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 창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용 창조는 은행이 대출을 통해 예금 통화를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는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 통화량, 그리고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은행은 예금을 받아 대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출을 통해 예금을 창조한다. 이러한 신용 창조는 경기 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내생적 화폐 공급 이론, 국채 발행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된다. 역사적으로 헨리 더닝 맥클로드 등의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비판적 시각 또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화 정책 - 은본위제
은본위제는 화폐 가치를 은에 고정하는 통화 제도로,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하여 수천 년간 사용되었으나 19세기 말 금본위제로 전환되며 20세기 초 대부분 국가에서 사라졌다. - 통화 정책 - 통화 동맹
통화 동맹은 국가 간 거래 비용 절감 및 환율 변동성 감소를 통해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경제 통합 형태이지만, 통화 정책 독립성 상실 및 경제적 충격에 대한 공동 대응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하며, 성공 여부는 경제 구조 유사성, 정치적 통합 수준, 위기 관리 체계 등 다양한 요인에 좌우된다. - 은행업 - 수표
수표는 14~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7세기 영국에서 근대적 형태가 정립된 지급 결제 수단이며, 발행인, 지급인, 수취인의 3자 관계를 가지고 유통증권으로 사용되지만 전자 결제 시스템의 발달로 사용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 은행업 - 이자
이자는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금액을 의미하며, 이자율은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로서 경제 상황과 통화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 경제학에 관한 - 노예제
노예제는 한 사람이 타인에게 소유되어 재산처럼 취급받으며 의지에 반해 노동을 강요당하고 보수 없이 사회적 이동이 제한되는 제도로, 고대부터 널리 존재했으나 18세기 이후 폐지 운동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 경제학에 관한 - 민간 부문
민간 부문은 이윤 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 주체들로 이루어진 영역으로, 국가 경제 체제에 따라 비중과 역할이 다르며, 고용 창출의 원천이 되지만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여 국가의 규제를 받는다.
신용 창출 | |
---|---|
개요 | |
유형 | 경제 활동 |
설명 | 중앙은행 또는 예금 은행이 예금을 통해 통화 공급을 늘리는 과정 |
메커니즘 | |
중앙은행 | 지급준비율 조정 공개 시장 조작 재할인율 조정 |
예금 은행 | 대출 및 투자 신용 창조 승수 효과 |
영향 | |
긍정적 영향 | 경제 성장 촉진 인플레이션 유발 (수요 견인) |
부정적 영향 | 과도한 인플레이션 자산 거품 형성 |
관련 개념 | |
통화 정책 |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조절하여 경제를 안정시키는 정책 |
부분 지급 준비 제도 | 은행이 예금의 일부만 지급 준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대출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 |
신용 화폐 | 정부가 발행하거나 중앙은행이 통제하는 화폐 |
양적 완화 | 중앙은행이 경제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해 자산을 매입하는 통화 정책 |
참고 | |
스테파니 벨 | 국가의 역할과 화폐 위계 |
유럽 중앙 은행 | 화폐란 무엇인가? |
2. 통화 정책
국가의 통화 당국,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은 거래를 수행하고 소득을 창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통화 공급을 변경할 목적으로 대차대조표에 부채를 생성하고 소멸시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14][4][5] 중앙은행이 은행이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경제에 사용할 수 있는 통화량을 줄이거나 늘리기 위해 장부를 변경하는 방식을 정의하는 정책을 통화 정책이라고 한다. 중앙은행이 법에 따라 경제의 물가 또는 고용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 통화 정책은 고용 감소가 가격 상승을 보이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도 감소시키기를 바라면서, 실업률을 높이기 위해 높은 인플레이션 시대에 통화 공급을 줄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14][4][5] 통화 정책은 경제 내 상업 은행 예금의 가용성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6] 이는 다시 투자, 주가, 민간 소비, 화폐 수요, 전반적인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7] 국가의 환율은 순수출의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목표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통화 정책을 수행하는 반면,[8]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은 일종의 고정 환율 제도를 목표로 한다.[9] 중앙은행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운영되며, 예외는 거의 없다. 또한, 중앙 아프리카 국가 기구와 같이 단일 주체가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국가 그룹이 있으며, 공통 중앙은행(중앙 아프리카 국가 은행)을 보유하거나, 유로존과 같은 통화 동맹이 있어 국가가 각자의 중앙은행을 유지하면서 중앙 기관인 유럽 중앙 은행의 정책을 따른다.
