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베니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베니크는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해안에 위치한 도시로, 1066년에 현재 이름으로 처음 언급되었다. 크로아티아인들이 건설한 가장 오래된 도시로, 1298년 도시 지위와 주교구를 얻었다.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 속했다가 1991년 크로아티아의 독립과 함께 크로아티아에 속하게 되었다. 주요 명소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시베니크 대성당과 성 니콜라스 요새가 있다.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농구, 수구 등 스포츠 강세 도시로, 국제 어린이 축제 등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아티아의 온천 마을 - 시사크
시사크는 크로아티아의 도시이자 시사크모슬라비나주의 주도로, 사바강, 쿠파강, 오드라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로마 시대에는 시스키아로 불렸고, 크로아티아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크로아티아의 온천 마을 - 크라피나
크라피나는 크로아티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네안데르탈인 화석 유적지로 유명하며, 14세기부터 자유 무역 중심지였고, 일리리아 운동 지도자 류데비트 가이의 출생지이며, 매년 카이카비아 가요 축제가 열린다. - 크로아티아의 옛 수도 - 바라주딘
크로아티아 북부의 도시 바라주딘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자유 왕립 도시로 선언된 후 북부 크로아티아의 중심지 역할을 했고, 현재는 인구 46,946명의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 크로아티아의 옛 수도 - 솔린
솔린은 크로아티아 스플리트 반도 북쪽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도시 살로나 유적을 포함하고 있으며, 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의 역사적 장소이자 스플리트 도시권의 일부로 2021년 기준 인구는 24,862명이다. - 아드리아해의 항구 도시 - 트리에스테
트리에스테는 이탈리아 북동부 아드리아해 연안의 도시로, 로마 시대 번성한 항구 도시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과학 연구 및 문화 중심지이다. - 아드리아해의 항구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시베니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시베니크 시 |
다른 이름 | 세베니코 |
도시 유형 | 도시 |
위치 | 크로아티아 |
속한 행정 구역 | 시베니크크닌주 |
면적 | 399.5 km² |
도시 면적 | 44.1 km² |
해발고도 | 0m |
시간대 | CET |
시간대 (서머타임) | CEST |
UTC 오프셋 | +1 |
UTC 오프셋 (서머타임) | +2 |
우편번호 | HR-22 000 |
지역번호 | +385 22 |
차량 번호판 | ŠI |
기후 | Csa |
웹사이트 | 시베니크 공식 웹사이트 |
인구 | |
전체 인구 (2021년) | 42,599명 |
도시 인구 (2021년) | 31,115명 |
정치 | |
정치 체제 | 시장-시의회 |
시장 | 젤리코 부리치 |
시의회 | HDZ (10석) NLSP (4석) SDP–NL (4석) HS–HKS–Hrast–NHR (2석) Most–DP–Loza (1석) |
일본어 정보 | |
시장 | 젤리코 부리치 (Dr. Željko Burić) |
한국어 정보 | |
시장 | 젤리코 부리치 |
2. 역사
시베니크는 1066년 크로아티아 왕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 시대에 현재의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 다른 달마티아 도시들과 달리 시베니크는 크로아티아인이 건설한 도시로,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에서 가장 오래된 크로아티아 도시이다.
1298년 시베니크는 '도시' 지위와 독자적인 주교구를 부여받았다.
시베니크는 1412년까지 베네치아 공화국에 저항했다. 15세기 말에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받았지만 정복되지는 않았다. 16세기에는 성 니콜라스 요새가 건설되었고, 17세기에는 성 요한 요새와 슈비체비치(Šubićevac) 요새가 건설되어 도시 방어가 강화되었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시베니크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이탈리아 파시스트 정권과 나치에 점령되었다. 1990년 크로아티아 공화국이 독립할 때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다.
