의 관계, 반유대주의적 발언 등 논란과 과학 연구, 저술 활동 등 복잡한 삶을 살았던 미국의 비행사이자 저술가이다. - 미국의 정치학자 - 찰스 틸리
찰스 틸리는 미국의 사회학자, 정치학자, 역사학자로, 역사 사회학, 사회 운동, 국가 형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며 관계적, 과정 중심적 접근 방식으로 사회과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정치학자 - 헨리 키신저
헨리 키신저는 미국 외교 정책을 주도한 유대인 출신 외교관으로, 현실주의 외교와 데탕트 정책을 통해 미소 관계 완화 및 중 relations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베트남 전쟁 종식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100세에 사망했다.
| 스티븐 월트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스티븐 마틴 월트 |
| 로마자 표기 | Stephen Martin Walt |
| 출생일 | 1955년 7월 2일 |
| 출생지 | 로스앨러모스, 미국 |
| 학력 | |
| 학사 | 스탠퍼드 대학교 |
| 석사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 박사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 경력 | |
| 소속 | 하버드 케네디 스쿨 |
| 소속 | 시카고 대학교 |
| 소속 | 프린스턴 대학교 |
| 학문 분야 | |
| 주요 관심 분야 | 국제 관계 이론 |
| 학파 | 신현실주의 |
| 주요 사상 | 위협 균형 |
| 주요 제자 | 포티니 크리스티아 |
| 기타 | |
| 웹사이트 | 하버드 케네디 스쿨 - 스티븐 월트 |
| 참고 자료 | The World Might Want China's Rules |
| 참고 자료 | Is Barack Obama More of a Realist Than I Am? |
2. 생애와 학력
스티븐 월트는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물리학자로 일하던 아버지와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1978년 정치학 석사 학위와 1983년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인 "The Origins of Alliances"에서는 동맹 형성에 있어서 세력 균형이 아닌 위협 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월트는 로스앨러모스 국립 연구소에서 물리학자로 일하던 아버지와 교사인 어머니 사이에서 뉴멕시코주 로스앨러모스에서 태어났다. 월트가 약 8개월이 되었을 때 가족은 베이 지역으로 이주했다.[4]로스알토스힐스에서 성장한 그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이수했다. 그는 처음에는 생화학자가 되기 위해 화학을 전공했지만, 이후 역사학, 그리고 마침내 국제 관계학으로 전공을 변경했다.
학사 학위를 받은 후, 월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대학원 과정을 시작하여 1978년 정치학 석사 학위를, 1983년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2. 학문적 경력
월트는 프린스턴 대학교와 시카고 대학교에서 강의를 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에서는 사회과학 대학 학장과 사회과학 부학장을 역임했다. 현재 하버드 케네디 스쿨에서 로버트와 레네 벨퍼 국제관계 석좌교수직을 맡고 있다.[3][5]그의 학문적 경력은 다음과 같다:
| 기간 | 직책 |
|---|---|
| 1978년~1982년 | 해군분석센터 직원 |
| 1981년~1984년 | 하버드 대학교 과학과 국제문제 센터 연구원 |
| 1984년~1989년 | 프린스턴 대학교 우드로 윌슨 학교 조교수 |
| 1985년~1989년 | 세계정치(World Politics) 편집위원회 |
| 1986년~1987년 | 국제평화 카네기재단 상주 연구원 |
| 1988년 | 브루킹스 연구소 객원 연구원 |
| 1989년~1995년 | 시카고 대학교 부교수 |
| 1992년~2001년 | 원자과학자 불레틴 이사회 |
| 1995년~1999년 | 시카고 대학교 교수 |
| 1996년~1999년 | 시카고 대학교 사회과학부 부학장 |
| 2000년 1월 |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전략연구 방문교수 |
| 2002년~2006년 |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학장 |
| 1999년~현재 | 하버드 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벨퍼 국제문제 교수 |
월트는 위협 균형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이 이론은 집합적 힘, 지리적 근접성, 공격력, 공격적 의도라는 측면에서 위협을 정의한다. 이는 신현실주의자 케네스 월츠가 정립한 "힘의 균형" 이론을 수정한 것이다.[39] 그는 박사 학위 논문인 "The Origins of Alliances"에서 동맹 형성에 있어서 세력 균형이 아닌 위협 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1983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캠퍼스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프린스턴 대학교 조교수, 시카고 대학교 부교수 및 교수를 거쳐 현직에 있다. 박사 학위 논문인 "The Origins of Alliances"에서는 동맹 형성에 있어서 세력균형이 아닌 위협균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전쟁 당시, 존 미어샤이머 등과 함께 현실주의의 입장에서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53]