중앙은행은 중앙은행 예금 부채에 지급되는 이자율을 설정하거나, 대차대조표의 예금액을 변경하기 위해 자산을 직접 매입 또는 매각하거나, 연설 및 서면 지침을 통해 시장에 예금 이자율을 변경하거나 미래에 자산을 매입 또는 매각하려는 의도를 알림으로써 통화 정책을 수행한다.[10]
중앙은행 부채에 지급되는 이자액을 줄이거나 은행 대출 및 국채와 같은 자산을 더 높은 가격으로 매입하여(중앙은행 장부에 은행 지급 준비금 예금 증가) 이자율을 낮추는 것을 통화 확장 또는 통화 완화라고 하며, 중앙은행 부채에 더 많은 이자를 지급하여 이자율을 높이는 것을 통화 긴축 또는 긴축(중앙은행 장부에 은행 지급 준비금 예금 감소)이라고 한다. 이자율을 낮게 유지하는 통화 완화의 특별한 과정은 양적 완화라고 하며, 이는 중앙은행이 장기간에 걸쳐 대량의 자산을 높은 가격으로 매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국은행은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으로서, 통화 정책을 통해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2. 1. 통화량
일반적으로 가계와 기업이 지급을 하거나 단기 투자로 보유할 수 있는 총 안전 금융 자산을 "통화 공급"이라 한다.[11] 통화 공급은 각 유동성 수준에 따라 정의된 "통화 지표"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M0: 주화를 포함한 모든 실물 통화의 총액. (M0 = 연방 준비 은행권 + 미국 지폐 + 동전)
- M1: M0 + 요구불 예금, 여행자 수표 및 기타 수표 가능 예금
- M2: M1 + 대부분의 저축 예금, MMDA, 소매 MMF, 소액 정기 예금(10만 달러 미만의 양도성 예금 증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앙 은행, 재무부 또는 기타 지정된 국가 기관은 일반적으로 금속 주화 또는 지폐의 형태로 새로운 실물 통화를 발행할 권한을 가진다. 주요 통화의 가치는 한때 금본위제에 의해 뒷받침되었지만, 1971년 브레튼우즈 체제의 종말로 모든 주요 통화는 불환 화폐가 되었다.
위조 지폐 방지를 위해 지폐에 일련 번호를 사용하고, 합금을 사용하여 주화를 주조하는 등 다양한 조치가 취해진다. 통화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가치 하락,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액면가 재평가, 또는 다른 통화에 의한 법정 통화로서의 대체 등 다양한 이유로 화폐가 폐지될 수 있다. 통화를 발행하는 정부 기관은 일반적으로 상업 은행과 협력하여 갓 주조된 통화를 유통하고 낡은 통화를 폐기한다.[12]
현대 경제에서 실물 통화는 광의 통화 공급의 일부일 뿐이다.[13]
2. 2. 통화 정책의 목표
국가의 통화 당국,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은 거래를 수행하고 소득을 창출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통화 공급을 변경할 목적으로 대차대조표에 부채를 생성하고 소멸시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14][4][5] 통화 정책은 경제 내 상업 은행 예금의 가용성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6] 이는 다시 투자, 주가, 민간 소비, 화폐 수요, 전반적인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7] 국가의 환율은 순수출의 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목표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통화 정책을 수행하는 반면,[8]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은 일종의 고정 환율 제도를 목표로 한다.[9] 중앙은행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운영되며, 예외는 거의 없다. 또한, 중앙 아프리카 국가 기구와 같이 단일 주체가 중앙은행 역할을 하는 국가 그룹이 있으며, 공통 중앙은행(중앙 아프리카 국가 은행)을 보유하거나, 유로존과 같은 통화 동맹이 있어 국가가 각자의 중앙은행을 유지하면서 중앙 기관인 유럽 중앙 은행의 정책을 따른다.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을 주요 목표로 삼지만, 금융 안정과 경제 성장에도 기여해야 한다.
