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포츠 심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포츠 심리학은 운동선수, 코치, 팀, 유소년 스포츠, 부상 회복 등 스포츠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심리적 기술을 적용하여 경기력 향상과 정신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스포츠 심리학은 19세기 말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성격, 주의, 각성, 동기 부여, 기술 습득 등 다양한 이론과 개념을 다루며 발전해왔다. 응용 스포츠 심리학은 경기력 향상, 정신 건강 관리, 유소년 스포츠, 코칭, 팀 과정, 부상 회복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며, 목표 설정, 심상, 자기 대화, 이완 기법 등의 심리 기술을 활용한다. 한국 스포츠 심리학은 엘리트 스포츠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스포츠 참여와 건강 증진을 위한 연구와 서비스 제공으로 범위를 넓히고, 운동선수들의 정신 건강 문제 해결에도 기여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의학 - 토미 존 수술
    토미 존 수술은 1974년 프랭크 조브 박사가 토미 존에게 처음 시행한 척골 측부 인대 재건술로, 팔꿈치 부상 치료에 사용되며, 재활을 거쳐 선수들이 경기력을 회복하지만 과도한 투구 등이 부상 위험을 높인다.
  • 스포츠 의학 - 스포츠 탈장
    스포츠 탈장은 운동 중 엉덩이 동작으로 인해 사타구니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고관절 내전근 부위나 고환으로 통증이 퍼지며 운동 후 뻣뻣함과 통증을 동반하고,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복구 및 재활 치료로 구성된다.
스포츠 심리학
스포츠 심리학 개요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남자 200m 결승전 육상 경기
2018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남자 200m 결승전 육상 경기
분야응용심리학
하위 분야운동 심리학
재활 심리학
발달 심리학
이상 심리학
임상심리학
스포츠 심리학 정보
스포츠 심리학스포츠 및 운동 환경에서의 심리적 요인과 성과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스포츠 심리학 목표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
운동선수의 정신 건강 증진
스포츠 참여를 통한 개인의 성장 및 발달 도모
연구 주제동기 부여
불안
집중력
자신감
팀워크
리더십
스트레스 관리
부상 회복
적용 분야프로 스포츠
아마추어 스포츠
청소년 스포츠
재활 프로그램
피트니스 프로그램
웰빙 프로그램
관련 학문 분야심리학
운동생리학
운동역학
사회학
교육학
스포츠 심리학자 역할운동선수 상담 및 코칭
심리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팀 컨설팅
연구 및 교육
참고 문헌Jarvis, M. (2006). Sport psychology: a student's handbook. Routledge.
Horn, T. S. (2008). Advances in Sport Psychology. Human Kinetics.
Raglin, J. S. (2007). The Psychology of the Marathoner. Sports Medicine, 37(4), 404–407. doi:10.2165/00007256-200737040-00034
관련 단체
유럽 스포츠 심리학 연맹 (FEPSAC)FEPSAC 공식 웹사이트

2. 스포츠 심리학의 역사

스포츠 심리학은 심리학과 운동 과학이 융합된 학문으로,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어 20세기 초에 본격적으로 발전했다.

2. 1. 초기 역사

1879년, 빌헬름 분트라이프치히 대학교에 심리학 실험실을 설립하면서 스포츠 심리학의 초기 실험이 수행되었다.[6] 1898년, 노먼 트리플렛은 경쟁 상황에서 자전거 선수들의 기록이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고 사회적 촉진 현상을 연구했다.[12] 그는 이 연구 결과를 "경주와 경쟁에서의 역동적 요인(The Dynamogenic Factors in Pacemaking and Competition)"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발표했는데, 이는 스포츠 심리학에 관한 최초의 과학 논문으로 여겨진다.[11]

1920년대 독일의 카를 딤은 베를린에 스포츠 심리학 연구소를 설립했고,[7] 로베르트 베르너 슐테는 《스포츠에서의 신체와 정신》을 출판했다.[8] 1925년, 콜먼 그리피스는 일리노이 대학교에 운동 연구소를 설립하고, 《코칭의 심리학》(1926)과 《운동 경기의 심리학》(1928)을 출판하여 스포츠 심리학의 학문적 기틀을 다졌다. 그는 "미국 스포츠 심리학의 아버지"로 불린다.[5]

1930년대 소련냉전 시대에 스포츠 심리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도모했다.[9]

2. 2. 현대의 발전

1995년, 응용 스포츠 심리학회(AASP)(2006년에 개칭)는 스포츠 심리학자의 행동을 안내하는 윤리적 원칙을 발표했다. AASP 회원들은 함께 일하는 개인, 집단, 대중의 복지와 보호를 주된 목표로 삼아야 한다. AASP 회원들은 윤리적으로 행동하고, 다른 사람의 윤리적 행동을 장려하며, 필요한 경우 윤리적 문제에 대해 다른 사람과 상담해야 한다.[19]

3. 스포츠 심리학의 주요 이론 및 개념

스포츠 심리학은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이론과 개념을 활용한다. 행동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실무자가 선수, 코치, 부모의 관점에서 중재 목표, 절차, 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를 위해 응용 스포츠 심리학회(AASP)에서 발표한 윤리적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19]

