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수부대는 수색, 게릴라 활동, 첩보, 비밀 작전, 파괴 공작, 심리전, 대테러전을 수행하는 정예 부대이다. 특수부대는 개인의 극한 수준으로 전문화된 보병으로, 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비정규전을 수행한다. 특수부대 양성에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AI 드론봇이 활약하는 현대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 야전 부대와 달리 소수 팀으로 움직이며, 적 후방 침투, 요인 제거, 인질 구출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특수부대는 정찰, 대테러, 파괴 공작, 인질 구출 등의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국가별로 성격과 수준이 다르다. 특수부대는 역사적으로 게릴라 부대에서 기원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코만도와 같은 부대가 등장하며 발전했다. 현대에는 특수부대가 더욱 중요해졌으며, 한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특수부대를 운용하고 있다. 또한, 특수부대 출신은 민간군사기업(PMC)에서 군사 컨설팅, 경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특수부대 | |
---|---|
개요 | |
분류 | 군사 부대 |
별칭 | 특수 작전 부대 (SOF), 특공대, 정예 부대, 특수 부대 |
로마자 표기 | teuksubudae (특수부대) |
영어 명칭 | special forces, special operations forces |
러시아어 명칭 | spetsnaz |
특징 | |
훈련 | 특수 작전 수행에 특화된 훈련 |
임무 | 특수 작전, 대테러 작전, 인질 구출, 정찰, 게릴라전 |
기능 | 비정규전 정보전 대테러 작전 특수 정찰 직접 타격 해외 내부 방어 대량 살상 무기 확산 방지 인질 구출 |
선발 | 엄격한 선발 과정을 거쳐 선발됨 |
운용 | 소규모로 편성되어 은밀하게 작전 수행 |
장비 | 특수 장비 및 무기 사용 |
역사 | |
기원 |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코만도 부대와 미국 육군 레인저 부대에서 시작 |
현대적 발전 | 냉전 시대에 더욱 발전 |
주요 작전 |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
국가별 특수부대 | |
대한민국 | 육군 특수전사령부 해군 특수전전단 공군 공정통제사 |
미국 | 특수작전사령부 (USSOCOM) 산하 각군 특수부대 |
러시아 | 러시아 연방군 특수작전군 (Spetsnaz) |
영국 | 특수 항공 부대(SAS) 특수 보트 부대(SBS) |
프랑스 | 제1해병낙하산연대 |
독일 | KSK |
일본 | 특수작전군 |
기타 국가 | 각국 군대 내 특수부대 운용 |
관련 개념 | |
특수 작전 | 정규전과는 다른 비정규전 전술 |
게릴라전 | 소규모 병력이 벌이는 비정규전 |
대테러 작전 | 테러 행위에 대한 진압 작전 |
정찰 | 적의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 |
인질 구출 | 인질을 안전하게 구출하는 작전 |
2. 정의와 역할, 특징
특수부대는 일반적인 전투 부대와 달리, 특수한 임무와 목적을 가지고 운용되는 정예 부대이다. 이들은 수색전, 게릴라 활동, 첩보 활동, 비밀 작전, 파괴 공작, 심리전, 대테러전 등 특수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한다.
해병대나 공수부대는 상륙작전이나 공수라는 임무 자체는 특별하지만, 일반 육군과 마찬가지로 보병, 포병, 기갑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수부대가 아니다. 이들은 정예부대이지 특수부대가 아니다. 특수부대는 단순히 힘든 훈련을 받는 부대가 아니라, 특수전/비정규전이라는 '임무'를 가진 부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수한 임무 때문에 강도 높은 훈련이 따르는 것이다.
특수부대는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극한 수준으로 전문화/고급화된 보병이다. 이들은 각종 무기 제원, 전술 전략, 군사학, 정보활동교리에 해박해야 한다. 유사시에는 소수 인원으로 투입되어 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국가 비정규전을 총괄한다.
특수부대가 흔히 수행하는 임무는 다음과 같다. (대테러부대의 경우(☆)에는 더 심화된 임무가 많다.)
- 적 후방 침투 후 유선 통신망 감청 장비 설치
- 적 작전사령부 군단장 제거
- 적 탄약고에 불량 탄약 투입 (실제 베트남 전쟁 당시 MACV-SOG의 AK-47 탄약 대상 작전)
- 마약 카르텔 소탕 및 유통 루트 차단 (현대 미국의 중남미 마약전쟁)
- 테러 단체/국가/단체 잠입 및 공작 활동
- 테러 단체 전복 및 지역 수복 (아프간 침공 당시 미 그린베레의 주 임무)
- 적 기지 잠입 정찰
- 적국 형무소 억류 인사 구출(☆) (1989년 파나마 침공 당시 델타포스의 커트 뮤즈 구출 작전)
- 인질 구출(☆) (한국의 청해부대 특수전팀의 삼호 쥬얼리호 구출 작전)
- 테러 발생 전 테러 가능성 차단(☆)
일반 보병 부대는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다. 특수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 군인은 적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물자와 인력만 소비할 가능성이 크며, 심하면 정규전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특수부대는 일반 부대와 달리 소수 팀으로 움직이며, 상황에 따라 임의 판단 및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산하 1등급 부대는 현장 지휘관의 작전 수행 방식에 백악관도 간섭하지 못한다.
미디어에서는 특수부대가 일반 보병보다 좋은 장비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AK-47, RPG-7, 테크니컬 등 테러리스트 차림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테러와의 전쟁이나 IS 잠입 공작 임무의 경우 현지인 복장과 언어를 익혀 활동한다.
국가마다 특수부대의 성격은 다르다. 미군 특수작전사령부처럼 첨단 장비를 지원받거나 별도 군종으로 독립된 경우도 있지만, 대한민국 국군 특전부대나 러시아 스페츠나츠처럼 경보병 수준인 경우도 있다.
특수작전의 구성 요소인 게릴라부대의 기습 공격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군에 저항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민병은 "게릴라"라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영국군 영국 코만도와 독일 국방군 브란덴부르크 부대 등이 적 후방에서 코만도 부대 기습 공격을 전개했다.
냉전 시대에는 혁명투쟁의 일환으로 비정규전이 빈발했고,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군은 특수작전 부대를 정비했다. 그러나 육해공군 주류 장교들은 특수부대를 이단시했고, 합동작전에 어려움이 있었다. 동구권은 파르티잔 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 특수부대를 정비했다. 조선인민군은 특수부대를 중시하며, 한국 국방백서 2008년도판에 따르면 약 18만 명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52][53]
군 특수부대와 별도로,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찰은 텍사스 타워 총기 난사 사건 같은 흉악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SWAT 부대를 창설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을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는 GSG-9, BRI-BAC처럼 대테러 작전에도 대응 가능한 법 집행 기관 부대가 발족했다. 앵글로색슨 국가는 대테러 작전을 군이 담당하여, 영국 특수공수부대(SAS)는 대혁명전 부대(CRW Wing)를 편성, 1980년 주영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에 출동했다. 미국은 SAS를 본떠 델타 포스를 발족했다. 그러나 군사 작전은 위협 제거를 위해 모든 화력을 사용하는 반면, 법 집행 활동은 무기 사용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앞둔 연방수사국(FBI)은 인질 구출팀(HRT)을 편성했다.
2. 1. 정의
특수부대는 특수전, 비정규전, 대테러전 등 일반 부대가 수행하기 어려운 임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정예 부대이다.해병대는 상륙작전이라는 임무는 특별하지만, 상륙 후에는 일반 육군과 마찬가지로 보병, 포병, 기갑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수부대가 아니다. 공수부대 역시 마찬가지로 정예부대이지 특수부대가 아니다.
특수부대는 단순한 훈련 강도가 아닌, 특수전/비정규전이라는 '임무'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특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강도 높은 훈련이 필요하지만, 힘든 훈련을 한다고 해서 특수부대가 되는 것은 아니다.
특수부대는 극한 수준으로 전문화/고급화된 보병이다. 이들은 각종 무기 제원, 전술 전략, 군사학, 정보활동교리 등에 해박해야 한다. 이들은 단독 또는 소수 인원으로 투입되어 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국가 비정규전을 수행하는 고급 인력이기 때문이다.