2. 3. 통화 정책의 수행
국가의 통화 당국,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은 대차대조표에 부채를 생성하고 소멸시켜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14][4][5] 중앙은행이 은행이 거래를 수행하기 위해 경제에 사용할 수 있는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을 통화 정책이라고 한다. 통화 정책은 경제 내 상업 은행 예금의 가용성과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6] 이는 다시 투자, 주가, 민간 소비, 화폐 수요, 전반적인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7]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목표제 프레임워크 내에서 통화 정책을 수행하는 반면,[8]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 중앙은행의 통화 정책은 일종의 고정 환율 제도를 목표로 한다.[9] 중앙은행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운영되며, 유로존과 같이 통화 동맹이 있어 국가가 각자의 중앙은행을 유지하면서 중앙 기관인 유럽 중앙 은행의 정책을 따르는 경우도 있다.
중앙은행은 중앙은행 예금 부채에 지급되는 이자율을 설정하거나, 자산을 직접 매입 또는 매각하거나, 시장에 예금 이자율을 변경하거나 미래에 자산을 매입 또는 매각하려는 의도를 알림으로써 통화 정책을 수행한다.[10] 중앙은행 부채에 지급되는 이자액을 줄이거나 은행 대출 및 국채와 같은 자산을 더 높은 가격으로 매입하여 이자율을 낮추는 것을 통화 확장 또는 통화 완화라고 하며, 중앙은행 부채에 더 많은 이자를 지급하여 이자율을 높이는 것을 통화 긴축이라고 한다. 이자율을 낮게 유지하는 통화 완화의 특별한 과정은 양적 완화라고 하며, 이는 중앙은행이 장기간에 걸쳐 대량의 자산을 높은 가격으로 매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2. 4. 통화 확장과 긴축
통화 확장은 이자율을 낮추고, 통화 긴축은 이자율을 높인다. 양적 완화는 중앙은행이 장기간 대량의 자산을 매입하는 특별한 통화 완화 정책이다.2. 5. 채무의 통화화
채무의 통화화는 미국 재무부와 같은 정부 재정 당국이 중앙은행의 통화 창출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는 용어이다.[15] 현대 금융 시스템에서 중앙은행과 재정 당국은 금리를 관리하고 경제적 안정을 위해 긴밀히 협력한다.역사적으로 고정 환율 금융 시스템에서 재정 당국의 정부 지출을 위한 중앙은행 통화 창출은 많은 국가에서 법으로 금지되었다.[16]
유로존에서 리스본 조약의 제123조는 유럽 중앙 은행이 공공 기관 및 국가 정부에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있다.[17] 일본에서는 국가의 중앙 은행이 매달 발행되는 국가 부채의 약 70%를 "일상적으로" 구매하며,[18] 2018년 10월 현재 약 440 조 JP¥ (약 4조 달러)[19] 또는 전체 미결제 정부 채권의 40%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20] 미국에서는 1913년 연방 준비법에 따라 연방 은행이 재무부로부터 단기 증권을 직접 구매하여 현금 관리 운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1935년 은행법은 중앙 은행이 재무부 증권을 직접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공개 시장"에서만 구매 및 판매를 허용했다. 1942년 전시 중에 의회는 은행법의 조항을 수정하여 연방 은행이 정부 부채를 구매하도록 허용했으며, 그들이 보유할 총액은 "50억 달러를 초과하지 [않도록]" 했다. 전쟁 후, 이 면제는 시간 제한과 함께 갱신되어 1981년 6월에 만료될 때까지 유지되었다.[21]
2. 6. 공개 시장 조작
중앙은행은 시장에서 자산을 매입하거나 매각할 수 있으며, 이를 공개 시장 조작이라고 한다.[22] 중앙은행이 중앙은행에 계정을 보유한 상업 은행과 같은 시장 참여자로부터 자산을 매입하면, 지급 준비 예금이 해당 계정에서 삭제되고 자산 소유권이 상업 은행으로 이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중앙은행은 채권과 같은 금융 자산을 지급 준비 예금과 교환하여 금융 시스템의 지급 준비 예금 규모를 조절할 수 있다.[22] 예를 들어, 미국에서 연방 준비 제도(Federal Reserve)가 증권을 영구적으로 매입할 때, 매입 및 매각을 담당하는 사무소(뉴욕 연방 준비 은행의 공개 시장 거래 데스크)는 경쟁 입찰을 통해 결정된 가격으로 주요 딜러로부터 적격 증권을 매입한다. 연방 준비 제도는 주요 딜러의 중개 은행의 지급 준비금 계좌에 입금하여 해당 증권에 대한 대금을 지급한다. (중개 은행은 다시 딜러의 은행 계좌에 입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개 시장 매입은 지급 준비금 잔액 증가로 이어진다.[22] 반대로, 미국 중앙은행의 자산 매각은 지급 준비금 잔액을 감소시키고, 이는 회원 은행 간의 거래 결제를 위해 금융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의 양을 감소시킨다.[22] 중앙은행은 또한 단기 지급 준비 예금 잔액을 관리하기 위해 '현재 자산 매각, 나중에 재매입'하는 단기 계약을 체결한다. 이러한 계약은 환매 조건부 채권(Repo) 계약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금융 시스템에서 원하는 결과가 달성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롤오버되는 단기(대개 하룻밤) 계약이다.[22] 중앙은행이 수행하는 조작은 의제의 단기 목표 또는 금융 안정 유지 또는 지급 준비 예금에 대한 목표 금리 주변의 하한 및/또는 상한 유지와 같은 장기 요인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22]2. 7. 통화 승수
