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오브 어 다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스템 오브 어 다운(System of a Down)은 1994년 결성된 미국 출신의 록 밴드이다. 세르지 탄키안(보컬), 다론 말라키안(기타), 샤보 오다지안(베이스), 존 돌마얀(드럼)으로 구성되었다. 1998년 데뷔 앨범을 시작으로, 2001년 《Toxicity》, 2005년 《Mezmerize》와 《Hypnotize》 등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2006년 활동 중단을 선언했으나, 2010년 재결합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2020년에는 15년 만에 신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밴드는 헤비 메탈, 얼터너티브 메탈, 뉴 메탈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특징지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스크리머스 (2006년 영화)
《스크리머스》는 2006년 개봉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아르메니아 대학살을 다루며, 다양한 인물들의 인터뷰를 담고 2006년 AFI 관객상 다큐멘터리 부문을 수상했다. - 얼터너티브 메탈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은 랩, 메탈, 펑크 록을 혼합한 사운드와 사회 비판적인 가사로 유명한 미국의 록 밴드로서, 데뷔 앨범 발매 후 해체와 재결합을 거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다시 해체를 발표했다. - 얼터너티브 메탈 - 스테인드
1995년 미국에서 결성된 스테인드는 얼터너티브 메탈, 뉴 메탈, 포스트 그런지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며 《Dysfunction》, 《Break the Cycle》 등의 앨범으로 인기를 얻은 록 밴드이며, 활동 중단 후 재결성하여 활동을 이어가던 중 2024년 초기 드러머 존 와이소키가 사망했다. - 2010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사운드가든
사운드가든은 1984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그런지 음악의 선구자 역할을 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였으나, 1997년 해체 후 2010년 재결합했으나 크리스 코넬의 사망으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사운드가든이라는 이름으로의 활동 재개는 불투명하다. - 2010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토토 (밴드)
TOTO는 1970년대 최고의 세션 뮤지션들이 모여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성과 "Hold the Line", "Rosanna" 등의 히트곡으로 1980년대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현재까지도 활동 중이다.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Soad |
결성지 | 캘리포니아주글렌데일 |
장르 | 얼터너티브 메탈 뉴 메탈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메탈 |
활동 기간 | 1994년–2006년 2010년–현재 |
레이블 | 아메리칸 레코드 컬럼비아 레코드 |
관련 활동 | 스카스 온 브로드웨이 |
웹사이트 | systemofadown.com |
현재 구성원 | 세르이 탄키안 다론 말라키안 샤보 오다지안 존 돌마얀 |
이전 구성원 | 앤디 하차투리안 |
음반 목록 | |
음반 목록 | System of a Down 음반 목록 |
2. 역사
세르지 탄키안과 다론 말라키안이 멤버로 있었던 밴드 소일(Soil)이 해체된 후, 샤보 오다지안, 앤디 하차투리안이 합류하면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이 결성되었다. 앤디 하차투리안은 세 번째 데모 발표 후 밴드를 탈퇴하였고, 존 돌마얀이 그 자리를 맡게 되었다. 이들은 아메리칸 레코딩과 계약을 맺고, 1998년 6월에 데뷔 음반 《System of a Down》을 발매하였다.
2001년에 발매된 두 번째 음반 《Toxicity》는 캐나다와 미국 음반 차트 1위에 오르며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을 대중적으로 크게 알렸다. 이 음반은 미국에서 3x 플래티넘을 인증받았으며, 전 세계적으로 1200만 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후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미발표곡들이 인터넷을 통해 유출되자, 밴드는 이 곡들의 최종 버전과 몇몇 새로운 곡들을 수록한 음반 《Steal This Album!》을 2002년 11월에 발표하였다.
2005년에는 《Mezmerize》와 《Hypnotize》를 각각 5월과 11월에 발매하였다. 《Mezmerize》는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등 많은 국가에서 차트 1위에 올랐으며, 수록곡 〈B.Y.O.B.〉는 그래미상 "Best Hard Rock Performance" 부문을 수상하였다. 이어 발표된 《Hypnotize》도 미국 음반 차트 1위에 올랐다.
2006년 5월,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활동 중단을 발표하였으며, 마지막 공연은 2006년 8월 13일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서 열렸다. 2010년 11월 29일,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2011년 6월에 재결합 공연을 가질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으며,[157] 2011년 후반기에 독일 최대의 락 축제 락 엠 링에 헤드라이너로 공연하였다.
다음은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주요 활동 내역이다.
