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그트뤼그 카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그트뤼그 카흐는 10세기 초 더블린을 재정복한 바이킹 지도자이다. 902년 더블린에서 추방된 후 데인로를 통치했으며, 917년 아일랜드로 돌아와 더블린 왕위에 올랐다. 920년 노섬브리아로 이동하여 왕이 되었고, 926년 잉글랜드 왕 애설스탠의 여동생과 결혼했으나 이교로 돌아갔다. 그는 이마르의 손자였으며, 아일랜드브리지 전투에서 승리하는 등 아일랜드와 잉글랜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비크 국왕 - 할프단 라그나르손
    할프단 라그나르손은 9세기 후반 잉글랜드를 침략한 이교도 대군세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들로, 잉글랜드에서 활약하며 요르비크 왕국을 건설하고 더블린 왕국을 통치했으나 스트랭퍼드호 전투에서 전사했다.
  • 요르비크 국왕 - 에이리크 1세 블로됙스
    에이리크 1세 블로됙스는 10세기 노르웨이 왕이자 노섬브리아와 헤브리데스 제도의 통치자로, '피의 도끼'라는 별칭으로 알려졌으며, 왕위 다툼 끝에 노르웨이 왕위에 올랐으나 가혹한 통치로 반발을 사 영국으로 망명, 노섬브리아에서 두 차례 왕위에 올랐지만 축출당하고 살해되었다.
  • 927년 사망 - 시메온 1세
    시메온 1세는 893년부터 927년까지 불가리아를 통치한 군주로,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과 영토 확장을 통해 불가리아의 영토를 확장하고 문화적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그의 아들 페트르 1세가 뒤를 이었다.
  • 927년 사망 - 신숭겸
    신숭겸은 고려 초기의 장군이자 개국공신으로,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평산 신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려다 전사하여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10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에드먼드 1세
    에드먼드 1세는 애설스탄의 뒤를 이어 939년부터 946년 암살당할 때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앵글로색슨족 왕으로, 바이킹 침략에 맞서 영토를 회복하고 스코틀랜드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통일 왕국을 유지, 확장하고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
  • 10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에드워드 장형왕
    에드워드 장형왕은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잉글랜드를 통치하며 데인족에 맞서 싸우고 머시아를 병합하여 잉글랜드 통일의 기반을 다지고 법과 행정 체제를 정비했으며, 앵글로색슨 시대의 건축과 예술 발전에 기여한 웨섹스 왕국의 왕이다.
시그트뤼그 카흐
기본 정보
이름시트리크 카흐
원어 이름
다른 이름시그트뤼그
별칭"외눈박이", "애꾸눈"
직위
직함"밝은 이방인과 어두운 이방인의 왕"
더블린 국왕
요르비크 국왕
통치 기간밝은 이방인과 어두운 이방인의 왕: 921년–927년 경
더블린 국왕: 917년–920년
요르비크 국왕: 921년–927년
이전이바르 우어 이바르 (더블린 국왕)
뢰근발드 우어 이바르 (요르비크 국왕)
계승구드뢰드 우어 이바르 (더블린 국왕)
구드뢰드 우어 이바르 (요르비크 국왕)
가문
왕조우이 이마르
가족
자녀올라프 크바란
하랄드 시그트뤼그손
아우스레
구드뢰드
시치프리트
생애
사망927년

2. 배경

10세기의 영국 제도 지도
10세기 초의 영국 제도 지도


902년, 브레가의 군주 마엘 피니아 막 플란나칸과 레인스터의 군주 케르발 막 무이레칸이 이끄는 아일랜드 연합군에 의해 더블린을 지배하던 바이킹들이 도시에서 쫓겨났다.[4] 이 사건으로 더블린을 떠난 바이킹들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프랑스, 잉글랜드, 웨일스 등지로 흩어졌다.[5]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지배층 바이킹이 추방된 후에도 더블린에는 사람이 계속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6] 그럼에도 바이킹은 아일랜드 정착촌을 계속 습격했고, 914년에는 대규모 바이킹 함대가 워터포드에 도착하면서[7] 아일랜드 일부 지역에서 바이킹 통치가 다시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듬해에는 리머릭에도 바이킹 세력이 자리를 잡았다.[8]