3. 학문적 활동 및 연구
월트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월트는 2005년 5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2010년 컬럼비아 대학교의 솔츠먼 전쟁 및 평화 연구소(Saltzman 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에서 강연을 했다.[6] 2012년에는 케네디 스쿨에서 열린 일국가 해결책 컨퍼런스 패널에 알리 아부니마와 이브 스팽글러와 함께 참여했다.[7] 2013년 클락 대학교에서 강연했고,[8] 같은 해 10월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에서 "왜 미국 외교 정책은 계속 실패하는가"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9] 201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F. H. 힌슬리 강좌(F. H. Hinsley Lecture)를 했다.[10]
3. 1. 위협 균형 이론
월트는 위협 균형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이 이론은 집합적 힘, 지리적 근접성, 공격력, 공격적 의도라는 측면에서 위협을 정의한다. 이는 신현실주의자 케네스 월츠가 정립한 "힘의 균형" 이론을 수정한 것이다.[39]
월트는 박사 학위 논문인 "The Origins of Alliances"에서 동맹 형성에 있어서 세력 균형(balance of power)이 아닌 위협 균형(balance of threat)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3. 2. 주요 저서
3. 3. 기타 활동
월트는 2005년 5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
2010년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솔츠먼 전쟁 및 평화 연구소(Saltzman 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에서 강연을 했다.[6] 2012년에는 케네디 스쿨에서 열린 일국가 해결책 컨퍼런스 패널에 알리 아부니마(Ali Abunimah)와 이브 스팽글러와 함께 참여했다.[7]
2013년 4월 클락 대학교(Clark University)에서 강연했다.[8] 같은 해 10월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College of William & Mary)에서 "왜 미국 외교 정책은 계속 실패하는가"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했다.[9]
201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Cambridge University)에서 F. H. 힌슬리 강좌(F. H. Hinsley Lecture)를 했다.[10]
4.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한 비판
월트는 2003년 이라크 전쟁 20주년을 맞아 규칙 기반 국제 질서를 "미국이 작성하는 데 막대한 역할을 했고, 우리에게 불편할 때는 언제든지 위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규칙의 집합"으로 규정했다.[11] 2011년 ''내셔널 인터레스트(The National Interest)''에 기고한 "미국 시대의 종말(The End of the American Era)"에서 미국이 세계 지배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썼다.[13]
월트는 1998년에 "깊은 구조적 힘"이 "유럽과 미국을 갈라놓기 시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7] 그는 NATO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그 이유는 유럽과 미국의 이익에 긴밀한 협력이 유익한 네 가지 주요 영역 때문이라고 했다.[18]
| 협력 분야 | 내용 |
|---|---|
| 국제 테러리즘 퇴치 | 테러 네트워크 관리 및 테러 세포에 대한 자금 흐름 차단에서 협력 필요 |
| 대량살상무기 확산 제한 | 유럽과 미국이 협력하여 핵물질을 안전하게 확보할 때 비확산 노력이 가장 성공적 |
| 세계 경제 관리 | 미국과 EU 간의 무역 및 투자 장벽을 낮추면 경제 성장이 가속화 (주로 농업 정책 분야에서 차이 발생) |
| 실패 국가 대처 | 아프가니스탄, 보스니아, 소말리아와 같은 실패 국가는 반서구 운동의 온상이 되기 쉬우므로, 다국적 대응이 필요하며, 유럽 동맹국은 평화유지 및 "국가 건설" 경험이 풍부 |
2015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병합한 지 1년 후, 월트는 전 소련권 국가들에 대한 NATO 가입 초청은 "위험하고 불필요한 목표"이며 우크라이나는 "영구 중립 완충국가"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바마가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삼갔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더 길고 파괴적인 갈등을 초래하는 처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9]
2012년 12월, 월트는 미국의 "중동 최선책은 '역외 균형자'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즉, 역내 세력 균형이 깨질 경우 개입할 준비를 갖추되, 그 외에는 군사적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현재와 같은 비생산적인 '특별 관계' 대신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국가들과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1]
