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타와카 왕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타와카 왕국은 1521년 마야둔네가 건국하여 1594년 멸망한 스리랑카의 왕국이다. 포르투갈과의 관계, 내부 갈등, 주변 왕국과의 전쟁 등 여러 요인으로 부상과 몰락을 겪었다. 부바네카바후 7세 시대에는 포르투갈과의 협력을 통해 왕국을 확장했으나, 다르마팔라 시대에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불교 탄압과 가톨릭 개종으로 내부 불만이 심화되었다. 라자싱하 1세 시대에는 캔디 왕국을 정복하고 스리랑카 대부분을 장악했으나, 힌두교 개종과 불교 탄압, 해군력 부족으로 인해 멸망했다. 시타와카 왕국은 군사력을 갖추었으나, 포위전 경험 부족과 열악한 해군력으로 인해 포르투갈을 완전히 몰아내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타와카 왕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시타와카 왕국 |
원어 명칭 | සීතාවක රාජධානිය (싱할라어) |
일반 명칭 | 시타와카 |
시대 | 스리랑카 전환기 |
정치 체제 | 군주제 |
건국 | 위자야바의 분열 |
건국일 | 1521년 |
멸망 | 라자싱하 1세 사망 |
멸망일 | 1594년 |
이전 국가 | 코테 왕국 |
이후 국가 | 캔디 왕국 포르투갈령 실론 |
수도 | 시타와카 |
공용어 | 싱할라어 |
종교 | 상좌부 불교 |
정치 | |
국왕 | 마야둔네 (1521년–1581년) 라자싱하 1세 (1581년–1593년) |
기타 | |
현재 국가 | 스리랑카 |
2. 역사
15세기 말 코테 왕국의 약화와 16세기 초 포르투갈 세력의 등장을 배경으로, 1521년 '비자야바후의 난'을 통해 코테 왕국이 분열되면서 마야둔네에 의해 건국되었다.[16] 초기에는 내륙의 작은 영토를 기반으로 시작했으나, 마야둔네는 포르투갈 세력 및 친(親)포르투갈 성향의 코테 왕국과 지속적으로 대립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특히 라이가마 왕국을 병합하고, 캘리컷과의 동맹을 통해 포르투갈에 저항하는 구심점 역할을 수행했다.
마야둔네의 아들 라자싱하 1세 치세에 시타와카는 전성기를 맞이했다. 1562년 물레리야와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승리를 통해 코테 왕국 영토 대부분을 장악했으며,[10] 1582년에는 캔디 왕국까지 정복하여 북쪽의 자프나 왕국과 남부 해안의 포르투갈령을 제외한 스리랑카 섬 대부분을 통일했다. 라자싱하 1세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포르투갈의 주요 거점인 콜롬보를 수차례 공격했으나, 해군력의 부재와 내부 문제로 인해 완전히 축출하는 데는 실패했다.[20][21][22] 또한, 그의 불교 탄압과 힌두교 개종은 내부적인 반발을 사기도 했다.[18]
1593년 캔디 왕국의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에게 패배하고 이듬해 라자싱하 1세가 사망하면서 왕국은 급격히 쇠퇴했다. 왕위 계승 문제와 내부 분열을 틈타 포르투갈과 부활한 캔디 왕국의 공격을 받아 결국 멸망하였다. 비록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시타와카 왕국은 포르투갈 제국주의 세력에 맞서 스리랑카의 독립을 지키려 했던 중요한 저항 세력으로 평가받는다. 시타와카의 멸망 이후, 캔디 왕국이 스리랑카 내륙을 중심으로 유럽 세력에 대한 저항을 이어나갔다.
