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목동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목동역은 2009년 7월 24일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9호선 일반 열차가 정차하며, 염창역과 선유도역 방면으로 운행된다. 역 주변에는 안양천, 용왕산, 서울목원초등학교, 이대목동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양천구의 전철역 - 신정역
    신정역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지하철역으로, 1996년 개통 당시 신정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2000년에 신정(은행정)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주변에 상업 및 주택 지구와 편의시설이 혼재되어 있다.
  • 서울 양천구의 전철역 - 목동역
    목동역은 1996년 8월 12일 개통한 서울 지하철 5호선 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8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에 신정4동, 로데오거리, SBS 방송 센터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 - 종합운동장역 (서울)
    종합운동장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지나가며, 1980년 2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5년 9호선 개통으로 환승역이 되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마라빌라역
    마라빌라역은 이스트 3번가에 있는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금선 역으로, 두 개의 선로와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2시 15분까지 운행한다.
신목동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역 정보
역명판
역명판
모국어 표기신목동역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Sinmokdong-yeok
위치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중앙로 지하 217
좌표37
운영 정보
역 번호911
소속 노선9호선
운영 기관서울시 메트로 9호선, 서울9호선운영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2선 (상대식 승강장)
역사
개업일2009년 7월 24일
노선 정보
영업 거리개화 기점 12.3 km
이전 역염창 (910)
이전 역 간 거리0.9km
다음 역선유도 (912)
다음 역 간 거리1.2km
이용 현황
승차 인원 (2019년)4,002명
승강 인원 (2019년)7,570명

2. 역사

2008년 9월 18일 : '''신목동역'''으로 역명 결정[7]

2009년 7월 24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 ~ 신논현 구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신목동역은 원래 용왕산의 이름을 따서 용왕산역으로 명명될 예정이었으나, 주민들의 요청에 따라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1]

3. 역 구조

신목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역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층수시설
G지상층, 출구 (1~3)
L1대합실, 로비, 고객 서비스, 상점, 자동 판매기, 현금 자동 인출기
L2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서쪽 방면(← 개화 방면 (염창), 급행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음), 동쪽 방면( 중앙보훈병원 방면 (선유도) →, 급행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음)



9호선 일반 열차는 개화 방면과 중앙보훈병원 방면으로 운행되며, 급행 열차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는다.

3. 1. 승강장

신목동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지하역으로,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구분내용
하행9호선 일반염창 · 가양 · 마곡나루 · 김포공항 · 개화 방면
상행9호선 일반당산 · 노량진 · 동작 · 신논현 · 선정릉 · 종합운동장 · 중앙보훈병원 방면



개찰구는 염창 방면과 선유도 방면 2곳에 있다. 승차권 매표소는 선유도 방면 개찰구 근처에 있으며, 승강장으로 가는 엘리베이터는 염창 방면 개찰구 안에만 있다. 출구는 3개이다. 역 서쪽에 둥근 형태의 콘코스가 있으며, 1번과 2번 출구가 이곳과 연결되어 있다.

4. 역 주변

안양천, 양화교, 용왕산, 목동1단지,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서울목원초등학교, 이대목동병원, 월촌중학교, 양정고등학교, 한가람고등학교, 목동한신아파트, 목동청구아파트가 역 주변에 있다. 안양천이 역의 동쪽으로 흐르고, 서쪽에는 용왕산이 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목동역과는 직선 거리로 약 2.5km 남서쪽에 있다. 1번 출구는 용왕산 공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2번 출구는 서울목원초등학교, 목동 119 안전센터 및 이대목동병원과 연결된다. 3번 출구는 자전거 보관소 및 안양천과 연결된다.[1]

5. 이용객 변동

2009년 자료는 개통일인 2009년 7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161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8] 최근 일일 평균 이용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노선일평균 인원수 (명/일)각주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9호선승차3,2573,6413,7964,0564,2894,2504,0834,0644,0374,0014,002[8] [4]
하차2,8373,1303,2183,3953,6123,6583,5253,5333,5643,5483,568


6. 인접한 역

급행미정차-- 9호선
일반염창역 (910)개화 방면선유도역 (912)중앙보훈병원 방면


7. 출구 정보

신목동역에는 출구가 3개 있다. 1번 출구는 용왕산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2번 출구는 서울목원초등학교, 목동 119 안전센터, 이대목동병원과 연결된다. 3번 출구는 자전거 보관소와 안양천으로 연결된다. 역 서쪽에는 둥근 형태의 콘코스가 있는데, 1번과 2번 출구가 이곳과 연결되어 있다.

8. 버스 노선

서울특별시 소속 버스 노선
간선버스571, 163
지선버스6620, 6621, 6623, 6624, 6625, 6627


참조

[1] 웹사이트 '용왕산역' → '신목동역' 역명 변경 http://www.ycnews.kr[...] 2008-09-01
[2] 웹사이트 신목동 https://www.metro9.c[...]
[3] 웹사이트 서울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4] 웹사이트 서울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5]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6] 문서 역무 관리 및 선로 유지보수운영 업무
[7] 간행물 서울특별시고시 제2008-317호 http://event.seoul.g[...] 2008-09-18
[8] 웹인용 서울시메트로9호선 > 알림/소식 > 자료실 http://www.metro9.co[...] 2016-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