시그트뤼그 카흐 역시 902년에 더블린에서 추방된 바이킹 중 한 명으로 추정된다.[11] 잉글랜드 북서부에서 발견된 쿠에르데일 호드 유물 중에는 Sitric Comes|시트리크 코메스la("시트리크 백작")라는 글자와 "Sceldfor"(쉘포드)라는 주조 표시가 새겨진 동전이 포함되어 있어, 그가 아일랜드에서 추방된 동안 동부 데인로 지역을 다스렸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2] 하지만 918년까지 앵글로색슨족험버강 이남의 데인로를 모두 정복했을 때, 영어 기록에는 시트리크 백작에 대한 언급이 없어, 그가 당시에는 이미 해당 지역을 통치하고 있지 않았음을 암시한다.[13]

시그트뤼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917년 아일랜드 연대기에 나타난다. 그는 이마르의 손자로 묘사되며, 또 다른 손자인 라그날과 함께 함대를 이끌고 아일랜드로 돌아왔다.[14] 시그트뤼그는 함대를 레인스터의 Cenn Fuait(오늘날 위클로 주 글레네일리 근처로 추정)로 이끌었고, 라그날은 워터포드로 향했다. 당시 북부 위 네일의 강력한 군주였던 닐 글룬두브는 이들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군대를 남쪽으로 보내 맞섰다. 바이킹 군대는 티퍼레리 주의 Mag Femen에서 닐 글룬두브의 군대와 싸웠고, 라그날 군대의 도움으로 승리했다.[15] 이후 컨피 전투(Cenn Fuait 전투)에서는 레인스터의 군주 아우가이르 막 아일렐라와 싸워 그를 전사시켰다. 아우가이르가 전사하면서, 바이킹의 아일랜드 복귀에 대한 아일랜드 측의 효과적인 저항은 사실상 막을 내렸다. 시그트뤼그는 군대를 이끌고 더블린으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으며, 라그날은 잉글랜드로 건너가 곧 노섬브리아의 왕이 되었다.[14]

라그날과 그의 군대가 떠나자 닐 글룬두브는 다시 한번 위 이마르 세력을 아일랜드에서 몰아내려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16] 919년, 닐은 북부 아일랜드 왕들의 연합군을 이끌고 더블린으로 진격했다. 시그트뤼그의 군대와 닐의 군대는 오늘날 더블린 주의 아일랜드브리지 근처에서 9월 14일에 충돌했다.[17] 이 아일랜드브리지 전투는 시그트뤼그 군대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고, 닐 글룬두브는 전투 중에 전사했다. 그 외에도 아일랜드 왕 5명과 남부 위 네일 군주의 친족이 시트리크 군대와의 싸움에서 목숨을 잃었다.[18][16] 이 승리로 시그트뤼그는 아일랜드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2. 1. 역사적 사료

시그트뤼그 카흐 시대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역사적 자료는 노르드 사가와 아일랜드 연대기이다.[9] 이 시기는 902년 바이킹더블린에서 추방되었다가[4] 914년 이후 워터포드[7]리머릭[8] 등을 중심으로 다시 아일랜드에 정착하기 시작한 변화의 시기였다.[7][8]

아일랜드 연대기 중에서는 울스터 연대기와 같이 사건 당시와 가까운 시기에 쓰인 기록들이 동시대 사료로 여겨져 비교적 신뢰도가 높게 평가된다.[9] 반면, 노르드 사가는 묘사하는 사건보다 훨씬 나중에 기록되었기 때문에 역사적 정확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본다.[9] 아일랜드 단편 연대기나 네 명의 대가의 연대기와 같은 일부 연대기들은 후대에 편집된 것이지만, 동시대 자료를 참고하거나 사가의 내용을 일부 포함하기도 했다.[9]