각 스포츠는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하며, 냅(Knapp, 1963)은 기술을 "미리 결정된 결과를 최대의 확실성으로, 종종 최소한의 시간, 에너지 또는 둘 다를 투입하여 가져오는 학습된 능력"으로 정의했다.[20] 기술 개발을 통해 오류를 줄일 수 있으며, 능력은 특정 스포츠에 대한 잠재력을 결정하는 타고난 신체적 속성을 의미한다. 기술 습득은 신경근 시스템의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심리학의 하위 분야에서 뇌-행동 이론에 대한 자체적인 해석을 갖는다.[20]

3. 1. 성격과 운동 수행

성격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 전형적인 반응, 역할 관련 행동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50] 이러한 차원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심리적 핵: 개인의 가장 내면적이고 일관된 특징으로, 자아개념을 포함한다. 기본적인 태도, 가치, 흥미, 동기 등을 나타낸다.
  • 전형적 반응: 환경적 상황에 반응하는 전형적인 태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격적인 상황에 처했을 때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전형적 반응에 해당한다.
  • 역할 관련 행동: 성격의 가장 피상적인 측면으로, 환경이나 인식에 따라 변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엘리트 운동선수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성격 특성을 보인다.[60]

  • 정신력: 높은 수준의 수행 능력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심리적 강점이다. 정신력이 강한 운동선수는 자신감, 내적 동기 부여, 집중력, 침착함 등의 특징을 보인다.[54]
  • 역경: 손실이나 불운을 헤쳐나가는 능력이다.[55]
  • 자기 효능감: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56] 스포츠에서는 스포츠 자신감으로 개념화된다.[57]
  • 각성: 생리적, 인지적 활성화를 의미하며, 각성에 대한 인식이 수행 능력과 관련이 있다.[58]
  • 동기 부여: 과제를 수행하려는 의지이다. 내재적 동기 부여(즐거움, 만족)와 외재적 동기 부여(돈, 관심)로 구분된다.[59]
  • 헌신: 스포츠를 지속하려는 헌신이다.
  • 경쟁심: 상대를 도전하고 성공을 목표로 하는 능력이다.[60]
  • 통제력: 다양한 사건을 분리하고 집중하는 능력이다.[60]


엘리트 운동선수들은 각성 조절, 목표 설정, 심상, 경기 전 루틴, 자기 대화와 같은 심리적 기술을 더 높은 수준으로 보인다.[60]

성격 특성은 스포츠 종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구분특징설명
개인 스포츠 선수성실성, 자율성 높음자립심이 요구됨
팀 스포츠 선수친화성, 사회성 높음집단 응집력이 요구됨



자극 추구 성향 또한 스포츠 종목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158] 자극 추구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익스트림 스포츠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자극 추구 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훈련과 일관성을 요구하는 스포츠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

3. 2. 주의와 운동 수행

운동선수의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치나 지도자는 선수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의를 키울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예를 들어, 야구에서 투수가 4가지 투구법(변화구, 슬라이드, 속구, 커브)을 가지고 던진다면 각 투구의 가능성은 25%이다.

하지만 투수가 특정 투구를 더 자주 던지는 경향을 보인다면 예측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이는 정보의 양이 난이도와 복잡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동선수들은 상대방에게 불확실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8가지 지점으로 공격할 수 있는 야구 선수는 4가지밖에 구사하지 못하는 선수보다 많은 정보를 전달한다.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반응 지연'이다. 반응 지연은 전달된 정보의 양과 관련이 있다. 반응 시간이 평소보다 느리다면, 이는 주의가 정보처리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심자 농구 선수는 드리블에 모든 주의를 집중해야 하므로 코치의 지시를 듣거나 다른 선수들을 볼 여유가 없다. 이를 주의 협소 현상이라고 한다. 반면, 숙련자는 드리블에 필요한 주의 요구량이 감소하여 주변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주의 폭이 너무 넓으면 불필요한 정보(예: 치어리더, 소란한 관중)에 주의가 분산되어 수행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각성 수준이 높아지면 주의는 좁아지고 부적절한 단서를 제거하지만, 지나치게 높은 각성은 오히려 중요한 단서를 놓치게 할 수 있다.

각 스포츠는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냅(Knapp, 1963)은 기술을 "미리 결정된 결과를 최대의 확실성으로, 종종 최소한의 시간, 에너지 또는 둘 다를 투입하여 가져오는 학습된 능력"으로 정의했다.[20] 기술을 개발하면 오류는 줄어든다. 능력은 특정 스포츠에 대한 잠재력을 결정하는 타고난 신체적 속성을 의미한다.

3. 3. 각성과 운동 수행

각성 수준과 운동 수행의 관계는 욕구 이론, 역U 이론, 최적 기능 구역 이론 등으로 설명된다.