2. 1. 형성
코테 왕국은 15세기 초 건국 이후 스리랑카 서부의 주요 세력이었다. 파라크라마바후 6세 치세에는 스리랑카 섬 전체를 하나의 왕관 아래 통합한 마지막 국가였다. 그러나 1467년까지 북부의 자프나 왕국은 독립을 선언했고, 동부의 캔디 왕국 또한 상당한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505년 포르투갈인들이 스리랑카에 처음 도착했으며, 1518년에는 콜롬보에 상륙하여 산타 바르바라(Santa Barbara) 요새를 건설하며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했다.1521년, 코테 왕국에서는 비자야바후 7세(1509~1521)가 그의 세 아들에 의해 살해되는 사건, 이른바 '비자야바후의 난' (또는 비자야바후 쿠데타)이 발생했다. 이는 왕위가 비자야바후 7세의 넷째 아들 데바라자에게 넘어갈 것을 우려한 세 아들이 일으킨 궁정 쿠데타였다.[16] 이 사건으로 코테 왕국은 분열되었다. 장남 부바네카바후 7세는 코테의 왕위를 계승했고, 차남 파라라자싱하는 라이가마 왕국을 세웠다. 그리고 막내아들인 마야둔네는 시타와카 지역을 기반으로 시타와카 왕국을 건국했다. 당시 캔디 왕국은 이 세 후계 국가의 통제에서 사실상 벗어나 있었다.
시타와카 왕국은 초기에 코스가마, 루완웰라, 야티얀토타, 한웰라, 파두카, 에할리야고다, 쿠루위타, 라트나푸라 등 현재의 사바라가무와 주 일부에 해당하는 비교적 작은 지역을 차지했다. 이 지역은 동쪽으로 캔디와 국경을 접하는 구릉 지대였으며 바다와는 접하지 않았다. 수도인 시타와카(오늘날의 아비사웰라)는 주변 정글 위로 약 약 304.80m 솟아 있는 가파른 언덕 아래에 자리 잡고 있었다.[16][1]
2. 2. 부상 (1521~1551)
1521년 위자야바 콜라야로 알려진 궁정 쿠데타로 코테의 비자야바후 7세가 폐위되면서 코테 왕국은 분열되었다. 비자야바후 7세의 세 아들은 왕위가 이복 동생 데바라자에게 돌아갈 것을 우려하여 쿠데타를 일으켰다. 장남인 부바네카바후 7세가 코테의 왕위를 계승했고, 다른 두 아들인 마야둔네는 시타와카 지역을, 파라라자싱하는 라이가마 지역을 차지하여 각각 독립적인 왕국을 세웠다. 이로써 스리랑카 서부는 세 왕국으로 나뉘게 되었으며, 동쪽의 캔디 왕국은 사실상 독립 상태를 유지했다.시타와카 왕국은 초기에 코스가마, 루완웰라, 야티얀토타, 한웰라, 파두카, 에할리야고다, 쿠루위타, 라트나푸라 등 비교적 작은 지역을 차지했다. 영토는 구릉 지대였고 동쪽으로는 캔디 왕국과 접했지만 바다에는 닿지 않았다. 수도는 현재의 아비사웰라 지역으로, 주변 정글 위로 약 304.80m 이상 솟은 절벽 기슭의 가파른 언덕에 자리 잡았다.[1]
코테의 부바네카바후 7세는 즉위 직후 시타와카의 잠재적 위협에 맞서 왕위를 지키기 위해 포르투갈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현지 주민들의 저항으로 콜롬보에 요새를 완공하지는 못했지만, 1524년부터 포르투갈 대리인들이 왕의 보호 아래 코테에 머물렀다. 포르투갈 해군은 계피 무역을 두고 말라바르 상인들과 경쟁했으며, 부바네카바후 7세는 고아의 포르투갈 총독이 파견한 군대의 지원을 받아 이들을 격퇴했다.
