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이먼 민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먼 민스키는 1919년 시카고에서 태어난 유대인 경제학자이다. 그는 브라운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레비 경제연구소의 석학으로 활동했다. 민스키는 비정부 부문의 부채 축적이 경제 위기를 초래한다고 주장하며, 헤지 차입자, 투기 차입자, 폰지 차입자로 차입자를 구분했다. 그는 자본주의를 상업적, 금융적, 관리적, 자금 관리자적 단계로 구분하고,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경제학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리노이주의 경제학자 - 앤서니 다운스
    앤서니 다운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도시 문제 및 주택 정책 전문가로, 민주주의의 경제 이론, 관료제, 주택 정책, 교통 정책 등을 연구했으며, 2021년에 사망했다.
  • 일리노이주의 경제학자 - 프랭크 나이트
    프랭크 나이트는 위험과 불확실성을 구별하고 불확실성 하에서의 기업 이윤 발생 원리를 분석한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시카고 학파의 중요 인물로서, 시카고 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미국 경제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자유 시장 경제를 지지하면서도 정부 개입을 옹호하고 밀턴 프리드먼과 조지 스티글러를 가르쳤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교수 - 더글러스 노스
    더글러스 노스는 미국의 경제사학자이자 신제도주의 경제학의 선구자로, 199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재산권, 거래비용, 제도의 역할과 경제 성장 간의 관계 연구, 역사적 맥락에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한 경제사 연구에 기여했고, 국제 신제도경제학회를 공동 설립하는 등 경제학, 특히 신제도주의 경제학과 정치학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워싱턴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교수 - 마키 후미히코
    일본 건축가 마키 후미히코는 모더니즘과 일본 전통 건축의 조화를 추구하며 힐사이드 테라스, MIT 미디어랩 증축 건물 등 국내외 주요 건축물을 설계했고, 프리츠커 건축상, 미국건축가협회 금메달 등을 수상했다.
  • 브라운 대학교 교수 - 치누아 아체베
    나이지리아 소설가 치누아 아체베는 영어로 쓰인 아프리카 문학의 선구자로서 이그보족 전통과 식민주의 충돌을 다룬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진다』를 통해 세계적 명성을 얻었으며, 조셉 콘래드 비판, 문학상 수상 등 아프리카 문학과 포스트 식민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브라운 대학교 교수 -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는 브라질의 사회학자이자 정치인으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브라질 대통령을 역임하며 '헤알 플랜'으로 경제 안정화에 기여하고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다.
하이먼 민스키
기본 정보
하이먼 민스키
출생 이름Hyman Philip Minsky
출생일1919년 9월 23일
출생지일리노이주 시카고
사망일1996년 10월 24일 (향년 77세)
사망지뉴욕주 라인베크
국적미국
분야거시경제학
모교시카고 대학교 (B.S.)
하버드 대학교 (M.P.A./Ph.D.)
영향헨리 캘버트 사이먼스
카를 마르크스
요제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미하우 칼레츠키
존 메이너드 케인스
어빙 피셔
아바 러너
박사 지도 교수요제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박사 제자마우로 갈레가티
L. 랜달 레이
주요 기여금융 불안정 가설
민스키 모멘트
학문적 배경
학파포스트 케인스 경제학
관련 인물
영향 받은 인물로렌스 마이어
폴 맥컬리
스티브 킨
스티븐 파자리
L. 랜달 레이
스테파니 그리피스-존스
폴 크루그먼

2. 생애 및 경력

하이먼 민스키는 1919년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벨라루스 출신 멘셰비키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유대인이다.[3] 그의 부모는 노동 운동과 미국 사회당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1941년 시카고 대학교에서 수학으로 이학사 학위를 받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공 행정학 석사(MPA) 및 경제학 철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으며, 요제프 슘페터와 바실리 레온티예프의 지도를 받았다.

1949년부터 1958년까지 브라운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쳤고, 1957년부터 1965년까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경제학 부교수로 재직했다.[4] 1957년부터 1961년까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화폐 신용 위원회의 컨설턴트로 활동했다. 1965년 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의 경제학 교수가 되었으며, 1990년에 은퇴했다.[4] 은퇴 후에는 바드 칼리지의 레비 경제연구소 석학으로 활동하다 1996년 사망했다.