욕구 이론은 각성 수준이 높을수록 운동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는 이론이다. 그래프 상에서 각성 수준이 X축, 운동 수행이 Y축일 때 직선으로 뻗어 나가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 이론은 단순한 과제나 초보 학습자에게는 어느 정도 적합할 수 있지만, 복잡한 기술이 요구되는 운동 과제는 설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20]

역U 이론은 각성 수준과 운동 수행의 관계가 U자를 뒤집어 놓은 형태의 곡선으로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즉, 각성 수준이 중간 정도일 때 최적의 수행이 나타나고, 각성 수준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수행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스포츠 상황에서 욕구 이론보다 더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적정한 각성 수준이 어디에 있으며, 이것을 어떻게 찾을 것인지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각성 수준이 아주 높을 때는 미식축구 태클, 투포환, 역도, 200m 및 400m 달리기 등에서 좋은 수행을 보일 수 있다. 중간 정도의 각성 수준에서는 농구, 복싱, 유도, 체조, 야구 투구, 다이빙 등에서 좋은 수행을 보일 수 있다. 반면, 각성 수준이 아주 낮을 때는 양궁, 골프 퍼팅, 농구 자유투, 축구 페널티킥 등에서 좋은 수행을 보일 수 있다.

최적 기능 구역 이론은 개인의 특성과 과제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각성 수준이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최적 수준이 불안의 연속선 상에서 항상 중앙이 아닐 수도 있으며, 개인에 따라 큰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선수 개개인은 최고의 수행을 발휘할 때 자신만의 고유한 적정 수준을 가지며, 이 수준은 한 점이라기보다는 범위로 표시된다.

각 스포츠 종목은 다양한 기술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요구되는 각성 수준도 다르다. 또한, 개인의 불안 수준도 고려해야 한다.

3. 4. 동기 부여

동기 부여는 노력의 강도와 방향으로 정의된다. 동기 부여의 방향은 개인이 특정 상황을 추구하는지, 아니면 어려운 상황을 회피하는지를 나타낸다. 강도는 개인이 도전이나 상황에 얼마나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지를 나타낸다. 동기 부여는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성격 특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동기 부여에는 세 가지 일반적인 이론이 있다.

  • 참가자/특성 이론: 동기 부여가 운동선수의 성격 특성, 욕구, 목표로 구성된다고 본다. 예를 들어, 경쟁심이 강한 운동선수는 끊임없이 발전하고 승리하려는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를 받는다.
  • 상황 이론: 동기 부여가 상황과 환경에 달려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혼자 있을 때는 의욕을 느끼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이 지켜볼 때 동기 부여를 받는 운동선수가 있다.
  • 상호 작용 이론: 개인의 동기 부여 수준이 개인의 특성과 현재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고 본다. 예를 들어, 경쟁적인 운동선수는 다른 사람들과의 경기에서 가장 큰 동기 부여를 느낄 수 있다.


자기 결정성 이론은 다양한 동기 유형을 제시한다.

  • 무동기: 행동에 참여하려는 의지가 없는 상태로, 무능력감과 행동-결과 간 연결 부족이 동반된다.
  • 외적 조절 및 내사 조절: 비자결적 외적 동기 부여로, 자신의 행동이 선택적이지 않고 심리적 압력의 결과라고 느낀다.
  • 동일시 조절 및 통합 조절: 자결적 외적 동기 부여로, 행동이 선택에 의해 시작되지만 반드시 즐겁다고 인식되지는 않는다.
  • 내적 동기 부여: 내면에서 나오며, 완전히 자결적이고, 스포츠에서 파생되는 관심과 즐거움이 특징이다.


특성과 상황에 따라 동기 부여는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동기 부여가 어려운 선수도 코칭, 리더십, 환경 변화, 다양한 동기 부여 이유 찾기, 현실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동기 부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선수들은 실패 회피보다는 성공 달성을 위한 동기 부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전환 이론은 모든 인간 행동이 네 쌍의 반대 상태, 즉 8가지 상태로 경험된다고 본다. 각 쌍의 동기 부여 상태는 항상 존재하며, 덜 바람직한 상태에서 의도적으로 전환하면 수행 능력과 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이론은 각성과 스트레스를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다양한 스포츠 연구에서 지지받고 있다.

3. 5. 기술 습득

스포츠 기술은 학습된 능력으로, 신경근 시스템의 기능과 관련이 있다.[20] 기술을 개발함에 따라 오류는 줄어들며, 능력은 특정 스포츠에 대한 잠재력을 결정하는 타고난 신체적 속성이다.[20] 기술 습득은 심리학의 하위 분야에서 뇌-행동 이론에 대한 자체적인 해석을 갖는 것으로 발전했다.[20]

4. 스포츠 심리학의 응용 분야

스포츠 심리학은 선수와 코치에게 심리학적 기술과 원리를 가르치는 스포츠 심리학 컨설턴트, 선수에게 상담과 치료를 제공하는 임상 및 상담 심리학자를 포함하는 실무자들의 등장으로 여러 논쟁을 야기했다. 스포츠 심리학이 운동학, 스포츠 과학, 심리학, 상담 중 어디에 속하는지, 누가 스포츠 심리학의 실무를 관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대표적이다.[37]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스포츠 심리학 실무가 확장되면서, 이 분야의 통일성과 "좋은 전문직"이 되기 위한 일관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41] 대학원 프로그램 인증 및 스포츠 심리학 대학원생의 균일한 훈련 문제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었지만,[42] 헤일과 대니쉬(Hale and Danish, 1999)는 대학원 프로그램의 인증이 필요하지 않으며 통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대신 이들은 고객과의 더 많은 접촉 시간과 더 면밀한 감독을 포함하는 응용 스포츠 심리학 분야의 특별 실습을 제안했다.[43]

이러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심리학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기점으로 전문화되기 시작했다.[36] 올림픽 팀들이 스포츠 심리학자를 고용하기 시작했고, 1985년에는 미국 팀이 최초의 정규 스포츠 심리학자를 고용했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에는 미국이 이미 20명 이상의 스포츠 심리학자를 고용하여 선수들과 함께 일하고 있었다.