한편, 시타와카의 마야둔네는 코테 왕국을 통합하려는 야심을 품고 인도의 캘리컷 세력과 동맹을 맺었다. 1537년, 마야둔네는 코테를 침공했으나 콜롬보의 포르투갈 총독 마르팀 아폰수 드 소우자(Martim Afonso de Sousa)가 이끄는 군대에 의해 패배했다. 시타와카를 지원하기 위해 캘리컷에서 파견된 함대 역시 베달라이에서 포르투갈군에게 격파되었다. 이 패배 이후 시타와카와 코테 사이에 일시적인 휴전이 맺어졌고, 마야둔네는 남쪽으로 눈을 돌려 1538년 라이가마의 통치자 파라라자싱하(라이감 반다라)가 사망하자 라이가마 왕국을 병합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이후 5년 동안 마야둔네는 두 차례 더 코테를 침공했다. 1539년의 침공은 콜롬보의 새로운 포르투갈 총독 미겔 페헤이라(Miguel Ferreira)가 조직한 저항에 부딪혀 실패했다. 캘리컷은 다시 시타와카에 군대와 무기를 지원했지만, 패배 후 캘리컷의 두 장군 쿨헤나마리카르와 파치마리카르가 포르투갈에 넘겨지면서 캘리컷과 시타와카의 동맹은 사실상 끝났다. 1543년, 부바네카바후 7세가 자신의 손자인 다르마팔라를 후계자로 지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마야둔네는 다시 코테를 침공했다. 그러나 이번에도 새로운 포르투갈 총독 안토니우 바레토(António Barreto)가 이끄는 포르투갈 지원군에 의해 침공은 격퇴되었다. 여러 차례의 침공 시도가 실패로 돌아갔지만, 시타와카 왕국은 코테 왕국과 포르투갈 세력에 대한 저항의 중심지로 점차 부상하게 되었다.
2. 3. 코테 정복 (1551~1581)
1550년 부왕 아폰수 드 노로냐(Afonso de Noronha)와 약 500명의 포르투갈 병력이 도착하면서 코테 왕국에 대한 포르투갈의 내정 간섭이 심화되었다. 포르투갈은 그해 시타와카를 공격했으나 점령에는 실패했다. 기록에 따르면 마야둔네는 포르투갈군이 접근하면 수도를 비우고 후퇴하는 전술을 사용했으며, 때로는 궁궐에 불을 밝히고 흰 천을 깔아 침략자를 맞이하는 척하다가 그들이 떠나면 켈라니 강으로 향하는 길목에서 공격했다.[2]1551년 부바네카바후 왕이 암살당하고, 그의 뒤를 이은 다르마팔라는 왕국 유지를 위해 포르투갈 세력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1554년 콜롬보에 새로운 포르투갈 요새가 건설되었고, 1556년에는 요새 주변 주민 7만 명이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1557년, 다르마팔라 왕 자신도 가톨릭으로 개종하며 돔 주앙 페레이라 반다라(Dom João Pereira Bandara)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강제 개종 소문과 박해에 대한 두려움으로 많은 불교 승려와 백성들이 왕국을 떠났다. 특히 왕권의 상징이자 신성한 유물인 불치사리가 코테에서 라트나푸라의 델가무 비하라야 사원으로 비밀리에 옮겨진 사건은 큰 파장을 일으켰다.[10] 포르투갈 측이 불치사리를 불태웠다고 주장하면서 민중의 반감은 더욱 커졌다. 같은 해, 시타와카의 침공 시도가 있었으나 포르투갈 총독 아폰수 페레이라 드 라세르다(Afonso Pereira de Lacerda)에 의해 격퇴되었다.
1562년, 코테 왕국이 반격에 나서 포르투갈의 라세르다(Lacerda)가 이끄는 군대가 콜롬보에서 켈라니 강을 따라 진격했다. 그러나 이들은 물레리야와(Mulleriyawa)에서 마야둔네 왕의 아들 티키리 반다가 이끄는 시타와카 군대와 마주쳤다. 이어진 물레리야와 전투에서 포르투갈군과 수천 명의 라스카린 병력이 사망하며 코테-포르투갈 연합군은 참패했다. 이 승리는 시타와카에 큰 힘이 되었으며, 티키리 반다는 '사자왕'이라는 의미의 라자심하(Rajasinha)라는 칭호를 얻게 되었다.