2. 1. 지명 유래
시베니크(Šibenik)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5세기 조르조 시스고레오(Giorgio Sisgoreo)는 자신의 책 『일리리아의 위치와 시베니크 도시에 관하여』(De situ Illiriae et civitate Sibenici)에서 시베니크라는 이름이 '시베'(šibe), 즉 '가지'나 '잔가지'로 만든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설명했다.[4]다른 설에 따르면 이 이름은 일리리아어에서 유래했거나, 슈비치(Šubić) 가문의 이름에서 왔다고도 한다.[4] 또는 시베니크 안, 성 미카엘 요새 주변의 좁은 지역을 덮고 있던 '시비니쿰(Sibinicum)'이라는 라틴어 지명과 숲을 관련짓기도 한다.[5]
2. 2. 초기 역사
아드리아해 연안의 다른 도시들이 그리스인, 일리리아인, 로마인에 의해 건설된 것과는 달리, 시베니크는 슬라브족이 건설했다.[6] 시베니크는 아드리아해 동부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 중 가장 오래된 도시이다. 1066년 크로아티아 왕 페타르 크레시미르 4세의 칙령에서 처음 언급되며,[6] 한때는 크로아티아 왕의 궁궐이 있던 곳이기도 했다. 이러한 이유로 시베니크는 "크레시미로프 그라드"(Krešimirov grad, 크레시미르의 도시)라고도 불린다.11세기와 12세기 사이에 시베니크는 베네치아 공화국, 비잔티움 제국, 헝가리 왕국 사이를 오갔다. 1116년 베네치아 공화국에 정복되었고,[7] 1124년 비잔티움 제국에 잠시 빼앗겼다가,[8] 다시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다가 1133년 헝가리 왕국에 의해 탈환되었다.[9] 1180년까지 여러 차례 더 주인이 바뀌었다.
1167년 헝가리의 이슈트반 3세로부터 도시의 지위를 부여받았다.[10] 1298년에는 자체 교구를 얻었다.[6]
2. 3. 베네치아와 합스부르크 통치 시기
1412년 베네치아 공화국에 정복된 후, 시베니크는 주요 관세청과 소금 소비 사무소의 소재지가 되었으며, 아드리아 해 소금 무역의 독점권을 가졌다.[6] 15세기 말부터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받았으나 정복되지는 않았다.[7] 16세기에는 성 니콜라스 요새가 건설되었고, 17세기에는 성 요한 요새와 수비체바츠 요새가 추가로 건설되어 방어 시설이 강화되었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면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7] 1867년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달마티아 왕국에 속하게 되었다.[12] 1872년, 안테 슈푸크가 보통선거로 선출된 최초의 크로아티아인 시장이 되었고, 1895년에는 세계 최초로 교류 전력 가로등이 설치되었다.[13]
2. 4.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은 시베니크 항만 시설을 사용했으며, 가르가노 곶 해전(또는 카포 로도니 해전) 이후 연합군 함대를 피해 도망친 경순양함과 구축함들이 이곳으로 돌아와 안전을 확보했고, 일부 전함들도 이곳에 배치되어 있었다.[14] 전쟁 후 시베니크는 1921년 6월 12일까지 동부 아드리아 해 점령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왕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라팔로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는 시베니크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포기했고, 시베니크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달마티아 이탈리아인들의 시베니크 이주가 시작되었다.[15] 제2차 세계 대전 중 시베니크는 이탈리아에 합병되어 1941년부터 1943년까지 달마티아 총독부의 일부이자 자라 주에 속했다. 1944년 11월 3일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파르티잔들이 시베니크를 해방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시베니크는 크로아티아가 1991년 독립을 선포할 때까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다.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1991-95) 동안 시베니크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세르비아계 준군사조직의 집중 공격을 받았다.[7] 무장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신생 크로아티아 군대와 시베니크 주민들은 도시를 방어하는 데 성공했다. 이 전투는 6일(9월 16일~22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9월 전투"로 불린다. 폭격으로 시베니크 대성당의 돔과 1870년에 지어진 극장 건물을 포함한 많은 건물과 기념물이 피해를 입었다.
1995년 8월 군사 작전에서 크로아티아군은 세르비아군을 물리치고 점령 지역을 탈환했고,[7] 이로 인해 이 지역은 전쟁으로부터 회복되어 시베니크-크닌 주의 중심지로서 계속 발전할 수 있었다. 그 이후로 도시의 피해 지역은 완전히 복구되었다.