제대로 된 특수부대원 1인을 양성하는 데에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의 2등급 특수부대인 네이비 실의 경우, 2023년 기준 신참 요원 양성에만 3년(실질적으로는 최소 4~5년 이상), 한화 약 27억원(200만 달러)이 소요되며,[59] 매년 100만달러 이상의 교육 훈련 및 파병 비용이 소모된다. 이는 5~6년차 해·공군 파일럿보다도 비싼 수준이다. 백악관의 직속 명령을 받는 합동특수작전사령부의 1등급 특수부대 작전대원을 양성하는 데에는 최소 7~10년이 소요되며, 평균적으로 30대의 나이[60]라고 알려져 있다.
특수부대는 현대전에서 필수적인 존재이다. 기술화되고 전문적인 전장일수록 이들의 활약상이 더욱 커지며, 드론봇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부대 또한 특수부대이다.
일반 야전 부대는 대규모로 움직이며 적 부대와 전면전을 벌이지만, 특수부대는 상황에 따라 소수 팀으로 움직이며, 적과의 교전이 임무에 지장을 준다고 판단되면 회피하고, 무선 침묵을 지키기 위해 임의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경우도 많다.
미디어에서는 특수부대가 일반 보병보다 좋은 장비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AK-47, RPG-7, 테크니컬 등 테러리스트 차림으로 다니는 경우도 많다. 특히 테러와의 전쟁이나 IS에 잠입하는 임무라면 현지인 복장과 언어를 익혀서 활동하기도 한다.
국가마다 특수부대의 성격은 다르다. 미군 특수작전사령부처럼 첨단 장비를 지원받고 국직부대 개념으로 사령부가 따로 있거나, 별도의 군종으로 독립된 경우도 있다.
한국군 특수부대 중 실제 작전대원으로 구성되어 알짜배기 임무를 수행하는 인원은 최소 3~4년차 이상의 장교와 부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군 부사관들은 병에서 출발하지만, 네이비 실 등은 부사관급 계급을 달고 난 뒤에 지원 가능하다.
특수부대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
- 적대 환경에서의 정찰 및 감시
- 외국 내부 방위: 다른 국가의 군대 훈련
- 공격 작전
- 대테러 작전 지원
- 대테러 작전
- 파괴 공작 및 폭파
- 인질 구출
- 경호
- 수중작전
- 해상 접근 작전
- 공군 특수부대 작전 지원
게릴라부대의 기습 공격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군에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민병이 저항했고, 이것이 "게릴라"라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영국군의 영국 코만도와 독일 국방군의 브란덴부르크 부대 등이 적 후방에서 코만도 부대에 의한 기습 공격을 전개했다.
냉전 시대에는 혁명투쟁의 일환으로 비정규전이 빈발했고,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군도 이에 대응해야 했기 때문에 특수작전 부대의 정비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육해공군 주류 장교들은 특수작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특수부대를 이단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한편, 동구권에서는 파르티잔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정규전 개입의 필요성도 있어 대규모 특수부대가 정비되었다. 조선인민군은 특히 특수부대를 중시하고 있으며, 한국 국방백서 2008년도판에 따르면 약 18만 명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52][53]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찰에서는 텍사스 타워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흉악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SWAT 부대의 창설이 잇따랐다. 1972년의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을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는 GSG-9이나 BRI-BAC처럼 대테러 작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법 집행 기관의 부대가 발족했다. 앵글로색슨 국가에서는 대테러 작전을 군이 담당하게 되어, 영국에서는 특수공수부대(SAS)에 대혁명전 부대(CRW Wing)를 편성하여 1980년의 주영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에도 출동했다. 미국에서도 SAS를 본떠 델타 포스가 발족했다.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앞둔 연방수사국(FBI)에서는 독자적인 대테러 작전 부대인 인질 구출팀(HRT)이 편성되었다.
2. 2. 역할
특수부대는 수색전, 게릴라 활동, 첩보 활동, 비밀 작전, 파괴 공작, 심리전, 대테러전 등 특수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정예부대이다.해병대나 공수부대는 상륙작전이나 공수라는 임무 자체는 특별하지만, 일반 육군과 마찬가지로 보병, 포병, 기갑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수부대가 아니다. 이들은 정예부대이지 특수부대가 아니다.
특수부대는 단순히 힘든 훈련을 받는 부대가 아니라, 특수전/비정규전이라는 '임무'를 가진 부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특수한 임무 때문에 강도 높은 훈련이 따르는 것이다.
특수부대는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극한 수준으로 전문화/고급화된 보병이다. 이들은 각종 무기 제원, 전술 전략, 군사학, 정보활동교리 등에 해박해야 한다. 유사시에는 단독, 혹은 소규모로 투입되어 전쟁의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 비정규전을 총괄하는 고급 인력이기 때문이다.
제대로 된 특수부대원 1인을 양성하는 데에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수작전사령부의 2등급 특수부대인 네이비 실의 경우, 2023년 기준 신참 요원 양성에만 3년(실질적으로는 4~5년 이상), 한화 약 20억원(200만 달러)이 소요되며,[59] 매년 주기적인 교육 훈련 및 파병 비용으로 100만달러 이상이 소모된다. 이는 5~6년차 해·공군 파일럿보다도 비싼 수준이다. 백악관의 직속 명령을 받는 합동특수작전사령부의 1등급 특수부대 작전대원을 양성하는 데에는 최소 7~10년이 소요되며, 평균적으로 30대의 나이[60]라고 알려져 있다.
특수부대는 현대전에 있어 필수적인 존재이다. 기술화, 전문화된 전장일수록 이들의 활약상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특수부대가 흔히 수행하는 임무는 다음과 같다. (대테러부대의 경우(☆)에는 더 심화된 임무가 많다.)
- 적 후방 침투 후 유선 통신망 감청 장비 설치
- 적 작전사령부 군단장 제거
- 적 탄약고에 불량 탄약 투입
- 마약 카르텔 소탕 및 국내 유통 루트 차단
- 테러 단체/국가/단체 잠입 후 공작 활동
- 테러 단체 전복 및 지역 수복
- 적 후방 기지 잠입 및 정찰
- 적 형무소 억류 아군 인사 구출(☆)
- 인질 구출(☆)
- 테러 가능성 사전 차단(☆)
일반 보병 부대는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다. 특수 훈련을 받지 않은 일반 군인은 적군의 방어선을 돌파하지 못하고 물자와 인력만 소비할 가능성이 크며, 심하면 정규전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특수부대는 상황에 따라 소수 팀으로 움직이며, 일반적인 보병전에 잘 출동하지 않는다. 적과의 교전이 임무에 지장을 준다고 판단되면 회피하며, 무선 침묵을 지키기 위해 임의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경우도 많다. 미합중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산하 1등급 SMU 부대들은 현장 전투지휘관의 작전 수행 방식에 사령부나 백악관도 간섭하지 못한다.
미디어에서는 특수부대가 일반 보병보다 좋은 장비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AK-47, RPG-7, 테크니컬 등 테러리스트 차림으로 다니는 경우도 많다. 특히 테러와의 전쟁이나 IS 잠입 공작 임무의 경우 현지인 복장과 언어를 익혀 활동하기도 한다.
국가마다 특수부대의 성격은 다르다. 미군 특수작전사령부처럼 첨단 장비를 지원받고 별도의 사령부를 두거나 군종으로 독립된 경우도 있지만, 경보병 수준이거나 아군과 적 모두에게 위협적인 경우도 있다.
한국군 기준으로 특수부대 중 제대로 된 작전대원은 최소 3~4년차 이상의 장교와 부사관으로 구성된다. 미군 부사관들은 병에서 출발하지만, 네이비 실 등은 부사관급 계급을 달고 난 뒤에 지원 가능하다.
특수부대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
- 적대 환경에서의 정찰 및 감시
- 외국 내부 방위: 다른 국가의 군대 및 보안군 훈련 및 발전
- 공격 작전
- 주민 참여 및 지원을 통한 대테러 작전 지원
- 대테러 작전
- 파괴 공작 및 폭파
- 인질 구출
다른 능력으로는 경호, 수중작전을 포함한 수상 작전, 해상 접근 작전 및 상륙 작전, 그리고 공군 특수부대 작전 지원 등이 있다.
