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마 중입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그마 중입자는 세 개의 쿼크로 구성된 중입자 종류이다. 양성자, 중성자 등과 함께 하드론에 속하며, 람다 중입자, 시 중입자, 오메가 중입자 등과 함께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그마 중입자 | |
---|---|
입자 정보 | |
이름 | 시그마 중입자 |
구성 | Σ⁻: dds, Σ⁰: uds, Σ⁺: uus |
가족 | 페르미온 |
무리 | 중입자 |
세대 | 2 |
기호 | Σ⁻, Σ⁰, Σ⁺ |
질량 | Σ⁰: 1192.642(24) MeV/c² Σ⁻: 1197.449(30) MeV/c² Σ⁺: 1189.37(7) MeV/c² |
색전하 | 0 |
전하 | Σ⁻: −1, Σ⁰: 0, Σ⁺: +1 |
스핀 | 1½ |
맵시 시그마 중입자 정보 | |
이름 | 맵시 시그마 중입자 |
구성 | Σc⁰: ddc, Σc⁺: udc, Σc⁺⁺: uuc |
가족 | 페르미온 |
무리 | 중입자 |
세대 | 2 |
기호 | Σc⁺, Σc⁰, Σc⁺⁺ |
질량 | Σc⁰(2455): 2453.76(18) MeV/c² Σc⁺(2455): 2452.9(4) MeV/c² Σc⁺⁺(2455): 2454.02(18) MeV/c² |
색전하 | 0 |
전하 | Σ⁰: 0, Σ⁺: +1, Σ⁺⁺: +2 |
스핀 | 1½ |
바닥 시그마 중입자 정보 | |
이름 | 바닥 시그마 중입자 |
구성 | Σb⁻: ddb, Σb⁰: udb, Σb⁺: uub |
가족 | 페르미온 |
무리 | 중입자 |
세대 | 3 |
기호 | Σb⁻, Σb⁰, Σb⁺ |
질량 | Σb⁰: ?? (미발견) Σb⁺: 5807.8(2.7) MeV/c² Σb⁻: 5815.2(2.0) MeV/c² |
색전하 | 0 |
전하 | Σb⁰: 0, Σb⁺: +1, Σb⁻: −1 |
스핀 | 1½ |
바닥 시그마 스타 중입자 정보 | |
이름 | 바닥 시그마 스타 중입자 |
구성 | Σb*⁻: ddb, Σb*⁰: udb, Σb*⁺: uub |
가족 | 페르미온 |
무리 | 중입자 |
세대 | 3 |
기호 | Σb*⁻, Σb*⁰, Σb*⁺ |
질량 | Σb*⁰: ?? (미발견) Σb*⁺: 5829.0(3.4) MeV/c² Σb*⁻: 5836.4(2.8) MeV/c² |
색전하 | 0 |
전하 | Σb*⁰: 0, Σb*⁺: +1, Σb*⁻: −1 |
스핀 | 1½ |
일반적 특성 | |
통계 | 페르미온적 |
그룹 | 중입자 |
상호작용 | 강력, 약력, 전자기력, 그리고 중력 |
질량 | ": " ": " ": " |
기묘도 | -1 |
아이소 스핀 | 1 |
2. 기본 입자
표준 모형에서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들을 기본 입자라고 한다. 기본 입자는 페르미온과 보손으로 나뉜다.
2. 1. 페르미온
페르미온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로, 스핀이 반정수(1/2)이며 파울리 배타 원리를 따른다. 페르미온은 쿼크와 렙톤으로 나뉜다.다음은 관련 기호 설명이다.
- ''I'': 아이소스핀
- ''J'': 총 각운동량
- ''P'': 패리티
- u: 업 쿼크
- d: 다운 쿼크
- s: 스트레인지 쿼크
- c: 참 쿼크
- t: 탑 쿼크
- b: 바텀 쿼크
- ''Q'': 전하
- ''S'': 스트레인지니스
- ''C'': 참니스
- ''B′'': 바텀니스
- ''T'': 탑니스
- 기타 소립자 (이름을 보려면 마우스를 올려놓으세요).