연도주요 경력
1919년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출생[18]
1941년시카고 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 취득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공 행정학 석사(MPA) 및 경제학 철학 박사(Ph.D.) 학위 취득 (지도교수: 요제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1949년 - 1958년브라운 대학교 경제학 교수
1957년 - 1965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경제학 부교수
1957년 - 1961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화폐 신용 위원회 컨설턴트
1965년 - 1990년세인트루이스 워싱턴 대학교 경제학 교수
1990년은퇴
1996년사망 (사후 바드 칼리지 레비 경제연구소 석학으로 선정)


3. 금융 불안정성 가설

하이먼 민스키는 금융 시장의 취약성이 경제의 일반적인 생애 주기에서 투기적인 투자 버블과 내생적으로 연결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업의 현금 흐름이 부채를 상환하는 데 필요한 수준을 넘어설 때, 즉 번영기에 비이성적 과열이 발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부채가 차입자가 수입으로 상환할 수 있는 수준을 초과하여 금융 위기를 초래한다고 보았다.[5]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은행과 대출 기관은 신용 가용성을 억제하고, 그 결과 경제는 위축된다.

금융 시스템이 안정성에서 취약성으로 서서히 이동하다가 위기를 맞는 현상은 "민스키 순간"으로 불리며 민스키의 학문적 업적 중 가장 잘 알려진 부분이다.[5]

헨리 카우프만은 민스키가 60년대와 70년대에 금융 시장과 경제 간의 연관성이 잘 이해되지 않았을 때 훌륭한 통찰력을 제공했으며, 금융 시장이 빈번하게 과도한 수준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연방 준비 제도가 최후의 대부자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평가했다.[6]

민스키의 신용 시스템 모델은 "금융 불안정 가설"(FIH)로 불리며,[7] 존 스튜어트 밀, 앨프리드 마셜, 크누트 빅셀, 어빙 피셔의 아이디어를 통합했다.[8] 그는 1974년에 "우리 경제의 근본적인 특징은 금융 시스템이 견고성과 취약성 사이를 오가며 이러한 변동이 경기 순환을 생성하는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이다."라고 썼다.[9]

당시 주류 경제학자들과 달리 그는 이러한 변동과 그에 수반될 수 있는 호황과 불황이 자유 시장 경제에서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의 금융 규제, 중앙 은행 조치 등을 통해 이를 통제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1980년대의 규제 완화에 반대했다.

민스키는 자신의 이론을 말로 설명했으며, 수학적 모델을 구축하지 않았다. 그는 경제를 모델링하기 위해 수학 방정식보다는 연동된 대차대조표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10] 그의 이론은 사적 부채를 요인으로 포함하지 않는 주류 경제 모델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자산 가격의 거시 경제적 위험을 강조하는 민스키의 이론은 투기적 거품 또한 중앙은행 정책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2007-2010년 금융 위기 이후 그의 이론이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일부 중앙은행 관계자는 중앙은행 정책에 민스키 요인을 포함할 것을 주장했다.[11]

하이먼 민스키의 부채 축적에 관한 이론은 21세기 첫 10년간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당시 언론에서 다시 주목받았으며, ''뉴요커''는 이를 "민스키 모멘트"라고 명명했다.[12][13]

민스키는 경제의 불안정성은 복잡한 시장 경제가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결함이라고 말했다. 그는 금융 불안정성의 단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경기가 좋을 때 투자자는 위험을 감수한다.
  • 점점 더 위험을 감수한다.
  • 위험에 상응하는 수익을 얻을 수 없는 수준까지 위험을 감수한다.
  • 어떤 충격으로 인해 위험이 확대된다.
  • 당황한 투자자가 자산을 매각한다.
  • 자산 가격이 폭락한다.
  • 투자자가 채무 초과 상태에 빠져 파산한다.
  • 투자자에게 융자를 해준 은행이 파산한다.
  • 중앙 은행이 은행을 구제한다 ( '민스키 모멘트' ).
  • 다시 첫 번째 단계로 돌아간다.


그는 금융 구조에는 (1) 헤지 금융, (2) 투기적 금융, (3) 폰지 금융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고 주장했다. 폰지는 1920년대 보스턴에서 폰지 사기로 불리는 수법의 투자 사기를 벌인 사기꾼의 이름이다. 부채에서 자기 자본으로 조달하는 비중이 낮고, 투기적 금융이나 폰지 금융의 비중이 높아지면 경제는 불안정한 상태가 된다고 그는 주장했다.