2. 3. 특징
특수부대는 수색전, 게릴라 활동, 첩보 활동, 비밀 작전, 파괴 공작, 심리전, 대테러전 등 특수전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정예부대이다. 해병대나 공수부대는 정예부대이지만, 특수부대는 아니다. 특수부대는 단순히 훈련 강도가 높은 부대가 아니라, 특수전/비정규전이라는 '임무'를 가진 부대를 의미한다.특수부대는 개인이 할 수 있는 가장 극한 수준으로 전문화/고급화된 보병이다. 이들은 각종 무기 제원, 전술 전략, 군사학, 정보활동교리에 해박해야 한다. 유사시에는 소수 인원으로 투입되어 전쟁의 승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국가 비정규전을 총괄한다.
제대로 된 특수부대원 1인을 양성하는 데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미 해군 네이비 실의 경우 2023년 기준 신참 요원 양성에만 3년(실질적으로 4~5년 이상), 한화 약 27억 원(200만달러)[59]이 소요되며, 매년 100만 달러(100만달러) 이상이 추가로 소모된다. 이는 5~6년차 해·공군 파일럿보다도 비싼 수준이다. 백악관 직속 합동특수작전사령부의 1등급 특수부대원 양성에는 최소 7~10년이 소요되며, 평균 연령은 30대[60]이다.
특수부대는 현대전에 필수적인 존재이다. 기술화, 전문화된 전장일수록 특수부대의 활약상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임무를 수행한다. (대테러부대는 더 심화된 임무 수행(☆))
- 적 후방 침투 및 통신망 감청 장비 설치
- 적 작전사령부 군단장 제거
- 적 탄약고에 불량 탄약 투입 (실제 베트남 전쟁 당시 MACV-SOG의 AK-47 탄약 대상 작전)
- 마약 카르텔 소탕 및 유통 루트 차단 (현대 미국의 중남미 마약전쟁)
- 테러 단체/국가/단체 잠입 및 공작 활동
- 테러 단체 전복 및 지역 수복 (아프간 침공 당시 미 그린베레의 주 임무)
- 적 기지 잠입 정찰
- 적국 형무소 억류 인사 구출(☆) (1989년 파나마 침공 당시 델타포스의 커트 뮤즈 구출 작전)
- 인질 구출(☆) (한국의 청해부대 특수전팀의 삼호 쥬얼리호 구출 작전)
- 테러 발생 전 테러 가능성 차단(☆)
일반 보병 부대는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어렵다. 특수부대는 일반 부대와 달리 소수 팀으로 움직이며, 상황에 따라 임의 판단 및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미 합동특수작전사령부 산하 1등급 부대는 현장 지휘관의 작전 수행 방식에 백악관도 간섭하지 못한다.
미디어에서는 특수부대가 일반 보병보다 좋은 장비를 착용한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AK-47, RPG-7, 테크니컬 등 테러리스트 차림으로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테러와의 전쟁이나 IS 잠입 공작 임무의 경우 현지인 복장과 언어를 익혀 활동한다.
국가마다 특수부대의 성격은 다르다. 미군 특수작전사령부처럼 첨단 장비를 지원받거나 별도 군종으로 독립된 경우도 있지만, 대한민국 국군 특전부대나 러시아 스페츠나츠처럼 경보병 수준인 경우도 있다.
한국군 특수부대 중 제대로 된 작전대원은 최소 3~4년차 이상의 장교와 부사관으로 구성된다. 미군 최정예 네이비 실 등은 부사관급 계급을 달고 난 뒤에 지원 가능하다. 그린베레는 대부분 군경력 2년 이상인 사람들이 지원한다.
특수부대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
- 적대 환경에서의 정찰 및 감시
- 외국 내부 방위: 타국 군대 및 보안군 훈련
- 공격 작전
- 주민 지원 및 대테러 작전 지원
- 대테러 작전
- 파괴 공작 및 폭파
- 인질 구출
- 경호
- 수중작전
- 해상 접근 작전 및 상륙 작전
- 공군 특수부대 작전 지원
특수작전의 구성 요소인 게릴라부대의 기습 공격은 오래전부터 존재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군에 저항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민병은 "게릴라"라는 용어의 어원이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영국군 영국 코만도와 독일 국방군 브란덴부르크 부대 등이 적 후방에서 코만도 부대 기습 공격을 전개했다.
냉전 시대에는 혁명투쟁의 일환으로 비정규전이 빈발했고,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군은 특수작전 부대를 정비했다. 그러나 육해공군 주류 장교들은 특수부대를 이단시했고, 합동작전에 어려움이 있었다. 동구권은 파르티잔 경험을 바탕으로 대규모 특수부대를 정비했다. 조선인민군은 특수부대를 중시하며, 한국 국방백서 2008년도판에 따르면 약 18만 명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52][53]
군 특수부대와 별도로,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찰은 텍사스 타워 총기 난사 사건 같은 흉악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SWAT 부대를 창설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을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는 GSG-9, BRI-BAC처럼 대테러 작전에도 대응 가능한 법 집행 기관 부대가 발족했다. 앵글로색슨 국가는 대테러 작전을 군이 담당하여, 영국 특수공수부대(SAS)는 대혁명전 부대(CRW Wing)를 편성, 1980년 주영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에 출동했다. 미국은 SAS를 본떠 델타 포스를 발족했다. 그러나 군사 작전은 위협 제거를 위해 모든 화력을 사용하는 반면, 법 집행 활동은 무기 사용을 최소화해야 하므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앞둔 연방수사국(FBI)은 인질 구출팀(HRT)을 편성했다.
3. 역사
현대 특수부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등장했다. 1940년 윈스턴 처칠의 요구로 영국군 코만도가 창설되었고,[23] 1940년 6월 23일 최초의 코만도 습격이 이루어졌다.[24] 이들은 J. C. 헤이든 준장의 지휘 아래 특수작전여단으로 편성되었다가 12개 부대로 확장되어 코만도로 알려지게 되었다.[25][24] 각 코만도는 약 45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1940년 12월, 중동 코만도 기지가 설립되어 훈련 및 보강 병력을 공급했고,[26] 1942년 2월에는 스코틀랜드 아크나캐리에 코만도 훈련 기지가 설립되었다. 훈련은 실탄과 폭발물을 사용하며, 체력, 속도, 지구력, 강 건너기, 산악 등반, 무기 훈련, 지도 읽기, 소형 보트 운용 등을 포함했다.[26]
코만도는 북극권에서 동남아시아까지 모든 전장에서 활동했으며, 소규모 부대부터 여단급까지 다양한 작전을 수행했다. 영국 낙하산 연대, 특수항공서비스(SAS), 특수보트서비스(SBS) 등이 코만도 출신으로 창설되었다. 제10(연합군) 코만도는 프랑스 해군 코만도, 네덜란드 코만도 부대, 벨기에 파라코만도 여단으로 이어졌다.[27][28][29]
폴란드 망명 정부는 치호치엠니라는 특수 부대를 편성하여 폴란드에 투입했고,[36] 이들은 바르샤바 봉기에 참여했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기간 중 칼레드 모샤라프는 크랙 소대를 편성하여 다카를 위협하고 세계은행 원조 승인을 중단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43] 크랙 소대는 다카 전력 공급 파괴 등 여러 작전을 수행했다.[47][48]
게릴라부대의 기습 공격은 나폴레옹 전쟁 중 반도 전쟁에서 프랑스군에 저항한 스페인과 포르투갈 민병에서 유래되었다.
3. 1. 초기 역사
특수부대는 전쟁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이들은 전통적인 전투 방식이 아닌 '치고 빠지기'와 파괴 공작을 통한 교란 작전을 수행하거나, 적진에서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정찰 활동을 수행했다.중국의 전략가 강태공은 그의 저서 ''육략''에서 특수 정예 부대에 재능 있는 인원을 모집하는 것을 설명했다.[7] 일본에서는 닌자가 정찰, 스파이 활동 및 암살자 등으로 활용되었다.[14]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는 정찰과 스커미싱에 특화된 라이플 연대와 사퍼 부대가 편성되었다.