역사학자 다운햄은 아일랜드 연대기에 대해 "사가에서 가져온 내용을 제외하면, 학자들은 대체로 정확한 기록으로 간주하지만, 사건을 제시하는 방식에는 편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10] 이는 연대기 자료를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3. 생애

시그트뤼그 카흐는 10세기 초 아일랜드와 노섬브리아에서 활동한 중요한 바이킹 지도자이자 이마르 왕조의 일원이다. 902년경 다른 바이킹들과 함께 더블린에서 추방된 것으로 여겨지며,[11] 이후 잉글랜드 동부 데인로 지역에서 활동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2]

917년, 시트리크는 친족 라그날과 함께 함대를 이끌고 아일랜드로 돌아왔다.[14] 그는 컨피 전투 등 여러 전투에서 아일랜드 군주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바이킹 세력의 아일랜드 복귀를 확고히 했고,[14][15] 이후 더블린으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다.[14] 919년에는 아일랜드브리지 전투에서 북부 위 네일의 군주 닐 글룬두브가 이끄는 아일랜드 연합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하고 닐 글룬두브를 포함한 여러 아일랜드 군주들을 전사시켰다.[16][17][18]

920년, 시트리크는 더블린을 떠나 노섬브리아로 건너가, 사망한 친족 라그날의 뒤를 이어 노섬브리아의 왕이 되었다.[19] 더블린의 왕위는 그의 친족 고프라이드 우아 이마르가 계승했다.[11] 노섬브리아의 왕으로서 시트리크는 웨식스의 왕 에드워드 1세에게 복종했던 라그날과 달리, 체셔 지역을 약탈하는 등[20] 독립적인 세력임을 과시했다.[21] 에드워드 1세 사후, 그의 후계자 에텔스탄과 926년 태미스워스에서 만나 동맹을 맺고 에텔스탄의 누이와 결혼했다.[25][26] 이 과정에서 기독교로 개종했으나 곧 이교 신앙으로 돌아간 것으로 보인다.[27]

시트리크는 927년에 사망했으며,[28] 얼스터 연대기는 "이마르의 손자인 시트리크, 검은 외국인과 흰 외국인의 왕이 미성년의 나이에 사망했다"고 기록했다.[29] 그의 죽음 이후 노섬브리아 왕위는 다시 불안정해졌다.

3. 1. 더블린 탈출과 잉글랜드 원정 (902년 ~ 917년)



시트리크는 902년 다른 지배적인 바이킹들과 함께 더블린을 떠난 것으로 추정된다.[11] 쿠에르데일 호드에서 "Sitric Comes"(시트리크 백작)라는 글자와 쉘포드(Sceldfor)라는 주조 표시가 새겨진 동전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그가 아일랜드에서 추방된 동안 동부 데인로 지역을 통치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2] 앵글로색슨족은 918년까지 험버강 이남의 모든 데인로를 정복했지만, 영어 자료에는 시트리크 백작에 대한 언급이 없어 그가 이 시기에는 더 이상 해당 지역을 통치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13]

시트리크에 대한 가장 이른 기록은 아일랜드 연대기의 917년 기록이다. 이 기록은 그와 라그날을 이마르의 다른 손자들로 묘사하며, 이들이 아일랜드로 함대를 이끌었다고 전한다.[14] 시트리크는 함대를 레인스터의 Cenn Fuait로 이끌었고, 라그날은 워터포드로 함대를 이끌었다. 북부 위 네일의 최고 군주인 닐 글룬두브는 이들을 위협으로 보고 군대를 남쪽으로 진군시켰다. 바이킹들은 티퍼레리 주의 Mag Femen에서 위 네일 군대와 전투를 벌여 승리했는데, 이는 라그날과 그의 군대의 시기적절한 지원 덕분이었다.[15] 이어서 컨피 전투(Cenn Fuait 전투라고도 함)가 벌어졌고, 이 전투에서 레인스터의 최고 군주인 아우가이르 막 아일렐라가 전사했다. 아우가이르의 죽음은 바이킹의 아일랜드 복귀에 대한 실질적인 저항의 종식을 의미했다. 시트리크는 승리 후 군대를 이끌고 더블린으로 돌아와 왕위에 올랐으며, 라그날은 잉글랜드로 돌아가 곧 노섬브리아의 왕이 되었다.[14]