유리한 고지를 점한 시타와카는 1564년 코테와 콜롬보를 동시에 공격하여 포위했다. 결국 포르투갈과 다르마팔라 왕은 수도 코테를 포기하고 후퇴했으며, 시타와카 왕국이 코테 영토 대부분을 장악하게 되었다. 시타와카는 와탈라(Wattala), 나갈라가마(Nagalagama), 마파네(Mapane) 등 주요 거점에 수비대를 배치했다. 하지만 네곰보에서 갈레에 이르는 해안 지대와 콜롬보의 요새는 포르투갈 함대의 해상 보급을 통해 계속 유지되었고, 이는 시타와카가 멸망한 후에도 한 세대 동안 포르투갈의 수중에 남았다. 이를 통해 포르투갈은 지속적으로 시타와카 왕국을 상대로 소모전을 벌일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1574년에는 대규모 침공을 감행하여 네곰보, 칼루타라, 베루왈라를 약탈하고 나갈라가마와 마파네의 시타와카 수비대를 몰아냈으며, 웰리가마와 칠라우 지역을 황폐화시켰다.
포르투갈의 영향력은 1580년, 다르마팔라 왕이 자신이 사망하면 코테 왕국의 영토를 펠리페 2세에게 넘기겠다고 선언하면서 정점에 달했다.
2. 4. 라자싱하 1세
마야둔네가 1581년에 사망하자 그의 아들 라자싱하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1582년에 즉위한 라자싱하 1세는 동쪽의 캔디 왕국을 침략하여 정복함으로써, 북쪽의 자프나 왕국과 남쪽의 포르투갈령을 제외한 스리랑카섬 대부분을 시타와카의 지배하에 두었다. 당시 캔디의 왕 카랄리야데 반다라(Karaliyadde Bandara)는 트린코말리로 피신했으나 그곳에서 천연두로 사망했다. 그의 어린 딸 쿠수마사나 데비는 포르투갈의 보호 아래 들어갔고, 포르투갈인들은 그녀에게 Dona Catarina|도나 카타리나pt라는 세례명을 주고 이후 10여 년간 그녀의 이름으로 캔디 왕위를 주장했다.캔디 지역의 통치는 라자싱하 1세가 임명한 총독 위라순다라 무디얀세(Wirasundara Mudiyanse)의 반란으로 혼란에 빠졌다. 반란은 진압되었고 위라순다라는 살해되었지만, 그의 아들 코나푸 반다라(Konappu Bandara)는 포르투갈 영토로 도피했다. 코나푸 반다라는 기독교로 개종하여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라는 세례명을 받았으며, 이후 시타와카 왕국의 끈질긴 적대자가 되었다.