연도 | 사건 |
---|---|
1993년 | 세르지 탄키안과 다론 말라키안이 밴드 소일(Soil)을 결성, 샤보 오다지안은 매니저로 합류. |
1995년 | 멤버 교체로 샤보가 베이시스트가 되고, 밴드명을 시스템 오브 어 다운으로 변경. 존 돌마얀이 드러머로 합류. |
1997년 9월 | 아메리칸 레코딩스와 계약. |
1998년 6월 | 1집 《시스템 오브 어 다운》으로 메이저 데뷔, 슬레이어와 함께 미국 투어. 오즈페스트 세컨드 스테이지에서 공연. |
1999년 | 오즈페스트 메인 스테이지에서 오프닝 밴드를 맡음. |
2000년 | 블랙 사바스 트리뷰트 앨범 『네이티비티 인 블랙 2』에 "스노우블라인드" 커버 제공. |
2001년 9월 | 2집 《독성》 발매. 미국 앨범 차트 1위 데뷔. 슬립낫과 미국 및 멕시코 투어. |
2002년 11월 | 3집 《스틸 디스 앨범!》 발매. 전년도 미공개 데모곡 유출로 제작. |
2005년 5월, 11월 | 4집 《메즈머라이즈》, 5집 《히프노타이즈》 발매. 두 앨범 모두 미국 빌보드 1위. |
2006년 2월 | 《메즈머라이즈》 수록곡 "B.Y.O.B." 그래미상 "최우수 하드 록 퍼포먼스" 수상. 5월, 활동 중단 선언. |
2008년 이후 | 세르지 탄키안은 솔로 및 객원 활동, 다론 말라키안과 존 돌마얀은 스카스 온 브로드웨이(SCARS ON BROADWAY)에서 활동. |
2010년 11월 | 2011년부터 활동 재개 공지. |
2011년 | 활동 재개. 5월 캐나다 공연 시작, 6월 대규모 유럽 투어,[154] 남미 진출. |
2012년 2월 | 호주 페스티벌 헤드라이너. 이후 세계 각지에서 라이브 활동. |
2015년 | 아르메니아인 학살 100주년 기념 Wake Up The Souls 투어. 4월 23일 아르메니아 첫 라이브 (무료, 인터넷 중계).[155] |
2017년 | 팬 미팅에서 새 앨범 가능성은 불확실하다고 답변. |
2020년 | 아르차흐 공화국과 아르메니아 전쟁 지원을 위해 "Protect The Land", "Genocidal Humanoidz" 발매. 수익금은 아르메니아 모금에 기부. |
2. 1. 결성 이전 (1992-1994)
세르지 탄키안과 다론 말라키안은 어린 시절 로즈 앤 알렉스 필리보스 아르메니안 학교에 다녔다. 8살의 나이 차이 때문에, 그들은 1992년 같은 녹음 스튜디오에서 각자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 만났다.[3] 그들은 탄키안이 보컬과 키보드를, 말라키안이 보컬과 기타를, 데이브 하코피안(나중에 밴드 더 에이펙스 시어리/마운트 헬륨에서 활동)이 베이스를, 도밍고 "딩고" 라라니오가 드럼을 맡아 Soil이라는 밴드를 결성했다. 밴드는 샤보 오다지안(역시 로즈 앤 알렉스 필리보스 출신)을 매니저로 고용했지만, 그는 결국 Soil에 두 번째 기타리스트로 합류했다. 1994년, 록시에서 단 한 번의 라이브 공연과 한 번의 잼 세션 녹음 후, 하코피안과 라라니오가 밴드를 떠나면서 Soil은 해체되었다.2. 2. 결성 및 초기 활동 (1994-1997)
세르지 탄키안과 다론 말라키안이 속해 있던 밴드 소일(Soil)이 해체된 후, 샤보 오다지안과 앤디 하차투리안이 합류하면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이 결성되었다.[4] 밴드 이름은 말라키안이 쓴 "Victims of a Down"이라는 시에서 따왔는데, 오다지안의 제안으로 "system"으로 변경되었다.[5] 이는 "victims"라는 단어보다 더 많은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고, 음반 매장에서 자신들이 좋아하는 밴드인 슬레이어와 가까이 진열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5] 오다지안은 기타에서 베이스로 악기를 바꾸고, 밴드 매니지먼트는 Velvet Hammer Music and Management Group과 설립자 David "Beno" Benveniste에게 맡겼다.[6] 이후 말라키안과 오다지안의 오랜 친구이자 십 대 시절 Snowblind라는 밴드에서 함께 활동했던 Ontronik "Andy" Khachaturian이 드러머로 합류했다.[4]1995년 초,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로스앤젤레스의 나이트클럽 Cafe Club Fais Do-Do에서 Soil이라는 이름으로 공연했다. 이 직후, ''Untitled 1995 Demo Tape''을 제작했는데, 이는 상업적으로 발매되지는 않았지만 밴드가 ''Toxicity''로 성공을 거둔 후 파일 공유 네트워크에 나타났다. 1996년에는 ''Demo Tape 2''가 발매되었다. 1997년 초, 마지막으로 공개된 데모 테이프인 ''Demo Tape 3''를 녹음했다. 1997년 중반, 드러머 하차투리안이 손 부상으로 밴드를 떠났고, 존 돌마얀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4]