화폐 창출에 대한 역사적 설명은 통화 승수 개념에 초점을 맞췄는데, 이는 지급 준비 예치금이나 금과 같은 기초 상품이 은행 대출로 곱해지는 방식이었다.[23] 그러나 오늘날 많은 국가에서는 지급 준비율을 적용하지 않아 통화 승수는 화폐 창출 과정을 설명하는 도구로서는 대부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오늘날 상업 은행은 돈을 빌려줄 때 경제 내 은행 예금액을 늘린다.[23] 은행 시스템은 중앙 은행이 창출한 지급 준비 예치금 규모를 훨씬 넘어 해당 국가의 통화 공급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대부분의 돈이 중앙 은행에 의해 창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24][25]
자기자본비율 계산에 사용되는 은행 자본은 은행 대차대조표상의 자산이 부채를 초과하는 부분이며, 은행을 위한 국제 규제 체제인 바젤 III과 같은 규정을 통해 가치가 더욱 세분화된다. 은행은 대출(자산)을 창출하고 대출이 상환될 때 발생하는 은행 부채를 소멸시킴으로써 자본을 창출한다. 이 과정은 은행의 자기자본을 증가시켜 은행이 자체적으로 사용할 상업 은행 예금 부채(화폐)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급 준비율은 상업 은행이 중앙 은행 계좌에 예금의 최소 사전 결정된 백분율을 유지하도록 의무화한다. 지급 준비율이 없는 국가에는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가 포함되며, 이는 은행에 최소 지급 준비율이 부과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은행 대출을 제한하는 요인은 대출 계약을 체결하려는 차용인의 수이다.
2. 8. 통화 정책의 효과와 한계
중앙은행은 실물 통화의 발행을 직접적으로 통제할 수 있지만, 상업 은행의 통화 창출을 간접적으로 통제하여 M2와 같은 광범위한 통화 지표를 어느 정도까지 통제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더 논쟁적이다.[26] 통화 승수 이론에 따르면 중앙은행은 지급 준비율을 부과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 메커니즘을 통해 상업 은행이 창출하는 통화의 양을 관리하기 때문에 통화 승수를 통제한다.[26][27] 그러나 선진국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이 이론에 의존하는 것을 중단하고 지급 준비율을 통해 통화 정책을 형성하는 것을 멈췄다.[26] 벤자민 프리드먼은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의 통화 공급에 대한 장에서 통화 승수 표현은 예비 자금(외부 통화) 및 내부 통화 시장에서 공급과 수요의 더 복잡한 균형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라고 설명한다.[14] 데이비드 로머는 대학원 교재 "''Advanced Macroeconomics''"에서 중앙은행이 M2와 같은 광범위한 통화 지표를 통제하기 어렵다고 언급한다.[28]1970년대와 1980년대에 두드러졌던 통화주의 이론은 중앙은행이 통화 운영을 통해 통화 공급을 통제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그러나 이 전략은 시도했던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같은 중앙은행에 잘 작동하지 않았고, 몇 년 후에 폐기되었으며, 중앙은행은 통화 성장을 유도하기 위해 기초 통화량을 고정하는 대신 금리를 조절하여 통화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전환했다.[30] 금리는 상업 은행의 신용 발행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통화 승수에 의해 암시되는 상한은 실제로 통화 창출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31] 금리를 설정함으로써 중앙은행의 운영은 통화 공급에 영향을 미치지만 통제하지는 않는다.[23][32]
2. 9. 화폐의 신용 이론
부분 지급 준비 제도 하에서 통화 공급이 통화 승수에 의해 제한된다는 화폐 창조 이론은 2007-2008년 금융 위기 이후 폐기되었다. 은행 지급 준비금은 중앙 은행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급 준비금(초과 지급 준비금)을 공급하기 때문에 제한 요인이 아니라는 점이 관찰되었다.[33] 경제학자와 은행가들은 이제 유통되는 화폐의 양은 대출 수요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34][35][23]화폐의 신용 이론은 요제프 슘페터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은행이 통화 공급의 창조자이자 배분자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며, "생산적 신용 창조"(기술 진보가 있는 상황에서 완전 고용 상태에서도 비인플레이션적인 경제 성장을 허용)와 "비생산적 신용 창조"(소비자 물가 상승률 또는 자산 가격 상승률의 인플레이션을 초래)를 구별한다.[36]
은행이 고객에게 대출을 발행하면 고객의 차입금 계좌와 예금 계좌에 해당 금액을 기입하여 새로운 자산과 부채를 생성한다. 이 과정에서 은행의 대차대조표는 확장되지만, 은행의 지급 준비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거래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유통 화폐가 창출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은행은 어디서든 돈을 만들어낸다"는 표현을 낳았다.