4. 1. 경기력 향상

스포츠 심리학은 선수들이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다양한 심리 기술 훈련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목표 설정, 심상, 자기 대화, 이완 기법, 루틴 개발 등이 포함된다.[64] 이러한 정신 훈련은 엘리트 선수들이 경기력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63]

메타 분석 연구에 따르면 스포츠 심리학 기법은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특히, 과제 결속력과 자기 효능감은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62]

정신적 준비는 운동선수의 경기력에 도움이 되지만, 엘리트 운동선수와 코치는 스포츠 심리학자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것을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63] 심상 연습과 정신적 및 신체적 반복 횟수를 늘리는 것은 스포츠 경기력 향상을 위한 정신 훈련의 주요 권장 사항 중 하나이다.[64]

4. 2. 정신 건강

스포츠 심리학은 운동선수들의 정신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기여한다. 우울증, 불안, 섭식 장애, 번아웃 등은 운동선수들이 흔히 겪는 정신 건강 문제이다.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선수들의 정신 건강을 증진시키고,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다.[107]

스포츠와 학업을 병행하는 학생 운동선수들은 여러 요구 사항에 대처해야 하므로 정신 건강이 저하되고 스트레스 수준이 증가한다. 평소보다 높은 주간 스포츠-학업 갈등을 경험하는 학생 운동선수는 평소보다 더 높은 스포츠 관련 스트레스를 받으며,[105]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한 학생 운동선수는 각 스포츠 경기 중에 더 큰 스포츠 불안을 보고했다. 이들은 스포츠 연습과 경기 경험을 병행하면서 학생으로서의 스트레스 요인을 처리해야 한다.[106]

2022년 연구에 따르면 학생 운동선수 대다수(62.5%)가 섭식 장애, 불안, 우울증과 같은 건강 악화 결과를 보고했으며, 22.6%는 긍정적인 건강 결과를 보고했다. 정신 건강 문제에 기여하는 대부분의 변수는 일반적인 요인 또는 스포츠 관련 요인이었으며, 대학 스포츠와 학업을 동시에 하는 경우 관련 요인을 조사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107]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는 서로 다른 정신 건강 프로파일을 나타낸다.[159] 여성 운동선수는 정신 병리, 특히 불안, 우울증 또는 섭식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 최대 70%의 여성 운동선수가 신경성 식욕 부진 및 신경성 폭식증과 같은 두 가지 특정 섭식 장애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 중 최대 42%가 더 높은 경쟁 수준의 운동선수이다.[160] 불안, 우울증, 수면 문제는 발레체조와 같이 심미성이 높은 스포츠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섭식 장애는 일반 대중보다 운동선수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여성의 경우 섭식 장애는 심미적 스포츠, 경주 스포츠 및 섬세한 운동 기술을 요하는 스포츠에서 매우 흔하게 나타나며, 팀 구기 종목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난다. 남성의 경우 섭식 장애는 고강도 격투 및 신체 접촉 스포츠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159]

운동선수의 정신 건강은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스포츠 단체들은 운동선수의 정신 건강을 건강한 엘리트 스포츠 시스템의 핵심 요소이자 운동선수의 효과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 인식해야 한다.[175] 운동선수의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부상, 부진한 성적,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176]

4. 3. 유소년 스포츠

유소년 스포츠는 18세 미만의 어린이를 위한 조직적인 스포츠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유소년 스포츠 참여의 긍정적인 측면이나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부모가 자녀의 스포츠 활동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다.[65] 유소년 스포츠가 스포츠 심리학 연구에서 연구되는 데에는 생활 기술, 소진, 부모의 행동, 코치의 행동 등 여러 요인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유소년 스포츠 선수들이 정신적으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영향을 받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생활 기술'은 스포츠 참여를 통해 개발되는 정신적, 정서적, 행동적, 사회적 기술과 자원을 의미한다.[66] 이 분야의 연구는 생활 기술이 어떻게 개발되고 스포츠에서 삶의 다른 영역(예: 테니스에서 학교로)으로 이전되는지, 그리고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에 초점을 맞춘다.[67] 스포츠에서의 '소진'은 일반적으로 정서적 고갈, 탈개인화, 성취감 저하의 세 가지 차원으로 특징지어진다.[68] 소진을 경험하는 선수들은 완벽주의, 지루함, 부상, 과도한 압박, 과훈련 등 다양한 요인을 가지고 있다.[69] 소진은 다양한 운동 집단(예: 코치)에서 연구되지만, 유소년 스포츠에서 심각한 문제이며, 스포츠로부터의 이탈에 기여한다. 유소년 스포츠에서의 '양육'은 어린 선수들에게 필수적이고 중요하다. 양육에 대한 연구는 어린이의 참여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행동을 탐구한다. 예를 들어, 연구에 따르면 아이들은 부모가 지원을 제공하고 참여하기를 원하지만, 그들이 스포츠에 정통하지 않은 한 기술적인 조언을 제공하지 않기를 원한다.[70] 부모의 과도한 요구도 소진에 기여할 수 있다. '코치 행동'은 유소년 선수들이 스포츠를 경험하는 방식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70] 코치의 행동 스타일을 코딩하는 연구에서, 아이들이 코치의 행동을 코치보다 더 정확하게 인식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인식 부족은 선수들의 부정적인 행동과 소진에 크게 기여한다.