3. 1. 금융 시스템의 세 가지 유형

민스키는 경제를 위기로 몰아가는 주요 메커니즘은 비정부 부문의 부채 축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급 불능 부채 축적에 기여하는 세 가지 유형의 차입자를 다음과 같이 구분했다.[7]

  • 헤지(Hedge) 금융: 투자에서 발생하는 현재 현금 흐름으로 부채 상환(이자 및 원금 포함)을 할 수 있다.
  • 투기(Speculative) 금융: 투자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으로 부채를 충당할 수 있지만, 즉 지급해야 할 이자를 충당할 수 있지만, 차입자는 정기적으로 원금을 롤오버하거나 재차입해야 한다.
  • 폰지(Ponzi) 금융: 찰스 폰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폰지 사기 참조), 자산 가치 상승이 부채를 재융자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믿고 대출을 받지만, 투자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으로는 이자나 원금을 충분히 지불할 수 없다. 폰지 차입자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자산 가치 상승뿐이다.[7]


폴 매컬리는 모기지 시장의 비유를 사용하여 세 가지 유형의 차입 범주를 설명했다. 헤지 차입자는 전통적인 모기지 대출을 받아 원금과 이자를 모두 상환하고, 투기적 차입자는 이자만 지급하는 대출을 받아 이자만 상환하고 나중에 원금을 상환하기 위해 재융자를 받아야 하며, 폰지 차입자는 원금 미상환 대출을 받아 지급액이 이자액을 충당하지 못하고 실제로 원금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출 기관은 주택 가치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폰지 차입자에게만 자금을 제공했다.[14]

이 세 가지 유형의 차입자는 3단계 시스템으로 나타난다.

1. 헤지 단계: 금융 위기 직후와 회복 후, 은행과 차입자가 과도하게 신중해지는 시점에 발생한다. 차입자가 원금과 이자를 모두 상환할 수 있도록 대출을 최소화한다.

2. 투기 단계: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서서히 회복되면서 나타난다. 원금과 이자를 모두 지불할 수 있는 차입자에게 대출을 해주는 대신, 차입자가 이자만 지불할 수 있는 대출이 이루어진다. 원금은 재융자를 통해 상환될 것이다.

3. 폰지 단계: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계속 커지고 은행이 자산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믿으면서 시작된다. 이 단계에서 차입자는 은행에서 발행된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지불할 수 없게 되어 압류와 광범위한 부채 실패로 이어진다.

만약 폰지 금융의 사용이 금융 시스템에서 충분히 일반적이라면, 폰지 차입자의 불가피한 환멸이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다. 즉, 버블이 붕괴될 때, 즉 자산 가격 상승이 멈출 때, 투기 차입자는 이자 지급을 할 수 있더라도 더 이상 원금을 재융자(롤오버)할 수 없게 된다. 마치 도미노처럼, 투기 차입자의 붕괴는, 기본 투자의 겉보기에 건전함에도 불구하고 대출을 찾을 수 없는 헤지 차입자까지 무너뜨릴 수 있다.[7]

3. 2. 금융 불안정성의 단계

민스키는 금융 시장의 취약성이 경제의 일반적인 생애 주기에서 투기적인 투자 버블과 내생적으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그는 기업의 현금 흐름이 부채를 상환하기에 충분한 번영기에 비이성적 과열이 발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부채가 차입자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을 초과하여 금융 위기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5] 이러한 투기적 차입 거품의 결과로 은행과 대출 기관은 신용을 억제하고, 경제는 위축된다.

민스키의 신용 시스템 모델은 "금융 불안정 가설"로 불리며,[7] 존 스튜어트 밀, 앨프리드 마셜, 크누트 빅셀, 어빙 피셔의 아이디어를 통합했다.[8] 그는 1974년에 "우리 경제의 근본적인 특징은 금융 시스템이 견고성과 취약성 사이를 오가며 이러한 변동이 경기 순환을 생성하는 과정의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썼다.[9]

민스키는 경제를 위기로 몰아가는 주요 메커니즘은 비정부 부문의 부채 축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급 불능 부채 축적에 기여하는 세 가지 유형의 차입자를 식별했다.