17세기와 18세기 미국에서는 식민지 개척민들과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 간의 전쟁에서 레인저들이 특수 부대로 활약했다. 이들은 개척지 전투를 수행하며 정찰, 정보 수집, 경보병, 스카우팅을 제공했다. 벤저민 처치 대령은 미국 최초의 레인저 부대(1676년) 대장이었다.[15] 조지 워싱턴의 대륙군을 위한 정찰 및 첩보 활동을 제공한 놀턴 레인저와 대륙군의 레인저 부대 지휘관 다니엘 모건도 레인저 부대와 관련이 있다.
영국 인도군은 국경 전쟁 중 가이드 부대(1846년 창설)와 고르카 스카우트(1890년대 창설)라는 두 개의 특수 부대를 배치했다.[18]
제2 보어 전쟁(1899-1902) 동안 영국군은 길리 슈트를 착용하고 사격술 등에 정통한 산림 전문가로 구성된 로바트 스카우트와 같은 정찰 부대를 활용했다. 이 부대는 로바트 경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프레더릭 러셀 번햄 소령이 초기 지휘관으로 활동했다.[19]

1899년 필리핀 혁명군에 복무하기 위해 안토니오 루나 장군에 의해 창설된 ''루나 저격수''(Tiradores de la Muerte)는 정예 부대로, 일반 필리핀 군인들보다 더욱 격렬하게 싸운 것으로 유명하다.[20] 이들은 필리핀-미국 전쟁의 모든 주요 전투에서 선봉 부대로 활약했으며, 파예 전투에서 미국 육군의 헨리 웨어 로턴 장군을 사살하기도 했다.[21]
3. 2. 제1차 세계 대전

독일의 돌격대(슈토름트루펜de)와 이탈리아의 아르디티(Arditi)는 최초의 현대식 돌격대였다. 이들은 모두 평균 병력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훈련받은 정예 돌격 부대로, 적 방어선에 대한 대담한 공격과 과감한 기습 작전을 수행하는 임무를 맡았다. 돌격대와 달리 아르디티는 보병 사단 내의 부대가 아니었고, 별도의 전투 병과로 간주되었다.[22]
3. 3. 전간기
전간기에는 특수부대의 발전이 더디었지만, 남아메리카에서 벌어진 차코 전쟁에서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차코 전쟁 당시 볼리비아군에는 '죽음의 칼날들'(Cuchillos de la Muerte|쿠치요스 데 라 무에르테es)이라는 별명을 가진 제50보병연대가 있었다. 이들은 칼과 총검을 주로 사용했다. 파라과이군에는 보케론 전투 직전인 1932년 8월 15일부터 조직된 하라의 마체테로스(Macheteros de Jara)라는 보조 기병 연대가 있었는데, 이들은 전직 무법자들로 구성되어 볼리비아군과 싸웠다.
3. 3. 1. 차코 전쟁
하라의 마체테로스(Macheteros de Jara)는 보케론 전투가 시작되기 전인 1932년 8월 15일부터 조직된 보조 기병 연대였다. 이 연대는 볼리비아 장교와 병사들과 싸운 파라과이 출신의 전직 무법자들로 구성되었다.제50보병연대(쿠칠레로스 데 라 무에르테(Cuchilleros de la Muerte))는 차코 전쟁에서 싸운 볼리비아 보병 연대였다. '죽음의 칼날들'(Cuchillos de la Muerte|쿠치요스 데 라 무에르테es)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 연대는 거의 전적으로 칼날 무기, 특히 총검을 사용하는 데 의존했다.
3. 4. 제2차 세계 대전
영국의 조언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는 특수부대를 창설하기 시작했다.[37] 최초로 편성된 부대는 독립 중대였으며, 1941년 초 빅토리아주 윌슨 프로몬토리에서 영국 교관의 지도하에 훈련을 시작했다. 장교 17명과 병력 256명으로 구성된 독립 중대는 "후방 저항 부대"로 훈련받았으며, 1942년부터 1943년까지 남서 태평양 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우는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티모르에서 게릴라전을 벌였고, 뉴기니에서도 활동했다.[38] 1943년 중반, 총 8개의 독립 중대가 코만도 중대로 재편성되어 기갑 코만도 연대로 재지정된 사단 기병 연대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일환으로 총 11개의 코만도 중대가 창설되었다.이들은 독립적으로 활동을 계속했으며, 전쟁 후반에는 종종 여단급으로 배치되어 뉴기니, 부겐빌, 보르네오 전투에 참가하여 주로 장거리 정찰 및 측면 방어 임무를 수행했다.[39] 이러한 부대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는 Z 특수부대와 M 특수부대를 창설했다. M 특수부대는 주로 정보 수집 역할을 수행한 반면, Z 특수부대는 직접적인 작전 임무를 수행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활동 중 하나는 제이윅 작전으로, 1943년 싱가포르 항구에서 여러 일본 선박을 침몰시켰다. 1944년 싱가포르에 대한 두 번째 습격인 리마우 작전은 실패했다.[40]

추축국은 영국과 같은 규모로 특수부대를 운용하지 않았다.
3. 5.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71)
제공된 원문에는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1971)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 답변은 변경 불가)3. 6. 현대의 특수부대
냉전 시대에는 혁명투쟁의 일환으로 비정규전이 빈발했고,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군도 이에 대응해야 했기 때문에 특수작전 부대의 정비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육해공군 주류 장교들은 특수작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특수부대를 이단시하는 경향이 강했고, 특히 다른 군종과의 합동작전에는 어려움이 따랐다.[52] 한편, 동구권에서는 전쟁 중 파르티잔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정규전 개입의 필요성도 있어 대규모 특수부대가 정비되었다. 조선인민군은 특히 특수부대를 중시하고 있으며, 한국 국방백서 2008년도판에 따르면 지난 2년간 6만 명을 증원하여 약 18만 명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52][53]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찰에서는 텍사스 타워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흉악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SWAT 부대의 창설이 잇따랐다. 또한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를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는 대테러 작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법 집행 기관의 부대가 발족했다. 앵글로색슨 국가에서는 대테러 작전을 군이 담당하게 되어, 영국에서는 육군 특수공수부대(SAS)에 대혁명전 부대를 편성하여 1980년 주영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에도 출동했다. 또 미국에서도 SAS를 본떠 델타 포스가 발족했다. 그러나 군사 작전에서는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화력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시되는 반면, 법 집행 활동의 경우 무기 사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해야 이후 수사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법원에서도 비난받을 수 있기 때문에,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앞둔 연방수사국(FBI)에서는 독자적인 대테러 작전 부대인 인질 구출팀(HRT)이 편성되었다.
4. 현대 특수부대의 발전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에 이르기까지 특수부대는 더욱 중요해졌다. 정부는 때때로 대규모이고 정치적으로 논란이 많은 전통적인 배치보다 소규모의 익명 전문가 팀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코소보와 아프가니스탄 모두에서 특수부대는 현지 게릴라 전투원과 공군력 간의 활동 조정에 사용되었다.
특수부대는 라오스 내전,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 베트남 전쟁, 포르투갈 식민 전쟁, 남아프리카 국경 전쟁, 포클랜드 전쟁, 북아일랜드의 더 트러블스, 자프나 대학교 헬리콥터 강하 작전, 제1차 및 제2차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크로아티아, 코소보, 보스니아, 제1차 및 제2차 체첸 전쟁, 이란 대사관 인질극(런던), 에어프랑스 8969편 납치 사건(마르세이유), 방어막 작전, 쿠크리 작전, 모스크바 극장 인질극, 오차드 작전, (일본) 대사관 인질극(리마), 스리랑카의 LTTE에 대한 작전, 파키스탄의 오사마 빈 라덴 은신처 급습, 2016년 인도 통제선 공격, 2015년 미얀마 인도 반군 작전, 그리고 2019년 시리아의 바리샤 급습 등 전시 및 평시 군사 작전에 사용되었다.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미국의 침공에는 여러 연합국 출신 특수부대가 참여했으며, 2001년~2002년에 탈레반을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수부대는 이후 작전에서 탈레반과 싸우는 데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세계 일부 지역에서는 성별 제한이 완화됨에 따라 여성들이 특수부대 선발에 지원하고 있으며, 2014년 노르웨이 특수작전부대는 여성으로만 구성된 부대인 ''예게르트로펜''(Hunter Troop영어)을 창설했다.