대출 발행 시 생성되는 금액은 대출 원금과 같지만, 대출의 복리를 지불하기 위해 필요한 금액은 생성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세계의 채무액은 통화 공급량의 합계를 초과하게 되며, 통화 제도 개혁의 요구로 이어지기도 한다.
중앙 은행의 조작(예: "양적 완화")을 통해 자극받는 은행 대출 모델은 신 케인스 경제학[37]과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 분석[38][39], 그리고 중앙 은행들에 의해 거부되었다.[40][41][42] 은행은 먼저 대출을 하고 ''그 다음에'' 지급 준비율을 충족시킨다. 대출 여부에 대한 결정은 일반적으로 중앙 은행의 지급 준비금 또는 고객 예금과 무관하다. 은행은 고객의 사업 상태, 대출의 전망, 그리고/또는 전반적인 경제 상황과 같은 대출 기준에 따라 대출을 한다.[43][44][45]
3. 신용 창조
은행이 대출을 통해 예금 통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신용 창조라고 한다[47]。일반적인 통념과는 달리, 은행은 예금을 받아 대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출을 통해 예금을 창조한다. 즉, 은행은 대출자의 예금 계좌에 대출금 상당액을 입금하는 방식으로 신용을 창조하며, 이때 은행이 보유한 원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48][49][50][51]。
많은 경제학 교과서에서 신용 창조에 대해 잘못된 기술을 하고 있다는 잉글랜드 은행 등의 지적이 있었다[52]。실제 은행 업무에서는 예금자로부터 예금을 받아 대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출자의 예금 계좌에 대출금 상당액을 입금하여 새롭게 만들어낸 돈으로 대출을 한다. 따라서 은행이 예금을 받은 후 대출한다는 설명은 오류이며, 중앙은행의 화폐가 승수 효과를 낳는다는 것도 잘못된 설명이다.
은행은 신용 공여를 통해 은행의 부채인 신용 화폐를 새롭게 만들어낼 수 있다. 은행이 대출 또는 증권 투자를 할 때, 차입자(또는 증권 매도인)의 은행 계좌에 그 금액을 기입한다. 이로 인해 대출 시에는 새로운 예금 통화가 만들어지고, 변제 시에는 예금 통화가 소멸한다. 모든 예금 통화는 신용 창조에 의해 창출되며, 이 예금 통화에서 필요에 따라 인출된 현금 통화가 시중(은행 시스템 외부)에서 유통된다. 단, 자금 수요가 없으면 은행은 신용 창조를 할 수 없다. 현금 통화와 중앙은행당좌 예금은 중앙은행의 신용 창조에 의해 공급된다[53]。
변제 능력이 있는 기업에 차입 자금 수요가 있다면, 신용 창조 규모는 이론적으로 무제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은행의 대출 가능한 한계점, 가계와 기업의 행동에 의한 제한[54], BIS 규제와 같은 제한이 존재한다.