4. 4. 코칭

스포츠 심리학은 코치의 리더십, 의사소통, 동기 부여 전략 등을 연구하고, 효과적인 코칭 방법을 제시한다. 코치는 선수들의 동기 부여 환경을 조성하고, 선수 중심의 철학을 바탕으로 훈련을 지도해야 한다.[71][74]
동기 부여 환경코치는 과제 지향적 환경과 자아 지향적 환경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동기 부여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과제 지향적 환경은 기술 구축, 향상, 노력, 과제 숙달(자기 참조 목표)을 강조하는 반면, 자아 지향적 환경은 우월한 능력 과시, 경쟁을 강조하며 노력이나 개인의 향상을 장려하지 않는다(타인 참조 목표). 과제 지향적 환경은 선수에게 더 큰 내적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72]
효과적인 코칭 방법효과적인 코칭 방법은 코치가 선수들을 이끌고 가르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탐구한다. 연구자들은 피드백 제공, 행동 보상 및 강화, 의사소통 등에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한다.[73] 코치는 선수들에게 자율성을 지원하거나 통제하는 존재로 인식될 수 있다. 자율성을 지원하는 코치는 선수들에게 관여하고 배려하며, 통제적인 코치는 선수들에게 내적 동기를 덜 심어준다. 동기는 코치가 자율성을 지원하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훈련과 지침을 제공할 때 극대화된다.[72]
코칭 철학코칭 철학은 코치의 행동과 경험을 안내하는 코치 고유의 신념이다.[74] 이 철학은 자기 인식을 촉진하고, 코칭 목표를 우선시하며, 선수 중심적이어야 한다. 선수 중심 철학은 승리보다 학습과 향상을 강조하며, 선수 발달을 최우선으로 한다.[74]
의사소통의사소통은 선수, 부모, 관리자, 다른 코치, 언론, 지지자를 대상으로 하는 코치의 끊임없는 역할이다. 이는 주로 말하기, 쓰기, 신체 언어, 듣기의 형태로 나타난다. 연구에 따르면 선수들은 긍정적인 피드백, 구체적인 기술 지침, 일반적인 격려에 가장 잘 반응한다.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지지적이고, 선수에게 구체적이며, 언어적 및 비언어적으로 일치하는 동시에 직접적이고, 완전하며, 즉각적이고, 명확한 코칭 의사소통 스타일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74]
선수-코치 관계코치는 좋은 전문적인 선수-코치 관계를 갖는다는 아이디어에 대해 더 개방적이 되었다. 이 관계는 효과적인 성과 설정을 위한 기반이다.[75]

4. 5. 팀 과정

팀 응집력은 목표를 추구하면서 팀원들이 뭉치는 경향을 의미한다.[76] 팀 응집력에는 사회적 응집력(팀원들이 서로 얼마나 좋아하는지)과 과제 응집력(팀원들이 목표 달성을 위해 얼마나 잘 협력하는지) 두 가지 요소가 있다. 집단 효능감은 팀이 주어진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팀 전체의 믿음이다.[77] 즉, 팀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수준에 대한 믿음이며, 팀원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전반적인 신념이지, 단순히 개별적인 자신감의 합은 아니다. 리더십은 팀 구성원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영향을 미치는 행동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다.[78] 스포츠에서 리더십은 팀 주장, 코치, 트레이너와 같이 팀에 리더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효과적인 리더의 특성과 리더십 개발을 연구한다.

4. 6. 부상 회복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선수들이 부상으로 인한 심리적 후유증에서 회복하도록 돕는다. 특히 프로 선수와 같이 운동선수는 다른 종류의 운동가보다 부상 위험이 더 높기 때문에, 부상으로부터 회복하는 과정과 다양한 종류의 부상이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 심리학 연구의 중요한 요소이다.[88] 스포츠 심리학자들은 재활 기간 동안 목표 설정, 자기 대화(Intrapersonal communication), 생체 되먹임 (biofeedback) 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술의 효과를 탐구한다.[91]

선수들의 부상은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특히 특정 스포츠를 하는 것이 직업인 엘리트 선수들에게 부상을 입고 스포츠를 할 수 없다는 것은 부정적인 정신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92]

5. 한국 스포츠 심리학의 현황과 과제

스포츠 심리학 상담 과정은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구조화되어 반복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스포츠 심리학의 일반적인 목표는 경기력 향상이다. 이러한 방법론은 행동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행동과 환경의 상호작용 효과로 경기력을 공식화한다.[46] 스포츠 심리학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는 경기력 향상이라는 형태의 행동 수정을 유도하는 반복 가능한 프로세스이며, 운동선수의 구체적인 요구 사항과 스포츠 심리학자가 사용하는 방법론에 따라 맞춤화된다.