반입자는 표에 나열되어 있지 않지만, 모든 쿼크를 반쿼크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하고, ''Q'', ''B'', ''S'', ''C'', ''B′'', ''T''는 반대 부호가 된다. 빨간색의 ''I'', ''J'', ''P'' 값은 실험으로 확고하게 확립되지 않았지만, 쿼크 모형에 의해 예측되었으며 측정값과 일치한다.[1]
2. 1. 1. 쿼크
시그마 중입자를 구성하는 쿼크에는 업 쿼크(u), 다운 쿼크(d), 스트레인지 쿼크(s), 참 쿼크(c), 바텀 쿼크(b), 탑 쿼크(t)가 있다. 반입자는 모든 쿼크를 반쿼크로 (또는 그 반대로) 바꾸고, 전하(Q), 중입자수(B), 스트레인지니스(S), 참니스(C), 바텀니스(B′), 탑니스(T)의 부호를 반대로 바꾸면 된다. 아이소스핀(I), 총 각운동량(J), 패리티(P) 값(빨간색 표시)은 실험으로 확고하게 정립되지 않았지만, 쿼크 모형으로 예측되었고 측정값과 일치한다.[1]2. 1. 2. 렙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시그마 중입자'의 '렙톤'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출력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답변과 동일합니다.2. 2. 보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보손' 섹션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시그마 중입자 문서에서 보손에 대한 정보를 작성하는 것은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불가능하다.2. 2. 1. 게이지 보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게이지 보손' 섹션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요약에서 언급된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입자"라는 정보는 있지만, 이는 '시그마 중입자'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2. 2. 2. 스칼라 보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스칼라 보손" 또는 "힉스 보손"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시그마 중입자' 문서의 '스칼라 보손' 섹션에는 해당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입자 목록에 사용되는 기호와 반입자에 대한 설명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이전 출력과 동일하며,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내용을 변경할 부분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에 없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3. 복합 입자
시그마 중입자는 복합 입자의 일종이다.
3. 1. 하드론
쿼크와 글루온으로 이루어져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입자이다. 중입자와 중간자로 나뉜다.4. 가상 입자
표준 모형을 확장한 이론에서 예측되는 입자들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5. 관련 용어 및 개념
다음은 시그마 중입자 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개념에 대한 설명이다.
- '''반입자''': 어떤 입자와 질량, 스핀 등은 같지만, 전하 등 다른 양자수가 반대인 입자이다. 예를 들어, 모든 쿼크는 반쿼크를 가지며, 전하, 바리온수, 스트레인지니스, 참니스, 바닥니스, 탑니스가 반대이다.[1]
- '''총 각운동량(J)''': 입자의 궤도 각운동량과 스핀 각운동량을 합한 물리량이다.
- '''패리티(P)''': 공간 반전에 대한 입자의 변환성을 나타내는 양자수이다.
6. 추가 정보
C. Amsler 외 (입자 데이터 그룹)의 "입자 물리학 검토" Physics Letters B 667권 1호 (2008년) 1쪽.[1]
J.G. Körner, M. Krämer, D. Pirjol의 "무거운 중입자," ''Progress in Particle and Nuclear Physics'' 33권 (1994년) 787–868쪽.[2]
T. Aaltonen 외 (CDF 공동 연구)의 "중입자 및 의 최초 관측," Physical Review Letters 99권 20호 (2007년) 202001쪽.[3]
참조
[1]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2]
논문
Top quark physics at hadron colliders
https://cds.cern.ch/[...]
[3]
간행물
Baryons
http://pdg.lbl.gov/2[...]
University of California
[4]
논문
Heavy Baryons
[5]
논문
Review of Particle Physics
https://academic.oup[...]
2020-08-14
[6]
간행물
Sigma(1385)
http://pdg.lbl.gov/2[...]
University of California
[7]
간행물
Charmed Sigma(2520)
http://pdg.lbl.gov/2[...]
University of California
[8]
문서
C.Amsler et al. (2008): Particle listings ? Σ+
http://pdg.lbl.gov/2[...]
[9]
문서
C.Amsler et al. (2008): Particle listings ? Σ0
http://pdg.lbl.gov/2[...]
[10]
문서
C.Amsler et al. (2008): Particle listings ? Σ-
http://pdg.lbl.gov/2[...]
[11]
문서
C.Amsler et al. (2008): Particle listings ? チャームΣ(2455)
http://pdg.lbl.gov/2[...]
[12]
문서
T. Aaltonen et al. (2007a)
[13]
문서
C.Amsler et al. (2008): Particle listings ? Σ(1385)
http://pdg.lbl.gov/2[...]
[14]
문서
C.Amsler et al. (2008): Particle listings ? チャームΣ(2520)
http://pdg.lbl.gov/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