3. 1. 신용 창조와 경기 순환
설비 투자에 따른 차입 등이 증가하는 경기가 좋은 시기에는 자연스럽게 화폐가 증가한다. 반면, 설비 투자가 한 바퀴 돌고, 새로운 차입보다 상환이 많아지면 경기는 안정되고 화폐는 감소한다.이처럼 신용 창조는 화폐 수요(자금 수요)에 맞춰 변동하며, 경기(명목 GDP)와 양의 상관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통화 공급(현금 + 예금)과 명목 GDP(물가 × 실질 GDP)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는 화폐 유통 속도가 있다.
3. 2. 내생적 화폐 공급 이론
잉글랜드 은행의 계간지(2014년 봄호)는 "현대 경제에서의 화폐 창조"에서 은행이 민간 주체가 저축하기 위해 마련한 은행 예금을 원천으로 대출을 하고, 중앙은행이 본원 통화량을 조작하여 경제에서의 융자 및 예금량을 결정한다는 견해는 통속적인 오해라고 지적하고 있다[55]. 은행에 의한 대출은 차입자의 예금 계좌에의 기장으로 이루어질 뿐이며, 은행은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예금 통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은행은 예금이라는 화폐를 밑천으로 대출을 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대출에 의해 예금이라는 화폐를 창조하고 있다. 화폐를 부채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신용 화폐론을 전제로, 수요에 따라 은행에 의해 화폐가 공급된다는 이론은 내생적 화폐 공급 이론이라고 불린다.나카노 다케시에 따르면 기업 등의 자금 수요 증대가 은행의 대출·예금을 늘리고, 그리고 본원 통화를 늘리는 것이지, 본원 통화의 증가가 은행의 대출을 늘리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나카노는 현대 경제에서 은행은 밑천이 되는 자금의 양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잠재적으로 무한정 대출을 할 수 있으며, 제약이 있다면 대출자 측의 자금력이 아니라 차입자 측의 상환 능력에 있다고 한다. 은행은 차입자가 상환 능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한, 얼마든지 대출에 응할 수 있다. 현대와 같은 복잡하고 대규모의 자본주의 경제가 가능하게 된 것은, 그 중심에 은행에 의한 신용 창조가 있기 때문이다. 은행은 대출을 늘리면, 그에 상응하는 지급 준비 예금을 늘려야 하므로, 금리를 조절하면, 은행의 융자 활동에 영향을 미쳐, 화폐 공급을 조정할 수 있다고 한다.[55]
포스트 케인즈 학파의 하이먼 민스키는 "화폐가 유일무이한 것은, 그것이 은행에 의한 융자 활동 속에서 창조되고, 은행이 보유하는 부채 증서의 약정이 이행되면 파괴된다는 점에 있다. 화폐는 비즈니스의 통상적인 과정 속에서 창조되고 파괴되므로, 그 발행액은 금융 수요에 응한 것이 된다. 은행이 중요한 것은, 대출자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활동하기 때문이다. 은행은 자금을 빌려주는 데, 수중에 자금을 가지고 있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 은행의 탄력성은, 장기간에 걸쳐 자금을 필요로 하는 사업이, 그러한 자금을 필요한 만큼 입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56].
3. 3. 국채와 내생적 화폐 공급 이론
은행은 수취한 예금을 기초로 국채를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고 은행이 그것을 구입함으로써 예금이 창조된다.[57]일본 정부는 사기업과는 달리 민간 은행에 계좌를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엔화 관련 예금 계좌는 일본은행에만 개설되어 있다. 또한 은행이 국채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은행이 일본은행에 보유하는 당좌예금 잔고를 이용하고 있다.
은행이 국채(신규 발행 채권)를 구입하면, 은행이 보유한 일본은행 당좌예금은 정부가 개설하는 일본은행 당좌예금 계정에 대체된다. 정부는 예를 들어 공공 사업 발주에 따라, 하청 기업에 정부 수표로 그 대금을 지급한다. 기업은 정부 수표를 자기 거래 은행에 가지고 가서, 대금 추심을 의뢰한다. 추심을 의뢰받은 은행은, 그에 상당하는 금액을 기업의 계좌에 기장(여기서 새로운 민간 예금이 생긴다)하는 동시에, 대금 추심을 일본은행에 의뢰한다. 그 결과, 정부가 보유한 일본은행 당좌예금(이것은 국채의 은행에 대한 매각에 의해 입수된 것이다)이, 은행이 개설하는 일본은행 당좌예금 계정으로 대체된다.