월트는 2015년 ''포린 폴리시''(Foreign Policy) 잡지에 "만약 이슬람 국가가 승리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받아들여라."라는 제목의 기사를 썼다.[22] 그는 탐구센터(Center for Inquiry)의 팟캐스트인 ''포인트 오브 인쿼리''(Point of Inquiry)에서 이슬람 국가가 장기간 지속되는 세계 강국으로 성장할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를 밝혔다.[23]
4. 1. 개입주의 비판
월트는 미국의 군사적 개입주의를 비판하며, 미국이 '해양 균형자(offshore balancer)'로서의 전통적인 역할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만" 개입하고, "군사적 존재감을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제안한다.[12]2005년에 발표한 "미국의 힘 길들이기(Taming American Power)"에서 월트는 미국이 "군사력을 신중하게 사용하고, 주요 동맹국과의 협력을 증진시키고, 무엇보다도 무너져가는 국제적 이미지를 재건함으로써 그들의 지배적 위치를 다른 나라들에게 받아들이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2]
월트는 군사 개입주의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고립주의자"라고 묘사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그는 미국 대전략에 대해 더욱 초연하고 선택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외교 정책 기구가 이를 깎아내리려는 이유 중 하나는 많은 미국인들이 외국의 위험에 대해 끊임없이 상기되지 않으면 이러한 주장을 설득력 있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16]
2013년 노르웨이 국방 연구소(Norwegian Institute for Defence Studies) 강연에서, 그는 "미국 외교 정책 기관들 사이에 활동적인 외교 정책에 대한 압도적인 편향"과 "위협을 과장하는 경향"을 지적했다. 그는 미국이 "외교적 기술과 기교가 부족하다"고 평가하며, 유럽인들에게 "스스로를 생각하고 안보 문제 해결에 대한 지침이나 조언을 미국에 의존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은 단순히 세계를 운영할 만큼 능숙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14]
월트는 미국이 역사상 가장 안전한 강대국이며,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 한 놀라울 정도로 안전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인들이 세계를 둘러싼 국가 안보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세금을 내면서도 더 나은 학교, 의료, 사회 기반 시설 등을 위해 세금을 내는 것을 꺼리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15]
4. 2. 이스라엘 로비 비판
존 미어샤이머와 함께 스티븐 월트는 미국 내 이스라엘 로비가 미국의 대외 정책을 친이스라엘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고 비판했다.[5] 그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카이로 연설의 원칙을 어기고 이스라엘 정착촌 건설을 허용하고 골드스톤 보고서에 대한 공격에 참여한 것을 비판했다.[5]월트는 2010년에 국무부 외교관 데니스 로스가 이스라엘에 편향되어 오바마 대통령에게 미국의 이익에 반하는 조언을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24] 워싱턴 근동정책 연구소(WINEP)의 사무총장 로버트 새틀로프는 월트를 비판하며, 로스와 WINEP의 관계는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미어샤이머와 월트는 WINEP를 미국 내 이스라엘 로비의 핵심으로 묘사했지만, 새틀로프는 미국이 이스라엘, 친아랍 및 친이슬람 국가들과 동시에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을 수 없다는 월트의 생각이 틀렸다고 주장했다.[25]
2011년 3월, 요르단 강 서안에서 발생한 이타마르 공격으로 유대인 가족이 살해당한 사건에 대해 월트는 살인자들을 비난하면서도, 1967년 이후 모든 이스라엘 정부의 불법적인 정착촌 건설 노력, 폭력을 미화한 팔레스타인 지도자들, 팔레스타인인들을 위협하는 일부 정착민들의 폭력을 언급하며 이 상황을 만든 다른 당사자들도 용서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26]
월트는 미국이 이스라엘의 요르단 강 서안 정착촌을 비난하는 안보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한 것을 비판하며, 이 결의안이 린든 존슨 이후 모든 대통령의 공식 정책과 일치하기 때문에 어리석은 조치라고 비판했다.[27]
2006년 3월, 월트와 존 미어샤이머는 이스라엘 로비와 미국 외교 정책 연구 논문[45]과 런던 리뷰 오브 북스 기사[46]를 통해 이스라엘 로비가 미국의 외교 정책을 친이스라엘 방향으로 이끄는 느슨한 연합이라고 정의하며, 이들의 영향력을 비판했다. 미어샤이머와 월트는 이스라엘 로비가 원하는 것은 대부분 이루어진다는 견해를 제시했다.[47]