3. 기후
시베니크는 지중해성 기후(Csa)를 보이며, 온화하고 습한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한다. 1월과 2월이 가장 춥고, 7월과 8월이 가장 더운 달이다. 7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약 30°C이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Csa" (지중해성 기후)에 해당한다.[1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최고 기온 기록 (°C) | 21.4 | 22.7 | 26.2 | 28.8 | 34.0 | 37.6 | 38.2 | 39.4 | 35.4 | 30.3 | 28.4 | 20.3 |
평균 기온 (°C) | 6.8 | 7.4 | 10.0 | 13.6 | 18.4 | 22.2 | 25.0 | 24.6 | 20.6 | 16.3 | 11.7 | 8.2 |
최저 기온 기록 (°C) | -10.2 | -11.0 | -7.5 | -0.5 | 2.3 | 8.3 | 11.6 | 10.2 | 6.9 | 2.1 | -6.6 | -8.9 |
강수량 (mm) | 74.1 | 60.1 | 62.0 | 62.7 | 49.0 | 53.0 | 29.7 | 44.9 | 75.5 | 82.7 | 112.4 | 95.2 |
평균 강수일수 | 10 | 9 | 9 | 10 | 9 | 8 | 5 | 5 | 7 | 9 | 12 | 12 |
평균 강설일수 | 1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평균 일조시간 | 128.6 | 150.6 | 196.1 | 222.4 | 286.3 | 312.1 | 358.0 | 326.0 | 254.3 | 199.7 | 131.0 | 113.8 |
4. 인구
2021년 크로아티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시베니크시의 총 인구는 42,599명으로 크로아티아에서 11번째로 큰 도시이며, 도시 지역 인구는 31,115명이다.[27] 시베니크 시민의 94.19%는 크로아티아인이었다.
1961년부터 2021년까지 시베니크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961 | 44,440 |
1971 | 47,122 |
1981 | 51,445 |
1991 | 55,842 |
2001 | 51,553 |
2011 | 46,332 |
2021 | 42,599 |
- Baldekin I
- 발데킨 II - 슈코피나츠(Baldekin II - Škopinac)
- 발데킨 III(Baldekin III)
- Crnica
- Građa
- Jadrija
- Mandalina
- Meterize
- Plišac
- Ražine
- Ražine Donje
- Stari Grad
- Šubićevac
- Varoš
- Vidici
- Zablaće
1890년 오스트리아 인구 조사에서는 이탈리아어 사용 인구가 1,018명(총 인구의 14.5%)이었고, 1900년에는 858명(8.5%), 1910년에는 810명(6.4%)이었다.[29] 2011년 크로아티아 인구 조사에서는 시베니크에 달마티아 이탈리아인이 16명 거주하며, 이는 총 인구의 0.03%에 해당한다.[30][31]
5. 경제
현재 시베니크의 경제 구조와 주요 산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5. 1. 항구
크르카 강 어귀에 있는 시베니크 항구는 크로아티아 아드리아 해에서 가장 잘 보호된 항구 중 하나이다. 최대 5만 톤의 재화중량을 가진 선박이 접근 수로를 항해할 수 있으며, 항구 자체의 최대 수심은 40m에 달한다.[32]6. 교통
시베니크에는 크로아티아 페르코비치-시베니크 철도의 종착역인 기차역이 있다. 이 철도는 자그레브와 크닌을 경유하여 스플리트를 연결하는 M604 철도의 지선이다. 기차 운행은 크로아티아 철도에서 담당한다.
시베니크 버스 터미널은 보디체, 피로바츠, 비오그라드나모루와 같은 주변 도시와 매일 버스 노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리예카, 크리크베니차, 자그레브, 오시예크, 자다르, 스플리트, 마카르스카, 두브로브니크 등 크로아티아 전역의 주요 도시와도 연결이 잘 되어 있다.[33]
7. 문화
야코브 고토바츠(Jakov Gotovac)는 1922년 시베니크 시의 "필하모니 협회"를 설립했다.[20] 19세기 작곡가 프란츠 폰 주페(Franz von Suppé)는 인근 스플리트 출신으로 시의 문화적 토대를 이루는 인물이었다.
매년 여름, 시에서는 수많은 콘서트와 행사가 열리는데, 그중 많은 행사가 성 미카엘 요새에서 개최된다. 또한 2016년부터 시에서 남서쪽으로 6km 떨어진 오보얀(Obonjan) 섬에서 매년 음악, 예술, 건강, 워크숍 축제가 열리고 있다.