같은 해, 밴드는 아르메니아인 학살을 기념하는 컴필레이션 앨범 ''Hay Enk''에 참여했다. Whisky a Go Go와 Viper Room 등 할리우드 유명 클럽에서 공연하며 인지도를 쌓던 중, 프로듀서 릭 루빈의 눈에 띄어 연락을 받게 되었다. 밴드는 음반 회사에 보낼 목적으로 ''Demo Tape 4''를 녹음했고, 루빈은 이들을 American/Columbia Records와 계약시켰다. 1997년 9월 12일, The Roxy Theatre에서 Human Waste Project와 함께 공연하며 계약을 축하했다.[7] 이후 엔지니어 Sylvia Massy와 데뷔 앨범에 수록될 곡들을 녹음하기 시작했다. 릭 루빈은 "그들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밴드였지만, 아르메니아 헤비메탈 밴드를 기다리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모든 것을 초월할 정도로 훌륭해야 했다"라고 회상했다.[8]
1997년, Rock City Awards에서 Best Signed Band Award를 수상했다.[9]
2. 3. 전성기 (1998-2006)
1998년 6월, 세르지 탄키안과 다론 말라키안이 속해있던 밴드 소일(Soil)이 해체된 후, 샤보 오다지안, 앤디 하차투리안이 합류하여 결성된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데뷔 앨범 《System of a Down》을 발매하였다. 이들은 슬레이어, 오즈페스트 등의 투어에 참여하며 인지도를 높였다.[156] 1999년에는 오즈페스트의 메인 스테이지에서 오프닝 밴드를 맡았다.2001년에 발매된 두 번째 앨범 《Toxicity》는 캐나다와 미국 음반 차트 1위에 오르며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을 대중적으로 크게 알렸다.[156] 이 앨범은 9.11 테러 직후의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더욱 주목받았으며, 수록곡 "Chop Suey!"는 가사의 정치적 민감성으로 인해 2001년 클리어 채널 메모랜덤에 따라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기도 했다.[11][12] 그럼에도 불구하고, "Toxicity"와 "Aerials"는 미국에서 꾸준히 방송되었다. 같은 해, 밴드는 슬립낫과 함께 미국 전역을 투어했다.
2002년 11월,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미발표곡들을 모아 《Steal This Album!》을 발매했다.[156] 이 앨범의 이름은 애비 호프만의 반문화 서적인 ''Steal This Book''과 인터넷에 곡을 유출한 사람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참고한 것이다.
2005년에는 더블 앨범 《Mezmerize》와 《Hypnotize》를 각각 5월과 11월에 발매하여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17][20] 이 앨범들은 더욱 다양해진 음악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인 가사를 담고 있으며, 싱글 "B.Y.O.B."는 200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최우수 하드 록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했다.[18] 《Mezmerize》/《Hypnotize》에서는 다론 말라키안이 대부분의 음악과 가사를 쓰고 보컬리스트로서 더 큰 역할을 맡았으며, 세르지 탄키안은 주로 키보드와 백 보컬을 담당했다.
2006년 5월,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활동 중단을 발표했으며,[22] 마지막 공연은 2006년 8월 13일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서 열렸다.[23]
2. 4. 활동 중단 및 재결합 (2006-현재)
2006년 5월,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활동 중단을 발표했다. 이들의 마지막 공연은 2006년 8월 13일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에서 열렸다.[23] 활동 중단 기간 동안 멤버들은 각자 솔로 활동 및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보컬 세르지 탄키안은 솔로 활동을 시작하여 2007년 10월에 솔로 음반 《Elect the Dead》를 발매했다.[25] 기타 다론 말라키안과 드러머 존 돌마얀은 스카스 온 브로드웨이를 결성하여 활동했다.[156] 베이시스트 샤보 오다지안은 우 탱 클랜의 RZA와 함께 AcHoZeN이라는 힙합 그룹을 결성했다.[24]2010년 11월 29일,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2011년 6월에 재결합 공연을 가질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157] 2011년, 활동을 재개하여 유럽 투어를 진행하고, 밴드 최초로 남미에서도 공연하였다.[154]
2015년, 아르메니아인 학살 100주년을 기념하는 "Wake Up The Souls" 투어를 진행했다. 4월 23일에는 아르메니아 예레반에서 무료 콘서트를 개최하고, 인터넷으로 중계하였다.[155]
2020년, 제2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위해 15년 만에 신곡 "Protect the Land"와 "Genocidal Humanoidz"를 발표했다. 이 곡들의 수익금은 미국에 기반을 둔 자선 단체인 아르메니아 모금에 기부될 예정이다.