참조

[1] 웹사이트 Home https://fepsac.com/ 2022-05-30
[2] 서적 Sport psychology : a student's handbook http://worldcat.org/[...] Routledge 2006
[3] 논문 The Psychology of the Marathoner http://dx.doi.org/10[...] 2007
[4] 서적 Advances in Sport Psychology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008
[5] 문서 Psychology gets in the gam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6] 논문 Sport psychology and performance meta-analysi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22
[7] 웹사이트 Sport Psychology: A Short History And Overview Of A Field Whose Time Has Come, And How It Can Help You In Your Sport https://www.mentalga[...]
[8] 문서 Psychology gets in the gam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9] 문서 A brief history of sport psychology 2011
[10] 서적 Psychology Gets in the Game: Sport, Mind, and Behavior, 1880-1960 U of Nebraska Press 2009
[11] 논문 Psychology and 'The Babe' 1998
[12] 문서 Psychology gets in the gam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13] 문서 Psychology gets in the gam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14] 문서 Psychology gets in the gam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15] 서적 Behavioral sport psychology : evidence-based approaches to performance enhancement http://worldcat.org/[...] Springer 2011-07-25
[16] 서적 Behavior Modification http://dx.doi.org/10[...] 2019-02-05
[17] 간행물 Athletic Coaching http://dx.doi.org/10[...] John Wiley & Sons, Inc. 2022-06-14
[18] 논문 Applied research studies with single-subject designs: Why so few? http://dx.doi.org/10[...] 1996-09
[19] 웹사이트 Ethics Code: AASP Ethical Principles and Standards https://appliedsport[...]
[20] 웹사이트 Skill Acquisition https://www.sciencef[...] 2018-11-16
[21] 논문 "Psychology and "The Babe 1998
[22] 논문 Sport psychology: The Griffith Era, 1920–1940 1995
[23] 문서 A brief history of sport psychology The Tough Mind 2011
[24] 문서 Psychology gets in the gam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9
[25] 웹사이트 Franklin M. Henry https://senate.unive[...] 2021-09-23
[26] 문서 In memoriam: Franklin M. Henry
[27] 문서 Essential readings in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1979
[28] 논문 Mental Links to Excellence 1988-06
[29] 웹사이트 ISSP History https://www.issponli[...] 2022-04-16
[30] 논문 From pope to hope: The first twenty years of ISSP http://www.tandfonli[...] 2003
[31] 웹사이트 History https://fepsac.com/h[...] 2017-01-04
[32] 간행물 History of Sport, Exercise, and Performance Psychology in North America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4-16
[33] 문서 No one told you when to run: The past and present is not the future of sport psychology http://www.bgsu.edu/[...] Keynote presentation, Association for Applied Sport Psychology, Providence, RI. 2011-06-25
[34] 문서 Become a certified consultant http://appliedsportp[...]
[35] 논문 "It's psychology Jim, but not as we know it!": The changing face of applied sport psychology. http://doi.apa.org/g[...] 2020
[36] 서적 History of the Mental Game
[37] 논문 The Knowledge Map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An Integrative Perspective
[38] 논문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practice of sport psychology
[39] 논문 A reaction to Danish and Hale: A minority report
[40] 논문 Identity crisis in North American sport psychology: Academics in professional issues
[41] 논문 Toward the professionalization of sport psychology
[42] 논문 Critical issues confronting the advancement of applied sport psychology
[43] 논문 Putting the Accreditation Cart Before the AAASP Horse: A Reply to Silva, Conroy and Zizzi
[44] 서적 Psychological assessment: Objective/self-report measures Routledge
[45] 서적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014-11-11
[46] 논문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the Practice of Performance Improvement https://doi.org/10.1[...] 2015-07
[47] 논문 Resilience Training with Soldiers during Basic Combat Training: Randomisation by Platoon: Resilience Training at Basic Training https://onlinelibrar[...] 2015-03
[48] 논문 The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cognitive therapy and nutrition education as additions to a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for weight loss 1991-01-01
[49] 간행물 A Social Identity Approach to Sport Psychology: Principles, Practice, and Prospects https://doi.org/10.1[...]
[50] 서적 Sport Psychology Routledge
[51] 웹사이트 Sport psychologists help professional and amateur athletes https://www.apa.org/[...] 2022-03-05
[52] 서적 Encyclopedia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53] 서적 Stress research in sport psychology: Thre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https://books.google[...] Logos
[54] 논문 What is this thing called mental toughness?: An investigation with elite performers
[55] 웹사이트 From Adversity to Strength? Investigating a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Adversity Quotient and Mental Toughness https://libwin2k.gle[...] 2024-04-28
[56] 서적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57] 논문 Conceptualization of sport-confidence and competitive orientation: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58] 논문 Intensity and interpretation of anxiety symptoms in elite and non-elite sports performers
[59] 서적 Motivational processes and the facilitation of performance, persistence, and well-being in sport https://books.google[...] McGraw-Hill
[60] 서적 Encyclopedia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61] 웹사이트 Athlete's Subjective Performance Scale (ASPS) https://sportperform[...] 2020
[62] 논문 Sport psychology and performance meta-analys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22-02-16