매년 여름에는 시베니크 국제 어린이 축제(''Međunarodni Dječji Festival'')가 열리며, 어린이 워크숍, 연극 및 기타 활동이 진행된다.[20]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테라네오 페스티벌(음악 페스티벌)이 8월 매년 시베니크의 옛 군사 지역에서 개최되었으며, 2014년부터 시베니크(및 인근 도시)는 그 정신적 계승자인 수퍼 우호 페스티벌의 개최지가 되었다.[20] 시베니크는 8월 하순에 달마티아 샹송 이브닝 페스티벌(''Večeri Dalmatinske Šansone'')을 개최한다.[20]
시베니크의 중앙 교회인 '''시베니크 성 야곱 대성당'''은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여러 성공한 건축가들이 이 대성당을 완전히 돌로 건축하였으며,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을 모두 갖추고 있다. 대성당 지붕의 조합된 석판은 세르비아군의 폭격으로 1991년에 손상되었으며, 그 이후로 복구 작업이 계속되고 있다.
해안의 성 니콜라스 요새는 「시베니크-크닌 주의 성 니콜라스 요새」로서 「'''16세기부터 17세기 베네치아 방어 시설군: 스타르타 다 테라와 서쪽 스타르타 다 마르'''」의 일부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7. 1. 주요 명소
성 야고보 대성당(시베니크 대성당)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6] 1431년부터 1536년까지 여러 건축가들이 돌로만 건축했으며, 고딕 양식과 르네상스 양식이 모두 반영되어 있다. 대성당 지붕의 맞물린 돌판들은 1991년 유고슬라비아군의 포격으로 손상되었으나, 이후 복구되었다.

성 니콜라스 요새는 성 안토니오 해협 입구의 ''Ljuljevac'' 섬에 위치한 요새로, 야드리아 해변 등대 맞은편에 있다. 2017년 유네스코의 세계유산 목록에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의 베네치아 방어 시설: ''Stato da Terra'' – 서부 ''Stato da Mar''의 일부로 등재되었다.[18]
시베니크에는 도시, 바다, 인근 섬의 전망을 갖춘 네 개의 요새가 있으며, 현재 관광 명소이다.
- 성 미카엘 요새 (역사 도시 중심부)
- 성 요한 요새
- 바로네 요새
시베니크에서 북쪽으로 약 18km 떨어진 곳에는 크르카 국립공원이 있다.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과 유사하게 많은 폭포, 동식물, 역사 및 고고학 유적지로 유명하다.
시베니크 서쪽의 코르나티 제도는 약 320km2의 해역에 150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지중해에서 가장 밀집된 군도이다.[19]
7. 2. 축제 및 행사
매년 여름, 시베니크에서는 다양한 콘서트와 행사가 열리는데, 그중 많은 행사가 성 미카엘 요새에서 개최된다. 2016년부터는 시에서 남서쪽으로 6km 떨어진 오보얀(Obonjan) 섬에서 매년 음악, 예술, 건강, 워크숍 축제가 열리고 있다.매년 여름에는 시베니크 국제 어린이 축제(Međunarodni Dječji Festival)가 열려 어린이 워크숍, 연극 및 기타 활동이 진행된다.[20]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테라네오 페스티벌(음악 페스티벌)이 8월마다 시베니크의 옛 군사 지역에서 개최되었으며, 2014년부터 시베니크(및 인근 도시)는 그 정신적 계승자인 수퍼 우호 페스티벌의 개최지가 되었다.[20] 또한, 시베니크는 8월 하순에 달마티아 샹송 이브닝 페스티벌(Večeri Dalmatinske Šansone)을 개최한다.[20]
7. 3. 스포츠
시베니크는 스포츠 도시로 유명하며, 많은 성공적인 선수들의 고향이다.종목 | 선수 이름 |
---|---|
농구 | 알렉산다르 페트로비치, 드라젠 페트로비치, 이비차 주리치, 프레드라그 샤리치, 다리오 샤리치, 반다 바라노비치-우루칼로, 다니라 나키치, 니크 슬라비차, 미로 빌란 |
축구 | 드라잔 예르코비치, 페타르 나도베자, 크라스노다르 로라, 딘 라추니차, 믈라덴 프랄리야, 안테 루카비나, 두예 찰레타-카르 |
수구 | 페리차 부키치, 밀레 나키치, 프랑코 나키치, 시니샤 벨라마리치, 레나토 브르비치치, 이비차 투차크, 안드리야 코마디나, 미로 유리치, 안토니오 페트코비치 |