결의안 598호에 따른 프라임 찬스 작전은 (미국) 특수작전사령부(USSOCOM) 부대의 첫 번째 배치였으며, 이는 레이건 행정부 시절 국방장관 하에서 이루어졌다.[49]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미국 특수작전사령부 제9대 사령관을 역임했던 윌리엄 H. 맥레이븐 제독은 2012년 (미국) 상원 군사위원회에 제출한 자세 보고서에서 특수부대 작전에 대한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설명했다. "직접적 접근 방식은 기술적으로 지원되는 소규모 정밀 타격, 집중적인 정보, 그리고 디지털 네트워크 전장에 통합된 부처 간 협력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이며, 반면 "간접적 접근 방식에는 주요 국가군 지원, 인도주의 기관에 대한 적절한 지원 제공, 그리고 주요 인구와의 교류가 포함된다."[50] 특수부대와 같이 단일 능력에 과도하게 의존하여 전체 부대가 군사 작전 전반에 걸쳐 준비되지 않고 공허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 권력의 요소들을 조화롭게 배치해야 한다.[51]
4. 1. 냉전 시대
냉전 시대에는 혁명투쟁의 일환으로 비정규전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군도 이에 대응해야 했기 때문에 특수작전 부대 정비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육해공군 주류 장교들은 특수작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특수부대를 이단시하는 경향이 강했고, 특히 다른 군종과의 합동작전에는 어려움이 따랐다.[52] 한편, 동구권에서는 전쟁 중 파르티잔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정규전 개입의 필요성도 있어 대규모 특수부대가 정비되었다. 조선인민군은 특히 특수부대를 중시하고 있으며, 한국 국방백서 2008년도판에 따르면 지난 2년간 6만 명을 증원하여 약 18만 명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52][53]이러한 군대의 특수작전 부대와는 별도로, 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찰에서는 텍사스 타워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흉악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SWAT 부대의 창설이 잇따랐다.
또한 1972년의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을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는 서독 국경경비대의 GSG-9이나 파리 경찰청의 BRI-BAC처럼 단순한 흉악범 대처에 그치지 않고 대테러 작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법 집행 기관의 부대가 발족했다. 이에 대해 앵글로색슨 국가에서는 대테러 작전을 군이 담당하게 되어, 영국에서는 육군 특수공수부대(SAS)에 대혁명전 부대(CRW Wing)를 편성하여 1980년의 주영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에도 출동했다. 또 미국에서도 SAS를 본떠 델타 포스가 발족했다. 그러나 군사 작전에서는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가용한 모든 화력을 사용하는 것이 당연시되는 반면, 법 집행 활동의 경우 무기 사용을 최소한으로 억제해야 이후 수사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법원에서도 비난받을 수 있기 때문에,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앞둔 연방수사국(FBI)에서는 독자적인 대테러 작전 부대인 인질 구출팀(HRT)이 편성되었다.
육상자위대에서는 창설 직후인 1954년 9월에 조사학교를 설치하였다. 구 육군 나카노학교 졸업생을 교관으로 초빙하는 한편 미국 육군특수부대와도 연계하여 특수작전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1956년, 전 F기관장인 후지와라 육장보가 교장에 보임되면서, 적 후방 지역 등에서 정보 획득이나 유격 활동 등을 담당하는 간부를 육성하는 대심리정보과정(현재의 심리전 방호과정)이 개설되었는데, 이 과정은 당초 직접적으로 "SF과정"(Special Forces영어)이라고 불렸다.
이와는 별도로, 정규전에서의 유격전 요원 육성을 위해 1956년에는 후지학교에서 레인저 과정이 시작되었다. 1958년에는 공정부대로서 제1공정단이 편성되었는데, 이쪽도 정예 부대이기에 특수작전 투입도 상정되었다. 또 북부방면대에서도 소비에트 연방군의 상륙에 대비하여 유격전 준비를 진행하고 있었고, 1961년에는 우선 쿠치안 주둔지에 북부방면총감부 제3부에 특별전기훈련대가 설치되어, 1962년에는 나요로 주둔지로 이주하였고, 1971년에는 마코마나이 주둔지에서 동계전기교육대로 개칭되었다.
해상자위대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에 매설된 기뢰나 불발탄, 해중 폐기 화약류에 대한 폭발물 처리(EOD)를 담당하는 수중처리원의 육성을 서둘렀는데, 당초 미국 해군에서는 EOD과정에 외국인 유학생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 대신 1957년부터 프로그맨을 양성하는 UDTra(Under Water Demolition Training영어) 과정에 유학생을 파견하고 있었다. 이 UDTra 과정은 네이비 실의 선발 훈련의 전신에 해당하는 것으로, 극히 가혹하여, 해자로부터의 최초 유학생은 훈련 중 순직하였다. 그 후, 1964년부터 EOD과정에 대한 유학생 수용이 시작되었기 때문에, UDTra 과정에 대한 파견은 행해지지 않게 되었다.
4. 2. 냉전 이후
냉전 시대에는 혁명투쟁의 일환으로 비정규전이 자주 일어났고, 베트남 전쟁에 개입한 미국군도 이에 대응해야 했기 때문에 특수작전 부대 정비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육해공군 주류 장교들은 특수작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특수부대를 이단시하는 경향이 강했고, 특히 다른 군종과의 합동작전에는 어려움이 따랐다.[52] 한편, 동구권에서는 전쟁 중 파르티잔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정규전 개입의 필요성을 느껴 대규모 특수부대가 정비되었다. 조선인민군은 특히 특수부대를 중시하고 있으며, 한국 국방백서 2008년도판에 따르면 지난 2년간 6만 명을 증원하여 약 18만 명의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53]1960년대 후반부터 미국 경찰에서는 텍사스 타워 총기 난사 사건과 같은 흉악 범죄에 대처하기 위한 SWAT 부대 창설이 잇따랐다. 또한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을 계기로 유럽 대륙에서는 대테러 작전에도 대응할 수 있는 법 집행 기관 부대가 발족했다. 앵글로색슨 국가에서는 대테러 작전을 군이 담당하게 되어, 영국에서는 육군 특수공수부대(SAS)에 대혁명전 부대를 편성하여 1980년 주영 이란 대사관 점거 사건에도 출동했다. 미국에서도 SAS를 본떠 델타 포스가 발족했다. 그러나 군사 작전과 법 집행 활동의 차이로 인해, 연방수사국(FBI)에서는 독자적인 대테러 작전 부대인 인질 구출팀(HRT)을 편성하였다.

1995년에 각의결정(閣議決定)된 07대강에서 냉전 종식 등 국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방위력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2002년에는 서부방면보통과연대(WAiR), 2004년에는 육상자위대 최초의 특수부대인 특수작전군(SOG)이 편성되었다. 2001년에는 노토반도 앞바다 불심선 사건을 계기로 해상자위대에서도 특별경비대(SBU)를 편성하였다.
2004년에 제정된 「특수작전대원의 범위 등에 관한 훈령」에서 육상자위대의 「특수작전대원」은 아래와 같이 4가지로 규정되었다.[54]
구분 | 내용 |
---|---|
1 | 공정기본훈련과정 및 별도로 지정하는 특수작전업무 과정을 수료하고, 특수작전군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
2 | 공정기본훈련과정을 수료하고, 특수작전군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중 별도로 지정하는 자(1호에 규정된 자 제외) |
3 | 별도로 지정하는 수륙양용 과정 및 레인저 과정을 수료하고, 서부방면보통과연대에 소속된 육상자위관(해당 훈련과정을 수료한 대원만으로 편성되는 소대의 대원 중 별도로 지정하는 자) |
4 | 수륙양용과정을 수료하고, 서부방면보통과연대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중 별도로 지정하는 자(3호에 규정된 자 제외) |
여기서 언급되는 「해당 훈련과정을 수료한 대원만으로 편성되는 소대」는 「특수작전대원의 지정 등에 관하여(통지)」에서 「서부방면보통과연대의 본부관리중대의 정보소대 또는 보통과중대의 소총소대(B)」라고 기재되어 있다.[55]
2011년에는 항공자위대에서도 대게릴라작전 연구 및 기지경비대에 대한 교도를 임무로 하는 기지경비교도대(BDDTS)가 발족했다.