1583년부터 1587년 사이, 포르투갈의 음모는 라자싱하 1세의 궁정에 큰 파장을 일으켜 많은 귀족이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 특히 라자싱하 1세는 불교 승려들이 자신의 정적과 협력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불교 세력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사원들은 파괴되었고, 신성한 스리 파다(아담스 피크)는 힌두교 사제들에게 넘어갔으며, 라자싱하 1세 자신도 힌두교로 개종했다.[18][3][11] 이에 불만을 품은 많은 이들이 산악 지대로 피신했다. 한편 코테 왕국에서는 코테의 다르마팔라 왕이 1580년에 포르투갈에 왕국을 기증하기로 한 약속을 1583년 11월 4일에 공식화했다.[19][4][12]

라자싱하 1세는 스리랑카에서 유럽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군사력을 증강했다. 1587년까지 약 5만 명의 보병과 전쟁 코끼리, 기병, 그리고 현지에서 제작된 대포 등으로 군대를 강화하고, 그해 콜롬보에 대한 대대적인 포위 공격을 시작했다. 포위는 22개월간 지속되었으나,[20][21][22][13][14][15] 시타와카는 해군력이 부족하여 고아로부터 해상을 통해 보급품을 받는 포르투갈을 효과적으로 봉쇄하지 못했다. 또한, 남인도의 캘리컷 정책 변화로 과거의 반(反)포르투갈 동맹을 재결성할 희망도 사라졌다. 결국 라자싱하 1세는 내륙 지역의 불안정에 대처하기 위해 1588년 2월 콜롬보 포위를 풀고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라자싱하 1세의 통치 말기는 왕국의 국경 방어에 집중되었다. 1591년 포르투갈이 북부의 자프나 왕국을 침공하면서 방어 부담은 더욱 가중되었다. 이듬해 포르투갈군이 잠시 캔디를 점령하기도 했으나 격퇴되었다. 그러나 1590년대 초, 포르투갈령으로 도피했던 코나푸 반다라가 캔디로 돌아와 새로운 위협으로 부상했다. 그는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라는 이름을 채택하고 불교로 개종했으며, 도나 카트리나와 결혼하여 자신의 왕위 계승 정당성을 확보했다. 1593년,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는 발라네(Balane)와 마웰라(Mawela) 전투에서 라자싱하 1세를 격파하고 캔디 왕국의 독립을 사실상 확립했다. 라자싱하 1세는 이듬해인 1594년에 사망했다.
시타와카 왕국은 라자싱하 1세 치하에서 인상적인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지만, 왕국의 안정은 순조로운 왕위 계승과 유능한 통치자의 존재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1593년(같은 해 포르투갈은 스리랑카의 첫 총독을 임명했다) 라자싱하 1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했고, 시타와카 왕국은 그의 사후 1년도 채 되지 않아 응집력 있는 정치 세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급격히 쇠퇴했다.
2. 5. 멸망과 유산
시타와카 왕국의 인상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 안정성은 대체로 순조로운 왕위 계승과 유능한 통치자에 의존했다. 라자싱하 1세 통치 말년, 왕국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캔디 왕국에서 코나푸 반다라가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라는 이름으로 왕위를 차지하고 불교로 개종하며 세력을 키웠다. 1593년,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는 발라네(Balane)와 마웰라(Mawela) 전투에서 라자싱하 1세를 격파하며 캔디의 독립을 사실상 확립했다.[3]1593년은 포르투갈이 실론의 첫 번째 총독을 임명한 해이기도 했는데, 바로 그 해 라자싱하 1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시타와카는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확실한 후계 구도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왕의 죽음은 치명적이었고,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시타와카는 응집력 있는 정치 세력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이 기회를 틈타 1594년 포르투갈 군대는 시타와카 시를 약탈하고 내륙으로 진격했다. 그러나 단투레 전역에서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가 이끄는 캔디 군대에 의해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고 격퇴되었다. 이 패배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은 17세기 초까지 스리랑카 저지대에서 우위를 점했으나, 결국 라자싱하 2세와 그의 네덜란드 동맹군에 의해 축출되었다.
