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틴거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틴거 작전은 1991년 6월 유고슬라비아 내전 당시 세르비아 크라이나 자치주 군대가 드보르, 글리나,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등 크로아티아 혼합 거주 지역을 점령하기 위해 수행한 군사 작전이다. 이 작전은 바실코비치의 지휘 하에 진행되었으며, 글리나 경찰서 공격과 민간인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작전 결과, 세르비아계 반군은 해당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으며, 이후 크로아티아는 쿠파강 남안의 중요한 교두보를 상실했다. 작전 관련자들은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으며, 바실코비치는 유죄 판결을 받고 복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전투 - 바라주딘 막사 포위전
바라주딘 막사 포위전은 1991년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크로아티아군이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제32군단을 포위하여 항복시킨 사건으로, 크로아티아군은 막사 봉쇄, 공습 방어, 무기 노획 등을 통해 바라주딘을 장악하고 상당한 양의 무기를 얻었다.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의 전투 - 두브로브니크 포위전
두브로브니크 포위전은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몬테네그로군이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를 포위, 공격하여 점령 후 세르비아나 몬테네그로에 병합하려다 실패한 사건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인 두브로브니크 구시가지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전쟁 범죄 논란을 야기했다. - 1991년 7월 - 1991년 코파 아메리카
1991년 코파 아메리카는 칠레에서 10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리그를 거쳐 아르헨티나가 우승하고 가브리엘 바티스투타가 득점왕을 차지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이다. - 1991년 7월 - 1991년 지중해 게임
1991년 지중해 게임은 그리스에서 18개국이 참가하여 골프, 농구, 축구 등 23개 종목에서 경기를 치른 제10회 대회로, 이탈리아가 금메달 67개, 총 168개로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1991년 분쟁 - 조지아 내전
조지아 내전은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조지아의 독립 선언 이후 발생한 소수 민족 분리주의 운동과 대통령 축출, 러시아의 개입으로 인한 영토 분쟁으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을 초래했다. - 1991년 분쟁 - 1월 사건 (리투아니아)
1991년 1월, 소련군이 리투아니아의 독립 선언에 대응하여 무력 진압을 자행, 빌뉴스 텔레비전 타워와 라디오 방송국을 공격하여 민간인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리투아니아 독립 투쟁의 전환점이 되었다.
스틴거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작전 개요 | |
명칭 | 스팅거 작전 |
현지 명칭 (크로아티아어) | Operacija Žalac (오페라치야 잘라츠) |
현지 명칭 (세르비아어) | Operacija Žaoka (오페라치야 자오카) |
일부 |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 |
시기 | 1991년 7월 26일 - 7월 27일 |
장소 | 크로아티아 바노비나 |
결과 | SAO 크라이나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SAO 크라이나 |
지휘관 | |
SAO 크라이나 | 드라간 바실코비치 보그단 바야기치 |
크로아티아 | 미상 |
전력 | |
SAO 크라이나 | [[File:Patch of the Kninjas.svg|22px|크닌야스 패치]] 크닌야스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국가 방위군 크로아티아 경찰 |
사상자 및 피해 | |
SAO 크라이나 | 2명 사망, 1명 부상 (드라간 바실코비치 주장) |
크로아티아 | 14–39명 사망 |
민간인 | 22명 사망 |
2. 배경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열린 총선거에서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이 승리하고 사회주의 정당이 패배하면서 세르브인과 크로아트인 사이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크로아티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의 무기를 압수하였다.[1] 1990년 8월 17일, 양 민족간 긴장이 폭발하여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이 크로아티아 정부에 반대하여 대대적인 반란을 일으켰다.[2] 반란은 스플리트에서 북쪽으로 60 km 떨어진 크닌을 중심으로[3]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지역 등 세르브계가 많이 사는 크로아티아 내 여러 곳에서 일어났다.[4]
1991년 6월, 세르비아 크라이나 자치주(SAO 크라이나)가 바노비나 지역에서 독립을 선포하면서 이 지역의 분쟁이 격화되었다.[1] 드보르, 글리나,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는 세르비아계 주민이 다수였지만, 다른 민족 주민들도 상당수 거주하고 있었다.[2][3] 6월 24일, 시사크 경찰청은 드보르-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도로를 따라 우나강 계곡의 코지브로드 마을에 새 경찰서를 설치했다.[4] 이 경찰서에는 경찰 2개 소대와 제2근위여단 시사크 중대 소속 국가방위군 병력이 배치되었다. SAO 크라이나 정부는 새 경찰서 설치에 강력히 반발하며 당일 철거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불응 시 무력 철거를 위협했다.