이 기사들과 이후 출판된 책은 전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크리스토퍼 히친스는 월트와 미어샤이머가 지하디즘과의 전쟁을 바라지 않는 학파에 속하며, 문제의 기원을 잘못 해석했다고 비판했다.[48] 반면, 전 미국 대사 에드워드 펙은 이 보고서에 대한 비판적 반응들이 오히려 로비의 존재를 증명한다고 주장하며, 이스라엘의 이익에 대한 로비의 견해가 미국의 중동 정책의 기반이 되었다고 말했다.[49]
4. 3. 중동 정책 비판
스티븐 월트는 미국의 중동 정책, 특히 이란, 리비아, 시리아 등에 대한 개입이 오히려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는 미국이 중동 지역에서 '역외 균형자' 역할을 하며 군사적 개입을 최소화하고, 이스라엘,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정상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21]월트는 미국의 이란 정책과 관련하여, 2011년 미국 내 사우디 대사 암살 음모 의혹에 대한 미국의 반응이 이란을 압박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의 일환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28] 2012년에는 미국이 이란의 굴복을 계속 요구하여 오바마 대통령이 타협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29] 또한, 미국이 이란을 비롯한 중동의 여러 국가들을 '불량 국가'로 규정하고 위협을 과장한다고 비판했다.[15]
2010년 리비아 방문 후, 월트는 리비아가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지만 다른 공산 국가들과 달리 개방적인 분위기를 느꼈다고 언급했다.[30] 그러나 데이비드 E. 번스타인 교수는 월트가 리비아 정부의 자금을 지원받아 리비아를 긍정적으로 묘사했다며 비판했다.[31]
2013년 8월, 월트는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이 확인되더라도 미국은 개입해서는 안 되며, 오바마 대통령의 '레드라인' 설정은 어리석은 행동이었다고 비판했다.[33]
4. 4. 기타 외교 정책 비판
월트는 NATO 확장,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 중국의 부상 등과 관련한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14][19][34] 그는 미국의 외교 정책 기관들이 "위협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외교적 기술과 기교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14]2013년 노르웨이 국방 연구소(Norwegian Institute for Defence Studies) 강연에서 그는 "미국 외교 정책 기관들 사이에 활동적인 외교 정책에 대한 압도적인 편향"이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2001년 이후 테러 공격으로 사망할 확률보다 번개를 맞을 확률이 더 높다는 점을 언급하며 위협을 과장하는 경향을 지적했다. 더불어, 그는 미국이 "외교적 기술과 기교가 부족하다"고 평가하며, 유럽 국가들에게 "스스로를 생각하고 안보 문제 해결에 대한 지침이나 조언을 미국에 의존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은 단순히 세계를 운영할 만큼 능숙하지 않다"고 주장했다.[14]
2015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 1년 후, 월트는 구소련 국가들에 대한 NATO 가입 초청은 "위험하고 불필요한 목표"이며 우크라이나는 "영구 중립 완충국가"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바마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지 않은 것을 옹호하며, 무기 제공은 "더 길고 파괴적인 갈등을 초래하는 처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19] 오바마 행정부는 월트의 전략에 따라 임기 내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하는 것을 피했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대전차 미사일 제공 계획을 승인하여 러시아를 분노케 했다.[20]
월트는 중국에 대처하는 가장 바람직한 전략으로 해상균형을 제시한다.[34][35] 2011년 월트는 중국이 아시아에서 지역 패권과 광범위한 영향력을 추구할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그 규모는 미국이 서반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비슷하다고 하였다.[34] 그는 만약 그렇게 된다면 중국은 본토에서 충분히 안전해져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사건들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만들려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은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페르시아 만과 같은 지역의 중요한 해상로를 보호하려 할 가능성이 높다.[36][37] 2012년 인터뷰에서 그는 "미국은 중국의 힘을 과장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목표를 돕지 않는다. 우리는 오늘날의 정책을 20년이나 30년 후 중국이 될지도 모르는 모습에 근거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38]
5.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어 '한국에 대한 시사점' 섹션은 빈 내용으로 출력합니다.)