[63] 논문 How Does Sport Psychology Actually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A Framework to Facilitate Athletes' and Coaches' Understanding http://journals.sage[...]
[64] 논문 Mental practice in sport psychology: Where have we been, where do we go? http://doi.apa.org/g[...]
[65] 논문 Coaching life skills through football: A study of award winning high school coaches
[66] 논문 Sport-based life skills programming in the schools
[67] 논문 Burnout in sport: A systematic review
[68] 논문 Sources and Consequences of Athletic Burnout among College Athletes https://journals.ku.[...] 2009-06
[69] 논문 Junior Tennis Players' Preferences for Parental Behaviors https://cronfa.swan.[...] 2010-11-02
[70]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71] 간행물 Achievement goals, motivational climates and motivational processes Human Kinetics 1992
[72] 서적 Handbook of Sport Psych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10-05
[73] 간행물 Positive reinforcement, performance feedback, and performance enhancement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6
[74] 서적 Sport Psychology for Coaches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2008
[75] 서적 Encyclopedia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76] 간행물 The measurement of cohesion in sport groups https://books.google[...]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1998
[77] 학술지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 https://ejournals.ep[...] 2001-02
[78] 학술지 The variables of leadership: A review and conceptual framework
[79] 학술지 Taking Stock of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Sport
[80] 학술지 A Commentary and Reflections o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Sport Psychology https://researchport[...] 2019-01-02
[81] 학술지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elite sport: Its emergence, application and future
[82] 서적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5th Edition. Mayfield
[83] 웹사이트 Motivation in Sports Psychology https://www.sportspe[...]
[84] 서적 Reversal Theory: The Dynamics of Motivation, Emotion and Personality Oneworld Publications 2006
[85] 서적 Motivational styles in everyday life: A guide to reversal theor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1-01-20
[86] 서적 Sport Psychology https://memberfiles.[...] Routledge 2021-01-20
[87] 학술지 Reversal theory-based sport and exercise research: A systematic/narrative review https://doi.org/10.1[...] 2021-01-20
[88] 간행물 Injury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http://dx.doi.org/10[...] Wiley-Blackwell 2022-04-17
[89] 학술지 Sex Differences in Common Sports Injuries 2018-10
[90] 웹사이트 Mind, Body and Sport: How being injured affects mental health https://www.ncaa.org[...] 2022-04-17
[91] 학술지 Psychology of sport injury rehabilitation: a review of models and interventions http://rua.ua.es/dsp[...] 2013
[92] 학술지 Sport Injury and Grief Responses: A Review https://journals.hum[...] 1995-09-01
[93] 서적 Handbook of Sport Psychology 2007-01-19
[94] 웹사이트 Physical, Affective and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Athlete Burnout https://thesportjour[...] 2022-04-23
[95] 웹사이트 Understanding Student-Athlete Burnout https://appliedsport[...] 2015-01-16
[96] 학술지 The role of perfectionism in predicting athlete burnout, training distress, and sports performance: A short-term and long-term longitudinal perspective https://pubmed.ncbi.[...] 2021-09
[97] 웹사이트 Life After Sport: Mitigating the Athlete Identity Crisis {{!}} BU Sport & Performance Psychology Team https://blogs.bu.edu[...] 2022-04-23
[98] 웹사이트 Athletic Identity https://believeperfo[...] 2022-04-23
[99] 웹사이트 Understanding Athletic Identity: 'Who am I?' https://www.podiumsp[...] 2022-04-23
[100] 학술지 Associations between retirement reasons, chronic pain, athletic ident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ormer professional footballers https://doi.org/10.1[...] 2017-11-26
[101] 학술지 STUDYING SPORTS PSYCHOLOGY https://inlibrary.uz[...] 2023-12-19
[102] 간행물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http://dx.doi.org/10[...] Palgrave Macmillan UK 2022-08-09
[103] 학술지 Psychological Well - Being and Physical Self-Esteem in Sport and Exercise https://doi.org/10.1[...] 2004-02-01
[104] 학술지 Studying Sport Psychology https://doi.org/10.3[...] 2023-12-19
[105] 웹사이트 Conflicting or enriching? Person-centered weekly follow-up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athletes' role interactions and well-being https://libwin2k.gle[...] 2024-04-28
[106] 웹사이트 Stress, Sport Anxiety, Neuroticism, and Coping in Student-Athletes: Implications for Patient Mental Health https://libwin2k.gle[...] Sep 2023 2024-04-28
[107] 간행물 The mental health of student-athletes: a systematic scoping review 2022-01-10
[108] 간행물 Sport psychology consulting at elite sport competitions. http://doi.apa.org/g[...] 2014-05
[109] 간행물 Coaching olympic athletes with sport psychology. http://doi.apa.org/g[...] 2019-06
[110] 서적 Relaxation and energizing techniques for regulation of arousal. In Williams, J.M. (Ed.),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McGraw-Hill 2006
[111] 논문 The Effects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iate Athletes 2017
[112] 서적 Stress in college athletics : causes, consequences, coping Routledge 2013
[113] 간행물 Influence of a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Programme on Levels of State Anxiety in University Aerobic Gymnasts
[114] 논문 Anxiety,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and recuperation of a baseball pitcher's arm 2009