스틴거 작전 결과, SAO 크라이나와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NA)은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흐르바트스카두비차, 토푸스코, 페트리냐 등 바노비나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1] 크로아티아군은 쿠파강 남쪽의 중요 교두보를 상실했다.[1]
1991년 1월,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 및 보이보디나, 코소보의 지원을 받아 크로아티아 보안군의 무장 해제를 위한 유고 인민군의 작전을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직에 승인받으려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3월에는 크로아티아 경찰과 세르브계 반군 사이 무혈충돌이 일어났고, 첫 사망자가 발생하며 분쟁이 격화되었다. 4월 초, 크로아티아 내 세르브계 반군 지도자들은 자신 통제 하의 지역과 세르비아와 한 국가로 통합할 것이라고 발표하였고, 크로아티아 정부는 이를 분리독립 시도로 간주하였다.
1991년 당시 크로아티아는 정규군 병력이 없었다. 크로아티아는 병력을 강화하기 위해 경찰 병력을 2만명으로 늘렸다. 이 중에는 군 조직을 받아들여 세워진 12개 대대 3천명의 특수경찰이 가장 강력하였다. 그 외에 16개 대대 10개 중대 규모의 지역 조직 예비경찰도 있었으나 무기가 부족하였다. 상황이 악화되자 5월에는 특수경찰 대대를 4개 전문 근위여단으로 확대시킨 크로아티아 국가방위군(ZNG)를 창설하였다. 크로아티아 국방부의 지휘 하에 유고 인민군 퇴역 장군인 마르틴 슈페겔을 지휘관으로 하여 총 4개 근위여단 8천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예비경찰 부대도 4만명으로 확대하고 국가방위군 산하로 편입시켜 19개 여단과 14개 독립대대로 재편하였다. 근위여단은 국가방위군 내에서 소화기를 완비한 유일한 부대였으나, 국가방위군 전체적으로 보면 중화기의 수가 매우 부족했으며 여단급 이상 지휘구조가 부실했다.
3. 전개
6월 25일에서 26일로 넘어가는 밤, SAO 크라이나 군대는 드보르 경찰서를 장악하고 글리나 경찰서를 공격했다. 세르비아계 군대는 1시간도 채 되지 않아 글리나 경찰서를 장악했으나, 시사크에서 증원된 경찰과 루츠코 대테러부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이 충돌로 크로아티아 경찰 1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 글리나 공격으로 SAO 크라이나는 글리나 경찰서를 장악하지 못했지만, 크로아티아 경찰관 16명이 크닌 수용소와 골루비치의 구금소로 끌려가 인질로 잡혔다. 이 전투로 유고 인민군(JNA)은 두 마을에 병력을 배치했다. 같은 날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인근에서도 전투가 발생했다. 6월 30일에는 드보르를 중심으로 세르비아계 주민 다수가 노비그라드 등 다른 도시로 피난했고, 6월 28일에는 글리나에 소수의 여성, 어린이, 노인만 남았다. 마을 상점들은 문을 닫았고, 유고 인민군 장갑차들이 거리를 순찰했다. 전투 후 유고 인민군은 경찰서에 병력을 배치했으나,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 반군들은 나머지 마을을 점령했다.
7월 중순,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 반군의 수도인 크닌에서 드라간 바실코비치가 바노비나 지역으로 파견되어 반군을 조직했다. 7월 21일부터 지역 반군 지휘관을 지휘하기 시작했으며, 이틀 후 드보르에서 SAO 크라이나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밀란 마르티치와의 회견에서 지역 내 세르비아계 크로아티아 군사 지휘부를 세웠다고 발표했다. 7월 24일, 바실코비치가 세운 크로아티아 병력을 바노비나 지역에서 몰아내겠다는 계획을 세르비아계 반군이 수용했다. 7월 25일, 코지브로드 경찰서에 박격포 14발이 발사되었다. 이 공격으로 사상자는 없었으나, SAO 크라이나 정부는 수확을 위해 8월 10일까지 충돌하지 않겠다는 정전 협정을 요청했다.