기타 | 네벤 스파히야 (농구 감독), 안토니야 산드리치 (농구), 마테 말레슈 (축구), 스티페 브랄리치 (농구), 프랑코 옐로브치치 (풋살), 니베스 라디치 (킥복싱), 카르멜라 마켈야 (수영) |
유명한 다목적 발데킨 스포츠 홀은 KK 시베니크의 홈 경기장이었다. KK 시베니크는 FIBA 코라치컵 결승에 두 번 진출했고, 1982-83 유고슬라비아 리그 챔피언십 결승에도 진출했다. 당시 19세였던 드라젠 페트로비치가 이 팀을 이끌었다.[21]
여자 농구 클럽인 ŽKK 시베니크는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여자 농구 클럽 중 하나로, 1991년 유고슬라비아 리그 우승, 유고슬라비아컵 우승 2회, 크로아티아 리그 우승 4회, 크로아티아컵 우승 4회, 아드리아 리그 우승 5회, 보이코 헤르크셀컵 우승 4회를 차지했다.[22]
해체된 남자 농구 클럽인 졸리 자드란스카 뱅카는 크로아티아 리그 챔피언십 플레이오프 준결승에 두 번 진출했고, 2016-17 시즌 크레시미르 초시치컵 결승전에도 진출했다.[23][24]
2010년 KK 시베니크 해체 후 설립된 GKK 시벤카의 가장 큰 성공은 2016-17 크로아티아 리그 챔피언십 시즌에 거둔 것으로, 치보나 자그레브를 상대로 플레이오프 준결승에 진출했다.[25] 시벤카는 준결승에서 치보나에 패했다.[26]
슈비체바츠 경기장은 HNK 시베니크 축구 클럽의 홈구장이다. HNK 시베니크는 유고슬라비아 2부 리그를 거쳐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2009-10 시즌에는 크로아티아 컵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HNK 하이두크 스플리트에게 패했다. 2021년 기준으로 크로아티아 1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해체된 수구 클럽 VK 시베니크(VK Šibenik)는 1986-87 시즌 유고슬라비아 리그 2위를 차지했고, 2006-07 시즌 LEN 유로컵 결승전에서 신테즈 카잔(Sintez Kazan)에 패했다. 2008-09 시즌에는 LEN 챔피언스리그에도 출전했다. 이비차 투차크가 감독을 맡았으며, 그는 현재 크로아티아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 감독이다.
1996년 애틀랜타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크로아티아 수구 국가대표 페리차 부키치와 레나토 브르비치치는 올림픽 메달리스트이다. 이비차 투차크는 크로아티아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 사상 최고의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8. 자매 도시
이탈리아의 Civitanova Marcheit, San Benedetto del Trontoit, Pinetoit, 독일의 Kreis Herfordde, 프랑스의 Voiron프랑스어, 크로아티아의 브코바르, 불가리아의 Razlogbg, 헝가리의 베슈프렘은 시베니크와 자매 결연을 맺은 도시들이다.
9. 출신 인물
- 드라간 예르코비치 - 전 축구 선수, 축구 감독
- 로베르토 데 비사니 - 식물학자
- 크레시미르 바라노비치 - 음악가
- 드라젠 페트로비치 - 전 NBA 선수
- 다리오 사리치 - 프로 농구 선수
- 막심 무르비차 - 피아니스트
- 고란 비슈니크 -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Gradonačelnik Grada Šibenika
https://www.sibenik.[...]
2022-04-19
[2]
Q
[3]
문서
null
[4]
웹사이트
O podrijetlu toponima Šibenik
http://www.lipovec.m[...]
2018-04-24
[5]
서적
Monumenta spectantia historiam Slavorum meridionalium: Edidit Academia Scienciarum et Artium Slavorum Meridionalium, Volume 1
Jugoslavenska akademija znanosti i umjetnosti
1868-01-01
[6]
서적
Footprint Croatia
https://books.google[...]