  • 헤지 차입자: 투자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으로 부채 상환(이자 및 원금 포함)이 가능하다.
  • 투기 차입자: 투자에서 발생하는 현금 흐름으로 이자는 감당할 수 있지만, 원금은 롤오버하거나 재차입해야 한다.
  • 폰지 차입자: (찰스 폰지의 이름을 따서 명명, 폰지 사기 참조) 자산 가치 상승이 부채를 재융자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믿고 대출을 받지만, 현금 흐름으로는 이자나 원금을 충분히 지불할 수 없다.


이 세 가지 유형의 차입자는 다음과 같은 3단계 시스템으로 나타난다.

1. 헤지 단계: 금융 위기 직후와 회복 후, 은행과 차입자가 과도하게 신중해지는 시점이다. 대출을 최소화하여 차입자가 원금과 이자를 모두 상환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경제는 균형을 추구하며 자급자족한다.

2. 투기 단계: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서서히 회복되면서 나타난다. 시장 상황이 계속 좋을 것이라는 안일함으로 인해 차입자가 이자만 지불할 수 있는 대출이 이루어진다. 원금은 재융자를 통해 상환될 것이다.

3. 폰지 단계: 은행 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계속 커지고 은행이 자산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믿으면서 시작된다. 차입자는 대출의 원금과 이자를 모두 지불할 수 없게 되어 압류와 광범위한 부채 실패로 이어진다.

폰지 금융이 일반화되면, 폰지 차입자의 환멸이 시스템을 마비시킬 수 있다. 버블이 붕괴될 때, 즉 자산 가격 상승이 멈출 때, 투기 차입자는 이자 지급을 할 수 있더라도 원금을 재융자할 수 없게 된다. 도미노처럼, 투기 차입자의 붕괴는 헤지 차입자까지 무너뜨릴 수 있다.[7]

경제학자 폴 매컬리는 민스키의 가설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설명했다.[14] 그는 모기지 시장의 비유를 사용하여 세 가지 유형의 차입 범주를 설명했다. 헤지 차입자는 전통적인 모기지 대출을, 투기적 차입자는 이자만 지급하는 대출을, 폰지 차입자는 원금 미상환 대출을 받는다. 대출 기관은 주택 가치가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폰지 차입자에게만 자금을 제공했다.

매컬리는 민스키의 세 가지 차입 단계의 진행이 약 2007년 8월까지 신용 및 주택 버블이 형성되면서 분명했다고 적었다. 주택 수요는 그림자 금융 시스템의 원인이자 결과였으며, 이는 더 위험한 모기지 대출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레버리지로 투기적 및 폰지 유형의 대출로의 전환을 지원했다. 버블 붕괴 이후 기업의 레버리지 축소, 대출 기준 강화 등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매컬리는 또한 인간의 본성은 본질적으로 경기 순응적이라고 지적하며, 이는 민스키의 말에 따르면 "자본주의 경제는 때때로 통제 불능 상태로 빠질 수 있는 인플레이션과 부채 디플레이션을 나타낸다."라고 하였다.

4. 자본주의 발전 단계

민스키는 슘페터와 케인즈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본주의 발전 단계를 상업, 금융, 경영자, 자금 관리의 네 단계로 구분했다.[15] 각 단계는 "무엇을 자금 조달하는가"와 "누가 자금 조달을 하는가"에 따라 특징지어진다.

민스키의 자본주의 시대 구분
상업적금융적경영자적자금 관리자적
경제 활동무역생산총수요자산 가치
자금 조달 대상상인기업경영 기업국제 기업, 증권, 포지션
자금 조달원상업 은행 (+ 내부 자금 조달)투자 은행중앙 은행 (+ 내부 자금 조달)자금 펀드



다른 경제학자들은 민스키의 자본주의 단계 구분에 대해 논의했다. 찰스 웰런은 상업 자본주의와 금융 자본주의 사이에 "산업 자본주의"라는 중간 단계를 추가했고,[15] 얀 토포로프스키는 "고전 자본주의"라고 불렀다. 토포로프스키는 자금 관리자 자본주의를 세계화와 금융화의 현재 추세와 연결시켰다.[17]