[115] 간행물 Positive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on Physiological Stress Reactivity in Varsity Athletes 2018-03
[116] 간행물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slow breathing in the healthy human 2017-12
[117] 간행물 Yogic breathing practices improve lung functions of competitive young swimmers 2017-04
[118] 웹사이트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Training http://www.actmindfu[...] Act Mindfully
[119] 서적 The Psychology of Enhancing Human Performance Spring Publishing Co.
[120] 간행물 Application of the Mindfulness-Acceptance-Commitment (MAC) Protocol with an Adolescent Springboard Diver http://www.mendeley.[...]
[121] 웹사이트 NCAA.org - The Official Site of the NCAA https://www.ncaa.org[...] 2021-10-05
[122]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123] 간행물 Sport Psychology 1984
[124]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125] 간행물 A Practice-Specificity-Based Model of Arousal for Achieving Peak Performance 2007-11
[126] 서적 P3 thinking. In Vealey, R.S. (Ed.), Coaching for the Inner Edge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2005
[127] 간행물 The Application of Goal Setting to Sports 1985-09
[128] 서적 Goal setting for peak performance. In Williams, J.M. (Ed.), Applied Sport Psychology: Personal Growth to Peak Performance McGraw-Hill 2006
[129] 간행물 Goal setting in sport and exercise: A research synthesis to resolve the controversy
[130] 웹사이트 Monsma, Eva.(2007). Principles of Effective Goal Setting http://www.appliedsp[...]
[131] 문서 "Goal Setting." Foundation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Courier Printing 2011
[132] 서적 Encyclopedia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33] 서적 Seeing is believing: Understanding and using imagery in sport. In Williams, J.M. (Ed.),
[141] 논문 Self-Talk and Sports Performance: A Meta-Analysis 2011-07
[142] 논문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self-talk interventions on endurance performance
[143] 서적 Cognitive Techniques for Building Confidence and Enhancing Performance
[144] 논문 Mood and memory 1981-02
[145] 서적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H. Freeman and Company
[146] 서적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47] 논문 Can biofeedback training of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enhance athlete's sport performance? A practitioner's perspective 2015-03-27
[148] 논문 Anxiety Management through Psychophysiological Techniques: Relaxation and Psyching-Up in Sport 2013-09
[149] 논문 Effects of Relaxing and Arousing Music during Imagery Training on Dart-Throwing Performance, Physiological Arousal Indices,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2018-02-05
[150] 논문 The BASES Expert Statement on use of music in exercise http://bura.brunel.a[...] 2012-05
[151] 논문 Everyday music listening and affect regulation: The role of MP3 players 2013-01-01
[152] 논문 The influence of self-selected music on affect-regulated exercise intensity and remembered pleasure during treadmill running. http://shura.shu.ac.[...] 2018-02
[153] 논문 From perception to pleasure: Music and its neural substrates 2013-06-18
[154] 논문 Music in Sport and Exercise : An Update on Research and Application http://thesportjourn[...] 2008-07-07
[155] 논문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usic on exercise performance in normal individuals 2013-10
[156] 논문 Comparison of athlete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individual and team sports 2010
[157] 웹사이트 Barlow, M., Woodman, T., & Hardy, L. (2013). Great expectations: Different high-risk activities satisfy different motiv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105, 458-475. https://psycnet.apa.[...]
[158] 서적 The Corsini Encyclopedia of Psychology
[159] 논문 Psychological Balance in High Level Athletes: Gender-Based Differences and Sport-Specific Patterns 2011-05-04
[160] 웹사이트 Eating Disorders in Female Athletes https://www.massgene[...]
[161] 논문 Eating disorders in athlet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162] 서적 Foundations of Exercis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163] 논문 Defining the Practice of Sport and Performance Psychology: (521472012-001) http://doi.apa.org/g[...] 2012
[164] 서적 Talks to teachers on psychology: And to students on some of life's ideals Henry Holt and Company
[165] 논문 The Effects of Exercise Upon the Retardation in Conditions of Depression https://zenodo.org/r[...] 1905-10
[166] 논문 Exercise Interventions for Mental Health: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view 2006-05
[167] 서적 Contemporary psychology of sport: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gress of Sport Psychology The Athletic Institute
[168] 논문 Affective beneficence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169] 논문 Anxiety reduction following exercise and meditation
[170] 논문 Self-motivation and adherence to habitual physical activity
[17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apa47.org[...]
[172] 서적 Foundations of Exercis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173] 서적 Exercis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Human Kinetics
[174] 논문 Cognitive enhancement: A comparative review of computerized and athletic training programs
[175] 논문 Consensus statement o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of high performance athletes 2018-11-02
[176] 논문 The Mental Health of Elite Athletes: A Narrative Systematic Review 2016-09
[177] 논문 Athlete mental health: future directions https://bjsm.bmj.com[...] 2021-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