은행은 되돌아온 일본은행 당좌예금으로 다시 국채(신규 발행 채권)를 구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은행의 국채 소화 내지 구입 능력은, 일본은행에 의한 은행에 대한 당좌예금의 공급 방식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이 과정은 이론적으로 무한히 계속될 수 있으며, 정부의 지출은 민간 기업의 저축이 된다. 정부의 재정 적자는 민간 저축에 의해 파이낸스되는 것이 아니라, 그 반대로 정부의 재정 적자가 민간 저축을 만들어내고 있다.
4. 역사
헨리 더닝 맥클로드는 은행의 본질을 "요구불 신용을 창조하고 발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슘페터, 알베르트 한, 필립스 등에 의해 이론이 발전했다. 맥클로드는 기존 경제학의 사고방식을 근본적으로 뒤집어, 신용 창조론을 중심으로 한 은행 신용의 역할에 대해 매우 획기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맥클로드에 따르면, 고객이 은행에 현금을 예금하면 은행은 그 금액만큼의 청구권을 창조한다. 은행은 사회적 신뢰를 바탕으로 예금의 일부만 지급 준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대출이나 어음 매입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맥클로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은행이 신용을 창조하며, 이는 화폐와 동일한 성격을 가진다고 보았다.
필립스는 "본원적 예금"과 "파생적 예금"을 구분하고, 개별 은행과 은행 시스템 간의 관계, 대출 확장의 한계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여 신용 창조 이론의 통설을 만들었다.
1930년대에는 화폐 승수 이론이 등장하여 신용 창조 이론과 함께 이해되었다.
하틀리 위더스는 "모든 대출은 예금을 만든다"라고 말하며 은행 대출과 정부 증권 구매가 은행 예금을 증가시키는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수동적으로 창조하는 예금"과 "능동적으로 창조하는 예금"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필립스와 유사한 이론을 제창하고, 신용 창조 능력은 이론상 무한하다고 주장했다. 크누트 빅셀 또한 은행의 신용 창조 능력은 무한하며, 화폐에 대한 시장 수요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랄프 조지 호트리는 "은행 대출이야말로 화폐 공급의 근원"이라고 말했다.
5. 비판적 시각
참조
[1]
문서
Eurozone
[1]
문서
Economic Community of Central African States
[2]
웹사이트
The Role of the State and the Hierarchy of Money
https://www.research[...]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2023-12-29
[3]
웹사이트
What is money?
https://www.ecb.euro[...]
2018-03-08
[4]
웹사이트
Federal Reserve Board - Monetary Policy: What Are Its Goals? How Does It Work?
https://www.federalr[...]
2021-07-29
[5]
웹사이트
Does the Central Bank Control Long-Term Interest Rates?: A Glance at Operation Twist
https://fixingtheeco[...]
2018-03-08
[6]
웹사이트
Monetary Policy
https://www.federalr[...]
Federal Reserve Board
2024-01-01
[7]
웹사이트
Monetary Policy and Central Banking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01-01
[8]
웹사이트
Inflation Targeting: Holding the Line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s, Finance & Development
2023-10-17
[9]
서적
Annual Report on Exchange Arrangements and Exchange Restrictions 2022
https://www.elibrary[...]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7
[10]
웹사이트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on Monetary Policy Implementation Systems {{!}} Bulletin – June 2022
https://www.rba.gov.[...]
Reserve Bank of Australia
2022-06-16
[11]
웹사이트
Money supply
https://www.federalr[...]
[12]
문서
Mankiw (2012)
[13]
웹사이트
Statistic
http://www.federalre[...]
FRS
[14]
서적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Palgrave Macmillan UK
2017-01-01
[15]
웹사이트
An Accounting Model of the UK Exchequer
https://gimms.org.uk[...]
2024-05-26
[16]
웹사이트
Is Monetary Financing Inflationary? A Case Study of the Canadian Economy, 1935–75
http://www.levyinsti[...]
Levy Economics Institute
2018-03-08
[17]
웹사이트
Fiscal policies
https://www.ecb.euro[...]
ECB
[18]
웹사이트
Japan's Debt Has Officially Passed ¥1,000,000,000,000,000 — No Problem
http://www.businessi[...]
2018-03-08
[19]
문서
At a $1=¥0.0094 conversion rate
[20]
웹사이트
Gov't Bonds
https://www.boj.or.j[...]
[21]
웹사이트
Direct Purchases of U.S. Treasury Securities by Federal Reserve Banks
https://www.newyorkf[...]