4. 1. 상업 자본주의

은행은 원거리 은행과 현지 상인에 대한 특권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이익을 얻었다. 은행은 상품에 대한 어음을 발행하여 상인들에게 내생적 화폐를 창출하고 그에 상응하는 부채를 부담했으며, 예상치 못한 손실이 발생할 경우 지급을 보증했다. 신용 계약이 이행되면 신용은 소멸되었다. 은행은 상인의 재고를 자금 조달했지만, 자본재는 자금 조달하지 않았다. 즉, 이윤의 주된 원천은 이후 시대와 같이 생산 확장이 아닌, 무역을 통해서였다. 민스키는 "상업 자본주의는 생산이 기계와 노동력보다는 노동과 도구에 의해 이루어질 때 금융 구조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4. 2. 금융 자본주의

산업 혁명은 기계를 사용하는 생산 방식과 그에 따른 비노동 비용의 중요성을 증대시켰다. 이는 '내구 자산'을 필요로 했고, 결과적으로 투자자의 유한 책임을 보장하는 법인 형태의 기업이 탄생했다. 자금 조달의 주요 원천은 상업 은행에서 투자 은행으로 이동했으며, 특히 증권 시장에서 주식과 채권이 확산되면서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졌다. 기업 간 경쟁은 가격 하락으로 이어져 기존 금융 약속 이행 능력을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에, 투자 은행은 트러스트, 합병 및 인수를 촉진하여 자본 통합을 장려하기 시작했다. 1929년 주식 시장 붕괴는 이러한 투자 은행의 경제 지배력을 종식시켰다.

4. 3. 경영자 자본주의

미할 칼레츠키의 이윤 이론에 기반하여, 민스키는 투자의 수준이 총수요를 결정하고, 따라서 이윤의 흐름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즉, ''투자는 스스로 자금을 조달한다.''). 민스키에 따르면, 대공황 이후 경제의 케인스주의적 적자 지출은 이윤의 흐름을 보장했고, 기업이 이윤으로 자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자본주의 초창기 이후 널리 퍼지지 않았던 현상). 기업의 경영진은 투자 은행가와 주주로부터 더욱 독립적이 되었고, 이는 기업 의사 결정에서 더 긴 시간적 안목을 갖게 했다. 민스키는 이를 잠재적으로 유익하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는 기업이 관료화되어 초기 자본주의의 역동적 효율성이 부족해져 "전통의 포로"가 되었다고 지적함으로써 이러한 긍정적인 측면을 상쇄했다. 정부 지출 결정이 자본 자산 개발보다는 소비 지원으로 이동한 것 또한 정체에 기여했지만, 안정적인 총수요는 불황이나 경기 침체가 없다는 것을 의미했다.

4. 4. 자금 관리자 자본주의

민스키는 소득을 자본화하는 방식과 세법 때문에 부채가 많은 기업의 자본 가치가 보수적으로 자금 조달된 기업보다 높다고 주장한다. 이는 기업을 통제하는 시장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보수를 관리하는 포트폴리오의 총 수익률에 따라 지급받는 자산 관리자들은 기업 통제 변화에 따른 자금 재조달로 인해 포트폴리오 내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것을 선호했다. 자산 관리자들은 통제권 변화를 가져온 주식을 매각하는 것 외에도, 그러한 자금 재조달로 인해 발생한 부채(채권)를 매수했다.[16]

경영자본주의의 특징이었던 운영 기업의 돈과 금융 시장으로부터의 독립은 일시적인 단계였다. 수익과 자본 이득을 지향하는 대규모 자금의 출현으로 금융 시장은 다시 한번 경제 성과의 주요 결정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초기 금융 자본주의 시대와는 달리, 경제의 자본 개발보다는 투기꾼의 빠른 전환, 즉 거래 이익에 중점을 두었다.[16] 민스키는 매일 수백만 달러 규모의 대규모 거래를 하는 자금 관리의 부상은 증권 및 사람들이 이익을 얻기 위한 금융 포지션을 취하는 것을 증가시켰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포지셔닝 자체는 은행에 의해 자금이 조달되었다. 민스키는 이 시점에서 금융 기관이 자본 개발 자금 조달과는 너무 멀어졌고, 대신 '부채 검증'에 막대한 현금 흐름을 투입했다고 지적했다.[16]

민스키의 자본주의 시대 구분
상업적금융적경영자적자금 관리자적
경제 활동무역생산총수요자산 가치
자금 조달 대상상인기업경영 기업국제 기업; 증권; 포지션
자금 조달원상업 은행 (+ 내부 자금 조달)투자 은행중앙 은행 (+ 내부 자금 조달)자금 펀드



