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왕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왕산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위치한 높이 78m와 68m의 두 봉우리로 이루어진 산으로, 1971년 목동근린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과거에는 엄지산으로 불렸으며, 박씨 노인과 관련된 전설과 하늘의 천관(天官)과 선유봉 아가씨의 슬픈 사랑 이야기가 전해진다. 설날에는 용왕정에서 일출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양천구의 지리 - 고리울토성
고리울토성은 한국 시민 참여 민주주의의 역사, 현황, 과제 및 미래를 다루며, 발전 과정, 참여 유형 분석, 과제 제시, 미래 영향 논의를 포함한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북악산
북악산은 서울의 진산으로, 한양도성의 기점이자 청계천의 발원지이며 북악스카이웨이가 위치해 있고,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청와대 북쪽 구역 개방으로 인왕산, 북한산, 안산까지 등산이 가능하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용왕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용왕산 |
다른 이름 | 엄지산 (嚴知山)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
높이 | 78m |
![]() | |
공원 정보 | |
공원 이름 | 용왕산근린공원 |
홈페이지 | 용왕산근린공원 홈페이지 |
2. 위치
높이 78m와 68m 두 봉우리가 붙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1971년 목동근린공원으로 조성되었다.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이 두 봉우리가 마치 펴놓은 엄지손가락을 옆에서 보는 것처럼 보이는데, 78m 높이 지점은 손톱 부분으로 보인다. ‘으뜸’이라는 뜻도 있지만 ‘첫머리’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목동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용왕산의 원래 이름인 엄지(嚴知)는 대략 "입구" 또는 "시작"을 의미한다. 이는 천 가구를 수용할 수 있는 들판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사실을 가리킨다. 이와 관련하여 산 뒤에 있는 마을은 엄지미 마을이라고 불린다.[1]
용왕산에는 박씨 노인과 관련된 전설과 천상 관리와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박씨 노인 전설은 용왕산이라는 이름의 유래를 설명하고, 천상 관리 전설은 안양천과 선유봉의 지리적 특징과 관련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두 전설은 각각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3][5]
3. 명칭의 유래
4. 전설
4. 1. 박씨 노인과 용왕 전설
옛날에는 엄지산, 역산, 왕령산, 왕재산이라고 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온다. 이 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가 있는데, 어느 때인가 이 산 아래에 살던 박씨 노인이 죽어가며 자식들에게 "내가 죽었다고 남에게 알리지도 말고, 염을 할 때 몸을 띠로 묶지도 마라." 하고 유언하였다. 하지만 노인의 자식들은 이것을 무시하였다. 그 후 마을에서는 노인이 죽어가며 이상한 유언을 남겼다는 소문이 퍼졌고, 마침내 관원들이 무덤을 파헤치기에 이르렀다.
무덤을 파보니 무덤 속의 관은 텅 비어 있었다. 주변을 살펴보니, 용이 띠에 묶인 채 꿈틀대고 있었다. 이것을 보고 놀란 관원들은 용을 잡아 죽였다. 그 후 사람들 사이에서 박씨가 승천하여 용왕이 되려고 했지만 자식들이 그 뜻을 알지 못해 결국 죽게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퍼져 나갔다. 그리고 이때부터 사람들이 엄지산을 용왕산이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옛날 용왕산에 박씨라는 사람이 죽어서 왕으로 환생하려고 온갖 선정을 베풀고 죽어 이 산에 묻혔지만, 어렸을 때 걸인을 박대했던 단 하나의 업 때문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는 슬픈 이야기도 있다.
용왕산에는 하늘의 천관(天官)과 관련된 이야기도 있다. 옛날 하늘의 천관이 지금의 선유봉 자리에 살고 있던 아가씨에게 반하여, 옥황상제의 뜻을 어기고 아가씨와 몰래 혼인하여 용왕산에 숨어 살았다. 옥황상제는 이 사실을 알고 노여워하며 이들을 벌하였다. 이로 인해 천관은 용왕산의 이무기로 변하고 그 아가씨는 선유봉이 되어 헤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무기로 변한 천관은 아가씨를 잊지 못해 선유봉으로 달려갔으나, 옥황상제가 꼬리를 밟고 있어서 이무기의 양 발이 닿았다가 발톱 자국만 낸 채 다시 용왕산으로 올 수밖에 없었다. 이때 이무기가 흘린 눈물이 바로 안양천이 되었고, 옥황상제가 밟고 있던 발톱 자국이 깊게 파여 비만 오면 고랑이 되었다고 한다.