'스틴거 작전'으로 명명된 공세는 드보르와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사이 크로아티아계 다수 거주 마을 및 글리나 경찰서 장악을 목표로 했다. 이 작전에는 크닌에서 온 특수경찰 선봉대이자 바실코비치가 지휘하는 SAO 크라이나 영토방위군 산하 제7 바니야 사단 부대가 투입되었다. 작전은 7월 26일 오전 10시경 글리나, 코스타이니차, 토푸스코에 대한 1시간 동안의 박격포 공격으로 시작되었다. 바실코비치는 글리나, 드보르,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페트리냐 사이에 있는 즈린스카고라산의 샤마리차 지역에 지휘부를 두었다.
글리나 지역 공격은 SAO 크라이나 병사가 경찰서와 아주 가까이 있던 유고 인민군 장갑차에 사격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위장술책 시도로, 장갑차의 유고 인민군 병사가 크로아티아 경찰이 발포한 것처럼 속여 경찰서에 발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장갑차를 공격하던 인물은 경찰에게 감시되어 총격을 받았으나, 유고 인민군이 역으로 총격을 가했다. 당시 유고 인민군 대령은 세르비아계 반군이 현장을 떠나지 않으면 무력 공격하겠다고 위협했다. 바실코비치와의 협의를 통해 SAO 크라이나 병력은 비두셰바츠로 이동하여 학교와 교회 등 민간 건물에 총격하고 다른 방향으로 경찰서에 접근했다. 다음날까지 박격포 지원을 받으며 공격을 계속했고, 경찰서는 7월 27일 오전 11시 8분에 함락되었다. SAO 크라이나 군 보고서에 따르면 전투로 크로아티아 군인 및 경찰 27명이 사망했다고 보고되었다. 크로아티아 소식통에서는 경찰 2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당했으며, 민간인 2명이 저격수의 총격으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독일 쥐트도이체 차이퉁의 기자 에곤 슈코틀란트는 글리나에서 동료 기자와 함께 '기자'임이 명시된 차량을 타고 가던 중 저격수에게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글리나에 있던 남은 크로아티아 경찰들은 비두셰바츠 방향으로 빠져나갔다.
우나강을 따라 이어진 크로아티아 마을들도 1시간가량 박격포 공격을 받은 후 진격이 시작되었다. 7월 26일 오전 10시부터 약 250여 발의 박격포탄이 떨어졌으며, 직후 보병의 공세가 시작되었다. 공세는 크닌에서 뽑은 SAO 크라이나 특수부대 50명, 경찰 50명, 징집병 700명으로 구성되었다. 유고 인민군은 스트루가에서 코지브로드 사이 지역에 크로아티아 경찰 및 영토방위군이 대략 240-280명가량 배치되어 있다고 추정하였다. SAO 크라이나는 브라초 오를로비치가 이끄는 1개 대대를 드보르에서 시작하여 북쪽으로 잠라차 마을을 지나 스트루가 마을까지 진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가능하다면 진격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뒤를 이은 추가 부대가 크로아티아 방어군을 따돌리고 밀어내기로 하였는데, 징집병 소대로 보강된 니콜라 순다치의 특전소대가 스트루가를 우회하여 운차니에서 스트루가 사이 도로를 점령해 코지브로드로 가는 길을 막기로 했다. 젤코 사나데르가 이끄는 또 다른 특전소대는 볼리냐와 쿨랴니 마을을 점령한 후 코지브로드로 향하기로 했으며, 미초 포포비치가 이끄는 제2대대가 디부샤, 골루보바츠디부슈키, 코지브로드의 크로아티아군을 공격하기로 했다.