Footprint Handbooks
2004-01-01
[7]
서적
Croat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07-01-01
[8]
서적
The Penny cyclopædia of the Society for the Diffusion of Useful Knowledge
https://books.google[...]
C. Knight
2011-03-28
[9]
서적
History of Dalmatia
https://books.google[...]
Giardini
2011-03-28
[10]
서적
Handbook to the Mediterranean
https://archive.org/[...]
John Murray
2011-03-28
[11]
서적
Dalmatia Between Ottoman and Venetian Rule: Contado Di Zara, 1645-1718
https://books.google[...]
Viella
2016-02-21
[12]
서적
Die postalischen Abstempelungen auf den österreichischen Postwertzeichen-Ausgaben 1867, 1883 und 1890
[13]
뉴스
Prvi osvijetljeni grad u svijetu je naš Šibenik
http://www.slobodnad[...]
2015-01-08
[14]
서적
Austro-Hungarian Cruisers and Destroyers 1914-18
Osprey Publishing UK
[15]
서적
Italiani di Dalmazia 1914-1924
https://books.google[...]
Le lettere
2022-02-16
[16]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for Šibenik
http://www.weatherba[...]
2013-07-13
[17]
웹사이트
Monthly Climate Values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2-01-07
[18]
웹사이트
Venetian Works of Defence between 15th and 17th centuries: Stato da Terra – western Stato da Mar
https://whc.unesco.o[...]
2017-07-11
[19]
서적
Kornat Islands
Forum
[20]
웹사이트
Dalmatian Chanson Evenings
https://www.sibenik-[...]
2021-01-06
[21]
웹사이트
DOGODILO SE NA DANAŠNJI DAN 1983.: KK "Šibenka" osvojila titulu prvaka Jugoslavije
https://mok.hr/vijes[...]
2013-04-09
[22]
웹사이트
POVIJEST KLUBA – ŽKK Šibenik
http://zkk-sibenik.c[...]
ŽKK Šibenik
[23]
웹사이트
Jolly uz pomoć Kvarnera u polufinalu, Cibona obranila drugo mjesto
https://gol.dnevnik.[...]
2014-05-21
[24]
웹사이트
Cedevita razbila Jolly i po četvrti put u nizu uzela Kup
https://www.tportal.[...]
Tportal
2017-02-18
[25]
웹사이트
Šibenik u polufinalu doigravanja Prvenstva Hrvatske
https://arhiva.hks-c[...]
Croatian Basketball Federation
2017-04-30
[26]
웹사이트
CIBONA QUALIFIED FOR THE 2016/17 CROATIAN CHAMPIONSHIP FINALS
https://www.aba-liga[...]
2017-05-10
[27]
인구조사
Croatian Census 2021
[28]
웹사이트
Mjesna samouprava
https://www.sibenik.[...]
City of Šibenik
2024-10-07
[29]
서적
I censimenti della popolazione dell'Istria, con Fiume e Trieste e di alcune città della Dalmazia tra il 1850 e il 1936
Centro di Ricerche Storiche - Rovigno, Unione Italiana - Fiume, Università Popolare di Trieste
[30]
웹사이트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http://www.dzs.hr/En[...]
2018-08-25
[31]
웹사이트
Da Spalato a Ragusa censiti 349 italiani più 705 “dalmati”
http://ilpiccolo.gel[...]
2018-11-10
[32]
웹사이트
Basic Information
http://www.portautho[...]
2018-06-15
[33]
웹사이트
Bus Station Sibenik, contact, timetable and working hours {{!}} Arriva Croatia
https://www.arriva.c[...]
2022-06-18
[34]
웹사이트
Civitanova Marche — Twin Towns
http://www.comune.ci[...]
Civitanova Marche
2008-12-04
[35]
웹사이트
45 ans de jumelage: Histoire de cités Le jumelage à Voiron
http://www.voiron.fr[...]
2013-09-04
[36]
웹사이트
Sibenik: (Croatie) Ville jumelée avec Voiron
http://www.voiron.fr[...]
2013-09-04
[37]
웹사이트
http://www.dzs.hr/En[...]
[38]
웹인용
Monthly Climate Values
http://klima.hr/klim[...]
Croati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Service
2012-0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