한편, 비말라다르마수리아 1세 치하에서 부활한 캔디 왕국은 시타와카를 함락시키며 세력을 확장했고, 이후 약 200년 동안 스리랑카에서 유럽 세력에 대한 저항의 중심지가 되었다. 한때 강력했던 시타와카 왕국의 수도 아비사웰라는 국경 도시로 전락했으며, 왕궁 단지는 정글 속에 묻혀 잊혔다가 19세기에 영국인들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다. 1812년 존 데이비(John Davy)는 당시 아비사웰라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한 때 왕족의 거주지이자 상당한 의미가 있는 장소였던 시타와카는 이제 단지 이름에 불과하다. 도로를 따라 지나가는 여행자들에게는 한때 그랬었던 흔적이 이제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한동안은 존재하지 않기로 되어 있었다. 거대한 석판으로 된 다리가 가로지르는 해자 안에 아주 작은 기단만 남아 있다. 기단의 벽은 영광스럽게도 단순하며, 섬세한 꽃이 핀 필렛과 돌로 만든 화환을 감상하려면 반드시 보아야 한다. 필렛을 제외하고 주요 장식품은 기둥을 부조로 남기기 위해 잘라내야 했던 완벽하게 평평한 부분으로 분리된 기둥이며, 평평한 부분 중 하나에는 디자인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이상한 작은 앵무새가 있다. 인부들이 평평한 표면을 깎아내는 데 지쳐서 새들을 재미 삼아 부조로 남겨두었다가 다시는 깎아내지 않은 것은 분명하고 매우 유쾌한 일이다.
시타와카 왕국은 비록 멸망했지만, 강력한 군사력으로 포르투갈의 침략에 맞서 싸우며 스리랑카 역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특히 라자싱하 1세 시대의 저항은 이후 캔디 왕국이 유럽 열강에 맞서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3. 군사
시타와카 왕국은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여 포르투갈과 같은 유럽 세력에게도 재래식 전투에서 맞설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다. 이를 통해 포르투갈 세력을 해안가로 몰아붙이는 데는 성공했으나, 섬에서 완전히 축출하지는 못했다.[8][9] 이는 시타와카 군대가 평지 전투에서는 강점을 보였지만, 포위전 수행 능력과 해군력에서는 약점을 드러냈기 때문이다.[9] 군대의 구체적인 규모와 편성, 주요 전략 및 전술적 한계는 하위 항목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군사력
시타와카 왕국은 재래식 전쟁에서 유럽인들에게 도전할 수 있는 군사력으로 유명했으며, 포르투갈인들을 해안가 지역으로 제한하는 데 성공했지만 완전히 몰아내는 데는 실패했다. 포르투갈 자료에 따르면, 1587년 시타와카 왕국은 머스킷과 야포로 무장한 5만~6만 명의 군대를 동원할 수 있었고, 6만 명의 지원병과 짐꾼, 2200마리의 코끼리와 4만 마리의 소로 구성된 군수 부대를 지원받았다. 이러한 수치는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실제 군대는 3만 명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마리의 전투 코끼리 부대는 평지에서 포르투갈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지만, 요새화된 목표물에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8][9]시타와카 왕국이 섬에서 유럽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가장 큰 약점은 포위전 경험 부족과 약한 해군력이었다. 시타와카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에서 무어인들과의 끊임없는 분쟁으로 포위전 경험이 풍부했던 포르투갈인들이 건설한 요새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공성 무기가 부족했다. 따라서 시타와카 왕국은 포위 공격 중에 포르투갈 요새를 굴착하기 위해 대규모 노동력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했다. 반면 포르투갈인들은 우월한 해군력을 이용하여 시타와카군을 포격하고 인도에서 증원군을 수송함으로써 해안 요새를 방어했다. 라자싱하 1세는 유능한 해군을 건설하려고 시도했고, 칼리컷의 쿤잘리 마라카르 제독들과 아체 술탄국의 수마트라 해군 세력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그 결과, 시타와카 왕국은 포르투갈 해군에 직접적으로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지만, 무역과 보급을 방해할 수 있는 소규모 해군을 건설하는 데 성공했다.[9]
3. 2. 전략과 한계