3. 2. 아일랜드 재정복과 더블린 왕위 (917년 ~ 920년)



902년 다른 바이킹 지배자들과 함께 더블린에서 추방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시트리크 카흐는[11] 십여 년 후 아일랜드로 돌아왔다. 아일랜드 연대기는 917년, 시트리크와 라그날이 이마르의 다른 손자들로서 각자 함대를 이끌고 아일랜드에 상륙했다고 기록한다.[14] 시트리크는 함대를 이끌고 레인스터의 Cenn Fuait에 도착했고, 라그날은 워터포드 항구에 상륙했다. 당시 북부 위 네일의 강력한 군주였던 닐 글룬두브는 이들의 등장을 위협으로 간주하고 군대를 남쪽으로 보내 바이킹을 격퇴하려 했다. 바이킹 군대는 티퍼레리 주의 Mag Femen에서 닐 글룬두브의 군대와 맞서 싸웠고, 라그날 군대의 시기적절한 지원에 힘입어 승리를 거두었다.[15] 이후 컨피 전투(Cenn Fuait 전투)에서는 레인스터의 군주 아우가이르 막 아일렐라와 싸워 그를 전사시켰다. 아우가이르의 죽음으로 바이킹의 아일랜드 복귀에 대한 아일랜드인들의 효과적인 저항은 사실상 끝나게 되었다. 시트리크는 승리한 군대를 이끌고 더블린으로 돌아와 스스로 왕위에 올랐으며, 라그날은 잉글랜드로 돌아가 곧 노섬브리아의 왕이 되었다.[14]

라그날과 그의 군대가 잉글랜드로 떠나자, 닐 글룬두브는 다시 한번 이마르 왕조 세력을 아일랜드에서 몰아내려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다.[16] 919년, 닐은 북부 아일랜드 왕들의 연합군을 이끌고 더블린을 향해 남하했다. 시트리크의 군대와 닐의 군대는 오늘날 더블린 주의 아일랜드브리지 근처에서 얼스터 연대기에 따르면 9월 14일에 격돌했다.[17] 이 아일랜드브리지 전투는 시트리크 군대의 압도적인 승리로 끝났고, 닐 글룬두브는 전투 중에 전사했다. 그 외에도 얼스터의 아에드 막 에오코칸, 브레가의 마엘 미티그 막 플란나칸, 아이르기알라의 마엘 크레이베 막 두이빈시그, 미데의 콘코바르 막 플라인, 사우스 브레가의 켈라흐 막 포가르타이그 등 다섯 명의 다른 왕들과 남부 위 네일 군주의 친족 역시 시트리크 군대와의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18][16]

920년, 얼스터 연대기는 시트리크가 "신의 힘으로" 더블린을 떠났다고 보고한다. 그는 노섬브리아로 건너가 이듬해 사망한 친족 라그날의 뒤를 이어 노섬브리아의 왕위를 차지했다.[19] 시트리크가 떠난 더블린의 왕위는 그의 형제 혹은 사촌인 고프라이드 우아 이마르에게 넘어갔다.[11] 시트리크, 라그날, 고프라이드는 가문의 더 큰 이익을 위해 협력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처음에는 라그날)이 노섬브리아 왕국을, 다음 순위의 인물(처음에는 시트리크)이 상대적으로 덜 부유한 더블린 왕국을 맡는 방식으로 역할을 분담했을 수 있다.[19] 같은 해(920년), 라그날은 웨식스의 왕 에드워드 1세에게 복종을 맹세했다. 그러나 더블린을 떠난 시트리크는 데븐포트, 체셔 지역을 약탈함으로써 라그날과 에드워드 사이에 맺어진 합의 조건을 위반했다.[20] 역사가 스미스(Smyth)는 이를 시트리크가 에드워드에게 자신은 라그날처럼 쉽게 복종하지 않을 것임을 보여주는 반항적인 행동이었다고 해석한다.[21]