서부방면보통과연대는 2018년에 편성된 수륙기동단의 제1수륙기동연대, 제2수륙기동연대, 제3수륙기동연대로 개편되었다.
5. 한국의 특수부대
대한민국 국군은 각 군의 특성에 맞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5. 1.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각 군의 특성에 맞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특수부대를 보유하고 있다.
5. 1. 1. 개요
'''특수부대'''는 일반적인 군사 작전보다 더 어렵고 위험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별히 훈련받고 조직된 부대이다. 육상자위대는 1954년 조사학교를 설치하여 특수작전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1956년에는 후지학교에서 레인저 과정이 시작되었고, 1958년에는 공정부대인 제1공정단이 편성되었다. 북부방면대는 소비에트 연방군의 상륙에 대비하여 유격전 준비를 진행하였고, 1961년 쿠치안 주둔지에 특별전기훈련대를 설치, 1971년 동계전기교육대로 개칭하였다.해상자위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 매설된 기뢰나 불발탄, 해중 폐기 화약류에 대한 폭발물 처리(EOD)를 담당하는 수중처리원을 육성하기 위해, 1957년부터 프로그맨을 양성하는 UDTra(Under Water Demolition Training영어) 과정에 유학생을 파견하였다.
1995년 07대강에서 방위력 재검토가 이루어졌고, 2002년 서부방면보통과연대(WAiR), 2004년 특수작전군(SOG)이 편성되었다. 2001년에는 노토반도 앞바다 불심선 사건을 계기로 해상자위대 특별경비대(SBU)가 편성되었다.
2004년 제정된 「특수작전대원의 범위 등에 관한 훈령」에서 육상자위대의 「특수작전대원」은 4가지로 규정되었다.[54]
2011년, 항공자위대는 기지경비교도대(BDDTS)를 발족했다.
2018년, 서부방면보통과연대는 수륙기동단의 제1수륙기동연대・제2수륙기동연대・제3수륙기동연대로 개편되었다.
5. 1. 2. 육군
육상자위대는 창설 직후인 1954년 9월에 조사학교를 설치하고, 미국 육군특수부대와 연계하여 특수작전에 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54] 1956년에는 후지학교에서 레인저 과정이 시작되었고, 1958년에는 공정부대인 제1공정단이 편성되었다.[54] 북부방면대에서도 소비에트 연방군의 상륙에 대비하여 유격전 준비를 진행하였고, 1961년에는 북부방면총감부 제3부에 특별전기훈련대가 설치되었으며, 1971년에는 동계전기교육대(동계전기교육대)로 개칭되었다.[54]1995년에 閣議決定(각의결정)된 07대강에서 방위력 재검토가 이루어졌고, 2002년에는 서부방면보통과연대(WAiR), 2004년에는 육상자위대 최초의 특수부대인 특수작전군(SOG)이 편성되었다.[54]
2004년에 제정된 「특수작전대원의 범위 등에 관한 훈령」에서 육상자위대의 「특수작전대원」은 아래 4가지로 규정되었다.[54]
- 공정기본훈련과정 및 별도로 지정하는 특수작전업무 과정을 수료하고, 특수작전군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 공정기본훈련과정을 수료하고, 특수작전군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중 별도로 지정하는 자 (위 규정자 제외)
- 별도로 지정하는 수륙양용 과정 및 레인저 과정을 수료하고, 서부방면보통과연대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해당 훈련과정 수료 대원만으로 편성되는 소대의 대원 중 별도 지정자 한정)
- 수륙양용과정을 수료하고, 서부방면보통과연대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중 별도로 지정하는 자 (위 규정자 제외)
여기서 언급된 「해당 훈련과정을 수료한 대원만으로 편성되는 소대」는 「특수작전대원의 지정 등에 관하여(통지)」에서 「서부방면보통과연대의 본부관리중대의 정보소대 또는 보통과중대의 소총소대(B)」라고 기재되어 있다.[55]
서부방면보통과연대는 2018년에 편성된 수륙기동단의 제1수륙기동연대, 제2수륙기동연대, 제3수륙기동연대로 개편되었다.
5. 1. 3. 해군
1995년에 각의결정(閣議決定)된 07대강에서 냉전 종식 등 국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방위력 재검토가 이루어졌다. 2001년 노토반도 앞바다 불심선 사건을 계기로 해상자위대에서도 자위함대 직할 특별경비대(SBU)를 편성하였다.[15]5. 1. 4. 공군
2011년, 항공자위대는 대게릴라작전 연구 및 기지경비대에 대한 교육을 임무로 하는 기지경비교도대(BDDTS)를 창설했다.[54]5. 1. 5. 특수작전대원의 범위 (2004년 제정 훈령)
2004년에 제정된 「특수작전대원의 범위 등에 관한 훈령」에서는 육상자위대의 「특수작전대원」을 아래와 같이 네 가지로 규정하였다.[54]- 공정기본훈련과정 및 별도로 지정하는 특수작전업무 과정을 수료하고, 육상자위대의 특수작전군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 공정기본훈련과정을 수료하고, 육상자위대의 특수작전군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중 별도로 지정된 자 (위 규정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
- 별도로 지정하는 수륙양용 과정 및 별도로 지정하는 레인저 과정을 수료하고, 육상자위대의 서부방면보통과연대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해당 훈련과정을 수료한 대원만으로 편성되는 소대의 대원 중 별도로 지정된 자로 한정)
- 수륙양용과정을 수료하고, 육상자위대의 서부방면보통과연대에 소속된 육상자위관 중 별도로 지정된 자 (위 규정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
여기서 언급된 「해당 훈련과정을 수료한 대원만으로 편성되는 소대」는 「특수작전대원의 지정 등에 관한 통지」에서 「서부방면보통과연대의 본부관리중대의 정보소대 또는 보통과중대의 소총소대(B)」라고 명시되어 있다.[55]
5. 2. 경찰
일본 경찰은 경비부에 테러 대응 부대를, 형사부에 유괴나 인질극 등 강력 범죄 수사 부서를 두고 있다. 일부 현 경찰은 경비부와 형사부 인원을 합쳐 합동 부대를 편성하기도 한다.[56]5. 2. 1. 개요
1977년 다카 항공기 납치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비밀리에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에 대테러 특수부대 편성을 지시했다.[55] 경시청에서는 제6기동대 특과중대(SAP), 오사카부 경찰에서는 제2기동대 영중대(零中隊)로 발족했다. 1996년 특수부대의 존재를 공표하고 특수부대(SAT)로 개편하여 도쿄와 오사카 외에도 홋카이도 경찰, 지바현 경찰, 가나가와현 경찰, 아이치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각 경비부에도 발족하게 되었다. 2005년 오키나와현 경찰에도 편성되고 각지 부대도 증강되었다.[54]
SAT을 보완하는 테러 대응 부대로서 각 경찰 본부 기동대에는 총기 대책 부대, NBC 테러 대응 전문 부대, 폭발물 처리반이 설치되어 있다.[56] 총기 대책 부대는 1968년 김희로 사건을 계기로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 등에 발족한 특수총대를 전신으로 한다. 사이타마현 경찰 RATS처럼 레인저를 준거로 래펠링 하강 등의 난입 능력을 갖춘 부대도 있다.[51] 2020년 오키나와현 경찰에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도서 지역에 불법 상륙하는 활동가나 어민으로 위장한 공작원 대응을 임무로 하는 국경 도서 경비대가 설치되었다.[57]

경시청 수사부는 1963년 기시텐짱 유괴 살인 사건(吉展ちゃん誘拐殺人事件)에서의 인질 구출 실패를 교훈 삼아 1964년 특수범죄수사계(特殊犯捜査係)를 설치했다. 이는 수사 1과 내에서 유괴, 억류, 기업 협박,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을 담당하는 부서였다. 경찰청도 이러한 정책에 주목하여 1981년 3월까지 모든 경찰 본부에 설치되었다.[58]
최근에는 많은 경찰 본부에서 수사부에 진입반이 편성되어 있지만, 명칭은 각각 다르다. 경시청에서는 "SIT", 오사카부 경찰에서는 "MAAT", 사이타마현 경찰에서는 "STS", 가나가와현 경찰에서는 "SIS", 지바현 경찰에서는 "ART"라고 불린다.