오를로비치의 대대가 무방비 상태인 잠라차 마을을 점령한 후, 세르비아계 반군은 집집마다 수색하며 집에 있던 민간인들을 전부 큰길가로 보냈다. 약 50명의 민간인을 마을에서 포로로 잡은 후 스트루가를 향해 장갑차와 함께 걷게 하면서 인간 방패를 세웠다. 오후 1시까지 순다치의 특전소대를 제외한 나머지 드보르와 코지브로드 사이 진격을 맡은 부대가 초기 목표를 달성했다. 오후 2시 30분부터 스트루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스트루가의 방어군은 세르비아계 선봉대와 교전하기 시작했으며, 잠라차 마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지 못했다. SAO 크라이나 병력이 인간 방패와 함께 도착하자 방어군은 발포하기를 주저했다. 그 결과 한 집에 배치된 크로아티아 경찰관 3명은 포위되었다가 항복했다. 세르비아계 병사는 이들의 옷을 전부 벗긴 후 도망가라고 명령한 후 쏴 사살했다.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정하지 못한 크로아티아군은 남쪽으로 철수했다. 인간 방패를 동원한 세르비아계 군대는 매우 느리게 움직였으며 잠라차에서 스트루가 중심부까지 이동하는 데 6시간이 걸렸다.
인간 방패를 동원한 장갑차 부대는 스트루가 마을 중심부에서 매복해 있던 경찰관 1명과 민간인 1명의 공격을 받았다. 이들은 허리에 수류탄 3개를 맨 채 손에 수류탄을 들고 장갑차를 향해 달렸다. 수류탄이 폭발함과 함께 총성이 터졌고 인간 방패로 쓰이던 민간인들은 도망갔다. 매복 공격을 했던 경찰관과 민간인 둘 다 살해되었는데, 일부 소식통에서는 이 두 명을 예비경찰 밀레 블라제비치, 교통경찰 젤코 필리포비치라고 말하기도 한다. 오후 4시 즈음 크로아티아군이 반격을 시작하여 포포비치가 이끄는 부대 대부분이 퇴각했다. 포포비치와 곁에 남은 병사 대여섯 명은 항복했다. 스트루가의 전투 중 SAO 크라이나 병사 5명 이상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을 입었다. 오후 6시, 오를로비치가 이끄는 부대는 병사들의 집단탈영으로 80% 정도가 도주했다. 오후 7시 즈음에는 스트루가에서의 격렬한 전투와 집단탈영으로 드보르 본부의 SAO 크라이나군 지휘관 보그단 바야기치는 유고 인민군의 개입을 요청했다. 유고 인민군은 바야기치에게 페트리냐에서부터 부대를 파견했다고 알리며 크로아티아 경찰과의 전투를 더 이상 하지 못하게 막고 바실코비치의 요청으로 글리나에도 증원군으로 2개 소대를 보냈다. 오후 7시 50분 경 유고 인민군 전차가 스트루가에 도착하여 완충지대를 세우기 시작했다. 스트루가의 크로아티아군은 유고 인민군이 병력수송장갑차 1대를 제공하고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 마을까지 엄호하며 호송해 주면 마을에서 철수하겠다고 제안했다. 전투로 크로아티아 경찰 12명, 민간인 20명이 사망했다.
4. 결과
이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 약탈, 방화 등 피해가 발생했다.[1] 흐르바트스카코스타이니차에서는 크로아티아군 67명이 포로로 잡혔으나, 글리나 수용소로 이송 중 실종되었다.[1]
이후 슬라나, 노비파르카시치, 수냐, 글리나 등에서 추가 전투가 벌어졌다.[1] 1992년 1월, 밴스 계획으로 휴전이 발효되며 전투는 일단락되었다.[1]
4. 1. 전범 재판
드라간 바실코비치는 2006년 1월 10일 시베니크 지방법원에서 발부한 체포 영장에 따라 호주에서 체포되었다. 영장 발부 혐의는 포로에 대한 전쟁 범죄 2건과 민간인에 대한 전쟁 범죄 1건이었다. 민간인 대상 전쟁범죄 혐의는 글리나 마을 공격 과정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 범죄였다.[2] 바실코비치는 호주 국적자로서 크로아티아에서 공정한 재판을 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며 송환에 반대하여 항소하였으나, 2009년 오스트레일리아 연방법원은 항소를 받아들여 석방하였다. 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고등법원이 항소심의 결정을 뒤집었고, 바실코비치는 43일간의 경찰 수색 끝에 다시 체포되었다. 이후 바실코비치는 다른 이유를 들어 송환에 반대한다고 호소하였고, 2012년 11월 오스트레일리아 내무부 장관인 제이슨 클레어가 송환을 승인하였으나 바실코비치는 이 결정에 항소하였다. 2014년 12월 연방법원에서는 송환하라는 판결을 내렸다.[2] 2015년 7월 8일 시드니 국제공항에서 출국하여 크로아티아로 송환된 바실코비치는 자그레브 국제공항에서 입국 직후 체포되어 스플리트의 교도소로 이송되었다.[2] 2016년 9월 20일 크로아티아에서 재판을 시작하여 2017년 9월 15년형을 선고받았다.[3] 2020년 3월 28일 호주에서 구금된 시간을 포함하여 형기를 전부 마치고 만기출소하였다.[4]
1994년, 크로아티아 정부는 전 SAO 크라이나 경찰관이었던 주로 주리치를 스트루가, 잠라차, 코지브로드 마을에서 전쟁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궐석재판에 넘겼다. 주리치는 유죄 판결을 받고 20년 형을 선고받았다. 주리치는 2001년 드보르 국경검문소에서 크로아티아 경찰에게 항복하였다. 구금된 지 2달 만에 석방되어 크로아티아에서 출국하였다. 2009년 2월 주리치는 다시 크로아티아로 돌아와 같은 혐의로 다시 체포되었고, 한달 후 목격자들의 심문을 받고 풀려났으며, 전쟁 범죄 혐의에 대해서도 증거 부족으로 종결되었다.