3. 3. 노섬브리아 왕위와 앵글로색슨과의 관계 (920년 ~ 927년)



920년, 얼스터 연대기에 따르면 시트리크는 "신의 힘으로" 더블린을 떠나 노섬브리아로 가서 친족 라그날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19] 더블린의 왕위는 그의 형제 또는 사촌인 고프라이드 우아 이마르에게 넘어갔다.[11] 같은 해, 시트리크는 라그날이 웨식스의 왕 에드워드 1세에게 복종했던 것과는 달리, 데븐포트와 체셔 지역을 약탈하며 에드워드에게 쉽게 굴복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였다.[20][21]

앵글로색슨 연대기 등 주요 기록에는 921년부터 924년 에드워드 1세가 사망할 때까지 시트리크에 대한 언급이 없다.[22] 하지만 이 시기 링컨에서 시트리크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이 발견되어,[23] 그가 험버강 이남까지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918년 데인로 지역이 에드워드에게 복종했다는 연대기의 기록과 배치되는 증거이다.[24] 일부 학자들은 시트리크가 이 지역을 재정복했거나, 에드워드 1세의 통치력이 말년에 약화되어 연대기에서 그의 성공만을 기록하고 시트리크의 활동과 같은 실패는 누락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2]

에드워드 1세 사후, 그의 뒤를 이은 에텔스탄은 926년 태미스워스에서 시트리크와 회담을 가졌다.[25]

3. 3. 1. 에텔스탄과의 동맹과 죽음

에드워드 1세의 뒤를 이은 에텔스탄은 926년 태미스워스에서 시트리크를 만났다.[25] 앵글로색슨 연대기는 회담의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에텔스탄의 이름 없는 누이가 시트리크와 결혼했다고 기록한다. 역사가 스미스는 이 결혼이 옛 머시아 왕국의 중심지였던 태미스워스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어, 에텔스탄이 과거 웨식스가 결혼 동맹을 통해 머시아를 통제하려 했던 것처럼[26] 시트리크를 자신의 영향력 아래 두려는 의도였을 수 있다고 본다.[26] 이 합의의 조건으로 시트리크는 기독교로 개종해야 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이교 신앙으로 돌아갔다.[27]

시트리크는 결혼 이듬해인 927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친족인 고프라이드 우아 이마르가 왕위를 계승했다.[28] 얼스터 연대기는 그의 죽음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이마르의 손자인 시트리크, 검은 이방인과 흰 이방인의 왕이 미성년의 나이에 사망했다.[29]

4. 가족

시그트뤼그는 연대기에서 주로 '이마르의 손자'(ua Ímairnon)로 지칭되며, 정확한 부계는 알려져 있지 않다.[19] 이는 그의 통치 정당성이 아버지보다는 할아버지인 이마르에게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19]

그는 위 이마르 왕조의 일원으로, 라그날 우아 이마르와 고프라이드 우아 이마르 등 여러 친족들과 함께 활동했다. 이들은 아일랜드와 브리튼 섬에서 세력을 떨쳤으며, 시그트뤼그 자신을 포함하여 라그날, 고프라이드 등 다수가 더블린이나 노섬브리아의 왕위를 차지했다.[14][19][30] 특히 시그트뤼그가 노섬브리아 왕이 되자 그의 친족 고프라이드가 더블린 왕위를 계승했는데[11], 이는 가문의 이익을 위해 서로 협력하며 역할을 분담했던 것으로 보인다.[19]