훗날 이 가슴 아픈 사연을 전해 듣고 옥황상제의 마음이 동하여, 이곳이 사람이 살 곳은 못 되나 많은 사람이 오가면서 밟아 주고 다듬어 준다면 죄를 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단다. 그래서인지 이 고랑에 양화교가 가설되어 오가는 사람의 행렬이 끊이지 않는다는데, 선유봉 아가씨와 용왕산 이무기의 재회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물에 잠길 것이라던 이무기 발톱 자리는 결국 안양천이 흐르는 수로로 바뀌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 이야기는 안양천의 범람과도 관계있는 것으로, 서울특별시역사편찬위원회가 1985년에 발간한 『한강사』에 따르면, 안양천 개수 공사를 하면서 안양천 수로가 변경된 사실을 발견했다고 한다.[3][5]
4. 2. 천상 관리와 선유봉 전설
옛날에는 엄지산, 역산, 왕령산, 왕재산이라고 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산으로, 이 산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어느 때인가 이 산 아래에 살던 박씨 노인이 죽어가며 자식들에게 “내가 죽었다고 남에게 알리지도 말고, 염을 할 때 몸을 띠로 묶지도 마라.” 하고 유언하였다. 하지만 노인의 자식들은 이것을 무시했다. 그 후 마을에서는 노인이 죽어가며 이상한 유언을 남겼다는 소문이 퍼졌고, 관원들이 무덤을 파헤치기에 이르렀다.
무덤을 파보니 무덤 속의 관은 텅 비어 있었다. 주변을 살펴보니, 용이 띠에 묶인 채 꿈틀대고 있었다. 이것을 보고 놀란 관원들은 용을 잡아 죽였다. 그 후 사람들 사이에서 죽은 박씨가 승천해서 용왕이 되려고 했지만 자식들이 그 뜻을 알지 못해 결국 죽게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퍼져 나갔다. 그리고 이때부터 사람들이 엄지산을 용왕산이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이 이야기의 또 다른 변형으로는, 옛날 용왕산에 박씨라는 사람이 죽어서 왕으로 환생하려고 온갖 선정을 베풀고 죽어 이 산에 묻혔지만, 어렸을 때 걸인을 박대했던 단 하나의 업으로 인해 자신의 뜻을 이루지 못했다는 슬픈 이야기도 있다.
용왕산에는 하늘의 천관(天官)과 관련된 이야기도 있다. 옛날 하늘의 천관이 지금의 선유봉 자리에 살고 있던 아가씨에게 반하여, 옥황상제의 뜻을 어기고 아가씨와 몰래 혼인하여 용왕산에 숨어 살았다. 옥황상제는 이 사실을 알고 극도로 노여워하며 이들을 벌하였다. 이로 인해 천관은 용왕산의 이무기로 변하고 그 아가씨는 선유봉이 되어 헤어질 수밖에 없었다.
용왕산의 이무기로 변한 천관은 아가씨를 잊지 못해 선유봉으로 달려갔으나, 옥황상제가 꼬리를 밟고 있어서 이무기의 양 발이 닿았다가 발톱 자국만을 낸 채 다시 용왕산으로 올 수밖에 없었다. 이때 이무기가 흘린 눈물이 바로 안양천이 되었고, 옥황상제가 밟고 있던 발톱 자국이 깊게 파여서 비만 오면 고랑이 되었다는 사연이다.
훗날 이 가슴 아픈 사연을 전해 듣고 옥황상제의 마음이 동하여, 이곳이 사람이 살 곳은 못 되나 많은 사람이 오가면서 밟아 주고 다듬어 준다면 그들의 죄를 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단다. 그래서인지 이 고랑에 양화교가 가설되어 오가는 사람의 행렬이 끊임이 없다는데, 선유봉 아가씨와 용왕산 이무기의 재회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물에 잠길 것이라던 이무기 발톱 자리는 결국 안양천이 흐르는 수로로 바뀌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 이야기는 안양천의 범람과도 관계있는 것으로, 서울특별시역사편찬위원회에서 1985년에 발간한 『한강사』에 따르면, 안양천 개수 공사를 실시하면서 안양천 수로가 변경된 사실을 발견했다고 한다.[3][5]
5. 축제
참조
[1]
웹사이트
용왕산근린공원
http://parks.seoul.g[...]
[2]
뉴스
양천구 "새해 해돋이, 용왕산·지양산·갈산서 맞으세요"
https://n.news.naver[...]
[3]
서적
서울지명사전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9
[4]
웹사이트
한국관광공사 관광명소안내
http://korean.visitk[...]
[5]
웹사이트
대한민국 구석구석 → 용왕산근린공원
http://korean.visit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