2014-08-01
[22]
웹사이트
The Fed Explained
https://www.federalr[...]
US Federal Reserve
2024-05-26
[23]
웹사이트
Money creation in the modern economy
https://www.bankofen[...]
Bank of England
2018-03-08
[24]
뉴스
Swiss voters reject campaign to radically alter banking system
https://www.reuters.[...]
2024-07-06
[25]
뉴스
Why central banks are too powerful and have created our inflation crisis – by the banking expert who pioneered quantitative easing
https://theconversat[...]
2024-07-06
[26]
간행물
The controversial treatment of money and banks in macroeconomics
https://en-hitelinte[...]
2023-10-17
[27]
웹사이트
Teaching the Linkage Between Banks and the Fed: R.I.P. Money Multiplier
https://research.stl[...]
2021-09-01
[28]
서적
Advanced macroeconomics
McGraw-Hill
2019-01-01
[29]
웹사이트
What Is Monetarism?
http://www.imf.org/e[...]
IMF
2018-03-08
[30]
서적
Macroeconomics: a European perspective
Pearson
2017-01-01
[31]
서적
Economics
[32]
문서
Another common misconception is that the central bank determines the quantity of loans and deposits in the economy by controlling the quantity of central bank money. ... Rather than controlling the quantity of reserves, central banks today typically implement monetary policy by setting the price of reserves — that is, interest rates.
[33]
문서
Repeat after me: Banks cannot and do not lend out reserves
https://www.kreditma[...]
Standard & Poor's
2013-08-13
[34]
간행물
The Chicago Plan Revisited
https://www.imf.org/[...]
2012-01-01
[35]
간행물
The Truth about Banks
http://www.imf.org/e[...]
2016-01-01
[36]
서적
History of Economic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7]
서적
Economics
https://archive.org/[...]
McGraw-Hill Education
1997
[38]
웹사이트
The Hierarchy of Money
https://ideas.repec.[...]
The Jerome Levy Economics Institute
1998
[39]
웹사이트
Money multiplier and other myths
http://bilbo.economi[...]
2018-03-08
[40]
웹사이트
Money and credit: Banking and the Macroeconomy
https://www.bankofen[...]
Bank of England
2007
[41]
웹사이트
The bank lending channel revisited
http://www.bis.org/p[...]
Bank of International Settlements
2018-03-08
[42]
문서
In reality, neither are[bank] reserves a binding constraint on lending, nor does the central bank fix the amount of reserves that are available. ... Banks first decide how much to lend depending on the profitable lending opportunities available to them — which will, crucially, depend on the interest rate set by the [central bank]." McLeay et al. (2014)
[43]
웹사이트
Money and Inflation
https://papers.ssrn.[...]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2000-09-01
[44]
웹사이트
How is money created
https://www.bankofen[...]
BoE (2019)
[45]
논문
Wilhelm Lautenbach’s credit-mechanics – a precursor to the current money supply debate
Taylor & Francis
2021
[46]
웹사이트
第200回 衆議院 内閣委員会 令和元年10月23日 第2号
https://kokkai.ndl.g[...]
2019-12-16
[47]
웹사이트
MMT(現代貨幣理論):その読解と批判
https://www.fujitsu.[...]
2019-12-07
[48]
서적
奇跡の経済教室
KKベストセラーズ
2019
[49]
서적
はじめて学ぶ金融論
大月書店
2005
[50]
간행물
Money Creation in the Modern Economy
Bank of England
2014b
[51]
웹사이트
第200回衆議院内閣委員会第2号
https://www.shugiin.[...]
2019-10-23
[52]
웹사이트
Money creation in the modern economy
https://www.bankofen[...]
[53]
서적
現代金融と信用理論
大月書店
2006
[54]
간행물
Money Creation in the Modern Economy
Bank of England
2014b
[55]
간행물
Money Creation in the Modern Economy
Bank of England
2014b
[56]
서적
Stabilzing an Unstable Economy
McGraw-Hill Education
2008
[57]
논문
国債と内生的貨幣供給理論
2014
[58]
서적
経済学辞典
岩波書店
1992
[59]
서적
現代金融と信用理論
大月書店
2006
[60]
웹인용
The Role of the State and the Hierarchy of Money
https://www.research[...]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2023-12-29
[61]
웹인용
What is money?
https://www.ecb.euro[...]
2018-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