5. 1. 한국의 외교 전략
월트는 위협의 균형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이 이론은 집합적 힘, 지리적 근접성, 공격력, 공격적 의도라는 측면에서 위협을 정의한다. 이는 신현실주의자 케네스 월츠가 세련화한 "힘의 균형" 이론을 수정한 것이다.[39]5. 2. 주변국 관계
월트는 해상균형이 중국에 대처하는 가장 바람직한 전략이라고 주장한다.[34][35] 2011년 월트는 중국이 아시아에서 지역 패권과 광범위한 영향력을 추구할 것이며, 그 규모는 미국이 서반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비슷할 것이라고 주장했다.[34] 그는 만약 그렇게 된다면 중국은 본토에서 충분히 안전해져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사건들을 자기에게 유리하게 만드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은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페르시아 만과 같은 지역의 중요한 해상로를 보호하려 할 가능성이 높다.[36][37]2012년 12월 인터뷰에서 월트는 "미국은 중국의 힘을 과장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목표를 돕지 않는다. 우리는 오늘날의 정책을 20년이나 30년 후 중국이 될지도 모르는 모습에 근거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했다.[38]
6. 개인사
스티븐 월트는 레베카 E. 스톤과 결혼하여 두 자녀를 두고 있다.[50][51][52] 레베카 E. 스톤은 2018년에 매사추세츠주 하원의원에 출마했다.[50]
7. 직함 및 직책
| 기간 | 직함 및 직책 |
|---|---|
| 1978년~1982년 | 해군분석센터(Center for Naval Analyses) 직원 |
| 1981년~1984년 | 하버드대학교 과학과 국제문제 센터(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연구원 |
| 1984년~1989년 | 프린스턴대학교 우드로 윌슨 학교(Woodrow Wilson School) 조교수 |
| 1985년~1989년 | 세계정치(World Politics) 편집위원회 |
| 1986년~1987년 | 국제평화 카네기재단(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상주 연구원 |
| 1988년 | 브루킹스 연구소(The Brookings Institution) 객원 연구원 |
| 1989년~1995년 | 시카고대학교 부교수 |
| 1992년~2001년 | 원자과학자 불레틴(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이사회 |
| 1995년~1999년 | 시카고대학교 교수 |
| 1996년~1999년 | 시카고대학교 사회과학부 부학장 |
| 2000년 1월 | 싱가포르 난양이공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Institute for Defense and Security Studies, 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전략연구 방문교수 |
| 2002년~2006년 |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학장 |
| 1999년~현재 | 하버드대학교 케네디행정대학원 벨퍼 국제문제 교수(Belfer Professor of International Affairs) |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ld Might Want China's Rules
https://foreignpolic[...]
2021-06-02
[2]
웹사이트
Is Barack Obama More of a Realist Than I Am?
https://foreignpolic[...]
2015-10-27
[3]
웹사이트
Harvard Kennedy School – Stephen Walt
http://www.hks.harva[...]
2015-10-26
[4]
웹사이트
Stephen M. Walt Interview (2005)
http://globetrotter.[...]
Conversations with History;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C Berkeley
2013-12-20
[5]
웹사이트
FORA.tv Speaker- Stephen M. Walt
http://fora.tv/speak[...]
Fora.tv
2013-12-20
[6]
웹사이트
Third Annual Kenneth N. Waltz Lecture in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Dr. Stephen Walt 'Realism and American Grand Strategy: The Case for Offshore Balancing'
http://www.siwps.com[...]
Institute of War and Peace Studies
2010-11-00
[7]
웹사이트
Al Jazeera America Debut Featuring Stephen Walt Casts Doubt Over Network's Objectivity
http://blog.adl.org/[...]
Anti-Defamation League
2013-12-20
[8]
웹사이트
Harrington lecturer Walt explores curse-worthy U.S. foreign policy
http://news.clarku.e[...]
Clark University
2013-04-23
[9]
웹사이트
Harvard Professor and Foreign Policy Blogger Stephen Walt to Present at William & Mary Sadler Center
http://www.wm.edu/of[...]
College of William and Mary
2013-12-20
[10]
웹사이트
Better Fewer, but Better
https://foreignpolic[...]
2013-12-20
[11]
뉴스
The shadow of the Iraq war lingers on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23-00-00
[12]
논문
Taming American Power
http://www.foreignaf[...]
2005-09-00
[13]
웹사이트
The End of the American Era
http://nationalinter[...]
2011-10-25
[14]
웹사이트
Why does US foreign policy keep failing?
http://ifs.forsvaret[...]
Institutt for Forsvarsstudier
2013-12-27
[15]
웹사이트
The 2013 Stories that Never Were
https://foreignpolic[...]
2013-12-26
[16]
웹사이트
Sloppy journalism at the New York Times – Foreign Policy
https://foreignpolic[...]
2018-08-28
[17]
웹사이트
The Ties That Fray: Why Europe and America are Drifting Apart
http://nationalinter[...]