5. 2. 2. [[경찰청]]
1977년 다카 항공기 납치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에 대테러 특수부대 편성을 비밀리에 지시했다.[55] 경시청에서는 제6기동대 특과중대(SAP), 오사카부 경찰에서는 제2기동대 영중대(零中隊)가 발족했다. 오사카부 경찰 부대는 1979년 미쓰비시은행 인질사건에서 출동해 범인을 사살했고, 경시청 부대는 1995년 전일본공수 857편 납치 사건에서 홋카이도 경찰 부대의 난입을 지원했다. 1996년 경찰청은 특수부대의 존재를 공표하고 특수부대(SAT)로 개편하여 도쿄와 오사카 외에도 홋카이도 경찰, 지바현 경찰, 가나가와현 경찰, 아이치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각 경비부에도 발족하게 되었다. 2005년에는 오키나와현 경찰에도 편성되고 각지 부대도 증강되었다.[54]5. 2. 3. [[경시청]]
1977년 다카 항공기 납치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비밀리에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에 대테러 특수부대 편성을 지시했으며[54], 경시청에서는 제6기동대 특과중대(SAP)가 발족했다. 경시청 부대는 1995년 전일본공수 857편 납치 사건에서 난입하는 홋카이도 경찰 부대를 지원했다. 1996년 경찰청은 특수부대의 존재를 공표하고 특수부대(SAT)로 개편하면서 경시청에도 SAT가 발족하게 되었다.[55]경찰 본부 기동대에는 SAT을 보완하는 테러 대응 부대로서 총기 대책 부대가 설치되어 있다.[56] 이 총기 대책 부대는 1968년 김희로 사건을 계기로 경시청 등에 발족한 특수총대를 전신으로 하며, 1996년에 상설 부대로 증강 개편되었다. 경시청 기동대에서는 총기 대책 부대에서 선발하여 긴급 시 초동 대응 부대(ERT)를 편성하여 즉응 체제를 갖추고 있다.[55]
5. 2. 4. [[오사카부 경찰]]
1977년 다카 항공기 납치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오사카부 경찰에 대테러 특수부대 편성을 비밀리에 지시했고[55], 오사카부 경찰에서는 제2기동대 영중대(零中隊)가 발족했다. 1979년 미쓰비시은행 인질사건에 출동하여 범인을 사살했다.[55] 1996년 SAT로 개편되었다.5. 2. 5. [[지바현 경찰]]
1996년, 경찰청은 특수부대의 존재를 공표하고 SAT로 개편하여 도쿄와 오사카 외에도 지바현 경찰을 포함한 여러 현 경찰 경비부에 SAT를 발족시켰다.[56]5. 2. 6. [[사이타마현 경찰]]
사이타마현 경찰의 RATS는 레인저를 준거로 래펠링 하강 등의 난입 능력을 갖춘 부대이다.[56]5. 2. 7. [[가나가와현 경찰]]
1977년 다카 항공기 납치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에 대테러 특수부대 편성을 비밀리에 지시했다. 1996년에는 특수부대의 존재를 공표하고 SAT로 개편하여 지바현 경찰, 가나가와현 경찰, 아이치현 경찰 등 각 경비부에도 발족하게 되었다.[56]5. 2. 8. 기타 경찰 본부
1977년 다카 항공기 납치 사건을 계기로 경찰청은 비밀리에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에 대테러 특수부대 편성을 지시했다.[56] 경시청에서는 제6기동대 특과중대(SAP), 오사카부 경찰에서는 제2기동대 영중대(零中隊)로 발족했다. 오사카부 경찰 부대는 1979년 미쓰비시은행 인질사건에서 출동하여 범인을 사살했고, 경시청 부대는 1995년 전일본공수 857편 납치 사건에서 난입하는 홋카이도 경찰 부대를 지원했다. 1996년 경찰청은 특수부대의 존재를 공표하고 특수부대(SAT)로 개편하여 도쿄와 오사카 외에도 홋카이도 경찰, 지바현 경찰, 가나가와현 경찰, 아이치현 경찰, 후쿠오카현 경찰 각 경비부에도 발족하게 되었다. 2005년에는 오키나와현 경찰에도 편성되고 각지 부대도 증강되었다.[56]SAT을 보완하는 테러 대응 부대로서 각 경찰 본부 기동대에는 총기 대책 부대, NBC 테러 대응 전문 부대, 폭발물 처리반이 설치되어 있다.[56] 이 중 총기 대책 부대는 1968년 김희로 사건을 계기로 경시청과 오사카부 경찰 등에 발족한 특수총대를 전신으로 하며, 1996년에 상설 부대로 증강 개편되었다. 사이타마현 경찰 RATS처럼 레인저를 준거로 래펠링 하강 등의 난입 능력을 갖춘 부대도 있으며, 경시청 기동대에서는 총기 대책 부대에서 선발하여 긴급 시 초동 대응 부대(ERT)를 편성하여 즉응 체제를 갖추고 있다.[56] 2020년에는 오키나와현 경찰에 센카쿠 열도를 포함한 도서 지역에 불법 상륙하는 활동가나 어민으로 위장한 공작원 대응을 임무로 하는 국경 도서 경비대가 설치되었다.[57]
5. 2. 9. 형사부
일본 경찰의 형사부에는 유괴나 인질극 등 강력 범죄 수사를 담당하는 부서가 설치되어 있다.경시청 수사부는 1963년 기시텐짱 유괴 살인 사건에서의 인질 구출 실패를 교훈 삼아 1964년 특수범죄수사계를 설치했다. 이는 수사 1과 내에서 유괴, 억류, 기업 협박, 업무상 과실치사상 등을 담당하는 부서로, 고도의 과학 지식과 수사 기술에 정통한 전임 수사관들로 구성되었다. 일본 경찰청도 이러한 정책에 주목하여 1981년 3월까지 모든 경찰 본부에 설치되었다.[58]
이러한 관할권을 가짐으로써, 수사라는 형사로서의 역할에만 머무르지 않고, 인질의 신변에 위험이 닥쳤을 때 최후의 수단으로서 진입 제압도 담당하게 되었다. 경시청은 1992년 수사 1과 수사관들과 함께 SAT에서 선발된 인원을 추가하여 진입반을 편성했다.
최근에는 많은 경찰 본부에서 수사부에 진입반이 편성되어 있지만, 명칭은 각각 다르다. 경시청에서는 "SIT", 오사카부 경찰에서는 "MAAT", 사이타마현 경찰에서는 "STS", 가나가와현 경찰에서는 "SIS", 지바현 경찰에서는 "ART"라고 불린다. 편성 방법도 경찰 본부에 따라 다르며, 소규모 경찰 본부에서는 수사 1과뿐만 아니라 기동수사대나 기동대원을 추가하여 진입반을 편성하는 경우도 있다.
5. 3. [[해양경찰청]]
特殊警備隊일본어는 1996년에 해상보안청에서 테러 사건 등에 대처하기 위해 편성되었다. 1985년에 간사이 국제공항 해상경비대(해경대)와 1992년에 플루토늄 수송선 호위를 위해 만들어진 경승대를 통합 개편한 것이다.[1]6. 특수부대와 PMC (민간군사기업)
PMC는 특수부대 전역자를 많이 고용한다. 이들은 군사 컨설팅, 용병, 보안, 경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컨트랙터로 고용되는 인원들은 대부분 유명 특수부대 출신이며, 이들은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것과는 달리 총알과 폭탄이 난무하는 최전선에서 직접 싸우는 경우는 드물다. 대신 후진국 출신 청년들을 훈련시켜 전방으로 보내는 훈련 교관 및 컨설턴트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물론, 이들을 이끌고 지휘관으로서 전투에 참여하거나, 매우 중요한 'High Value Mission'의 경우에는 특수부대 출신으로 구성된 특별팀이 투입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PMC 컨트랙터는 고액의 연봉을 받는다. 전쟁터에서 제대로 된 대가를 받는 유일한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억대 연봉은 기본이다. 예를 들어, 한 PMC 구직 사이트의 2022년 우크라이나 현지에서의 퇴출/보호 의뢰(EXTRACTION / PROTECTIVE AGENTS)의 경우, 하루 일당이 추가 수당을 제외하고도 기본급만 130만원~260만원에 달했다.