3. 구성원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세르지 탄키안과 다론 말라키안이 멤버로 있던 밴드 소일(Soil)이 해체된 후 결성되었다. 샤보 오다지안과 앤디 하차투리안이 밴드에 합류하였다. 세 번째 데모가 나온 후 하차투리안은 밴드를 탈퇴하였고, 존 돌마얀이 그 자리를 맡게 되었다.[156]
'''타임라인'''
3. 1. 현재 구성원
- 세르지 탄키안 - 리드 보컬, 키보드, 샘플 (1994–2006, 2010–현재), 리듬 기타 (2001–2006, 2010–현재)
- 다론 말라키안 - 리드 기타, 백 보컬 (1994–2006, 2010–현재), 공동 리드 보컬 (2004–2006, 2010–현재), 리듬 기타 (1994–2001)
- 샤보 오다지안 - 베이스, 백 보컬 (1994–2006, 2010–현재)
- 존 돌마얀 - 드럼, 퍼커션 (1997–2006, 2010–현재)
3. 2. 이전 구성원
- 앤디 카차투리안(Andy Khachaturian) - 드럼 (1994년 ~ 1997년)
4. 음악 스타일 및 특징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의 음악은 헤비메탈을 기반으로 얼터너티브 메탈, 뉴 메탈, 프로그레시브 메탈, 하드 록, 아트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독창적인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중동 음악의 영향을 받은 독특한 멜로디와 리듬, 변박, 극적인 곡 전개가 돋보인다. 세르지 탄키안의 개성적인 보컬과 다론 말라키안의 실험적인 기타 연주 또한 특징이다.
가사는 사회 비판적이고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전쟁, 폭력, 사회 부조리, 환경 문제, 아르메니아인 학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69][77] "Prison Song"은 마약과의 전쟁을 비판하고,[71] "Boom!"은 세계화와 무기 지출을 비난한다.[73] "B.Y.O.B."는 이라크 전쟁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며,[77][78] "Why don't presidents fight the war? Why do they always send the poor?"(왜 대통령들은 전쟁에 나가지 않고 가난한 사람들만 보내는가?)라는 가사를 담고 있다.[77][75][76] 아르메니아 대량 학살 인정을 지지하는 입장은 "P.L.U.C.K."와 "Holy Mountains"에 나타난다.[82]
5. 음반 목록
시스템 오브 어 다운은 1998년 데뷔 음반 《System of a Down》을 발매한 이후, 《Toxicity》, 《Steal This Album!》, 《Mezmerize》, 《Hypnotize》 등 총 5장의 정규 음반을 발매하였다. 특히 2001년에 발매된 《Toxicity》는 미국과 캐나다 음반 차트 1위에 오르며 밴드를 대중적으로 크게 알렸고, 미국에서 3x 플래티넘을 인증받았다.[156] 2005년에는 《Mezmerize》와 《Hypnotize》를 각각 발매하여, 두 음반 모두 미국 음반 차트 1위에 올랐다.[156]
5. 1. 정규 음반
- System of a Down (1998)
- Toxicity (2001)
- Steal This Album! (2002)
- Mezmerize (2005)
- Hypnotize (2005)
연도 | 앨범 | 앨범 상세 | 차트 최고 순위 | 인증 | |||||||||
---|---|---|---|---|---|---|---|---|---|---|---|---|---|
US | AUS | CAN | FIN | GER | IRL | NLD | NZ | SWI | UK | ||||
1998 | 'System of a Down' | align="left" | | 124 | 48 | — | — | — | — | 68 | — | — | 103 | |
2001 | 'Toxicity' | align="left" | | 1 | 6 | 1 | 8 | 23 | 17 | 17 | 7 | 31 | 13 | |
2002 | 'Steal This Album!' | align="left" | | 15 | 11 | 13 | 25 | 14 | 47 | 41 | 26 | 25 | 56 | |
2005 | 'Mezmerize' | align="left" | | 1 | 1 | 1 | 2 | 1 | 2 | 5 | 1 | 1 | 2 | |
'Hypnotize' | align="left" | | 1 | 3 | 1 | 1 | 4 | 10 | 15 | 1 | 4 | 11 | ||
"—"는 미발매 또는 차트 진입 실패를 의미한다. |
5. 2. 싱글
얼터.
메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