1998-12-01
[18]
간행물
The Imbalance of Power
http://harvardmagazi[...]
2004-03-00
[19]
간행물
Why Arming Kiev Is a Really, Really Bad Idea
https://foreignpolic[...]
2015-02-09
[20]
뉴스
US agrees to send lethal weapons to Ukraine, angering Russia
https://www.armytime[...]
Sightline Media Group
2017-12-23
[21]
간행물
The Interview: Stephen M. Walt
https://thediplomat.[...]
2013-12-27
[22]
웹사이트
What Should We Do if the Islamic State Wins? Live with it.
https://foreignpolic[...]
2015-09-03
[23]
웹사이트
Point of Inquiry for July 28, 2015
http://www.pointofin[...]
Center For Inquiry
2015-07-28
[24]
간행물
On Dual Loyalty
https://foreignpolic[...]
2010-04-02
[25]
간행물
Defending Dennis Ross
https://foreignpolic[...]
2010-04-08
[26]
간행물
On the murders at Itamar
https://foreignpolic[...]
2011-03-13
[27]
웹사이트
A false friend in the White House
https://foreignpolic[...]
2011-02-20
[28]
웹사이트
Skepticism over Iranian Terrorist Plot
http://www.pri.org/s[...]
PRI
2014-01-03
[29]
간행물
The Interview: Stephen M. Walt
https://thediplomat.[...]
2014-01-03
[30]
웹사이트
Stephen Walt on Libya
https://online.wsj.c[...]
2011-02-24
[31]
웹사이트
Stephen Walt on Libya
http://www.volokh.co[...]
Volokh Conspiracy
2011-03-06
[32]
간행물
Is Stephen Walt Blind, a Complete Fool, or a Big Liar?
https://newrepublic.[...]
2014-01-05
[33]
웹사이트
Weapons Assad Uses Shouldn't Affect U.S. Policy
https://www.nytimes.[...]
2014-01-07
[34]
웹사이트
More support for offshore balancing
http://walt.foreignp[...]
2012-11-16
[35]
웹사이트
Tom Friedman Sees the Light
http://walt.foreignp[...]
2012-11-16
[36]
웹사이트
What's the United States Up To in Asia? | Stephen M. Walt
http://walt.foreignp[...]
Walt.foreignpolicy.com
2012-11-16
[37]
웹사이트
Is IR like music or like sports?
http://walt.foreignp[...]
Walt.foreignpolicy.com
2012-11-16
[38]
웹사이트
The Interview: Stephen M. Walt
https://thediplomat.[...]
2014-01-08
[39]
서적
The Post-Cold War International System: Strategies, Institutions and Reflexivit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01-10
[40]
뉴스
Snowden deserves an immediate presidential pardon
http://www.ft.com/in[...]
2013-07-08
[41]
서적
The Origins of Alliance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01-12
[42]
서적
Revolution and War: Cornell Studies in Security Affairs
Cornell University Press
[43]
서적
Taming American Power: The Global Response to US Primacy
W. W. Norton & Co.
2006-09-17
[44]
뉴스
'Taming American Power': Not Bad Nation
https://www.nytimes.[...]
2005-09-04
[45]
논문
The Israel Lobby and U.S. Foreign Policy
https://web.archive.[...]
JFK School of Government
2006-03-13
[46]
저널
The Israel Lobby
http://www.lrb.co.uk[...]
2006-03-23
[47]
웹사이트
Unrestricted Access
https://web.archive.[...]
2006-05-01
[48]
저널
Overstating Jewish Power
http://www.slate.com[...]
2006-03-27
[49]
뉴스
Of Course There Is an Israel Lobby
http://independent.o[...]
Pittsburgh Post-Gazette
2006-04-06
[50]
뉴스
Rebecca Stone Is Wed to Stephen Walt
https://www.nytimes.[...]
1991-05-05
[51]
웹사이트
Home
https://www.rebeccas[...]
2018-09-04
[52]
웹사이트
Stephen Walt's Curriculum Vitae
http://www.hks.harva[...]
Harvard Kennedy School
2010-06-09
[53]
웹사이트
An Unnecessary War
http://www.foreignpo[...]
Foreign Policy
2013-02-01
[54]
웹인용
The World Might Want China’s Rules
https://foreignpolic[...]
2021-06-02
[55]
웹인용
Is Barack Obama More of a Realist Than I Am?
https://foreignpolic[...]
2015-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