4. 1. 자녀

시그트뤼그 카흐의 아버지가 이마르(Ímar)의 세 아들(바리드, 시흐프리드, 시트리크) 중 누구인지, 혹은 다른 인물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연대기에서는 그를 주로 별칭이나 "ua Ímair", 즉 "이마르의 손자"로 지칭하며 부계를 명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시그트뤼그의 아버지가 더블린을 통치하지 않았거나 아일랜드 밖에서 주로 활동하여, 시그트뤼그의 통치 정당성이 할아버지인 이마르에게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 혹은 딸을 통해 이마르의 외손자였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9] 이마르의 다른 손자들인 이마르, 라그날, 아믈라이브, 고프라이드 역시 "ua Ímair"로 불렸으며, 아믈라이브를 제외하고는 모두 더블린이나 노섬브리아의 왕위에 오른 적이 있다.[30]

시그트뤼그 카흐에게는 여러 자녀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름생몰년주요 활동 및 비고
아우이슬레 (Auisle)? ~ 937년937년 브루난부르 전투에서 동생 시흐프리드와 함께 전사했다.[31]
시흐프리드 (Sichfrith)? ~ 937년937년 브루난부르 전투에서 형 아우이슬레와 함께 전사했다.[31]
아랄트 (Aralt)? ~ 940년일정 기간 리머릭 왕으로 통치했으며, 940년 전투에서 사망했다.[31]
아믈라이브 쿠아란 (Amlaíb Cuarán)? ~ 981년더블린 왕노섬브리아 왕으로 각각 두 차례 재위했다. 중세 영어 로맨스의 등장인물인 하벨록 데인의 실제 모델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2] 일부 후기 자료에서는 그가 시그트뤼그와 에델스탄의 여동생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라고 주장한다.[37]
고프라이드 (Gofraid)? ~ 951년아버지가 시트리크로만 기록되어 있어, 시그트뤼그 카흐의 아들인지는 불분명하다.[33]
기타 (Gytha, 딸)? ~ ?《오르크니가 사가》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왕 올라프 트리그바손과 결혼했다고 전해지나, 시기적으로 시그트뤼그 사망 63년 후에 일어난 일이라 사실일 가능성은 낮다. 시그트뤼그의 아들인 아믈라이브 쿠아란의 딸, 즉 시그트뤼그의 손녀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진다.[34]



시그트뤼그는 926년 잉글랜드 왕 에델스탄의 이름 없는 여동생과 결혼했다.[25] 역사가들은 보통 그녀를 에델스탄의 유일한 친여동생으로 보지만, 매기 베일리는 이러한 주장이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의 후대 기록에 근거하며, 《앵글로색슨 연대기》에서는 그녀의 결혼을 기록할 때 그러한 구분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35] 윌리엄은 그녀의 이름을 몰랐으나, 12세기 초 베리 세인트 에드먼즈에서 기록된 전승에 따르면 그녀는 성 에디스라고 한다. 이 신원의 진위는 논란이 있지만, 그녀가 남편 사후 수녀원에 들어갔을 가능성은 높게 점쳐진다.[36] 존 오브 왈링포드 등 일부 후대 자료에서는 아믈라이브 쿠아란이 시그트뤼그와 이 웨스트 색슨 공주 사이의 아들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37]

4. 2. 앵글로색슨 왕실과의 결혼

에드워드 1세의 뒤를 이은 웨식스 왕국의 왕 에텔스탄은 926년에 태미스워스에서 시그트뤼그를 만났다.[25]앵글로색슨 연대기》는 이 회담의 구체적인 이유는 밝히지 않았지만, 에텔스탄의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여동생이 시그트뤼그와 결혼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 결혼은 정치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몇 년 전인 918년에 에텔스탄의 전임자는 왕실 결혼을 통해 머시아를 웨식스 왕국의 통제하에 두었는데, 시그트뤼그와의 결혼이 옛 머시아 왕국의 중심지였던 태미스워스에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이 결혼 역시 비슷한 정치적 목적, 즉 노섬브리아에 대한 영향력 확보 또는 관계 안정을 위한 의도가 있었음을 시사한다.[26]