5. 국제 사회의 반응과 한국의 입장
=== 국제 사회의 반응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채택하고, 평화유지군(UNPROFOR)을 파견하여 분쟁 해결을 중재하려 노력하였다. 유럽 공동체(EC)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유지를 위한 중재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패하였다. 독일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은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조기에 승인하였다.
=== 한국의 입장 ===
한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태 초기에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사태를 예의주시하였다. 1992년 크로아티아가 독립하자, 한국은 크로아티아를 주권 국가로 승인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한국은 크로아티아 전쟁 당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전쟁 이후 재건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5. 1. 국제 사회의 반응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무기 금수 조치를 채택하고, 평화유지군(UNPROFOR)을 파견하여 분쟁 해결을 중재하려 노력하였다. 유럽 공동체(EC)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유지를 위한 중재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패하였다. 독일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은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조기에 승인하였다.5. 2. 한국의 입장
1990년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열린 총선거에서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rvatska demokratska zajednicahr, HDZ)이 압승하고 사회주의 정당이 패배하자 세르브인과 크로아트인 사이 민족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ugoslovenska Narodna Armijasr, JNA)은 크로아티아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아티아 영토방위군(TO)의 무기를 압수하였다.[1] 1990년 8월 17일, 양 민족간 긴장이 폭발하여 세르브계 크로아티아인이 크로아티아 내에서 세르브계가 가장 많이 사는 달마티아 고원의 스플리트에서 북쪽으로 60 km 떨어진 크닌을 중심으로[2] 리카, 코르둔, 바노비나, 슬라보니아 지역 등 여러 곳에서[3] 크로아티아 정부에 반대하여 대대적인 반란을 일으켰다.[4] 1991년 1월에는 몬테네그로 및 세르비아 내 자치주인 보이보디나와 코소보의 지원을 받은 세르비아가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직에 크로아티아 보안군의 무장 해제를 위한 유고 인민군의 작전을 승인받으려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한국은 유고슬라비아 사태 초기에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사태를 예의주시하였다. 1992년 크로아티아가 독립하자, 한국은 크로아티아를 주권 국가로 승인하고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한국은 크로아티아 전쟁 당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전쟁 이후 재건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참조
[1]
뉴스
Captain Dragan: Serbian war crimes suspect Dragan Vasiljkovic extradited from Australia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News
2015-07-08
[2]
웹인용
Kapetan Dragan na ispitivanju: 'Nisam kriv!'
http://dnevnik.hr/vi[...]
2015-07-10
[3]
웹인용
Dragan Vasiljkovic war crimes hearing begins in Croatia
https://www.theaustr[...]
2016-09-21
[4]
웹인용
KAPETAN DRAGAN PUŠTEN IZ ZATVORA I ODMAH PROTJERAN U SRBIJU Bio je osuđen za ratne zločine u Kninu i Glini, nakon odsluženja kazne odveden na Bajakovo
https://www.jutarnji[...]
2020-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