참조
[1]
논문
Allied Joint Doctrine for Special Operations
NATO Standardization Agency
2013-12-13
[2]
서적
Dictionary of Military Terms
Bloomsbury Reference
[3]
논문
Special Operations
http://www.dtic.mil/[...]
Department of Defense
2016-09-18
[4]
웹사이트
NATO Glossary of Terms and Definitions (English and French)
https://www.jcs.mil/[...]
NATO Standardization Agency
2022-06-22
[5]
웹사이트
Special Operations Forces
https://www.nato.int[...]
2024-05-11
[6]
간행물
ADRP 3-05 SPECIAL OPERATIONS
https://armypubs.arm[...]
2019-07
[7]
서적
The Seven Military Classics of Ancient China
Westview Press, Inc
[8]
서적
Special Operations in the Age of Chivalry, 1100-1550
https://www.jstor.or[...]
Boydell & Brewer
2007
[9]
웹사이트
Praça do Giraldo, Évora - Visitor's Guide
https://www.evorapor[...]
2024-11-22
[10]
기타
El perro caminaba en noches lluviosas y muy oscuras, de fuerte viento y nieve, hacia las ciudades y había preparado sus instrumentos de escalas de madera muy largas, que sobrepasen el muro de la ciudad, aplicaba aquellas escaleras al costado de la torre y subía por ellas el primero, hasta la torre y cogía al centinela y le decía: "Grita como es tu costumbre," para que no le sintiese la gente. Cuando se había completado la subida de su grupo a lo más alto del muro de la ciudad, gritaban en su lengua con un alarido execrable, y entraban en la ciudad y combatían al que encontraban y le robaban y cogían a todos los que había en ella cautivos y prisioneros a todos los que estaban allí.
[11]
서적
Study and Teaching Guide: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A curriculum guide to accompany the History of the Renaissance World
https://books.google[...]
Peace Hill Press
2016-11-22
[12]
웹사이트
Geraldo Geraldes, o Sem Pavor na Infopédia
https://www.infopedi[...]
Porto Editora
2022-04-22
[13]
웹사이트
Military Intelligence in Arabo-Byzantine Naval Warfare
http://www.deremilit[...]
Institute for Byzantine Studies, Athens
2011-08-02
[14]
서적
Ninja AD 1460–1650
Osprey Publishing
[15]
서적
The First Way of War: American War Making on the Frontier, 1607–181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Encyclopaedia of British, Provincial, and German Army Units 1775-1783
[17]
서적
Churchill's Wizards: The British Genius for Deception 1914–1945
Stackpole Books
[18]
기타
The Scouts were not subordinate to any brigade or division but were army troops – deployed at the discretion of the field force commander.
[19]
서적
The Ultimate Sniper: An Advanced Training Manual For Military and Police Snipers
Paladin Press
[2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Antonio Luna
https://books.google[...]
Solar Pub. Corporation
[21]
서적
Looking Back 4: Chulalongkorn's Elephants
Anvil Publishing, Inc.
[22]
서적
Hell in the Trenches: Austro-Hungarian Stormtroopers and Italian Arditi in the Great War
Helion and Company
[23]
기타
[24]
서적
Encyclopaedia of Elite Forces in the Second World War
Pen and Sword
[25]
서적
Orders of Battle, Second World War, 1939–1945
Naval & Military Press
[26]
서적
British Commandos 1940–46
Osprey Publishing
[27]
웹사이트
Les fusiliers marins et les commandos
http://www.defense.g[...]
Ministère de la Défense
2010-04-17
[2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Commando Foundation
http://www.korpscomm[...]
Korps Commandotroepen
2010-04-17
[29]
웹사이트
Centre d'Entraînement de Commandos
http://www.mil.be/ar[...]
Ministère de la Défense,la Composante Terre
2010-04-17
[30]
뉴스
Issue 34420
http://www.gazettes-[...]
London Gazette
1937-07-23
[31]
서적
SAS: Great Britain's elite Special Air Service
Zenith Imprint
[32]
서적
The Special Air Service
Osprey Publishing
[33]
서적
Desert Raiders: Axis and Allied Special Forces 1940–43
Osprey Publishing
[34]
웹사이트
Greek Sacred Squadron
https://gallery.comm[...]
2024-09-06
[35]
웹사이트
The Sacred Squadron - an Elite Greek Commando Unit
https://www.combined[...]
2024-09-06
[36]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Polish Special Unit GROM
https://sofrep.com/s[...]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The Office of Strategic Services: America's First Intelligence Agency
Center for the Study of Intelligence, United State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42]
서적
The First Way of War: American War Making on the Frontier, 1607–1814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서적
Prathamā prakāśana
2013
[44]
서적
Prathamā prakāśana
2013
[45]
서적
Prathamā prakāśana
2013
[46]
뉴스
Experts Cite Remedial Measures for East Pakistan
https://news.google.[...]
2013-05-31
[47]
뉴스
3 Power Plants Bombed By East Pakistan Rebels
1971-07-22
[48]
뉴스
Pakistan Rebels Bomb Plant
1971-10-22
[49]
서적
10th Anniversary History
https://nsarchive2.g[...]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1987-04-16
[50]
웹사이트
POSTURE STATEMENT OF ADMIRAL WILLIAM H. McRAVEN, USN COMMANDER,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BEFORE THE 112th CONGRESS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MARCH 6, 2012
http://www.socom.mil[...]
United States Special Operations Command
2015-08-03
[51]
웹사이트
Special Operations for the 21st Century: Starting Over
http://www.ausa.org/[...]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2015-08-03
[52]
뉴스
北朝鮮軍が特殊部隊6万人拡充、2008国防白書
http://japanese.yonh[...]
2009-02-23
[53]
뉴스
北、特殊部隊6万人を拡充し18万人に
https://japanese.joi[...]
2009-02-24
[54]
웹사이트
特殊作戦隊員の範囲等に関する訓令
http://www.clearing.[...]
2018-08-09
[55]
웹사이트
防人給第6481号 特殊作戦隊員の指定等について(通知)
http://www.clearing.[...]
2016-11-26
[56]
서적
平成26年版 警察白書
https://www.npa.go.j[...]
ぎょうせい
[57]
뉴스
沖縄県警、国境離島警備隊を新設、尖閣不法上陸に即応 自衛隊の連携に不安も
https://web.archive.[...]
2020-04-01
[58]
서적
警察白書 平成20年
http://www.npa.go.jp[...]
ぎょうせい
[59]
웹인용
Pentagon Threatens to Punish America’s Elite Warriors for Declining the Vaccine
https://firstliberty[...]
2023-05-31
[60]
웹인용
Are the Special Forces Stretched Too Thin?
https://www.popularm[...]
2023-05-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김정은, 특수작전부대 찾아 “놈들이 보기만 해도 공포에 떨게 하라”
김정은, 특수부대 훈련 현장 지도…“특수작전 무력은 핵심 역량”
'고객집서 강도질' 포천농협 직원 구속기소…강도치상 혐의
김정은, 특수부대 전술종합훈련 참관…“훈련제도 새롭게 정립해야”
‘대테러 전문가로서의 경험과 비전’ 최영재 Tier1Bros 대표
북한 ‘윤석열 파면’ 논평 없이 보도…선고 당일 김정은 ‘특수부대’ 훈련
수풀로 위장한 북한 특수부대…드론 공격 피하는 대응법?
수풀로 위장한 북한군 특수부대…드론 공격 피하는 현대전 대응법?
[D리포트] 수풀로 위장한 북한군 특수부대…드론 공격 피하는 현대전 대응법?
김정은, 특수부대 훈련 시찰…"현대전 맞게 특수 무력 강화"
[단독] 노상원 “김용현이 ‘방첩사·정보사 중 누가 충성심 세냐’ 물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