태미스워스에서 맺어진 합의에 따라 시그트뤼그는 기독교로 개종해야 했던 것으로 보이나, 그는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이교 신앙으로 돌아섰다.[27] 시그트뤼그는 결혼 이듬해인 927년에 사망했다.[28]

시그트뤼그와 결혼한 에텔스탄의 여동생의 신원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가 있다. 역사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그녀를 에텔스탄의 유일한 친여동생으로 간주하지만, 매기 베일리는 이러한 주장이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의 후대 기록에 근거한 것이며, 결혼 사실을 기록한 《앵글로색슨 연대기》 원본에는 그러한 구분이 없다고 지적한다.[35] 윌리엄은 그녀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지만, 12세기 초 베리 세인트 에드먼즈에서 기록된 전승에 따르면 그녀의 이름은 폴즈워스의 에디스이며, 후에 성인으로 시성되었다고 한다. 이 전승의 역사적 진실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으며, 이름과 관계없이 그녀는 시그트뤼그 사후 수녀원에 들어갔을 가능성이 높다.[36] 한편, 존 오브 왈링포드와 같은 일부 후대의 기록에서는 시그트뤼그의 아들인 아믈라이브 쿠아란이 바로 이 웨식스 공주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하기도 한다.[37]

5. 대중문화

시그트뤼그는 버나드 콘웰의 역사 소설 시리즈인 색슨 연대기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이 소설에서 그는 라그날 우어 이마르의 형제로 묘사되며, 주인공 우트레드 오브 베반버그의 딸인 스티오라와 결혼한다.

참조

[1] 문서 Hart; Cogad Gaedel re Gallaib, p. 279
[2] 문서 Downham, p. xvi
[3] 문서 O Croinin, p. 111
[4] 문서 Downham, p. 26
[5] 문서 Downham, p. 27–28;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 429; Annales Cambriae, s.a. 902; Brenhinedd y Saesson, s.a. 903; Brut y Tywysogyon (Pen. 20), s.a. 903; Brut y Tywysogyon (RBH), s.a. 903
[6] 문서 Downham, p. 27
[7] 문서 Sawyer, p. 97;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 914; Chronicon Scotorum, s.a. 914; Annals of Ulster, s.a. 914
[8] 문서 Downham, p. 31
[9] 문서 Radner, p. 322–325
[10] 문서 Downham, p. 12
[11] 문서 Hart
[12] 문서 Robin et al., p. 33; Hart
[13] 문서 Sawyer, p. 69; Hart
[14] 문서 Downham, pp. 31, 273–274
[15] 문서 Annals of Ulster, s.a. 917;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 917
[16] 문서 Downham, p. 32
[17] 문서 Annals of Ulster, s.a. 919
[18] 문서 Annals of Ulster, s.a. 919; Annals of Clonmacnoise, s.a. 919;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 919; Chronicon Scotorum, s.a. 919
[19] 문서 Downham, p. 34
[20] 문서 Downham, p. 212
[21] 문서 Smyth, II, 2
[22] 문서 Downham, p. 97–99
[23] 문서 Smyth, II, 67
[24] 문서 Anglo-Saxon Chronicle, s.a. 918
[25] 문서 Downham, p. 99–105; Anglo-Saxon Chronicle, s.a. 926
[26] 문서 Smyth, II, 9
[27] 문서 Thacker, p. 257
[28] 문서 Downham, p. 99–105
[29] 문서 Annals of Ulster, s.a. 927
[30] 문서 Downham, p. 29
[31] 문서 Annals of Clonmacnoise, s.a. 937
[32] 문서 Billings, p. 18
[33] 문서 Downham, pp. 254, 273–274
[34] 문서 Hudson, p. 84
[35] 문서 Bailey, p. 114
[36] 문서 Thacker, pp. 257–258; Foot, p. 48
[37] 문서 Hudson, pp. 2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