시타와카 왕국은 재래식 전쟁에서 유럽인들에게 도전할 수 있는 군사력으로 유명했고, 포르투갈인들을 해안가로 억제하는 데 성공했지만, 그들을 완전히 쫓아내려는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 포르투갈 자료에 따르면, 1587년까지 왕국은 머스킷총과 야포로 무장한 5만~6만 명의 군인들을 동원할 수 있었으며, 6만 명의 개척자들과 하인들, 그리고 2200마리의 코끼리와 4만 마리의 소로 구성된 지원 부대를 갖추고 있었다. 과장된 수치일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실제 군대는 3만 명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마리의 전투 코끼리 부대는 광활한 들판에서 포르투갈인들에게 파괴적인 효과를 주었지만, 요새화된 목표물들에 대해서는 주로 효과가 없었다.[8][9]시타와카 왕국이 섬에서 유럽 세력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가장 큰 약점은 포위전 경험 부족과 해군력 약화였다. 시타와카 왕국은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프리카에서 무어인들과의 끊임없는 분쟁으로 포위전 경험이 풍부했던 포르투갈인들이 건설한 요새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는 공성무기가 부족했다. 따라서 시타와카는 포위 공격 중에 포르투갈의 요새를 굴착하기 위해 전적으로 큰 노동력에 의존해야 했다. 포르투갈인들은 그들의 우수한 해군력을 사용하여 시타와카 군대를 폭격하고 인도로부터 지원군을 불러들임으로써 해안 요새를 방어했다. 라자싱하 1세는 유능한 해군을 건설하려고 시도했고 칼리컷의 쿤잘리 제독들과 아체 술탄국의 수마트라 해군 세력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결과적으로 시타와카는 포르투갈 해군에 대해 효과적이지는 않았지만, 무역과 보급을 방해할 수 있는 작은 해군을 구축할 수 있었다.[9]
참조
[1]
서적
An Account of the Interior of Ceylon
1812
[2]
서적
Ceylon: A History in Stone
1964
[3]
서적
Ceylon and the Portuguese 1505 - 1658
[4]
서적
Ceylon and the Portuguese 1505 - 1658
[5]
뉴스
The British invasion of 1815 – the march to Kandy
http://www.sundaytim[...]
Sunday Times
2015-10-16
[6]
뉴스
The colourful king of Kandy
http://www.ceylontod[...]
Ceylon Today
2015-10-16
[7]
웹사이트
Touring the Colonial battlefields: Colombo
http://trips.lakdasu[...]
2015-10-16
[8]
서적
Portuguese Sea Battles – Volume IV – 1580–1603
2011
[9]
논문
The Rise and Fall of the Kingdom of Sitawaka (1521-1593)
http://dlib.pdn.ac.l[...]
University of Peradeniya
1977
[10]
웹사이트
仏牙舎利
https://kotobank.jp/[...]
[11]
서적
Ceylon and the Portuguese 1505 - 1658
[12]
서적
Ceylon and the Portuguese 1505 - 1658
[13]
뉴스
The British invasion of 1815 – the march to Kandy
http://www.sundaytim[...]
Sunday Times
2015-10-16
[14]
뉴스
The colourful king of Kandy
http://www.ceylontod[...]
Ceylon Today
2015-10-16
[15]
웹사이트
Touring the Colonial battlefields: Colombo
http://trips.lakdasu[...]
2015-10-16
[16]
서적
An Account of the Interior of Ceylon
1812
[17]
서적
Ceylon: A History in Stone
1964
[18]
서적
Ceylon and the Portuguese 1505 - 1658
[19]
서적
Ceylon and the Portuguese 1505 - 1658
[20]
뉴스
The British invasion of 1815 – the march to Kandy
http://www.sundaytim[...]
Sunday Times
2015-10-16
[21]
뉴스
The colourful king of Kandy
http://www.ceylontod[...]
Ceylon Today
2015-10-16
[22]
웹사이트
Touring the Colonial battlefields: Colombo
http://trips.lakdasu[...]
2015-10-16
[23]
서적
Portuguese Sea Battles – Volume IV – 1580–1603
2011
[24]
논문
The Rise and Fall of the Kingdom of Sitawaka (1521-1593)
http://dlib.pdn.ac.l[...]
University of Peradeniya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