찰스 웰런과 얀 토포로프스키와 같은 다른 경제학자들은 민스키의 자본주의 시기에 대해 논의했다. 찰스 웰런은 상업 자본주의와 금융 자본주의 사이의 중간 단계를 "산업 자본주의"라고 칭했고, 얀 토포로프스키는 "고전 자본주의"라고 불렀다. 이는 전통적인 자본가-기업가, 즉 자본 자산 개발을 통해 생산 확장에 특히 집중하는 기업의 완전한 소유주에 의해 특징지어졌다. 웰런은 이러한 확장을 금융 자본주의 하에서의 자본 통합과 대조한다.[15] 토포로프스키는 자금 관리자 자본주의를 세계화와 금융화의 현재 추세와 연결시킨다.[17]

5. 존 메이너드 케인스에 대한 견해

하이먼 민스키는 그의 저서 《존 메이너드 케인스》(1975)에서 신고전학적 종합이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을 해석한 방식을 비판했다. 그는 신고전학적 종합에서 간과되거나 중요성이 축소된 측면, 예를 들어 나이트식 불확실성을 강조하는, 《일반 이론》에 대한 자신만의 해석을 제시했다.

6. 주요 저서

출판 연도제목비고
1982년"그것"이 다시 일어날 수 있는가?M.E. 샤프 출판
1988년투자, 금융 - 자본주의 경제의 불안정성이와사 시로 역, 일본경제평론사 출판, 원제 "Can "It" Happen Again?" ("It"은 대공황을 의미)
1989년금융 불안정성의 경제학 - 역사, 이론, 정책요시노 노리, 우치다 카즈오, 아사다 토우이치로우 공역, 타가 출판 출판
1999년케인즈 이론이란 무엇인가 - 시장 경제의 금융적 불안정성호리우치 아키요시 역, 이와나미 서점 출판
2008년존 메이너드 케인스맥그로힐 프로페셔널 출판, 초판은 1975년 출간
2008년불안정한 경제의 안정화맥그로힐 프로페셔널 출판, 초판은 1986년 출간
2013년빈곤 종식: 복지가 아닌 일자리레비 경제 연구소 출판


참조

[1] 뉴스 H. P. Minsky, 77, Economist Who Decoded Lending Trends https://www.nytimes.[...] 1996-10-26
[2] 논문 A monetary Minsky model of the Great Moderation and the Great Recession https://warwick.ac.u[...] 2010-12-29
[3]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dissenting economists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2009-11-08
[4] 웹사이트 Hyman Minsky, professor emeritus of economics http://record.wustl.[...]
[5] 뉴스 Minsky's moment https://www.economis[...] 2019-06-09
[6] 뉴스 H. P. Minsky, 77, Economist Who Decoded Lending Trends https://www.nytimes.[...] 2010-05-04
[7] 논문 The 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 http://www.levy.org/[...] 1992-05
[8] 서적 Manias, Panics, and Crashes
[9] 뉴스 Our Financial System is Fragile http://digitalcommon[...] 1974-09-15
[10] 논문 Financial Factors in the Economics of Capitalism https://books.google[...]
[11] 웹사이트 A Minsky Meltdown: Lessons for Central Bankers http://www.frbsf.org[...] 2009-04-16
[12] 웹사이트 The Minsky Moment http://www.newyorker[...] 2008-02-04
[13] 웹사이트 The Credit Crisis: Denial, delusion and the "defunct" American economist who foresaw the dénouement http://www.finfacts.[...]
[14] 웹사이트 McCulley-PIMCO-The Shadow Banking System and Hyman Minsky's Economic Journey http://media.pimco-g[...] 2009-06-08
[15] 논문 Integrating Schumpeter and Keynes: Hyman Minsky's Theory of Capitalist Development https://www.jstor.or[...] 2001
[16] 논문 Schumpeter and Finance https://digitalcommo[...] 1992-01-01
[17] 논문 Financialisation and the periodisation of capitalism: appearances and processes 2020-08
[18] 웹사이트 The Hyman P. Minsky Hypothesis. An analysis and the effect on the subprime crisis 2007 https://www.grin.com[...] 2021-10-23
[19] 뉴스 https://www.nytimes.[...]
[20] 뉴스 https://www.nytimes.[...] 2010-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